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027A -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 Google Patents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027A
KR20130036027A KR1020130018646A KR20130018646A KR20130036027A KR 20130036027 A KR20130036027 A KR 20130036027A KR 1020130018646 A KR1020130018646 A KR 1020130018646A KR 20130018646 A KR20130018646 A KR 20130018646A KR 20130036027 A KR20130036027 A KR 2013003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reflective polarizing
optical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헌
강명균
김연신
최종복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3001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027A/ko
Publication of KR2013003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 상기 편광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 및 상기 편광필름의 하부에 적층된 TF(터닝 필름) 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광학축을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대하여 0° 내지 25°의 각도로 배향한 광학필름 복합체를 제공한다. 이 광학필름 복합체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AN OPTICAL FILM COMPOSITE FOR TF SYSTEMS HAVING INTEGRATED FUNCTIONS OF LIGHT DIFFUSION AND REFLECTIVE POLARIZATION}
본 발명은 터닝 필름(TF)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TF에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 및 광확산 기능이 부여된 것일 수 있는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을 적층하여 광학 성능을 향상시킨 광학필름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광학필름 복합체는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에서 휘도 증강, 시야각 향상 및 광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자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액정셀들 및 이들 액정셀들 각각에 공급될 비디오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로 구성된 액정 패널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에서 공급되는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 유형으로, 일본 미쯔비시 레이온 주식회사에 의해 개발된 터닝 필름(TF) 시스템이 있다. TF 시스템은 특히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등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에지-릿(edge-lit) 타입의 LCD 백라이트 유닛으로 이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TF 시스템은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105), 램프의 광 입사면에 수직으로 존재하는 도광판(104), 도광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도광판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면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06),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광판에서 출사된 광을 수신하는 TF(103)를 포함한다. TF(103)는 프리즘 필름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이고, 도광판에서 출사한 광을 수신하는 TF의 광입사면에는 복수의 프리즘 유닛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리즘 유닛 각각은 빛을 수신하는 프리즘면과 빛을 반사시키는 프리즘면을 구비한다.
TF(103)와 액정 패널(101) 사이에는 광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산기(103)가 개재될 수 있다. 일반적인 확산기 구조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확산기는 대개는 중합체 기재층 위에 중합체 또는 유리 비드(bead)를 적층하거나 광확산 기능을 부여하는 기타의 방식으로 처리된 구조로, 투과하는 빛의 분포를 변경시켜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확산기의 중합체 기재층에 적당한 재료는 반사형 편광필름의 치수 안정층과 같은 종류의 재료를 비롯하여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광학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TF(103)와 액정 패널(101) 사이에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과 같은 반사형 편광기가 도입될 수 있다.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은 특정 편광 상태를 갖는 빛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데, 반사된 빛은 다시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위치한 반사판 등에 의해 반사되어 재순환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전반적인 휘도를 상승시킨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상기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은 미국 공개 특허 제6,368,699호, PCT 공개 번호 WO 95/17303, WO 95/17691, WO 95/17692, WO 95/17699, WO96/19347 및 WO99/36262호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으며, 굴절률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물질이 교대로 적층되는 다층 스택 구조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반사형 편광필름은 상하에 뒤틀림을 방지하는 치수 안정층이 적층된 반사형 편광필름 복합체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치수 안정층으로는 폴리카르보네이트(PC) 층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처럼 TF 시스템의 상부에 확산기 또는 반사형 편광필름 복합체 층을 배치하더라도 광학 성능이 만족할 만큼 개선되는 것은 아니었다. 또, 종래의 확산기 및 반사형 편광필름 복합체를 모두 TF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을 상정하더라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생기게 마련이다. 그리고, 종래의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의 치수 안정층에 도입되었던 PC는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의 제조 원가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비용 상승 요인이어서 보다 저렴한 재료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그러므로, 두께가 얇고 제조 원가가 낮으면서도 종래의 TF 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광학 성능을 보유하는 새로운 유형의 TF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TF 필름,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 및(또는) 확산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두께가 얇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취급이 용이한 광학필름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기존의 TF 시스템이 도입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휘도, 시야각 및 광 균일성 등의 광학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유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 복합체는 TF에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 및(또는) 확산기 시트를 적층한 구조를 취하면서 종래 반사형 편광필름의 수치안정층을 TF 및 확산기 시트의 기재층(복굴절성 중합체 층)으로 치환함으로써, 보다 얇고 가벼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또, 층의 수를 줄이고 PC보다 저가인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재료를 도입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비용 절감에도 기여한다. 그리고, 반사형 편광필름과 복굴절성 중합체와의 배향각을 조절하고 스태킹 또는 라미네이팅하는 적층 방식을 통하여 TF 시스템의 휘도, 시야각, 광 균일성 등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터닝필름(TF) 시스템이 도입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반사형 편광필름 상부 및 하부에 폴리카르보네이트(PC) 치수 안정층이 적층된 종래의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 복합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비드(bead) 처리층과 중합체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확산기(diffuser)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TF, 반사형 편광필름, 확산기 시트가 적층된 본원발명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TF, 반사형 편광필름, 확산기 시트가 비드를 함유하는 광학용 접착제에 의해 라미네이팅된 본원발명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의한 TF 시스템을 도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태양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통상의 TF 시스템의 상부에 종래의 반사형 편광필름 복합체와 확산기가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TF 시스템이 도입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TF 시스템이 도입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시야각 대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 상기 편광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 및 상기 편광필름의 하부에 적층된 TF 층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을 투과한 빛의 투과축(transmission axis)과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광학축(optic axis) 사이의 각도가 정밀하게 조절된 광학필름 복합체를 통하여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은 광확산 기능을 갖도록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적층"은 층과 층이 반드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적층"은 접착성 물질로 층과 층을 부착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과 단순히 밀착하여 쌓아 놓는 스태킹(stacking)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부(또는 하부)에 적층"은 반드시 아래쪽에 위치한 층과 위쪽에 위치한 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부(또는 하부)"는 단지 층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 상하에 위치한 두 층 사이에 접착제 층 등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무방하다.
"광확산 기능을 갖도록 처리"된 필름은 헤이즈(haze) 처리된 필름 및 확산기를 포함하는데, 이들 필름은 표면에 미세하게 거친 표면을 만드는 소위 "매트(matte) 처리"된 필름, 거친 표면을 갖는 필름, 중합체 또는 유리 등의 비드를 고정시켜 광확산층을 만드는 "비드(bead) 처리"된 필름, 및 빛을 확산시키도록 기타 통상의 방식으로 처리된 필름을 모두 포함한다.
"확산기 기능을 갖는" 필름은 특히 비드 처리 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확산기(diffuser)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광확산 기능을 갖도록 처리된 필름일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은 특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복합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적층 형태
상기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의 상부에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을 적층하고 하부에 TF을 적층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은 보통 광확산 기능을 갖도록 처리된다.
도 4a는 TF와 반사형 편광필름과 확산기 기능을 갖는 중합체 층 (확산기 시트)가 적층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반사형 편광필름(403)의 상부에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402)이 적층된다. 그리고 (402)층의 상부에 광확산층(401)이 위치한다. (401)층과 (402)층은 함께 확산기 시트(411)를 이룬다. 반사형 편광필름(403)의 하부에는 TF(404)가 적층된다.
반사형 편광필름(403)은 넓은 가시광선 스펙트럼 대역폭에 걸쳐 높은 반사율을 갖는 다층 필름 (모두 복굴절 광학층, 일부 복굴절 광학층, 또는 모두 등방성 광학층으로 구성), 및 연속/분산상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다층 반사형 광학필름 및 연속/분산상 반사형 광학 필름 모두가 2 종 이상의 상이한 물질(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사이의 굴절률 차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편광 배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PCT 공개 번호 WO 95/17303, WO 95/17691, WO 95/17692, WO 95/17699, WO96/19347 및 WO99/36262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다층 반사형 필름이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크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브루스터(Brewster) 각(p-편광된 빛의 반사율이 0이 되는 각)을 갖는 중합체층의 다층 적층물이다. 필름은 p-편광된 빛의 반사율이 입사각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거나, 입사각에 독립적이거나, 또는 법선으로부터 먼 입사각에 따라 증가하는 다층 거울 또는 편광판이 된다. 이 다층 광학 필름은 (s- 및 p- 편광된 빛 모두에 대해)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 중 하나는 3M(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이중 휘도 증강 필름(DBEF)이다. 이 다층 반사형 편광필름은 본 발명의 광학필름 복합체의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원에서 사용된다.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402)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예를 들어, PET)이고, 이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는 보통 이축 연신법(biaxial stretching method)으로 제조된 것이다. 중합체 기재층의 복굴절성은 광의 투과방향과 직교하는 중합체 기재층의 평면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 사이의 굴절률이 다른 것에 기인한다. 중합체 기재층에서 가장 굴절률이 큰 축과 가장 굴절률이 작은 축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05이상이다. 중합체 기재층의 광학축(optical axis)은 편광필름(403)의 편광축과 굴절률 차이가 가장 작은 축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는 중합체 기재층에서 굴절률이 가장 큰 축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은 치수 안정층으로서 전형적으로 적층되는 PC 층에 상응하는 두께로 또는 확산기의 하부 기재층으로 적층되는 중합체층에 상응하는 두께로 반사형 편광필름(403)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은 반사형 편광필름(403)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치수 안정층으로 뿐만 아니라, 확산기 시트(411)을 형성하는 기재층으로 작용한다.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402)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또는 중합체 등의 비드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비롯하여, 확산기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로,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402)의 상부에 비드들로 이루어진 광확산층(401)이 적층된다.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표면에 배치된 비드들은 알갱이 형상을 갖고, 접착제에 의하여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표면에 부착된다. 비드들은 공기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다.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에 부착된 비드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을 지나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을 통과한 편광 성분은 비드의 표면 또는 비드의 내부에서 확산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광확산층(401)은 비드들 및 바인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인더는 유동성 및 점성을 가지며, 비드들은 바인더에 혼합된다. 이때, 바인더의 광 굴절률은 광확산층(401)의 광확산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비드의 광 굴절률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비드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광확산 물질은 얇은 막 형태로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표면에 배치된다.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에 박막 형태로 배치된 광확산층(401) 내의 비드 및 바인더는 반사형 편광필름을 지나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을 통과한 편광 성분을 확산시킨다.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층(402) 또는 이것에 광확산층이 적층된 확산기 시트(411)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헤이즈를 갖는 것일 수 있다.
TF(404)는 도 1에 나타난 기존 TF 시스템(111)의 일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F 시스템은 적어도 일측 단부에 램프(105)의 광이 통과하는 광입사면, 및 상기 광입사면에 수직으로 존재하는 제1 광출사면을 가지고 있는 도광판(104)을 포함한다. 도광판(104)의 상부에는 도광판에서 출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입사면 및 소정의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출사면을 가지고 있는 프리즘 필름(103)이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프리즘 필름의 광입사면에는 복수의 프리즘 유닛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리즘 필름은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프리즘 필름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형상과 같다 하여 터닝필름(TF)으로도 불린다. 종래의 TF 시스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는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되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319327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 또는 TF 층은 광학용 접착제(405, 406)로 반사형 편광필름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일 수 있으며, 유리 또는 중합체 등의 비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TF 시스템이 도입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6은 일반 TF 시스템의 상부에 종래의 반사형 편광필름 복합체 및 확산기가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다. 양 도면을 비교해 보면, 두 개의 시스템 모두 TF, 반사형 편광필름 및 확산기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원발명에 의한 장치의 경우 그 두께가 훨씬 얇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에서는 TF가 반사형 편광필름의 하부 치수 안정층의 역할을 하고, 복굴절성 중합체 층이 상부 치수 안정층 및 확산기의 기재층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반사형 편광필름의 상·하부에 별도의 치수 안정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치수 안정층으로 사용되던 PC층을 보다 저가인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재료로 대체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TF, 반사형 편광필름 및 확산기의 기능을 하나의 광학필름 복합체로 통합시켜 취급하기 간편하다.
적층 방식
상기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복굴절성 중합체층의 광학축을 그 하부에 위치한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을 통과한 빛의 투과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 후 적층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반사형 편광필름의 상부에 PC 대신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등 복굴절성 중합체를 적층하는 경우, 어떤 경우는 광학필름 복합체를 통과한 편광의 광학 이득이 양호하나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PC 등 비복굴절성 중합체를 적층한 광학필름 복합체에 비해 양호하지 못하다. 이는 특히 반사형 편광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복굴절성 중합체 층의 광학축이 반사형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불일치하면 반사형 편광필름을 통과한 편광의 광학 이득이 복굴절성을 갖는 중합체를 통과하면서 감쇄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반사형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그 상부에 적층된 복굴절성 중합체의 광학축을 적절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광학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반사형 편광필름을 투과한 빛의 광학축과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에서의 편광축 사이의 각도차 (θ)는 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 가장 바람직하게는 0˚이다. 이러한 각도 범위에서 본원발명의 다층 광학필름 복합체는 종래의 TF 시스템 이상의 향상된 광학 성능을 나타낸다.
한편, 본원발명에 의한 TF 시스템의 광학 성능은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적층 방식은 접착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각 층들을 단순히 접촉하여 쌓아놓는 스태킹(stacking) 방식, 또는 접착성 물질을 사용하여 각 층들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팅 (laminating) 방식일 수 있는데, 특히 반사형 편광필름층과 복굴절성 중합체층 사이를 복굴절성 중합체층과의 굴절률 차가 적은 광학 접착제 (예컨대, 아크릴레이트계 광학 접착제)로 접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것이 광학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하다.
도 7은 TF 시스템을 도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헤이즈 정도가 60%인 확산기를 구비하는 종래의 TF 시스템의 휘도 특성을 나타내고 (b)는 TF, 반사형 편광필름 및 확산기 시트(헤이즈 정도 68%)를 광학 접착제의 사용 없이 스태킹한 적층물의 휘도 특성을 나타내며 (c)는 TF, 반사형 편광필름 및 확산기 시트(헤이즈 정도 68%)를 아크릴레이트계 광학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팅한 적층물의 휘도 특성을 나타내고 (d)는 상기 (c)에서 반사형 편광필름의 광학축과 확산기 시트의 투과축을 일치시켰을 때의 휘도 특성을 나타낸다. (d)에서는 이축 연신법으로 제조된 PET 중 광학축이 45˚인 부분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반사형 편광필름의 광학축과 확산기 시트의 투과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확산기 시트를 45˚ (또는 135˚) 회전시켜야 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실제 반사형 편광필름을 통과한 빛의 투과축과 PET의 광학축과의 '각도차(θ)'는 0˚이다. 도 7의 (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학 접착제로 라미네이팅된 광학필름 복합체 (c)는 종래의 TF 시스템 (a)에 비해 약 35% 휘도가 증가하였다. 또, 스태킹된 광학 필름 복합체 (b)에 비해서는 약 7% 가량 휘도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편광축과 투과축을 일치시키지 않았을 때보다 일치시켰을 때 (d) 휘도 특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7 (a) 내지 7 (c)의 경우의 광학 성능 향상을 다른 관점에서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먼저, TF 위쪽에 확산기만 배치되어 있는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TF, 반사형 편광필름 및 확산기 시트를 적층한 구조의 경우 수직 및 수평 시야각이 넓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각 구성 층들을 광학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시키는 경우 가장 높은 휘도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결국, 반사형 편광필름 층의 광학축과 복굴절성 중합체 층의 편광축을 일치시키고 층 사이를 스태킹,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미네이팅 시킴으로써 휘도, 시야각, 광 균일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 -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헤이즈 정도는 20% 이상임 -, 및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하부에 적층된 TF(터닝 필름) 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광학축을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대하여 0° 내지 25°의 각도로 배향한 광학필름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이 다층형 편광필름인 광학필름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과 반사형 편광필름, 또는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과 TF 층을 광학용 접착제에 의해 라미네이팅한 광학필름 복합체.
  4. 제1항에 따른 광학필름 복합체를 포함하는 TF 시스템.
  5. 선형 반사형 편광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의 광학축이 반사형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대하여 0° 내지 25°의 각도로 배향되도록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한면에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의 또 다른 한면에 TF를 적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복합체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복굴절성 중합체 기재층이 이축 연신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광학필름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130018646A 2013-02-21 2013-02-21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KR20130036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46A KR20130036027A (ko) 2013-02-21 2013-02-21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46A KR20130036027A (ko) 2013-02-21 2013-02-21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699A Division KR20070071347A (ko) 2005-12-30 2005-12-30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광학필름 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027A true KR20130036027A (ko) 2013-04-09

Family

ID=4843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646A KR20130036027A (ko) 2013-02-21 2013-02-21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60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3342A1 (de) 2013-04-02 2014-10-02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kdruckzuführsystem eines Automatikgetriebes
WO2015147491A1 (ko) * 2014-03-27 2015-10-01 주식회사 엘엠에스 역프리즘 복합시트 및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3342A1 (de) 2013-04-02 2014-10-02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kdruckzuführsystem eines Automatikgetriebes
WO2015147491A1 (ko) * 2014-03-27 2015-10-01 주식회사 엘엠에스 역프리즘 복합시트 및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637B2 (en) Optical film composite for brightness enhancement including a birefringent polymer layer
TWI228196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785694A (zh) 用于定向显示器的光学叠堆
US119828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US20070252923A1 (en) Polarizing light guide plate unit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US7880824B2 (en) Surface emit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and optical sheet combination
KR20070071347A (ko)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광학필름 복합체
US76197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TW201026997A (en) Optical sheet,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839375A (en) Back-lit displays with high illumination uniformity
JP3058620B2 (ja) 液晶表示装置
TW200823498A (en) Backlight apparatus with particular light-redirecting film
US200601143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573134B (en) Plane light source unit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H09146092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0147429A (ja) 偏光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059498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06337413A (ja) 液晶表示装置
US79032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36027A (ko)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 광학필름 복합체
JPH1020125A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303278B2 (ja) 偏光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217879881U (zh) 防窥膜及显示装置
JP2002006143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CN115032824A (zh) 防窥膜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