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776A -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 Google Patents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776A
KR20130034776A KR1020110098835A KR20110098835A KR20130034776A KR 20130034776 A KR20130034776 A KR 20130034776A KR 1020110098835 A KR1020110098835 A KR 1020110098835A KR 20110098835 A KR20110098835 A KR 20110098835A KR 20130034776 A KR20130034776 A KR 2013003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urrent sensor
sensor member
leakage current
determin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112B1 (ko
Inventor
박래출
최재영
정재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빛이디에스(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9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45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line insulators or spacers, e.g. ceramic overhead line cap insulators; of insulators in HV bush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1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oils without a magnetic core, e.g. Rogowski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애자(A)를 감싸 상기 애자(A)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부재(11)와, 상기 전류센서부재(11)가 상기 애자(A)를 감싸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류센서부재(11)에서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애자(A)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재(31)와, 상기 전류센서부재(11)와 상기 제어부재(31)를 연결하는 절연 파이프(6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 공급 상태에서 애자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애자의 불량으로 인한 정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Insulator insulation judgement device}
본 발명은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자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자는 철탑에 고압전선을 연결하거나 고압전선 상호간에 간격을 두어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절연 지지체이다.
그런데, 애자는 전기 공급 상태에서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비가 없어 애자의 건전성 판단을 위해서는 전기 공급 정지 상태에서 절연저항 측정기를 활용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627711호가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과 같이 절연저항 측정기를 활용하여 애자의 건전성을 판단할 경우 전기 공급 정지 상태에서 애자의 건전성을 판단하게 되므로 애자의 상시 건전성 판단이 어려워지고 애자 불량시 불량 판정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해 애자의 고장 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전선로 및 고객사 선로 휴전 불가로 인해 불량 애자 발생시 광역 정전 발생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량 애자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휴전 작업을 해야하고 각 애자를 분리한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고 재조립함으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문제와 점검시간 과다로 인한 점검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공급 상태에서 애자의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애자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휴대형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애자를 감싸 상기 애자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부재와, 상기 전류센서부재가 상기 애자를 감싸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류센서부재에서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애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재와, 상기 전류센서부재와 상기 제어부재를 연결하는 절연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 양측으로 구비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애자를 감싸거나 상기 애재를 감싼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및 제2 이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무선수신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에 로고스키 코일이 구비된다.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절연 파이프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힌지수단을 매개로 절연 파이프와 연결된다.
상기 힌지수단은 선단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는 힌지홀이 형성된 조인트부재와, 상기 힌지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의 관통홀 및 상기 힌지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조인트부재에 결합되는 조인트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전류센서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누설전류 전체값과 고조파성분 누설전류 값을 비교하여 애자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애자의 열화 상태로부터 상기 애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누설전류 전체값 및 누설전류 값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한다.
상기 전류센서부재, 상기 제어부재, 상기 절연 파이프는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컴팩트화된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로 애자의 누설전류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재에 수치로 표시하고, 제어부재는 수치를 이용하여 애자의 불량 유무를 현장에서 즉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점검 시간을 최소화하고 애자의 불량으로 인한 정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는 전류센서부재, 제어부재, 절연 파이프 등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류센서부재와 제어부재가 절연 파이프로 연결되고 무선수신기를 통해 전류센서부재를 제어하므로 전기 공급 상태에서 애자의 누설전류를 측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 과정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A)를 감싸 애자(A)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부재(11)와, 전류센서부재(11)가 애자(A)를 감싸도록 제어하고 전류센서부재(11)에서 측정된 누설전류 정보를 제공받아 애자(A)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재(31)와, 전류센서부재(11)와 제어부재(31)를 연결하는 절연 파이프(63)를 포함한다.
애자(A)는 완전히 전류를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미소한 전류가 흐른다. 이 애자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누설전류라 한다. 누설전류는 정상 애자에서는 매우 적으나 열화가 진행중이거나 불량한 애자에서는 정상 애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누설전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공급 상태에서 선로 애자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한다.
전류센서부재(11)는 애자(A)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류센서부재(11)는 베이스부(13)와, 베이스부의 선단 양측으로 직교하게 구비되고, 구동모터(15)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애자(A)를 감싸거나 감싼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및 제2이동부(17,19)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3)와 제1 및 제2 이동부(17,19)가 협력하여 애자(A)를 감싼다. 애자(A)는 제1 및 제2 이동부(17,19)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직경의 애자이면 지지애자, 현수애자 등 다양한 애자가 적용가능하다.
베이스부(13)는 대략 "T"자 형태로 정 중앙에 구동모터(15)가 구비되고, 구동모터(15)의 양측으로 제1 및 제2 이동부(17,19)가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이동부(17,19)는 파이프 형태로 내부에 로고스키 코일(Rogowski coil)(21)이 매설된 구조를 갖는다. 로고스키 코일(21)은 전류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자속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코일이다.
전류센서부재(11)는 구동모터(1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동모터(15)와 연결된 무선수신기(23)를 구비한다. 무선수신기(23)는 누설전류 측정시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무선수신기(23) 및 구동모터(15)는 전류센서부재(11)에 구비된 별도의 배터리(2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배터리(25)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제어부재(31)는 전류센서부재(11)가 애자(A)를 감싸거나 또는 감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5)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류센서부재(11)에서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애자(A)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무선으로 구동모터(15)를 구동하여 제1 및 제2이동부(17,19)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류센서부재(11)의 선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전류센서부재(11)에서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고 비교, 분석하여 애자(A)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재(31)는 전류센서부재(11)로부터 제공받은 누설전류 전체값과 고조파성분 누설전류 값을 비교하여 애자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고, 이로부터 애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누설전류는 기본파(60Hz)성분과 고조파성분 누설전류로 구성된다. 애자의 열화 정도에 따라 고조파성분 누설전류에 외형(Distortion)이 발생함으로 인해 기본파성분은 물론이고 고조파성분의 누설전류도 같이 증가한다. 특히, 고조파성분의 누설전류는 기본파의 3배, 5배, 7배, 9배 등과 같이 증가한다.
이러한 누설전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센서부재(11)로부터 애자(A)의 누설전류 정보를 제공받은 제어부재(31)가 데이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애자(A)의 건전선을 판단한다.
데이터 알고리즘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기본파성분과 고조파성분을 분리하고 일정시간 동안 평균 데이터를 구한 다음 각각의 누설전류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애자의 열화 정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분석하고 그 크기가 증감되는 현상으로 애자의 열화 상태를 측정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약 1sec일 수 있다.
제어부재(31)는 누설전류 전체값 및 누설전류 값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창(33)을 구비한다. 표시창(33)은 작업자가 애자의 누설전류 및 열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재(31)는 제1 및 제2 이동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스위치는 오픈스위치(35), 제1 및 제2이동부(17,19)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스위치는 닫힘스위치(37), 애자(A)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측정값 측정스위치(39)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재(31)는 데이터 초기화 및 이상 동작시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를 초기화하는 리셋스위치(41),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전원을 ON/OFF하는 파워스위치(43), 애자의 열화 상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스위치(45)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재(31)는 측정 결과 출력을 위한 프린터부(46)를 더 구비한다. 프린터부(46)는 측정 결과를 종이로 인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재(31)에는 연결포터(47)가 구비되어 제어부재(31)를 컴퓨터나 다른 처리기에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어부재(31)의 양측에는 손잡이부(48)가 구비된다. 손잡이부(48)는 작업자가 제어부재를 잡고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절연 파이프(63)는 전류센서부재(11)와 제어부재(3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애자(A)의 누설전류 측정이 전기 공급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감전 등에 대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전류센서부재(11)와 제어부재(31)를 절연 파이프(63)로 연결하며, 제어부재(31)가 무선수신기(23)를 이용하여 전류센서부재(11)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류센서부재(11)가 측정한 누설전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전류센서부재(11)는 절연 파이프(63)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3)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27)가 힌지수단(51)을 매개로 절연 파이프(63)와 연결된다. 결합부(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홀(57)과 연통되는 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수단(51)은 조인트부재(53)와 조인트핀부재(59)를 포함한다. 조인트부재(53)는 선단에 결합부(27)가 삽입되는 삽입홀(55)이 형성되고, 삽입홀(55)과 직교하게 연통되는 힌지홀(57)이 양측으로 형성된다.
삽입홀(55)에 결합부(27)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인트부재(53)의 힌지홀(57), 결합부(27)에 형성된 관통홀(29), 힌지홀(57)을 관통하여 조인트핀부재(59)가 결합된다. 조인트부재(53)의 삽입홀(55)에 결합부(27)가 삽입된 상태를 조인트핀부재(59)가 고정함에 의해 전류센서부재(11)는 절연 파이프(63)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절연 파이프(63)에 대한 전류센서부재(11)의 회동은 누설전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힌지수단(51)의 후단에는 절연 파이프(63)에 끼워지는 제1 돌부(61)가 형성되고, 제어부재(31)의 선단에는 절연 파이프(63)에 끼워지는 제2 돌부(49)가 형성된다. 제1 돌부(61) 및 제2 돌부(49)가 절연 파이프의 양단에 끼워져 힌지수단(51)과 제어부재(31)가 연결되고 전류센서부재(11)가 제어부재(31)와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는, 전류센서부재(11), 제어부재(31), 2개의 절연 파이프(63), 조인트부재(53), 조인트핀부재(59), 2개의 고정핀(미도시)이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된 상태로 작업자가 운반하고, 애자(A)의 건전성 판단시 조립하여 사용한다.
우선, 본 발명의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센서부재(11)와 조인트부재(53)를 조립한다. 이를 위해 전류센서부재(11)의 결합부(27)를 조인트부재(53)의 삽입홀(55)에 삽입하여 조인트부재(53)의 힌지홀(57)과 결합부(27)의 관통홀(29)이 연통되게 한 후, 힌지홀(57), 관통홀(29), 힌지홀(57)을 관통시켜 조인트핀부재(59)를 결합한다.
그러면 전류센서부재(11)와 조인트부재(53)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 전류센서부재(11)는 조인트핀부재(59)를 중심으로 조인트부재(53)에 대해 90도 회동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의 (c) 및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부재(53)의 제1 돌부(61)에 절연 파이프(63) 각각의 일단을 삽입하고, 각각의 절연 파이프(63)의 타단에 제어부재(31)의 제2 돌부(49)를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제어부재(31)의 제2 돌부(49)가 절연 파이프(63)에 삽입된 부분에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완료된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는 측정의 용이성을 위해 전류센서부재(11) 부분을 절연 파이프(63)에 대해 90도 회동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어부재(31) 양측의 손잡이부(48)를 잡고 애자 건전성 판단을 위한 측정을 시작한다.
이때, 작업자는 애자(A)가 있는 위치까지 올라가지 않고도 제어부재(31)를 잡고 아래에서 용이하게 애자(A)의 건전성 판단이 가능하다.
측정을 위해, 우선 파워스위치(43)를 누르고 전원이 ON상태인지 확인한다. 이때, 전원은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를 설정시간 이상 미사용시 자동 OFF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은 2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오픈스위치(35)를 눌러 전류센서부재(11)에 애자(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오픈스위치(35)를 누르면 제어부재(31)의 제어신호가 무선수신기(23)로 전달되고 무선수신기(23)가 구동모터(15)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이동부(17,19)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류센서부재(11)에 애자(A)가 삽입되면, 닫힘스위치(37)를 눌러 전류센서부재(11)가 애자(A)를 감싸도록 한다. 닫힘스위치(37)를 누르면 제어부재(31)의 제어신호가 무선수신기(23)로 전달되고 무선수신기(23)가 구동모터(15)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이동부(17,19)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전류센서부재(11)가 애자(A)를 감싸게 된다.
이때, 전류센서부재(11)는 제1 및 제2 이동부(17,19)의 끝단이 접촉되어 로고스키 코일(21)의 끝단이 서로 접촉하면 되고, 애자(A)가 전류센서부재(11)와 직접 접촉할 필요는 없다.
이 상태에서 측정스위치(39)를 눌러 전류센서부재(11)가 누설전류를 측정하게 한다. 전류센서부재(11)가 측정한 누설전류 정보는 제어부재(31)로 보내지고, 전류센서부재(11)로부터 제공받은 애자(A)의 누설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재(31)는 애자(A)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재가 애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1. 표시창에 누설전류 전체값 표시하고, 2. 누설전류 중 고조파성분 누설전류값이 표시한 후, 3. 누설전류 전체값과 고조파성분 누설전류값을 비교하여 애자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한 측정 결과를 저장할지 유무를 선택하는 메시지창을 띄운다.
4. 3의 측정 결과에 저항할 경우 "YES" 버튼을 누르면 저장하지 않고 재측정시, 누설 전류 중 고조파성분 누설전류값을 표시하는 '2' 항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제어부재(31)에 의해 애자(A)의 불량 유무가 판단되면, 출력스위치(45)를 눌러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애자의 건전성 여부 판단이 완료되면 오픈스위치(35)를 눌러 전류센서부재(11)가 애자(A)를 감싼 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는 누설전류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재(31)에 수치로 표시함으로써 애자(A)의 불량 유무를 현장에서 즉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애자(A)의 불량으로 인한 정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류센서부재와 제어부재가 절연 파이프로 연결되고 무선수신기를 통해 전류센서부재를 제어하므로 전기 공급 상태에서 애자의 누설전류를 측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1)는 전류센서부재(11), 제어부재(31), 절연 파이프(63) 등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11:전류센서부재
13:베이스부 15:구동모터
17,19:제1 및 제2 이동부 21:로고스키 코일
23:무선수신기 25:배터리
27:결합부 29:관통홀
31:제어부재 33:표시창
35:오픈스위치 37:닫힘스위치
39:측정스위치 41:리셋스위치
43:파워스위치 45:출력스위치
46:프린터부 47:연결포터
48:손잡이부 49:제2 돌부
51:힌지수단 53:조인트부재
55:삽입홀 57:힌지홀
59:조인트핀부재 61:제1 돌부
63:절연 파이프 A:애자

Claims (9)

  1. 애자를 감싸 상기 애자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부재와;
    상기 전류센서부재가 상기 애자를 감싸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류센서부재에서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애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재와;
    상기 전류센서부재와 상기 제어부재를 연결하는 절연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 양측으로 구비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애자를 감싸거나 상기 애재를 감싼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및 제2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무선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에 로고스키 코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센서부재는 절연 파이프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힌지수단을 매개로 절연 파이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선단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는 힌지홀이 형성된 조인트부재와,
    상기 힌지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의 관통홀 및 상기 힌지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조인트부재에 결합되는 조인트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전류센서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누설전류 전체값과 고조파성분 누설전류 값을 비교하여 애자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애자의 열화 상태로부터 상기 애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누설전류 전체값 및 누설전류 값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부재, 상기 제어부재, 상기 절연 파이프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KR1020110098835A 2011-09-29 2011-09-29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KR10164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35A KR101648112B1 (ko) 2011-09-29 2011-09-29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35A KR101648112B1 (ko) 2011-09-29 2011-09-29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776A true KR20130034776A (ko) 2013-04-08
KR101648112B1 KR101648112B1 (ko) 2016-08-24

Family

ID=4843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35A KR101648112B1 (ko) 2011-09-29 2011-09-29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0740A (zh) * 2015-11-30 2016-04-20 国网山西省电力公司临汾供电公司 一种无线绝缘子测零仪
KR102457493B1 (ko) * 2022-07-27 2022-10-21 윤성전력(주) 배전선로 내장애자 감시 IoT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79B1 (ko) * 2007-07-12 2009-04-15 주식회사 금화전기 촬영수단을 구비한 배전선로용 불량 애자 검출장비
KR101026240B1 (ko) * 2010-09-15 2011-03-31 한국전력공사 애자 점검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애자 점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79B1 (ko) * 2007-07-12 2009-04-15 주식회사 금화전기 촬영수단을 구비한 배전선로용 불량 애자 검출장비
KR101026240B1 (ko) * 2010-09-15 2011-03-31 한국전력공사 애자 점검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애자 점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0740A (zh) * 2015-11-30 2016-04-20 国网山西省电力公司临汾供电公司 一种无线绝缘子测零仪
KR102457493B1 (ko) * 2022-07-27 2022-10-21 윤성전력(주) 배전선로 내장애자 감시 IoT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112B1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6492A1 (en) Adjustable length rogowski coil measurement device with non-contact voltage measurement
TWI759352B (zh) 驗證電壓測量系統的操作的方法、檢驗單元、及套件
CN203165661U (zh) 零序电流互感器
CN203164352U (zh) 带电低压线路漏电检测装置
JP2013527438A (ja) バッテリーセルテストのためのテスト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30034776A (ko) 애자 건전성 판단장치
KR20140003840U (ko) 휴대용 전력량계의 오차 시험장치
JP2001004672A (ja) 可搬型光電流計
CN207007941U (zh) 一种绝缘摇表
CN206804829U (zh) 一种sf6密度继电器校验装置
CN105445627B (zh) 直流系统绝缘验收仪
TWI780079B (zh) 非接觸式電壓測量系統的檢驗單元
JP5159201B2 (ja) テストプラグの試験装置
CN205826800U (zh) 一种线路接地选线装置
JP2010091581A (ja) 低圧電気設備の漏電電流状態を測定する装置
CN205388644U (zh) 弹簧操作机构检测装置
US6184689B1 (en) Secondary service conductor tester
CN11355180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感温光纤测试系统及其使用方法
JP2001521632A (ja) アルミニウム導体鋼強化(「acsr」)導体のような導体にて使用される磁気金属強化部材の断面積の損失を検出する装置及び方法
CN111610468A (zh) 一种星三角启动主回路接线检测方法
JP2006300529A (ja) 機器測定試験リード線および機器測定試験方法
JP4540588B2 (ja) 電工ドラムに内蔵された漏電遮断器の試験方法および装置
CN204884846U (zh) 一种钳形零序电流互感器
JP5242085B2 (ja) 測定装置
CN204440162U (zh) 温湿度控制器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