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256B1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256B1
KR102038256B1 KR1020190086795A KR20190086795A KR102038256B1 KR 102038256 B1 KR102038256 B1 KR 102038256B1 KR 1020190086795 A KR1020190086795 A KR 1020190086795A KR 20190086795 A KR20190086795 A KR 20190086795A KR 102038256 B1 KR102038256 B1 KR 10203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head
height
coupled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이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준 filed Critical 이재준
Priority to KR102019008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3Expandable implants; Implants with extendab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로서, 픽스쳐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본체와, 상기 어버트먼트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어버트먼트본체의 높이를 보정하는 어버트먼트헤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버트먼트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환자 개개인의 구강구조에 적합한 어버트먼트를 쉽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butment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치아는 섭취하는 음식물을 잘게 씹고 부수어 소화하기 쉽게 해줌과 함께 정확한 발음과 말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치아가 손상되면 음식물을 제대로 씹을 수 없어 소화 및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가 어렵게 되고 정확한 발음과 말을 하는데 지장이 있게 되므로, 건강한 치아는 신체의 오복 중 하나로 인식될 만큼 중요시되어 왔다.
그러나, 인간의 치아는 영구치가 생성된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기 때문에, 영구치가 손상된 경우 보철치료를 통해 영구치를 치료하거나 틀니를 끼우는 방식의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왔는데, 이러한 보철치료 방식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는 소실된 치아를 대신할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임플란트 시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인공치근인 픽스쳐을 식립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인 크라운(crown)을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치조골에 골 유착되어 치근기능을 수행하는 픽스쳐(fixture)와, 인공치아 기능을 수행하는 보철물인 크라운(crown)과, 상기 픽스쳐와 크라운을 서로 연결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로 구성된다.
상기 임프란트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어버트먼트는 저작시 크라운에 가해지는 하중을 픽스쳐로 전달하는 기둥 역할을 하면서 잇몸 경계와 만나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환자 개개인의 구강구조(예컨대, 잇몸의 높이나 두께, 잇몸라인, 크라운의 크기, 주변 치아 및 대합치와의 교합 등)를 반영하여 최적화된 사이즈가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대량생산 제품인 기성 어버트먼트의 경우 다양한 구강구조에 따라 의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될 수 밖에 없어 제조의 어려움 및 비용상승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도 환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성 어버트먼트 중에서 최적의 어버트먼트를 선정하는 것이 쉽지 않음과 함께, 부적절한 어버트먼트의 시술에 따라 임플란트 주위로 염증이 발생하고 크라운이 파절되는 등의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였음과 함께,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후 사이즈가 맞지 않아 폐기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여 비용 및 시간이 낭비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은 기성 어버트먼트의 문제점에 따라 환자 개개인의 구강구조에 적합화되도록 맞춤형(커스텀) 어버트먼트를 제작하여 시술하는 방식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맞춤형 어버트먼트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용이 증가되어 환자에게 부담이 됨과 함께 제작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인상체득 후 기공소에서 맞춤형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시간동안 연조직인 잇몸의 변형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51081호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본체와 어버트먼트헤드로 분리 구성하고 어버트먼트헤드에 의해 어버트먼트본체의 높이가 보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버트먼트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환자 개개인의 구강구조에 적합한 어버트먼트를 쉽게 결정하여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로서, 픽스쳐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본체와, 상기 어버트먼트본체의 높이를 보정하는 어버트먼트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헤드는 어버트먼트본체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어버트먼트본체의 높이를 각각 상이하게 보정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가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는 어버트먼트본체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재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재의 높이가 상호간에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는 어버트먼트본체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네크부재와, 상기 네크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재의 높이가 상호간에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의하면,
세트화된 어버트먼트본체 및 어버트먼트헤드의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종래 수많은 갯수로 복잡하게 제작되는 기성 어버트먼트를 대체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의 증가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철물의 제작 및 시술과정이 매우 편리해지면서 정확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부적절한 어버트먼트의 시술에 따라 발생되는 임플란트의 부작용 문제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전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가 어버트먼트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각각 일 예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헤드가 어버트먼트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헤드에 의해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것을 각각 일 예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두께, 요소간의 간격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또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예시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이하, “어버트먼트(100)”라 약칭함.)는 어버트먼트본체(10)와, 어버트먼트헤드(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0)는 단일체로 구성된 종래의 어버트먼트와 달리,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어버트먼트본체(10)와, 어버트먼트헤드(20) 2부분으로 분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본체(10)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어버트먼트(100)의 본체(body)로서 기능한다.
상기 어버트먼트본체(10)는 보철물인 크라운(200)에 삽입 결합되어 크라운(200)을 유지 및 지지시키는 상측의 포스트(11)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도면 미도시)에 결합되는 하측의 결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11)는 상단이 평평하면서 외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포스트(11)의 상단 중앙부분에는 후술할 어버트먼트헤드(20)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1)는 환자의 잇몸상태, 대합치와의 교합 등 구강특성에 따라 높이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야 하는 바, 종래 어버트먼트의 경우 상기 포스트(11)가 다양한 높이로 제작이 되었음과 함께,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높이보정을 위하여 후가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할 어버트먼트헤드(20)의 결합에 의하여 높이의 보정이 가능하므로 상기 포스트(11)는 정형화된 높이로 제조되면서 어버트먼트헤드(20)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높이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12)는 어버트먼트본체(10)가 결합되는 픽스쳐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픽스쳐 결합타입인 Branemark type(submergible external connection), ITI type(nonsubmergible internal connection), Astra type(submergible internal connection)에 따라 어버트먼트본체(10)가 픽스쳐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12)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와 분리된 요소로서, 어버트먼트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를 보정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높이를 다양하게 변경시킴으로써 높이를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과 함께, 결합시에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를 각각 상이하게 보정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세트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일 실시예로서,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어버트먼트본체(10)에 형성된 체결홀(11a)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부재(21)와, 상기 스크류부재(21)의 상단에 형성되면서 포스트(11)의 상단에 밀착되어 포스트(11)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헤드부재(22)를 포함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헤드부재(22)의 높이가 상호간에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스크류부재(21) 및 헤드부재(22)로 이루어진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각각의 헤드부재(22)는 상호간에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부재(22)는 스크류부재(21)의 체결시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상단에 밀착됨으로써 포스트(11)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헤드부재(22)는 포스트(11)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외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이한 높이의 헤드부재(22)를 갖는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가 어버트먼트본체(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결합된 어버트먼트헤드(20)의 헤드부재(22) 높이에 따라 포스트(11) 높이가 다양하게 변경됨으로써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 예시로서, 도 2에는 3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3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각각 스크류부재(21)와 헤드부재(22)로 동일하게 구성이 되되, 헤드부재(22)는 각각 ha, hb, hc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높이가 hp 일 때, 상기 3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가 어버트먼트본체(10)에 선택적으로 각각 결합이 됨에 따라,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높이는 H1(hp+ha), H2(hp+hb), H3(hp+hc)로 다양하게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높이(hp)가 4mm이고, 3개 어버트먼트헤드(20)의 헤드부재(22) 높이(ha, hb, hc)가 각각 1mm, 2mm, 3mm이면,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높이는 어버트먼트헤드(20)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 각각 5mm(4+1mm), 6mm(4+2mm), 7mm(4+3mm)로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상기 스크류부재(21)와, 헤드부재(22) 이외에 스크류부재(21)와 헤드부재(22) 사이에 형성되는 네크부재(23)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상기 어버트먼트본체(10)에 형성된 체결홀(11a)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부재(21)와, 상기 스크류부재(21)의 상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네크부재(23)와, 상기 네크부재(23)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재(22)를 포함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헤드부재(22)의 높이가 상호간에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헤드(20)는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어버트먼트본체(10) 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전술한 실시예처럼 헤드부재(22)가 포스트(11) 상단에 밀착되지 않고 네크부재(23)에 의하여 헤드부재(22)가 포스트(11) 상단으로부터 이격이 되며, 그에 따라 어버트먼트헤드(20)의 헤드부재(22)와 어버트먼트본체(10)의 포스트(11) 사이에 일정한 지지공간이 마련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8과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공간에 끼워지는 돌부(210) 및 어버트먼트헤드(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20)이 형성되도록 크라운(200)을 디자인을 하면, 크라운(200)을 어버트먼트본체(10) 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어버트먼트헤드(20)를 어버트먼트본체(10)에 결합시킴에 따라 크라운(200)이 어버트먼트본체(10)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크라운(200)과 어버트먼트(100)의 고정을 시멘트를 통한 접착방식이 아닌 어버트먼트헤드(20)의 체결을 통한 결합방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를 보정하는 기능과 함께 크라운(200)을 어버트먼트에 고정시키는 기능도 함께 갖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았는 바,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0)는 종래의 어버트먼트와 같이 단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2부분으로 분리 구성, 즉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본체(10)와, 어버트먼트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를 보정하는 어버트먼트헤드(20)로 분리 구성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버트먼트본체(10)는 포스트(11)를 정형화하면서 픽스쳐의 타입에 따라 결합부(12)의 구성을 달리하는 최소한의 갯수로 제작하고, 이러한 어버트먼트본체(10)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높이의 어버트먼트헤드(20)를 세트로 제작함으로써, 어버트먼트본체(10) 및 어버트먼트헤드(20)를 세트화할 수 있으며, 세트화된 어버트먼트본체(10) 및 어버트먼트헤드(20)의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종래 수많은 갯수로 복잡하게 제작되는 기성 어버트먼트를 대체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의 증가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의 시술과정에 있어서도,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본체(10)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인상체득을 하여 환자 개개인의 구강구조에 적합한 어버트먼트(100)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높이에 따라 적절한 어버트먼트헤드(20)를 선택하고 그에 맞는 크라운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철물의 제작 및 시술과정이 매우 편리해지면서 정확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부적절한 어버트먼트의 시술에 따라 발생되는 임플란트의 부작용 문제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어버트먼트본체
11: 포스트
20: 어버트먼트헤드
21; 스크류부재
22: 헤드부재
23: 네크부재

Claims (4)

  1.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100)로서,
    픽스쳐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본체(10);
    상기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를 보정하는 어버트먼트헤드(20);를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어버트먼트본체(10)의 높이를 각각 상이하게 보정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부재(21)와, 상기 스크류부재(21)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재(22)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재(22)의 높이가 상호간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어버트먼트헤드(20)는 어버트먼트본체(10)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부재(21)와, 상기 스크류부재(21)의 상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네크부재(23)와, 상기 네크부재(23)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재(22)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재(22)의 높이가 상호간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190086795A 2019-07-18 2019-07-18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3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95A KR102038256B1 (ko) 2019-07-18 2019-07-18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95A KR102038256B1 (ko) 2019-07-18 2019-07-18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256B1 true KR102038256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95A KR102038256B1 (ko) 2019-07-18 2019-07-18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2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874A (ko) 2020-07-07 2022-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527940B1 (ko) * 2022-10-11 2023-05-03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2556032B1 (ko) * 2022-10-21 2023-07-13 채희진 치과용 임플란트 상부구조물 침하방지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를 위한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933A (ja) * 1993-12-27 1995-07-25 Kyocera Corp 人工歯根
KR19990007721A (ko) * 1998-10-23 1999-01-25 김수홍 치과용 보철구
KR20110015496A (ko) * 2010-12-06 2011-02-16 조광식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1151081B1 (ko) 2010-05-31 2012-06-01 박면옥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3540001A (ja) * 2010-09-24 2013-10-31 ジンマー デンタ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
KR101469833B1 (ko) * 2013-12-06 2014-12-08 오상훈 치과 임플란트 맞춤형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용 링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933A (ja) * 1993-12-27 1995-07-25 Kyocera Corp 人工歯根
KR19990007721A (ko) * 1998-10-23 1999-01-25 김수홍 치과용 보철구
KR101151081B1 (ko) 2010-05-31 2012-06-01 박면옥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3540001A (ja) * 2010-09-24 2013-10-31 ジンマー デンタ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
KR20110015496A (ko) * 2010-12-06 2011-02-16 조광식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1469833B1 (ko) * 2013-12-06 2014-12-08 오상훈 치과 임플란트 맞춤형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용 링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874A (ko) 2020-07-07 2022-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527940B1 (ko) * 2022-10-11 2023-05-03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WO2024080496A1 (ko) * 2022-10-11 2024-04-18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2556032B1 (ko) * 2022-10-21 2023-07-13 채희진 치과용 임플란트 상부구조물 침하방지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를 위한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850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DK2699194T3 (en) Healing STIFT SYSTEM KNOGLEKONTURERING
EP1862142B1 (en) Healing abutment
KR10203825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29674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CN105338922A (zh) 用于固定牙齿假体的系统
KR10105206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2369161B1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KR102280897B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09135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KR20090016560A (ko)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768718B2 (ja) 修復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WO2002053054A1 (fr) Element d'implant superieur
KR10143554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20050090651A (ko) 즉시 고정 가능한 임플란트
KR101292839B1 (ko)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KR20190107228A (ko)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KR20210080199A (ko) 골결합 인공 치아 구조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