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872A -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872A
KR20130035872A KR1020120100865A KR20120100865A KR20130035872A KR 20130035872 A KR20130035872 A KR 20130035872A KR 1020120100865 A KR1020120100865 A KR 1020120100865A KR 20120100865 A KR20120100865 A KR 20120100865A KR 20130035872 A KR20130035872 A KR 2013003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unit
drain
hair removal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376B1 (ko
Inventor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이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을호 filed Critical 이을호
Priority to PCT/KR2012/0077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48088A1/ko
Publication of KR2013003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2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devices moved through the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가시 돌기와,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가시 돌기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제거부; 상기 가시 돌기를 감싸는 엉킴 방지부; 및 상기 머리카락 제거부와 상기 엉킴 방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거치하여 두고 사용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 제거기가 가시 돌기들에 의해 서로 엉키는 문제가 없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HAIR CATCHER FOR DRAIN HOLE}
본 발명은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관에 머리카락이 투입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카락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도구에 관한 것이다.
주택 등에서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은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자형으로 구성된 유튜브(U-Tube)를 포함하며,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유튜브에 누적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렇게 배수관이 막힌 경우는 대부분 머리카락이 주요한 원인으로, 막힌 배수관에 쌓여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머리카락 단백질을 녹이는 화학약품을 배수관에 투입하여 머리카락을 녹여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화학약품의 냄새로 인한 불쾌감 및 화학약품을 배수관을 통해 하수로 배출함에 따른 환경 오염등의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73141호(이하 '인용문헌 1'이라 함.) 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20-2011-003946호(이하 '인용문헌 2'라 함.)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배수구을 통해 투입하여 머리카락이 쌓여 있는 유튜브까지 밀어넣어 머리카락을 잡아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배수관이 막힌 후에 이러한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기가 불편하며, 또한 그 도구에 얽힌 머리카락을 제거할 때 머리카락을 손으로 잡아서 도구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불쾌감이 있다.
일반적으로 욕조 또는 세면대 등에 설치된 배수구는 마개를 포함하여 욕조 또는 세면대에 물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의 마개는 배수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분리형 마개와 배수구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배수구를 개폐하는 승강형 마개로 구분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09-0099454호(이하 '인용문헌 3'이라 함.)에는 분리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투입하여 쉽고 간편하면서 손을 대지 않고 머리카락을 제거하는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문헌 3의 기술은 거름망을 배수구에 투입하여야 하므로 승강형 마개를 포함한 배수구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용문헌 1 또는 인용문헌 2에 기술된 청소도구는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사용하여 배수관에 쌓인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플라스틱 사출기술등으로 제작되어 배수구에 거치해둔 상태로는 마개가 배수구를 밀폐하기 어렵기 때문에 물을 받아 사용할 수 없으며, 배수구에 거치해 두었을 때 청소도구가 배수관으로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용문헌 1 또는 인용문헌 2에 기술된 청소도구는 플라스틱 사출기술등으로 제작되므로 그 제작비용이 높고, 이에 따라 제품을 한번 사용하고 버릴 수 없으므로, 청소 후 도구에 걸려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때 사용자들에게 불편함 및 불쾌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청소도구는 사용 후 부패한 이물질이 뭍어 있으므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청소도구는 머리카락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가시 돌기들로 인하여 청소도구들이 서로 엉키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인하여 포장의 곤란성 및 사용시 불편함이 있다.
인용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8-0073141호 인용문헌 2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1-003946호 인용문헌 3 :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9-00994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로 유입된 머리카락을 제거할 때 머리카락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거치하여 두고 사용할 수 있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거치하여 사용할 때에도 마개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비용을 낮추고, 사용자들이 사용 후 청소도구를 머리카락과 함께 배출함으로써, 청소 후 도구에 걸려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때 느끼는 불편함 및 불쾌감이 없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카락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가시 돌기들로 인하여 서로 엉키는 문제를 해결한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하기 위한 ㄱjt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가시 돌기와,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가시 돌기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제거부; 상기 가시 돌기를 감싸는 엉킴 방지부; 및 상기 머리카락 제거부와 상기 엉킴 방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로 유입된 머리카락을 제거할 때 머리카락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 방지부를 형성하여,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거치하여 두고 사용할 수 있는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카락 제거기가 하나의 얇은 필름으로 구성되어,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거치하여 두고 사용할 때에도 마개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 돌기를 감싸는 엉킴 방지부를 구성함으로써, 가시 돌기에 의해 복수의 머리카락 제거기들이 서로 엉킴에 따른 포장의 곤란성 및 사용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세면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기의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기에서 엉킴 방지부를 제거한 상태의 머리카락 제거부의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기에서 사용시 제거되는 엉킴 방지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부를 승강형 마개를 포함한 세면대의 배수구에 삽입한 장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부를 배수구로부터 분리하는 장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부에 머리카락이 걸려있는 장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부에 대한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배수구에 삽입한 후 거치하여 사용하는 머리카락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사용하는 머리카락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머리카락 제거기는 배수구에 일부분을 삽입하는 머리카락 제거부와 머리카락 제거부에 형성된 가시 돌기 및 머리카락 응집부에 의해 머리카락 제거부들이 서로 엉킴에 따라 포장 및 사용에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머리카락 제거부의 가시 돌기를 외부로부터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엉킴 방지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머리카락 제거기의 엉킴 방지부를 머리카락 제거부로 부터 뜯어서 제거한 후 머리카락 제거부를 배수구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머리카락 제거부는 측면에 가시 돌기가 형성되고 가늘고 길게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 후 머리카락 제거부를 배수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및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머리카락 제거부가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전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의 길이방향과 소정각도를 갖는 투입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는 필름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료로는 물의 침투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는 그 재료로 내부에 종이등의 수분이 침투하는 재질을 사용하되 외부를 코팅하여 수분이 내부 재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의 머리카락 제거부는 배수구에 삽입하거나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머리카락 제거부 전체가 배수관 속으로 빠져들지 않아야 하며, 이에 따라 배수시 또는 수도꼭지 등에서 낙하하는 물의 충격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쉽게 휘어지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의 머리카락 제거부는 배수구에 삽입한 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용 마개가 배수구을 닫았을 때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의 머리카락 제거부는 배수구에 삽입한 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용 마개가 배수구을 닫았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부에 의해 승강용 마개의 기능을 해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의 머리카락 제거부는 배수구에 삽입한 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용 마개가 배수구을 닫았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부가 배수구와 승강용 마개에 낌 현상이 발생하여 승강용 마개의 개폐 기능을 해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의 머리카락 제거부는 머리카락을 걸러낸 후 배수구로부터 분리 배출할 때,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머리카락 제거기의 재질은 PET 또는 PVC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두께는 3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mm이하이고 0.1mm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약 0.25mm 두께의 PET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머리카락 제거기의 머리카락 제거부는 배수구에 삽입 또는 거치되여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PET 또는 PVC필름을 제작할 때 파란색, 녹색, 붉은색 등의 유색 염료를 사용하거나, 필름에 인쇄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머리카락 제거기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세면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세면대(10)는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11)의 저면에 물을 배수 할 수 있도록 배수구(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물을 받거나 배수를 할 때 사용되며, 배수구(12)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며 배수구를 개폐하는 승강형 마개(14)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형 마개(15)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개폐 조작부(15)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개폐 조작부가 없이 승강형 마개(15)를 누르는 회수에 따라 열리고 닫힘이 결정되는 푸쉬형태의 승강형 마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수구(12)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하수로 흘려보내며, 배수관은 하수로부터의 냄새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자 형태의 유튜브(U tube)를 포함한다.
배수구(12)로 유입되는 물에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섞여있어, 유튜브(13)에 침적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다.
종래기술에서는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서 머리카락이 유튜브(13)에 침적되어 배수관이 막힌 후 이를 뚫기 위한 배수관 청소도구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배수관이 막힌 후에 후처리를 하는 것은 불편하고, 종래기술의 배수관 청소도구로 막힌 배수관으로부터 머리카락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관으로부터 제거된 머리카락은 배수관 청소도구에 얽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배수관 청소도구로부터 머리카락을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과 머리카락에 부패한 이물질이 묻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배수관이 머리카락에 의해 막히기 전에 머리카락을 걸러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가 머리카락에 손을 대지 않고도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구수용 머리카락 제거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1000)는 배수구에 일부를 삽입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머리카락 제거부(1100);와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몸체(1130)의 측면에 형성된 가시 돌기(1141) 또는 머리카락 응집부(1142)에 의해 복수의 머리카락 제거부들이 서로 엉킴에 따른 포장의 곤란성 및 사용상의 곤란성을 방지하기 위해 가시 돌기(1141) 또는 머리카락 응집부(1142)를 감싸는 엉킴 방지부(1200)로 크게 구분된다.
사용자가 배수구에 머리카락 제거부(1100)을 삽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머리카락 제거기(1000)에서 머리카락 제거부(1100)와 엉킴 방지부(1200)를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하므로, 머리카락 제거부(1100)와 엉킴 방지부(1200)는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1310, 1320)를 제외하고는 분리되어 있다.
연결부(1310, 1320)는 사용자가 쉽게 뜯을 수 있도록 약하게 연결되어 있어야하지만, 가공, 포장등의 과정에서 쉽게 뜯어 지지 않을 정도로는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를 평면상으로 0.2mm이상이고 5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mm이상 1mm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연결부(1310, 1320)를 엉킴 방지부(1200)의 상부(확대도 A)와 하부(확대도 B)에 각각 하나씩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엉킴 방지부(1200)와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경계선에는 어느 곳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확대도 B를 참조하면, 엉킴 방지부(1200)는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하단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엉킴 방지부(1200)를 머리카락 제거부(1100)로 부터 제거할 때 엉킴 방지부(1200)가 머리카락 제거부(1100)에 의해 두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하단을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엉킴 방지부(1200)의 하단을 잡은 상태로 벌림으로써 엉킴 방지부(1200)를 머리카락 제거부(1100)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분리된 머리카락 제거부(11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카락 제거부(1100)는 가늘고 길게 형성된 몸체(1130);와 몸체(1130)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손잡이(1110);와 몸체(1130)의 측면에 형성되어 배수구의 머리카락등을 걸러내기 위해 몸체(1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시 돌기(1140); 및 머리카락 제거부(1100)가 배수관으로 빠져 들어가지 않고, 배수구(12)의 상단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입 방지부(1120)로 크게 구성된다.을 포함한다.
손잡이(1110)는 사용자의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도넛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 방지부(1120)는 몸체(1130)의 상단과 손잡이(1110)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투입 방지부(1120)의 길이 방향은 몸체(1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를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투입 방지부(1120)의 길이 방향과 몸체(1130)의 길이 방향은 직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투입 방지부(1120)는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손잡이(1110) 가로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머리카락 제거부(1100) 전체가 배수구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확대도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시 돌기(1140)와 몸체(1130)가 이루는 각도는 손잡이를 향하여 열린 예각(acute angle)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 돌기(1140)에 의해 걸린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머리카락 제거부(1100)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시 돌기(1140)와 몸체(1130) 사이에 슬릿(slit)으로 형성된 머리카락 응집부(11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기(1000)는 얇은 필름으로 형성된 것으로 머리카락 제거부(1100)를 배수구에 삽입하여 사용 후 배수구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가시 돌기(1140)가 배수관 내부의 이음매등에 걸려 몸체(1130)의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시 돌기(1140)가 쉽게 구부러져 하중을 몸체(1130)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머리카락 응집부(1141)를 구성하는 슬릿(slit)의 각도는 몸체(11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분리된 엉킴 방지부(12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엉킴 방지부(1200)는 머리카락 제거부(1100)와 분리되면 필름 몸체인 엉킴 방지부 몸체(1210)가 머리카락 제거부(1100)가 분리된 부분(1220)을 중심으로 'U'자 형상을 이룬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엉킴 방지부(1200)의 하부가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인 경우에는 머리카락 제거부(1100)로부터 분리된 엉킴 방지부(1200)의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U'자의 형상이지만, 엉킴 방지부(1200)의 하부가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하부를 감싸지 않은 경우에는 머리카락 제거부(1100)로부터 분리된 엉킴 방지부(1200)는 두개로 분리가된 형상을 이룬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엉킴 방지부(1200)의 하부가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엉킴 방지부(1200)의 하부가 머리카락 거름부(1100)의 하부를 감싸지 않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부(1100)를 승강형 마개를 포함하는 배수구에 삽입하여 거치한 상태에서 승강형 마개가 배수구을 개폐할 때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머리카락 제거부(1100)는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됨에 따라 승강형 마개(14)가 배수구(12)을 밀폐할 때 쉽게 구부러지며, 이에 따라 세면대(10) 물받이(11)의 저면에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손잡이(1110)가 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두께는 3mm이하, 바람직하게는 0.5mm이하이고 0.1mm이상으로 매우 얇기 때문에 승강형 마개(14)가 배수구(12)를 밀폐하였을 때, 물이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배수구(12)로부터 머리카락 제거부(1100)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으로, 사용자는 도넛 형태의 손잡이(1110)에 손가락을 끼워서 쉽게 머리카락 제거부(1100)를 배수구(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머리카락이 머리카락 제거부(1100)의 가시 돌기(1140)에 걸린 모습을 도시한 그림으로, 사용자는 배수구(12)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 머리카락 제거부(1100)에서 머리카락(20)을 분리할 필요없이 함께 배출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부에 대한 평면도 및 확대도이며, 도 3에 설명한 머리카락 제거부(1100)는 가시 돌기와 머리카락 응집부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머리카락 제거부(2100)는 배수구(12)를 통해 배수관에 삽입되는 몸체(2130);와 몸체(2130)의 중심선으로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들어가는 방향으로 슬릿(slit)이 형성되어, 배수관에 유입되는 머리카락을 걸러내기 위한 가시 돌기(2140);와 머리카락 제거부(2100)를 배수구(12)으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2110); 및 머리카락 제거부(2100)가 배수관으로 빠져 들어가지 않고, 배수구(12)의 상단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입 방지부(2120)로 크게 구성된다.
손잡이(2110), 투입 방지부(2120) 및 몸체(230)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카락 제거부(1100)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가시 돌기(2140)는 몸체(213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유입되는 머리카락을 잡아주기 위하여 몸체(2130)로부터 손잡이(2110) 방향으로 소정의 예각를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가시 돌기(2140)를 통해 걸려지는 머리카락은 이후 유입되는 물의 유속에 의해 머리카락 제거부(2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시 돌기(2140)의 끝에 구성된 머리카락 응집부(21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0 :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1100, 2100 : 머리카락 제거부, 1200 : 엉킴 방지부,
1110, 2110 : 손잡이, 1120, 2120 : 투입 방지부,
1130, 2130 : 몸체, 1140, 2140 : 가시 돌기,
1141, 2141 : 머리카락 응집부, 1310, 1320 : 연결부.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가시 돌기와,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가시 돌기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제거부;
    상기 가시 돌기를 감싸는 엉킴 방지부; 및
    상기 머리카락 제거부와 상기 엉킴 방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카락 제거부의 하부를 상기 엉킴 방지부의 하부가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카락 제거부와 상기 엉킴 방지부 및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필름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가시 돌기 사이에 슬릿(slit)으로 형성된 머리카락 응집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손잡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투입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킴 방지부는 상기 머리카락 제거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엉킴 방지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1020120100865A 2011-09-30 2012-09-12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10185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7713 WO2013048088A1 (ko) 2011-09-30 2012-09-25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9460 2011-09-30
KR1020110099460 2011-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872A true KR20130035872A (ko) 2013-04-09
KR101859376B1 KR101859376B1 (ko) 2018-05-18

Family

ID=4843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865A KR101859376B1 (ko) 2011-09-30 2012-09-12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3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96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비즈클루 배수관 막힘 방지용 배수구 필터
KR102107550B1 (ko) * 2019-11-21 2020-05-07 주식회사 퓨어텍코리아 애완 동물용 샤워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샤워기
KR102450637B1 (ko) 2021-03-26 2022-10-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수구 불순물 분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008A (ko) 2018-08-07 2020-02-18 이인지 확개형 오물 제거장치
KR102417798B1 (ko) 2021-10-13 2022-07-05 유정수 머리카락 제거구가 구비된 배수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441Y1 (ko) 2001-12-19 2002-05-03 차정자 머리카락 제거기
JP2005218682A (ja) 2004-02-06 2005-08-18 Shingo Ando 毛のカット具
KR100643190B1 (ko) 2004-07-27 2006-11-15 김성곤 세면대 오물 제거기
KR200432258Y1 (ko) 2006-09-15 2006-11-30 김종윤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96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비즈클루 배수관 막힘 방지용 배수구 필터
KR102107550B1 (ko) * 2019-11-21 2020-05-07 주식회사 퓨어텍코리아 애완 동물용 샤워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샤워기
KR102450637B1 (ko) 2021-03-26 2022-10-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수구 불순물 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376B1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5872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WO2013048088A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101392490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거름망
US20220341139A1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20190109896A (ko) 배수관 막힘 방지용 배수구 필터
KR20120111553A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CA3116267C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KR102264471B1 (ko) 욕실 바닥 배수구용 거름망
WO2007082033A3 (en) Sediment filter with internal drain tube
KR20170137378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200279912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KR200436744Y1 (ko) 프라스틱세척여과용기
KR101920560B1 (ko)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KR20190065526A (ko) 오물홈 볼록 돌기 배수구
KR102668213B1 (ko) 물마개 겸용 배수구 거름망
KR100752292B1 (ko) 마개가 달린 폽업
KR20110003946U (ko) 배수구 청소도구
KR102417798B1 (ko) 머리카락 제거구가 구비된 배수관
KR200398069Y1 (ko) 청소의 편리성과 탈/부착형 물 막음장치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170015701A (ko) 배수관용 머리카락 제거기
JP2008019659A (ja) 排水口の網袋
KR20150114805A (ko) 세면기의 머리카락 걸름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