KR20130037549A -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549A
KR20130037549A KR1020110102007A KR20110102007A KR20130037549A KR 20130037549 A KR20130037549 A KR 20130037549A KR 1020110102007 A KR1020110102007 A KR 1020110102007A KR 20110102007 A KR20110102007 A KR 20110102007A KR 20130037549 A KR20130037549 A KR 20130037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nifold body
manifold
flow path
bypas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474B1 (ko
Inventor
김태회
정찬규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4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84Rotary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내연기관으로 공급하는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기를 곡선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연기관으로 안내하는 런너가 형성되고, 상기 런너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결되어 상기 일단부로 유입된 공기를 타단부로 바이패스시켜서 상기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단축시키는 바이패스 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직교상태로 관통된 삽입공을 갖는 매니폴드본체;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일직선 형태의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상기 매니폴드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고,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밸브의 양단부가 유동방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축방향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개폐밸브가 바이패스 유로를 정확하게 개폐하여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가변시키므로 내연기관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개폐밸브의 소음발생이 억제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런너를 통해 내연기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가변시키는 개폐밸브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 매니폴드는 기화기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엔진의 부압을 통해 엔진의 실린더 연소실로 공급하는 부재이며, 최근에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가변시킴으로써 엔진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가변흡기 매니폴드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흡기 매니폴드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35320호에 개시된 가변흡기 매니폴드가 있다.
종래의 흡기 매니폴드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면서 롱런너포트(LP) 및 숏런너포트(SP)를 갖는 런너(L)가 마련되어 공급로(2)로 공급된 혼합공기를 배출구(6)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하며, 유입공(42)과 런너개방홀(41)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40) 및 회전축(43)을 이루어진 개폐밸프(4)가 공급로(2)에 설치되어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회전하면서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가변시킨다.
즉, 종래의 흡기 매니폴드는 엔진의 초기시동이나 저속운전시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몸체(40)가 런너개방홀(41)을 통해 롱런너포트(LP)를 개방하면서 숏런너포트(SP)를 폐쇄하여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확장시키고, 엔진의 고속운전시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몸체(40)가 회전축(43)에 의해 회전하여 롱런너포트(LP)를 폐쇄하면서 런너개방홀(41)을 통해 숏럿너포트(SP)를 개방함으로써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단축시키는 구성이다.
그런데, 종래의 흡기 매니폴드는 개폐밸브(4)를 구성하는 회전축(43)의 고정구조가 유동적으로 구성되어 회전축(43)에 축방향의 유동이 발생함에 따라 원통형의 몸체(40)가 유동하기 때문에 몸체(40)의 런너개방홀(41)과 롱런너포트(LP) 및 숏런너포트(SP)가 서로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흡기 매니폴드는 특히 고속운전시 요구되는 신속한 혼합공기의 공급이 방해되어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회전축(43)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개폐밸브가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안정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개폐밸브의 유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흡기밸브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는, 차량에 설치되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내연기관으로 공급하는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기를 곡선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연기관으로 안내하는 런너가 형성되고, 상기 런너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결되어 상기 일단부로 유입된 공기를 타단부로 바이패스시켜서 상기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단축시키는 바이패스 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직교상태로 관통된 삽입공을 갖는 매니폴드본체;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일직선 형태의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상기 매니폴드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고,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의하면, 개폐밸브의 양단부가 유동방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축방향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개폐밸브가 바이패스 유로를 정확하게 개폐하여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가변시키므로 내연기관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개폐밸브의 소음발생이 억제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본체(10), 개폐밸브(20)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매니폴드본체(10)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내연기관을 구성하는 미도시된 연소실로 공급하는 부재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쉘(15), 센터쉘(16), 플랜지쉘(17) 및 로워쉘(18)이 고주파 융착이나 진동융착과 같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면서 혼합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a)를 일측에 형성하며, 혼합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공급구(10a)를 타측에 형성한다.
이러한 매니폴드본체(10)는 유입구(10a)로 유입된 혼합공기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을 이루면서 공급구(10a)로 공급하는 런너(11)가 마련되고, 혼합공기를 런너(1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12)가 형성되며, 바이패스 유로(12)를 직교상태로 관통하는 삽입공(1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다.
즉, 매니폴드본체(10)는 내연기관의 저속운전시에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공기를 곡선형의 런너(11)를 따라 경유시켜서 공급구(10a)로 공급하고, 바이패스 유로(12)는 내연기관의 고속운전시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11)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혼합공기를 공급하여 공급경로를 단축시킨다.
이러한 런너(11) 및 바이패스 유로(12)는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대응하는 수량으로 마련되어 공급구(10b)를 통해 각각의 연소실에 혼합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매니폴드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부압을 제공하는 진공탱크(VC)가 내장되어 체크밸브(CV)를 통해 부압을 공급하며,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SV) 및 솔레노이드밸브(SV)에 의해 구동하는 액추에이터(AC)가 마련되어 후술되는 개폐밸브(2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진공탱크(V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매니폴드본체(10)와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솔레노이드밸브(SV)에 연결될 수도 있다.
개폐밸브(20)는 내연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매니폴드본체(10)의 바이패스 유로(12)를 개폐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본체(10)의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12)에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개폐밸브(2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1) 및 회전축(2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드럼(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12)에 외주면이 대면하며, 바이패스 유로(12)를 연통시키는 연통공(21a)이 관통형성되고, 후술되는 회전축(23)에 의해 회전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21a)을 통해 바이패스 유로(12)를 개방하거나 외주면을 통해 바이패스 유로(12)를 폐쇄한다.
회전축(2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1)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전술한 액추에이터(AC)에 연결되어 내연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회전하면서 드럼(21)을 회전시킨다.
즉, 개폐밸브(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3)에 내장된 상태로 회전축(23)의 일단부가 후술되는 커버(33)를 관통하여 삽입공(1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축(23)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CN)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AC)의 로드에 연결되고, 내연기관의 회전수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SV)에 의해 회전축(23) 및 드럼(21)이 회전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12)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밸브(20)의 드럼(21)은 내연기관이 시동상태이거나 저속운전일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12)가 폐쇄되도록 연통공(21a)을 바이패스 유로(12)와 직교시켜서 바이패스 유로(12)를 폐쇄함으로써 혼합공기를 곡선형의 런너(11)를 따라 경유시켜서 공급구(10b)로 공급하며, 내연기관이 고속운전일 경우 액추에이터(AC)에 의한 회전축(23)의 회전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연통공(21a)을 바이패스 유로(12)에 연통시켜서 바이패스 유로(12)를 개방하면서 혼합공기를 바이패스 유로(12)를 통해 곧바로 공급구(10b)에 공급한다.
여기서, 개폐밸브(20)는 90°의 회전반경으로 회전하여 바이패스 유로(12)를 개폐할 수 있으며,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미도시된 스토퍼가 후술되는 커버(33)에 마련되어 드럼(21)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유동방지수단(30)은 매니폴드본체(10)의 삽입공(13)을 차폐하면서 개폐밸브(20)의 양단부를 매니폴드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개폐밸브(20)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스트베어링(31), 커버(33) 및 안착단(3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슬러스트베어링(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20)를 구성하는 회전축(23)의 양단부에 제각기 결합되어 회전축(2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베어링이다.
이러한 슬러스트베어링(31)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을 실링하기 위한 O링과 같은 실링부재(SL)와 함께 회전축(23)에 끼워지고, 외주면에 플랜지 형태로 마련되어 실링부재(SL)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단턱(31a)을 갖는다.
커버(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BT)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매니폴드본체(10)에 결합되어 삽입공(15)을 차폐하는 부재로써,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의 일단부가 관통하고, 내측면에 관형태의 밀착보스(33a)가 돌출형성되어 실링부재(SL)가 끼워진 슬러스트베어링(31)의 단턱(31a)을 밀착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커버(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한 회전축(33)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BB)이 설치되며, 매니폴드본체(10)에 밀착되면서 삽입공(13)을 실링하는 환형림(LM)이 내주면에 마련된다.
안착단(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본체(10)의 성형시 단차형태로 매니폴드본체(10)의 내측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회전축(23)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스트베어링(31)이 매립상태(삽입상태)로 안착되면서 슬러스트베어링(31)의 단턱(31a)과 밀착되어 단턱(31a)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커버(33)는 밀착보스(33a)를 통해 회전축(23)의 일단부에 결합된 슬러스트베어링(31)의 단턱(31a)을 개폐밸브(20)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며, 안착단(35)은 커버(33)의 반대편에서 회전축(23)의 타단부에 결합된 슬러스트베어링(31)의 단턱(31a)을 개폐밸브(20)의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즉, 커버(33) 및 안착단(35)은 개폐밸브(20)의 양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개폐밸브(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의 양단부에 결합된 슬러스트베어링(31)이 커버(33) 및 안착단(35)에 의해 드럼(21)의 양단부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므로, 전술한 액추에이터(AC)에 의한 회전시 회전축(23)의 축방향 유동이 방지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12)를 드럼(21)의 연통공(21a)으로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슬러스트베어링(31)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패스너(37)에 의해 개폐밸브(20)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베어링패스너(37)는 예컨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돌기(37a) 및 돌기홀더(37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센터링돌기(37a)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스트베어링(31)의 내주면에 돌출된다.
돌기홀더(37b)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20)를 구성하는 회전축(23)의 양단부에 제각기 홈형태로 마련되어 센터링돌기(37a)가 끼워져 걸린다.
즉, 슬러스트베어링(31)은 회전축(23)의 양단부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면서 센터링돌기(37a)가 돌기홀더(37b)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에 따라 회전축(23)에 센터링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슬러스트베어링(31)은 베어링패스너(37)에 의해 회전축(23)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단턱(31a)이 밀착보스(33a) 및 안착단(37)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축(23)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매니폴드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20)를 구성하는 회전축(23)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한 클리어런스를 제공하는 간극챔버(3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간극챔버(39)는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스트베어링(31)이 안착되는 안착단(35)의 측방에 슬러스트베어링(31)이 간극으로 이격되는 이격공간으로 구성되어 회전축(23)의 타단부에 클리어런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회전축(23)은 안착단(35)에 마련된 매니폴드본체(10)의 간극챔버(39)에 의해 매니폴드본체(10)의 내벽과 이격되므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의 내연기관이 저속으로 운전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는 매니폴드본체(10)의 유입구(10a)를 통해 매니폴드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런너(11)를 통해 공급구(10b)로 배출되어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때, 개폐밸브(2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드럼(21)의 외주면을 통해 바이패스 유로(12)를 폐쇄함으로써 유입구(10a)로 유입된 혼합공기를 곡선형의 런너(11)로 경유시키면서 공급구(10b)로 공급한다.
한편, 내연기관이 고속으로 운전시, 개폐밸브(20)는 도 5의 (b)에 드럼(21)이 회전하면서 연통공(21a)을 통해 바이패스 유로(12)를 개방하여 혼합공기를 바이패스 유로(12)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단축시킨다.
구체적으로, 개폐밸브(20)는 내연기관의 부압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SV) 및 액추에이터(AC)에 의해 회전축(23)이 회전하며, 회전축(23)의 회전에 의해 드럼(21)이 회전하면서 드럼(21)의 연통공(21a)이 바이패스 유로(12)를 개방한다.
이때, 회전축(23)은 회전시 양단부에 결합된 슬러스트베어링(31)의 단턱(31a)이 커버(33)의 밀착보스(33a) 및 안착단(35)에 제각기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축방향의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개폐밸브(20)는 회전시 회전축(23)이 유동되지 않으므로 드럼(21)의 연통공(21a)을 바이패스 유로(12)에 어긋남 없이 일치시킴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12)를 정확하게 연통시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내연기관이 다시 저속으로 운전할 경우, 개폐밸브(20)는 내연기관의 부압이 해제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SV) 및 액추에이터(AC)에 의해 회전축(23)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드럼(21)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회전하여 바이패스 유로(12)를 폐쇄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 의하면, 개폐밸브(20)의 양단부가 유동방지수단(30)에 의해 지지되어 축방향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개폐밸브(20)가 바이패스 유로(12)를 정확하게 개폐하여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가변시키므로 내연기관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개폐밸브(20)의 소음발생이 억제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유동방지수단을 구성하는 슬러스트베어링(31)이 단턱(31a)을 통해 커버(33)의 밀착보스(33a) 및 안착단(35)에 의해 밀착되어 회전축(23)의 양측을 지지하므로 회전축(23)이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드럼(21)을 통해 바이패스 유로(12)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슬러스트베어링(31)이 베어링패스너(37)를 구성하는 센터링돌기(37a) 및 돌기홀더(37b)에 의해 회전축(23)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므로 회전축(23)의 축방향 유동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매니폴드본체(10)에 간극챔버(39)가 마련되어 회전축(23)의 타단부에 클리어런스가 제공되므로, 회전축(23)이 매니폴드본체(10)의 내벽과 간섭없이 회전함으로써 회전축(23) 및 드럼(21)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축(23)에 의한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매니폴드본체 10a : 유입구
10b : 공급구 11 : 런너
12 : 바이패스 유로 13 : 삽입공
15 : 어퍼쉘 16 : 센터쉘
17 : 플랜지쉘 19 : 로워쉘
20 : 개폐밸브 21 : 드럼
21a : 연통공 23 : 회전축
30 : 유동방지수단 31 : 슬러스트베어링
31a : 단턱 33 : 커버
33a : 밀착보스 35 : 안착단
37 : 베어링패스너 37a : 센터링돌기
37b : 돌기홀더 39 : 간극챔버
SV : 솔레노이드밸브 AC : 액추에이터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내연기관으로 공급하는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기를 곡선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연기관으로 안내하는 런너가 형성되고, 상기 런너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결되어 상기 일단부로 유입된 공기를 타단부로 바이패스시켜서 상기 혼합공기의 공급경로를 단축시키는 바이패스 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직교상태로 관통된 삽입공을 갖는 매니폴드본체;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일직선 형태의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상기 매니폴드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고,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에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에 단턱이 제각기 마련된 한 쌍의 슬러스트베어링;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삽입공을 차폐하면서 상기 개폐밸브의 일단부가 관통하고, 상기 개폐밸브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슬러스트베어링의 단턱을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밀착보스가 마련된 커버; 및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내측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개폐밸브의 타단부에 결합된 상기 슬러스트베어링의 단턱이 밀착상태로 안착되는 안착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슬러스트베어링들을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베어링패스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패스너는,
    상기 슬러스트베어링들의 내주면에 제각기 돌출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양단부에 센터링되는 센터링링돌기; 및
    상기 개폐밸브의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센터링링돌기가 끼워져 걸리는 홈형태의 돌기홀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본체는,
    상기 슬러스트베어링의 단턱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단의 측방에 상기 슬러스트베어링이 간극으로 이격되는 이격공간을 제공하는 간극챔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KR1020110102007A 2011-10-06 2011-10-06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KR10130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07A KR101306474B1 (ko) 2011-10-06 2011-10-06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07A KR101306474B1 (ko) 2011-10-06 2011-10-06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49A true KR20130037549A (ko) 2013-04-16
KR101306474B1 KR101306474B1 (ko) 2013-09-17

Family

ID=4843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007A KR101306474B1 (ko) 2011-10-06 2011-10-06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4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73B1 (ko) * 2013-11-15 2014-05-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내부삽입식 지지구조의 가변흡기밸브를 구비한 흡기매니폴드
WO2015167036A1 (ko) * 2014-04-28 2015-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흡기 매니폴드 조립구조
WO2015167034A1 (ko) * 2014-04-28 2015-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독립된 두 개의 런너를 갖는 가변 흡기 매니폴드
WO2015167035A1 (ko) * 2014-04-28 2015-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독립된 두 개의 런너를 갖는 가변 흡기 매니폴드
KR20240049471A (ko) 2022-10-08 2024-04-16 지연우 미숫가루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3061B2 (ja) * 2001-09-12 2006-07-05 ジー・ピー・ダイキョー株式会社 可変吸気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4267B2 (ja) * 2002-07-24 2007-01-31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吸気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73B1 (ko) * 2013-11-15 2014-05-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내부삽입식 지지구조의 가변흡기밸브를 구비한 흡기매니폴드
WO2015167036A1 (ko) * 2014-04-28 2015-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흡기 매니폴드 조립구조
WO2015167034A1 (ko) * 2014-04-28 2015-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독립된 두 개의 런너를 갖는 가변 흡기 매니폴드
WO2015167035A1 (ko) * 2014-04-28 2015-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독립된 두 개의 런너를 갖는 가변 흡기 매니폴드
KR20240049471A (ko) 2022-10-08 2024-04-16 지연우 미숫가루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474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77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1306474B1 (ko)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US8985550B2 (en) Electromagnetic valve
US6604516B1 (en) Flap valve
US6612544B2 (en) Electromagnetic valve
JP6378726B2 (ja) 蒸発燃料導入装置
JP4988837B2 (ja) 排気マニホールド
CN109416056A (zh) 具有可变压缩机入口的压缩机
KR20150082560A (ko) 개선된 시일링을 가지는 오버몰딩된 전동식 밸브
EP3379051B1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8150280A (zh) 增压器
CN102678212A (zh) 包含凸轮相位器组件辅助销的发动机总成
CN110195670A (zh) 特别是用于供应高压气体设有通气口的节流阀体或致动器
JP2011220143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20140150754A1 (en) Compressor housing and exhaust gas turbine supercharger
US20180291800A1 (en) Exhaust-gas turbo char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xhaust-gas turbocharger
JP2012077805A (ja) バルブ取付構造
KR100778431B1 (ko)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밸브 지지장치
KR20130046951A (ko) 텀블형 vcm 밸브 구조
JP2007162588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1011643B1 (ko) 차량용 이지알 밸브
KR101903893B1 (ko) 흡기매니폴드
KR100716362B1 (ko) 스로틀 바디의 축 체결구조
KR200436614Y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 펌프
KR101476694B1 (ko)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