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970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970A
KR20130035970A KR1020120109287A KR20120109287A KR20130035970A KR 20130035970 A KR20130035970 A KR 20130035970A KR 1020120109287 A KR1020120109287 A KR 1020120109287A KR 20120109287 A KR20120109287 A KR 20120109287A KR 20130035970 A KR20130035970 A KR 20130035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uckle
emitting member
light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마츠자와
유고 스즈키
마나부 요시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3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5Illuminated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할 때에 상기 발광부재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버클은 통형상부(21)를 가지는 암부재(2)와, 통형상부(21)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장착되어 통형상부(21)의 개구를 막는 수부재(1)와, 수부재(1) 및 암부재(2)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며 통형상부(21)에 수부재(1)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통형상부(21) 내에 배치되는 발광부재(14)를 가진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수부재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장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가 구비된 벨트용 버클이 고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벨트용 버클의 표면을 구성하는 커버부가 버클 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지지되고 커버부의 일부에 전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버클 본체로부터 커버부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커버부 외측에 조작부가 노출되고 이것에 의해 전구에 의한 발광 기능이 발현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97326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전구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전구가 받기 쉬워 그로 인해 전구가 고장나는 빈도가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발광부재를 구비하되 이 발광부재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버클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재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암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장착되어 상기 통형상부의 개구를 막는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 및 상기 암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통형상부에 상기 수부재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는 발광부재를 가진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수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에 발광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가 그것을 둘러싸는 부분에 의해 보호된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수부재 중에서 상기 개구를 막는 부분 및 상기 암부재에서의 상기 통형상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를 가진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발광부재를 둘러싸는 부분에는 투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가 그것을 둘러싸는 부분에 의해 보호되고 또한 발광부재의 발광 기능이 투광부에 의해 발현된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수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투광부가 상기 통형상부이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발광부재가 수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재가 수부재와 암부재의 양쪽에 형성되는 양태와 비교하여 버클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암부재의 통형상부 내에 발광부재가 배치되는 양태와 비교하여 이것도 또한 버클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서 상기 투광부가 유색이면서 투명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투광부가 유색이면서 투명하기 때문에 버클로부터 유색의 빛이 나게 된다. 따라서 버클을 지시등이나 경고등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투광부가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에서의 상기 투광부의 색과 상기 암부재에서의 상기 투광부의 색이 서로 다르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수부재와 암부재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의 빛이 나기 때문에 버클 주위에서 빛의 색이 서로 다른 색과 그 서로 다른 색이 섞인 색으로 나뉘게 된다. 그 때문에 버클에서의 패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가 형성된 부위에 대해 상기 발광부재를 착탈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발광부재가 형성된 부위에 대해 발광부재를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발광부재의 기능과 버클의 기능을 각각 따로 발현시킬 수 있다. 또 버클이 부착된 가방이나 백팩 등의 장신구나 의류 등을 세탁할 때 발광부재가 형성된 부위에서 발광부재가 분리되어 발광부재가 물에 잠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부에 상기 수부재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는 투광성을 가진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발광부재의 보호기능을 수납부에 의해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버클의 한 양태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가 버클기구이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버클기구에 의해 발광부재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버클에 의하면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할 때에 상기 발광부재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수부재와 암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수부재와 암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a)는 발광부재가 수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발광부재가 수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을 구성하는 수부재(1)는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E자 형상이며, 직육면체형을 이루는 수부재측 기부(11)에는 벨트 등의 띠형상체가 삽입통과되는 수부재측 슬릿(11a)이 하나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수부재측 기부(11)에서 수부재측 슬릿(11a)이 늘어나는 방향의 양단부에는 방대한 선단부(12)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다리부(13)가 수부재측 슬릿(11a)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다리부(13) 각각에는 그 다리부(13)에서 수부재측 기부(11)측에 두께가 선단부(12)보다 작은 힌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선단부(12) 각각은 다른 쪽의 선단부(1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돌기(1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선단부(1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 쌍의 다리부(13)가 외력을 받으면 한 쌍의 선단부(1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 쌍의 다리부(13)가 휜다. 이들 수부재측 기부(11) 및 한 쌍의 다리부(13)는 빛을 투과하지 않는 검은색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수부재측 기부(11)에서 한 쌍의 다리부(13) 사이에는 다리부(13)의 연장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육면체 형상의 발광부재(14)가 한 쌍의 다리부(13)와 동일하게 수부재측 기부(1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발광부재(14)는 그 발광부재(14)의 외부로 흰색의 빛을 출사하는 LED 등의 자발광원이며, 그 발광부재(14)의 상면에는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조작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31)는 슬라이드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31)인 슬라이드 스위치가 그 조작범위 중에서 발광부재(14)의 선단측으로 변위되면 발광부재(14)가 점등하는 한편, 조작부(31)인 슬라이드 스위치가 그 조작범위 중에서 수부재측 기부(11)측인 기단측으로 변위되면 발광부재(14)가 소등한다. 이러한 구성이면 수부재(1)에서 다리부(13)가 조작되는 방향과 조작부(31)가 조작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다리부(13) 조작시에 조작부(31)가 잘못 조작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버클을 구성하는 암부재(2)의 암부재측 기부(22)에는 벨트 등의 띠형상체가 삽입통과되는 암부재측 슬릿(26)이 하나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2) 전체는 발광부재(14)로부터의 빛을 투과하는 빨간색 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투광부로서 기능한다.
암부재측 기부(22)에는 암부재측 슬릿(26)의 연장방향에서의 양측이 좁아진 직사각형 통형상의 통형상부(21)가 암부재측 슬릿(26)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형상부(21)의 선단측에는 상기한 한 쌍의 다리부(13) 및 발광부재(14)가 끼워지고 빠지는 삽입이탈구멍(23)이 암부재측 슬릿(26)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삽입이탈구멍(23)의 내부에는 그 삽입이탈구멍(23)의 연장방향으로 늘어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격벽(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이탈구멍(23)의 내부가 이 한 쌍의 격벽(24)으로 구획되는 것에 의해 그 삽입이탈구멍(23)의 내부에 이 한 쌍의 격벽(24)과 통형상부(21)의 일부 사이에 낀 부분인 수납부가 구획된다. 또 통형상부(21)에 있어서 좁아진 부분에는 삽입이탈구멍(23)과 연통하는 한 쌍의 피걸어맞춤구멍(25)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버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부재(1)와 암부재(2)가 비결합 상태일 때 발광부재(14)에서의 조작부(31)의 조작이 이용자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부재(14)를 점등시켜 버클을 사용할 때, 예를 들어 버클을 안전등과 같은 표시로 사용할 때 조작부(31)가 그 조작범위 중에서 발광부재(14)의 선단측으로 변위되고 이것에 의해 발광부재(14)가 점등된다. 이어서 발광부재(14)의 선단이 한 쌍의 격벽(24) 사이에 삽입되는 양태로 한 쌍의 다리부(13)의 선단부(12)가 삽입이탈구멍(23)의 내부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한 쌍의 선단부(12)가 암부재(2)의 통형상부(21)에 삽입되면 선단부(12)가 통형상부(21)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한 쌍의 선단부(1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힌지부(15)가 휜다. 그리고 걸어맞춤돌기(16)가 피걸어맞춤구멍(25)에 도달하면 선단부(12)가 서로 떨어지도록 힌지부(15)가 다시 원상태로 돌아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16)와 피걸어맞춤구멍(25)의 결합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13)가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이 때 발광부재(14)가 출사시키는 흰색의 빛은 빨간색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격벽(24) 및 동일하게 빨간색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21)에 의해 빨간색으로 변환되어 암부재(2)의 외부로 출사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결합하는 상태에서는 발광부재(14) 주위가 통형상부(21)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발광부재(14)를 향한 외력이 통형상부(21)에 의해 흡수되어 발광부재(14)가 이러한 외력으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또한 티끌이나 먼지 등이 통형상부(21)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발광부재(14)가 이러한 오손으로부터도 보호된다. 또 발광부재(14)의 조작부(31)도 통형상부(21)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발광부재(14)가 갑자기 소등되는 일도 없고 게다가 수부재(1)에서 다리부(13)가 조작되는 방향과 조작부(31)가 조작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다리부(13)의 조작시에 조작부(31)가 잘못 조작되는 일도 억제된다.
그리고 발광부재(14)가 소등될 때에는 먼저 상기한 상태의 한 쌍의 선단부(1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눌리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돌기(16)와 피걸어맞춤구멍(25)의 결합이 해제되어 한 쌍의 다리부(13) 및 발광부재(14)가 삽입이탈구멍(23)으로부터 빼내진다. 이어서 수부재(1)와 암부재(2)가 서로 떨어지면 발광부재(14)의 조작부(31)가 그 조작범위 중에서 수부재측 기부(11)측인 기단측에 배치되고 발광부재(14)가 소등된다. 그리고 수부재(1)가 암부재(2)의 삽입이탈구멍(23)에 다시 삽입장착되는 것에 의해 수부재(1)와 암부재(2)가 서로 결합하고 발광부재(14)가 통형상부(21)의 내부에서 계속 보호된다.
이상,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수부재(1)와 암부재(2)로 구성되는 버클에 발광부재(14)가 형성되고 수부재(1)가 암부재(2)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14)가 통형상부(21)에 의해 덮인다. 이 때문에 발광부재(14)가 외력이나 더러움으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2) 발광부재(14) 주위에 배치되는 암부재(2)의 통형상부(21)가 투광성을 가지고 수부재(1)가 암부재(2)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14)가 통형상부(21)에 의해 덮인다. 이 때문에 발광부재(14)의 소등시 및 점등시 두 경우에서 투광성을 가진 통형상부(21)를 통해 발광부재(14)의 발광기능이 발현된다.
(3) 발광부재(14)가 수부재(1)에 형성되기 때문에 발광부재(14)가 암부재(2)에서의 통형상부(21) 내부에 형성되는 양태, 나아가 이에 더하여 수부재(1)에도 형성되는 양태와 비교하여 버클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암부재(2)로부터 빼내진 상태에서 발광부재(14)를 점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에는 암부재(2)를 통해 출사되는 빨간색의 빛 외에 발광부재(14)로부터 직접 출사되는 흰색의 빛을 하나의 버클로 출사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4) 암부재(2)가 빨간색이면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부재(1)가 암부재(2)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14)가 출사시키는 흰색의 빛을 빨간색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발광부재(14)가 흰색의 빛을 출사시키는 양태라 해도 버클 자체를 빨간색의 빛을 출사하는 경고등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5) 수부재(1)가 암부재(2)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발광부재(14)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통형상부(21)의 내부에 한 쌍의 격벽(24)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격벽(24)가 통형상부(21)와 동일하게 투광성을 가진다. 그 때문에 발광부재(14)의 보호기능을 이러한 수납부에 의해 더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버클에서는 발광부재가 수부재측 기부에 대해 착탈가능한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버클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부재측 기부(11)에서 한 쌍의 다리부(13) 사이에는 그 다리부(13)의 연장방향으로 한 쌍의 걸어맞춤돌조(18)가 연장되어 있다. 한편 발광부재(14)에서 수부재측 기부(11)측의 단부인 기단부는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돌조(18)가 삽입 및 이탈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재(14)의 기단부에서의 측면에는 걸어맞춤돌조(18)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피걸어맞춤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발광부재(14)에서의 기단부와 수부재측 기부(11)에서의 걸어맞춤돌조(18)는 발광부재(14)를 수부재측 기부(11)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로서의 버클기구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버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부재(1)와 암부재(2)가 비결합 상태이며 또한 수부재측 기부(11)와 발광부재(14)가 비결합 상태일 때, 발광부재(14)에서의 조작부(31)의 조작이 이용자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부재(14)를 점등시켜 버클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발광부재(14)의 기단부에 한 쌍의 걸어맞춤돌조(18)가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발광부재(14)의 기단부에 수부재측 기부(11)의 걸어맞춤돌조(18)가 삽입장착된다. 이어서 조작부(31)가 그 조작범위 중에서 발광부재(14)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발광부재(14)가 점등된다. 이어서 한 쌍의 선단부(12) 및 발광부재(14)가 암부재(2)의 통형상부(21)에 삽입되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16)와 피걸어맞춤구멍(25)의 결합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13)가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발광부재(14)가 출사시키는 흰색의 빛은 빨간색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21)에 의해 빨간색으로 변환되어 암부재(2)의 외부로 출사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결합하는 상태에서는 발광부재(14) 주위가 통형상부(21)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발광부재(14)를 향한 외력이 통형상부(21)에 의해 흡수되어 발광부재(14)가 이러한 외력으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다음에 발광부재(14)의 점등이 불필요해졌을 때에는 걸어맞춤돌기(16)와 피걸어맞춤구멍(25)의 결합이 해제되어 한 쌍의 다리부(13) 및 발광부재(14)가 삽입이탈구멍(23)으로부터 빼내진다. 이어서 발광부재(14)의 조작부(31)가 그 조작범위 중에서 수부재측 기부(11)측인 기단측으로 변위되어 발광부재(14)가 소등된다. 그리고 버클이 부착된 가방이나 백팩 등의 장신구나 의류 등을 세탁할 때에는 상기한 버클기구에 의해 발광부재(14)에서의 기단부가 걸어맞춤돌조(18)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부재(14)가 물에 잠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상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1)~(5)에 준한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수부재측 기부(11)에 대해 발광부재(14)가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버클이 부착된 가방이나 백팩 등의 장신구나 의류 등을 세탁하려고 할 때 발광부재(14)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버클 본래의 기능을 제약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발광부재(14)가 물에 잠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7) 수부재측 기부(11)에 대해 발광부재(14)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버클에 대해 발광부재(14)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양태이면 발광부재(14)에서의 발광기능이 수명이 다함에 따라 사라지는 경우에도 수부재(1)가 교환되는 일 없이 버클에서의 발광기능을 다시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서로 다른 복수의 색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부재(14)를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버클에서의 패션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것을 적절히 변경한 이하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부재(1)와 암부재(2)가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발광부재(14)의 조작부(31)가 조작가능해진다. 이것을 변경하여 한 쌍의 다리부(13)에서의 힌지부(15) 및 조작부(31)가 삽입이탈구멍(23)으로부터 빼내지고 또 이 상태에서 선단부(12)와 통형상부(21)가 서로 결합하도록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구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1)~(7)에 준한 효과에 더해 이하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8) 수부재(1)와 암부재(2)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발광부재(14)에 대한 점등조작 및 소등조작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수부재(1)와 암부재(2)를 연결한다고 하는 버클 본래의 기능에 대해 그것이 제약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암부재(2)의 색은 빨간색 이외일 수도 있고 또 서로 다른 복수의 색일 수도 있으며, 또 발광부재(14)가 출사시키는 빛의 색과 같은 색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암부재(2)는 발광부재(14)가 출사시키는 빛을 투과하는 투광성을 가지는 구성이면 된다.
◎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암부재(2)가 빛을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한편,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결합하는 상태에서 수부재(1)의 하기 (a), (b) 중 적어도 하나가 투광성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암부재(2)의 통형상부(21)가 투광성을 가지는 동시에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결합하는 상태에서 수부재(1)의 하기 (a), (b) 중 적어도 하나가 투광성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a) 수부재측 기부(11) 중 삽입이탈구멍(23)의 개구와 서로 대향하는 부분.
(b) 다리부(13) 중 피걸어맞춤구멍(25)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중요한 것은 수부재(1) 중에서 통형상부(21)의 개구를 막는 부분 및 암부재(2)에서 통형상부(21)의 적어도 한쪽이 투광성을 가진 투광부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상기 (1)~(8)에 준한 효과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발광부재(14)는 상기 각 실시형태 외에 암부재(2)의 통형상부(21) 내에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 암부재(2)의 통형상부(21) 내에만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중요한 것은 발광부재(14)는 수부재(1) 및 암부재(2)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통형상부(21)에 수부재(1)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통형상부(21) 내에 배치되는 구성이면 된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부재(14)가 흰색 이외의 빛을 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수부재(1)와 암부재(2)가 비결합 상태에서는 흰색 이외의 빛이 발광부재(14)로부터 직접 외부로 출사되고,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결합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14)가 출사시키는 흰색 이외의 빛이 수부재(1) 또는 암부재(2)에서 변환되어 출사된다. 그 때문에 발광부재(14), 수부재(1) 및 암부재(2)의 조합에 의해 서로 다른 셋 이상의 색의 빛을 버클로부터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버클에서의 패션성을 높일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암부재(2)의 통형상부(21)가 투광성을 가졌지만, 통형상부(21)가 투광성을 가지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중요한 것은 발광부재(14)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발광부재(14)를 보호할 수 있으면 된다.
◎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착탈기구의 일례로서 걸어맞춤돌조(18)와 피걸어맞춤구멍(32)으로 이루어지는 버클기구를 설명했지만, 나사식이나 자석 등 수부재(1)에 대해 발광부재(14)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면 된다.
◎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걸어맞춤돌조(18)에서 분리된 발광부재(14)를 보관하는 보관부가 수부재(1) 또는 암부재(2)에 별도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선단부(12)가 조작되는 방향과 조작부(31)가 조작되는 방향이 서로 같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상기 (1)~(6)에 준한 효과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 상기 각 실시형태의 조작부(31)는 푸시버튼 스위치 등 슬라이드 스위치 이외의 다른 스위치여도 된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릴리스 타입 버클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프론트 릴리스 타입 버클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31)의 1회의 조작으로 발광부재(14)가 점등하도록 했지만 조작부(31)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발광부재(14)가 점등하도록 해도 된다.
1 - 수부재 2 - 암부재
11 - 수부재측 기부 11a: 수부재측 슬릿
12- 선단부 13 - 다리부
14 - 발광부재 15 - 힌지부
16 - 걸어맞춤돌기 18 - 걸어맞춤돌조
21 - 통형상부 22 - 암부재측 기부
23 - 삽입이탈구멍 24 - 격벽
25 - 피걸어맞춤구멍 26 - 암부재측 슬릿
31 - 조작부 32 - 피걸어맞춤구멍

Claims (9)

  1. 통형상부를 가지는 암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장착되어 상기 통형상부의 개구를 막는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 및 상기 암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통형상부에 상기 수부재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 중에서 상기 개구를 막는 부분 및 상기 암부재에서의 상기 통형상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수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통형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유색이면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투광부가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에서의 상기 투광부의 색과 상기 암부재에서의 상기 투광부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투광부가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에서의 상기 투광부의 색과 상기 암부재에서의 상기 투광부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가 형성된 부위에 대해 상기 발광부재를 착탈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부에 상기 수부재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가 투광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버클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20109287A 2011-09-30 2012-09-28 버클 KR20130035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7262 2011-09-30
JP2011217262A JP2013075064A (ja) 2011-09-30 2011-09-30 バック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970A true KR20130035970A (ko) 2013-04-09

Family

ID=4843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287A KR20130035970A (ko) 2011-09-30 2012-09-28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75064A (ko)
KR (1) KR201300359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5890A1 (en) * 2016-05-21 2017-11-22 Dongguan Changmai Plastic & Hardware Co., Ltd. Light-emitting safe buckle
EP3167511A4 (en) * 2014-07-07 2017-12-13 Mystery Ranch Limited Military vest and quick release buckle with electrical connectors
CN107618476A (zh) * 2017-09-15 2018-01-23 无锡市湖昌机械制造有限公司 具备照明辅助功能的汽车安全带插片
US10051921B2 (en) 2016-05-21 2018-08-21 Dongguan Changmei Plastic & Hardware Co., Ltd Light-emitting safe buck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587B1 (en) * 2017-09-05 2019-03-05 Duraflex Hong Kong Limited Attachment system with a connected article
NL2021713B1 (en) 2018-09-26 2020-05-07 Nano Pet Products Llc A light up buckle for use with a dog colla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7511A4 (en) * 2014-07-07 2017-12-13 Mystery Ranch Limited Military vest and quick release buckle with electrical connectors
EP3245890A1 (en) * 2016-05-21 2017-11-22 Dongguan Changmai Plastic & Hardware Co., Ltd. Light-emitting safe buckle
US10051921B2 (en) 2016-05-21 2018-08-21 Dongguan Changmei Plastic & Hardware Co., Ltd Light-emitting safe buckle
CN107618476A (zh) * 2017-09-15 2018-01-23 无锡市湖昌机械制造有限公司 具备照明辅助功能的汽车安全带插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75064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5970A (ko) 버클
US10825313B2 (en) Hazard detector with optical status indicator
US20110001437A1 (en) Hoist Cable Illuminator
TWI611144B (zh) 顯示燈
US20190351567A1 (en) Cleaning and charging station
JP5723552B2 (ja) 遊技操作装置
US11401016B2 (en) Diving suit waterproof connector having lighting device
JP2017030428A (ja) 車両用投影機及び車両
TWI603354B (zh) 按鍵結構及應用按鍵結構的電子裝置
KR20160088736A (ko)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JP4417182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2018026351A (ja) 表示装置
JP6162163B2 (ja) 車載用アナログ時計の組立構造
KR101565754B1 (ko) 차일드시트 탈부착장치
JP2007087226A (ja) ワイヤレス送信器
KR200420022Y1 (ko) 광 발산 식별장치
JP5890526B2 (ja) 携帯用照明灯
US10821876B2 (en) Vehicular lamp
JP2010239560A (ja) 多光軸光電センサ、投光器、及び受光器
KR101387184B1 (ko) 탈부착 가능한 광원부를 갖는 선박용 비상랜턴
CN116806331B (zh) 控制遥杆
KR200493578Y1 (ko) 견장 착용형 경광등
JP2016184171A (ja) 表示灯
EP2287069A1 (en) Luminous signalling buoy fitted with light on/off device
JP6266071B2 (ja) 表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