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009A -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7009A KR20130037009A KR1020110101315A KR20110101315A KR20130037009A KR 20130037009 A KR20130037009 A KR 20130037009A KR 1020110101315 A KR1020110101315 A KR 1020110101315A KR 20110101315 A KR20110101315 A KR 20110101315A KR 20130037009 A KR20130037009 A KR 20130037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utment
- crown
- implant
- fixture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 홀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심미적인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구조상 견고하고 시술이 간편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고정되며, 크라운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치근축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진 고정홀이 형성된 픽스쳐;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어버트먼트; 및 상기 체결홀과 고정홀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나사체결되어, 상기 픽스쳐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가 소실된 잇몸부위에 적용하여 치조골에 반영구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치아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인공치아(dental implant)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 홀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심미적인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구조상 견고하고 시술이 간편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 치료는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조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이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고,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즉 임플란트(implant)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모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일반적으로 픽스쳐(fixture, 인공치근),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 크라운(crown, 가공치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픽스쳐는 결손된 치근과 같이 치조골 속에 심어지는 고정체로서 기능을 하며,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와 크라운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크라운은 노출되는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재현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앞니와 같은 위치에서의 임플란트를 시술, 즉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대한 임플란트의 시술에는 한계점이 있다.
즉, 앞니에 해당하는 크라운의 축은 수직에 가까운데 반해, 치조골의 구조 상 치근축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으면, 픽스쳐가 경사지게 치조골에 심어져야 하기 때문에, 픽스쳐와 크라운이 일직선 상에 놓이지 않게 되어,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도 1 내지 도 10 은 앞니와 같은 위치에서의 임플란트 시술, 즉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대한 임플란트 시술로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임플란트 시술의 한계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니와 같은 치아구조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내에서 치근축(X)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치관축, 즉 크라운축(Y)은 수직축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가 상실된다면 치근축과 크라운축이 많이 어긋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A선에 임플란트가 식립된다면 치조골에서의 위치에서는 이상적일 수 있으나, 크라운의 순면에 나사구멍이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크라운의 앞쪽 면에 어버트먼트 또는 크라운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나사구멍이 보일 수 있다.
또한, B선에 임플란트가 식립된다면 크라운의 위치 측면에 있어서는 적합하지만, 순면 치조골에 천공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심미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다. 결과적으로, 견고한 식립과 심미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C선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존하는 치조골(11)이 두터우면 식립각도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고, 도 2의 C선에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다.
즉, 크라운축을 기준으로 하여 픽스쳐를 치조골에 심더라도, 픽스쳐가 식립되는 부위의 주변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적정두께 이상, 다시 말해 픽스쳐의 고정이 흔들리지 않는 적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면, 임플란트의 시술하는데에 있어서 그 식립각도에 대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11)이 흡수되어 잔존 치조골의 순설폭이 좁아지면 임의의 식립각도 조절이 불가능해진다.
이는 보통 치아가 상실되면, 도 4 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치조골(11)은 순면측에서 흡수가 많이 일어나 골폭이 많이 좁아지게 되고, 그 높이(도면상에서는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도 다소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임플란트의 각도조절에 제한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식립각도 측면에서, 도 2에서의 A선보다도 더 경사진(횡측으로 가깝게) A'선만이 남게 되어, 골이식을 하지 않는 한 임플란트의 식립각도에 있어서 선택의 여지가 없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게 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23)은 원래의 자연치아 위치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아울러 임플란트의 시술을 위해 나사 구멍(27)이 크라운의 순면을 관통하게 됨으로써, 심미적인 측면이 크게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 따라, 스크루형 어버트먼트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도 6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시멘트형 어버트먼트(22)만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경사진 시멘트형 어버트먼트(22)를 사용하게 되면, 시멘트형 어버트먼트(22)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심미적인 문제는 일단 해결될 수 있으나, 시멘트형 어버트먼트(22)의 단점으로서 차후에 추가적인 치료 및 조정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크라운(24)의 제거가 불가능하게 되는 한계점을 지닌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여러 개가 연결되어 시술된 경우에는, 이 중에 하나가 손상되는 것과 같이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연결된 다른 것도 교체를 해야하는 더 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와 같이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사용되는 임플란트가 시술된다면, 간단히 탈거하여 수선 및 교체를 함으로써 필요한 치료 및 조정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스크루형 어버트먼트(23)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경사진 스크루형 어버트먼트와 같이 어버트먼트(23)가 경사져서 형성된다면, 크라운 순면의 심미가 훼손되기 쉽다. 즉, 종래의 상기 경사진 스크루형 어버트먼트는 경사각을 만들기 위해 순측 높이를 길게 제작해왔다. 이때, 순측은 일반적으로 골 흡수가 많이 일어나고, 또한 점막의 두께가 설측보다 적어서, 도 9 의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과 같이, 어버트먼트가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심미가 저해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특허등록 제0332383호에는, 지대주(어버트먼트)가 인공 치근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되면서 일측으로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인공치근에 지대주를 체결하는 연결나사의 넓은 체결각도 조정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만곡 인공치아 지대주가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 특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서는 특수한 Torx driver가 필요하며, 시술이 다소 불편한 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 경험이 많은 자에 한해 시술이 가능한 단점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앞니와 같은 위치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데에 있어서, 구조상 견고하면서도,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시술되는 임플란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 홀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심미적인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구조상 견고하고 시술이 간편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고정되며, 크라운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치근축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진 고정홀이 형성된 픽스쳐;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어버트먼트; 및 상기 체결홀과 고정홀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나사체결되어, 상기 픽스쳐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고정되며, 크라운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치근축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진 고정홀이 형성된 픽스쳐;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는 어버트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상기 어버트먼트가 크라운이 접착제로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시멘트형(cement type) 어버트먼트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크라운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체결홀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나사체결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에 상기 크라운을 결합시키는 결합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결합나사로 상기 크라운이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크루형(screw type) 어버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상기 스크루형 어버트먼트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루형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 사이에 배치되는 골드실린더(gold cylinder);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픽스쳐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고정홀을 치관축, 즉 픽스쳐의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픽스쳐 상방에서 크라운의 순면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비해 보철물의 제작 과정이 간편하고, 심미적으로도 뛰어나며, 사후 관리 또한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홀의 각도를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픽스쳐의 강도 및 기계적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 고정 나사 구멍에 만곡을 부여하거나 어버트먼트 자체를 기울여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홀에 고정 나사가 나사 체결되는 경우, 나사 구멍이 크라운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나사 구멍이 순면에 형성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미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앞니구조에서의 치조골에 대한 자연치아의 식립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치조골에서의 치근축과 크라운축 및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축에 따라 임플란트가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치조골의 골 폭이 순면 측 흡수에 의해 좁아진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도 2의 A 선에 따라 임플란트가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A 선에 따라 식립된 픽스쳐에, 경사진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여러 개 연결되어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는 도 2 의 A선에 따라 식립된 픽스쳐에, 경사진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0332384호의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외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픽스쳐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외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는 도 11 의 픽스쳐에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삽입되어 내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 은 도 11의 픽스쳐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삽입되어 내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치조골에서의 치근축과 크라운축 및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축에 따라 임플란트가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치조골의 골 폭이 순면 측 흡수에 의해 좁아진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도 2의 A 선에 따라 임플란트가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A 선에 따라 식립된 픽스쳐에, 경사진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여러 개 연결되어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는 도 2 의 A선에 따라 식립된 픽스쳐에, 경사진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0332384호의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외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픽스쳐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외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는 도 11 의 픽스쳐에 스크루형 어버트먼트가 삽입되어 내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 은 도 11의 픽스쳐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가 삽입되어 내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32)가 외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어버트먼트(32)에 크라운(34)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3 은 도 11 의 픽스쳐에 스크루형 어버트먼트(33)가 외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어버트먼트에 크라운(34)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에 더하여, 도 15 는 도 11 의 픽스쳐(31)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32)가 삽입되어 내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6 은 도 11 의 픽스쳐(31)에 스크루형 어버트먼트(33)가 삽입되어 내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설치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임플란트를 크라운축(Y)과 동일선상에 배치시키기 위해, 픽스쳐(31) 내의 고정홀(36)이 경사지게 형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임플란트(3)는,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36)이 형성된 픽스쳐(31)와, 상기 픽스쳐(31)에 체결되는 어버트먼트(33), 상기 어버트먼트(33)를 픽스쳐(31)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35)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31)는 치조골(11)에 삽입고정되며, 크라운축(Y)에 일치하도록 치근축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진 고정홀(36)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픽스쳐(31) 상방에서 크라운(34)의 순면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보철물의 제작 과정이 불편하고, 심미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사후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임플란트 몸체, 즉 픽스쳐(31)의 내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고정홀(36)의 각도를 기울이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33) 고정 나사 구멍에 만곡을 부여하거나 어버트먼트(33) 자체를 기울여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바, 제조 및 설치상의 이점을 갖는다.
어버트먼트(33)는 픽스쳐(31)에 체결시 고정홀(36)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체결홀(38)을 가진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설치시, 상기 고정나사는 체결홀(38)과 고정홀(36)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나사 체결되어, 픽스쳐(31)에 어버트먼트(33)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나사 구멍(37)은 크라운(34)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나사 구멍이 순면에 형성됨에 따른 심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픽스쳐(31)의 고정홀(36)은, 자연치아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크라운의 축, 즉 크라운축(Y)에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치근축은 수직축과 비교하여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픽스쳐(31)도 상기 치근축과 대응되게 횡측 경사져서 식립된다. 이때, 픽스쳐(31) 내의 고정홀(36)은, 바람직하게는 치근축(X)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크라운축(Y)에 일치되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상기 픽스쳐(31) 내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고정홀(36) 의 각도와 관련하여서는, 픽스쳐(31)의 중심축에 대하여 약 15도 정도의 각도를 갖는 것이 임상적으로 바람직하며, 다만 픽스쳐(31)의 재질에 따라 고정홀(36)의 각도를 15도 내외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약 15도 내외의 각도로 고정홀(36)을 형성할 경우에는, 경사진 고정홀(36)에 의해 픽스쳐(31)의 강도 및 기계적 특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 에는, 도 11 의 픽스쳐(31)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32)가 외부 체결된 것과, 이 어버트먼트(32)에 크라운(34)이 설치된 임플란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5 에 도시된 임플란트는 도 11 및 13 에 도시된 임플란트와 비교해, 스크루형 어버트먼트(33) 대신 크라운(34)이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시멘트형 어버트먼트(32)가 설치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고정홀(36)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 및 그 각도 등과 관련한 구성은 도 12 및 13 에 도시된 스크루형 어버트먼트(33)를 갖는 임플란트와 동일하다.
한편, 픽스쳐(31)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32, 33) 는 도 1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체결되는 구성이 될 수 있으나,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31) 내부에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픽스쳐(31), 어버트먼트(32, 33) 및 크라운(34)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스크루형 어버트먼트(33)를 갖는 임플란트의 경우, 상기 스크루형 어버트먼트(33)를 감싸면서 상기 어버트먼트(33) 와 크라운(34) 사이에 배치되는 골드실린더(gold cylinder)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따라, 픽스쳐(31)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고정홀(36)을 치관축(X), 즉 픽스쳐(31)의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픽스쳐(31) 상방에서 크라운(34)의 순면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비해 보철물의 제작 과정이 간편하고, 심미적으로도 뛰어나며, 사후 관리 또한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홀(36)의 각도를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픽스쳐(31)의 강도 및 기계적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33) 고정 나사 구멍에 만곡을 부여하거나 어버트먼트(33) 자체를 기울여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홀(38)에 고정 나사가 나사 체결되는 경우, 나사 구멍(37)이 크라운(34)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나사 구멍이 순면에 형성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미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치아 결손 잔존 치조골은 설측과 순측의 높이 또는 레벨이 비슷한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통상적으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측보다 순측이 골 흡수가 많이 일어나게 되어, 설측과 순측의 잔존 치조골 높이가 차이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형태에 추가적으로,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31)의 상면 플랫폼을 설측보다 순측으로 일정거리(d) 만큼 낮게, 예컨대 골 상실 형태를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약 0.5 mm 낮게 하여 순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상의 골 상실 형태에 순응하게 하여, 전치부의 심미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X 치근축 Y 크라운축
11 치조골 13 자연치아
21, 31 픽스쳐 22, 32 시멘트형 어버트먼트
23, 33 스크루형 어버트먼트 24, 34 크라운
27, 37 나사 구멍 35 고정 나사
36 고정홀 38 체결홀
11 치조골 13 자연치아
21, 31 픽스쳐 22, 32 시멘트형 어버트먼트
23, 33 스크루형 어버트먼트 24, 34 크라운
27, 37 나사 구멍 35 고정 나사
36 고정홀 38 체결홀
Claims (5)
-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고정되며, 크라운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치근축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진 고정홀이 형성된 픽스쳐;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어버트먼트; 및
상기 체결홀과 고정홀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나사체결되어, 상기 픽스쳐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 치근축이 경사진 치조골에 시술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고정되며, 크라운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치근축의 경사보다 수직축에 가깝게 경사진 고정홀이 형성된 픽스쳐;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는 어버트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크라운이 접착제로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시멘트형(cement type) 어버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라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체결홀에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나사체결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에 상기 크라운을 결합시키는 결합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결합나사로 상기 크라운이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크루형(screw type) 어버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형 어버트먼트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루형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 사이에 배치되는 골드실린더(gold cylind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315A KR101292839B1 (ko) | 2011-10-05 | 2011-10-05 |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315A KR101292839B1 (ko) | 2011-10-05 | 2011-10-05 |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009A true KR20130037009A (ko) | 2013-04-15 |
KR101292839B1 KR101292839B1 (ko) | 2013-08-07 |
Family
ID=4843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1315A KR101292839B1 (ko) | 2011-10-05 | 2011-10-05 |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283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5443A (ko) * | 2016-12-08 | 2018-06-18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 인공치아 |
KR20180072623A (ko) * | 2018-06-15 | 2018-06-2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 인공치아 |
CN108392278A (zh) * | 2018-02-13 | 2018-08-14 | 成都贝施美生物科技有限公司 | 带角度就位连接的种植牙及种植牙用螺丝刀 |
CN115919491A (zh) * | 2023-02-24 | 2023-04-07 |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 一种非同轴种植系统及其设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8078A (ko) * | 2007-11-09 | 2009-05-13 | 주식회사 쿠보텍 |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
JP2009233179A (ja) | 2008-03-27 | 2009-10-15 | Hiroshi Kurosawa | 人工歯根及びインプラント |
KR20100012966A (ko) * | 2008-07-30 | 2010-02-09 | 주식회사 덴티스 | 미니 임플란트 장치 |
KR101094059B1 (ko) * | 2009-11-25 | 2011-12-15 | (주)이비아이 | 치과용 설측벽 드릴링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식홈형성방법 |
-
2011
- 2011-10-05 KR KR1020110101315A patent/KR1012928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5443A (ko) * | 2016-12-08 | 2018-06-18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 인공치아 |
KR101879064B1 (ko) * | 2016-12-08 | 2018-07-16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 인공치아 |
CN108392278A (zh) * | 2018-02-13 | 2018-08-14 | 成都贝施美生物科技有限公司 | 带角度就位连接的种植牙及种植牙用螺丝刀 |
KR20180072623A (ko) * | 2018-06-15 | 2018-06-2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 인공치아 |
KR101879160B1 (ko) * | 2018-06-15 | 2018-07-16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 인공치아 |
CN115919491A (zh) * | 2023-02-24 | 2023-04-07 |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 一种非同轴种植系统及其设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2839B1 (ko) | 2013-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63202T3 (es) | Implante dental estrecho y piezas asociadas. | |
AU2012245763B2 (en) | Healing abutment system for bone contouring | |
KR100677870B1 (ko) |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 |
US20050175964A1 (en) | Implant for use in aesthetic regions of the mouth | |
ES2623455T3 (es) | Sistema de implante dental | |
KR100938991B1 (ko) | 미니 임플란트. | |
WO2005107630A2 (en) | Aesthetic dental implant fixture and abutment system | |
KR100788455B1 (ko) |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 |
KR101292839B1 (ko) |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 |
KR20100102403A (ko) | 스크류를 이용한 초기고정 임플란트 | |
KR102038256B1 (ko)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
KR20160033019A (ko) |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 |
KR20090016560A (ko) |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KR200424914Y1 (ko) | 임플란트 픽스츄어 | |
JP2008149121A (ja) | 人工歯根 | |
KR100622545B1 (ko) | 앞니용 인공치근 | |
KR200426910Y1 (ko) | 임플란트용 지지대 | |
ITMI991641A1 (it) | Dispositivo per impianto dentale | |
KR20210071682A (ko) |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 |
WO2007145454A1 (en) | Healing abutment and implant having the same | |
KR20090005848U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
KR20100003986A (ko) | 중간교각치를 구비한 임플란트 | |
KR100746739B1 (ko) | 어버트먼트 일체형 임플란트 | |
KR100540447B1 (ko) |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 |
KR20070119628A (ko) | 세폭형 치아용 임플란트 및 그 부속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