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50A - 표면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50A
KR20130033650A KR1020110097450A KR20110097450A KR20130033650A KR 20130033650 A KR20130033650 A KR 20130033650A KR 1020110097450 A KR1020110097450 A KR 1020110097450A KR 20110097450 A KR20110097450 A KR 20110097450A KR 20130033650 A KR20130033650 A KR 2013003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ink
resin
layer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955B1 (ko
Inventor
강충원
Original Assignee
강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충원 filed Critical 강충원
Priority to KR102011009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955B1/ko
Priority to CN201280047316.5A priority patent/CN103826863B/zh
Priority to PCT/KR2012/007789 priority patent/WO2013048127A2/ko
Publication of KR2013003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443Silicon-containing polymers, e.g. silicones, 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26Donor or receiver with regist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6Backcoats; Bac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Ink Jet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비해 간소된 구조 및 방식으로 이미지 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 전사속도를 단축함은 물론 설비의 간소화에 의한 경제성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존 전사방식에 비해 높은 해상도로 이미지 전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전사방법 {METHOD FOR TRANSCRIBING OF SURFACE}
본 발명은 인쇄물의 이미지를 전사대상물 표면으로 이동시켜 전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사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 등에 상관없이 기존에 비해 간소한 설비 및 방식만으로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전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공산품들은 디자인 적인 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 전사방식으로는 잉크를 직접 해당 제품 표면에 인쇄하는 방식이나 그라비아인쇄방식, 가열가압전사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사방식들은 전사대상물의 재질 등에 따라 적용 가능한 대상이 정해져 있어 적용범위가 넓지 못하고 고 해상도의 섬세한 이미지를 전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해당 방식에 적용되는 특유의 설비를 갖춰야 하기 때문에 전체 설비규모가 복잡하고 대부분 전사된 이미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후 가공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사방식은 전사 가능한 전사대상물의 크기 및 전사속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대량생산 체재로 운영되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존에 비해 간소된 구조 및 방식으로 이미지 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 전사속도를 단축함은 물론 설비의 간소화에 의한 경제성도 높일 수 있어 대량생산체제로 운영될 수 있는 표면 전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사 대상물의 재질이나 기계적 특성 또는 크기 등에 상관없이 이미지 전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적용범위가 월등히 넓어질 수 있는 표면 전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별도의 후 가공없이도 대상물 표면에 전사된 이미지의 훼손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표면 전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전사방식에 비해 높은 해상도로 이미지 전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표면 전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잉크가 함유된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을 상기 인쇄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잉크이동용 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표면에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융착될 수 있는 전사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과 상기 인쇄층이 접합되어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과 상기 인쇄층에 동시에 침투하여 융착되는 접합단계, 상기 전사대상물과 상기 인쇄물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잉크를 함유한 상기 인쇄층이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에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으로 이동되는 잉크이동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코팅층과 인쇄층이 접합되기 전에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를 상기 인쇄층에 도포시키는 수지도포과정, 상기 도포된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인쇄층에 침투하여 인쇄층과 융착되는 제1융착과정, 상기 제1융착과정 후 상기 코팅층과 상기 인쇄층이 마주본 상태로 상호 밀착 접촉되는 밀착과정, 상기 밀착과정 후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코팅층에 침투하여 융착되는 제2융착과정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융착과정은 상기 인쇄층에 침투된 잉크이동용 수지 일부가 상기 인쇄층에 함유된 잉크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융착과정과 상기 제2융착과정은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코팅층과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미세 공극을 통해 상기 코팅층과 인쇄층 내부로 침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는 상기 코팅층과 상기 인쇄층과 동일한 계열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과정 및 제2융착과정은 상기 잉크이동용 수기가 상기 코팅층과 인쇄층을 침투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일계열의 성분이 상호 융화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대상물과 상기 인쇄물이 상호 마주보며 회전하는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이동단계는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한 전사대상물과 상기 인쇄물이 상호 분리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물은 원지 및 상기 원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잉크를 머금고 있는 안료성분, 상기 인쇄층과 상기 인쇄물 간을 접착시키는 접착성분 및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와 동일한 재질의 코팅성분이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잉크이동용 수지를 통해 단순히 피 전사대상물과 인쇄물의 접합만으로도 인쇄물의 잉크가 전사대상물표면으로 이동하여 전사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전사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설비구조도 간소화됨으로 전사대상물의 기초 생산공정에 전사공정을 쉽게 접목시킬 수 있어 그만큼 표면전사된 물품의 생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잉크이동용 수지가 인쇄층을 인쇄물로부터 뜯어내 전사대상물 표면으로 가져가는 형태이기 때문에, 인쇄층에 함유된 잉크도 인쇄층과 함께 손실 또는 변화 없이 모두 그대로 이동하므로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전사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 등에 상관없이 잉크이동용수지의 침투가 가능한 상태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이미지 전사가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해 적용범위가 월등히 넓어지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전사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2는 전체 공정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3은 전사대상물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인쇄물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수지도포과정 및 1차융착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6은 밀착과정 및 2차융착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7은 분리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8은 전사완료된 상태의 전사대상물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에 예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전사대상물 준비단계(S100)와 수지준비단계(S300), 인쇄물 준비단계(S200), 접합단계(S400), 분리단계(S50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전사대상물 준비단계(S100)는 이미지를 전사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전사대상물은 이미지 전사가 필요한 모든 재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의 외장용 철판이나 천연 또는 인조가죽, 플라스틱, 목재, 비닐, 유리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며 이러한 전사대상물은 완제품을 띠기 전 상태, 즉 판재형태로 준비된다.
이때 전사대상물(100)은 재질에 따라 표면에 코팅층(110)이 형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는데,
만약 전사대상물이 천연소재일 경우 표면에는 코팅층(110)이 형성되는데, 코팅층(110)은 전사과정을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되거나 전사과정에 상관없이 전사대상물(100)의 표면보호 등의 기능을 위해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전사대상물이 가전제품 외장용 철판일 경우 철판의 생산과정에서 철판표면에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도장층이 코팅층(110)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사대상물이 천연가죽일 경우 일반적으로 제품화 하기 전에 가죽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시키는데, 이때 사용되는 방수도료가 코팅층(110)역할을 한다.
참고로 이렇게 형성되는 코팅층(110)은 미세공극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잉크이동용 수지가 미세공극을 통해 코팅층(110) 내부로 침투하여 코팅층(110) 표면에 접착 형태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코팅층(110)은 후술하는 잉크이동용 수지와 동일계열의 성분으로 제작되어 상호간 접촉 시 상호 원활히 융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사대상물이 플라스틱, 인조가죽 처럼 원 재질이 인위적인 가공을 통해 생산된 유기화합물(석유화합물 포함)일 경우, 코팅층은 생략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자세히 언급하겠지만, 예를 들어 전사대상물의 재질이 플라스틱과 같은 석유화합물이고 후술하는 잉크이동용 수지도 동일 계열의 화합물 일 경우, 잉크이동용 수지가 해당 표면에 직접 접촉될 경우 상호간의 융합으로 인해, 결국 잉크이동용 수지가 전사대상물 표면에 직접적으로 침투하여 융착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전사대상물이 유리처럼 잉크이동용 수지와 다른 타 계열의 재질일 경우에도 유리 차제적으로도 미세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잉크이동용 수지가 해당 공극을 통해 유리 내부로 침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유리 표면에 스크레치 형태의 가공을 실시할 경우 잉크이동용 수지와의 접착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사대상물은 재질 등에 따라 표면에 코팅층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코팅층이 생략되더라도 잉크이동용 수지가 침투될 수 있는 침투면을 갖는 상태라면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준비된 전사대상물(100)은 [도 2]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로 준비되거나 낱장씩 적층된 형태로 준비된다.
이렇게 전사대상물이 준비되면 인쇄물 준비단계(S200)를 거친다.
인쇄물 준비단계(S200)는 전사과정에 필요한 이미지가 최초로 인쇄되어 있는 상태의 인쇄물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때 사용되는 인쇄물(200)은 기본적으로 인쇄이미지가 인쇄되는 원지(210) 표면에 여러 인쇄방식을 통해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쇄물(200)은 [도 4]와 같이 크게 원지(210)와 인쇄층(220)으로 나뉘어 구성되는데,
원지(210)는 종이나 기타 합성수지재질의 필름 등 표면에 인쇄 및 기타 코팅과정이 가능한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인쇄층(220)은 원지 상에 인쇄될 이미지의 잉크를 머금고 있음과 동시에 추후 전사대상물 표면으로의 전사과정에서 후술하는 잉크이동용 수지(300)와 반응하여 잉크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료성분(222)과 접착성분(224), 코팅성분(226) 및 박리성분(228)이 혼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안료성분(222)은 인쇄된 이미지의 잉크(500)를 머금고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실리카(silica)와 클레이(clay),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등의 성분이 혼합되거나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안료성분들은 약 2㎛ 내지 10㎛의 입자형태로 적용되어 각 입자 간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공극에 잉크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더불어 안료성분(222)에 내수성수지(미도시)를 혼합시켜 잉크(500)가 각 공극 내에서 쉽게 고착됨은 물론 내수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잉크의 번짐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접착성분(224)은 위 안료성분(222)이 원지(210) 표면에 부착 유지되도록 하여 인쇄이미지의 안정적인 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cellulos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라텍스(latex), 아크릴, 등의 성분이 사용된다.
또한 코팅성분(3)은 잉크의 번짐 방지 기능과 수분으로부터의 원지(210) 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잉크 이동용수지와 동일한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박리성분(228)은 전사과정에서 인쇄층(220)이 원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왁스나 불소, 기타 실리콘 계열의 성분이 사용된다.
이러한 인쇄층(2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나이프(AIR-KNIFE)나 그라비아 등의 코팅방식을 통해 원지(210)의 표면에 도포 형성된다.
참고로 인쇄층(220)은 위에서 언급한 안료성분(222)처럼 전체적으로 미세 공극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잉크이동용 수지(300)가 공극을 통해 인쇄층(220) 내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인쇄물(200)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면 이미지의 잉크는 원지 표면에 직접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잉크가 인쇄층(220)에 흡수된 상태로 인쇄되어 원지(210) 표면상에 노출되는 것이다.
참고로 인쇄물의 이미지 인쇄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프린팅 방식, 즉 윤전인쇄나 그라비아인쇄, 디지털인쇄 등 고 해상도가 가능한 방식 중에서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준비된 인쇄물(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대상물(100)처럼 롤 형태로 감겨져 일단부가 일정 경로를 따라 풀어지면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준비된다.
물론 롤 형태가 아니라 낱장으로 적층된 상태로도 준비될 수 있다.
인쇄물(200)의 준비가 완료되면 수지준비단계(S300)를 거친다.
수지준비단계(S300)는 전사과정에서 인쇄물(200)의 인쇄층(220)과 잉크(500)를 피전사대상물(100)로 이동시키는 잉크이동용 수지(300)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때 사용되는 잉크이동용 수지(300)는 크게 [도 5]처럼 메인수지(310)와 희석제(320) 및 점성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메인수지(310)는 전사과정에서 인쇄물(200)의 인쇄층(220) 및 잉크를 전사대상물(100) 표면으로 이동시키는 실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 및 인쇄물의 인쇄층 중 코팅성분(226)과 동일한 재질이 사용된다.
즉 코팅층(110)의 재질이 폴리염화비닐(PVC)일 경우 메인수지(310)와 코팅성분(226)도 역시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다.
또한 만약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이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일 경우 메인수지도 폴리우레탄으로 적용된다.
이렇게 코팅층(110)과 메인수지(310) 및 코팅성분(226)의 재질을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동일성분의 물질은 상호간의 융화성 및 접착성이 높기 때문인데,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언급한다.
물론 메인수지(310)와 코팅층(110) 및 인쇄층(220)의 성분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접촉 시 상호 융화 및 융착이 가능한 유기성분이라면 성분이 상호 틀리더라도 무관하다.
뿐만 아니라 코팅층(110)을 형성시키지 않을 경우, 전사대상물(100) 자체 재질이 잉크이동용 수지와 동일 또는 유사 성분이면 전사대상물과 잉크이동용 수지 간의 직접적인 융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전사대상물이 유리처럼 잉크이동용 수지와 직접적인 융합이 불가능한 재질이라도 잉크이동용 수지가 유리자체의 미세공극을 통해 내부로 침투되는 등의 방식으로도 융착될 수 있다.
참고로 강화유리처럼 미세공극률이 낮은 제품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표면에 스크레치 형태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잉크이동용 수지의 부착력이 최대화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수지(310)와 함께 잉크이동용 수지(300)를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인 희석제(320)는 메인수지(310)의 희석을 유도하여 메인수지(310)와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 및 인쇄물의 코팅성분(226)간의 융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희석제로는 에틸벤젠이나 메틸에틸케톤(MEK), 에코솔벤 등이 사용되며 더불어 희석제와 메인수지 간의 용해효율을 높이기 위해 포르마이드나 테트라 하이드로 푸란(THF), 에틸 아세테이트(EA)등의 용해제가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잉크이동용 수지를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인 점성제는 잉크이동용 수지를 구성하는 각 성분의 적정 점성도를 부여하여 잉크이동용 수지가 액체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잉크이동용수지와 코팅층(110) 및 인쇄층(220) 간의 적정 점착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점성제로는 비스프탈레이드나 에틸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된다.
참고로 메인수지를 제외한 희석제나 용해제 및 점성제는 위에서 언급한 성분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타 성분 중에서도 얼마든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이나 인체에 악 영항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위 과정을 통해 잉크이동용 수지(300)가 준비되면 접합단계(S400)를 실시 한다.
접합단계(S400)는 실질적인 전사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다시 수지 도포과정(S410)과 1차융착과정(S420), 밀착과정(S430) 및 2차융착과정(S440)으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그 중 수지 도포과정(S410)은 인쇄물(200)의 인쇄층(220) 표면에 잉크이동용 수지(300)를 도포시키는 과정으로, [도 2]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인쇄물(200)의 풀림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풀려져 이동 중인 구간의 인쇄층(220) 상에 잉크이동용 수지(300)올려 놓고 도포롤러(5)를 이용해 인쇄층 상에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도포된 잉크이동용 수지(300)는 인쇄층(2)20)의 코팅성분(226)과 동일한 재질이고 인쇄층에 미세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와 동시에 미세공극을 통해 인쇄층(220)으로 침투하여 메인수지(310)가 코팅성분(226)과 융화 결착되는 1차융착과정(S420)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인쇄층(220) 내부로 침투된 잉크이동용 수지(300)는 인쇄층(220) 내부의 잉크(500)주변을 둘러싸, 잉크는 마치 캡슐과 같은 구조를 띠게 된다.
그리고 이후 실시되는 밀착과정(S430)은 인쇄물(200)과 전사대상물(100)을 상호 적층 및 가압시키는 과정으로, [도 ]에 도시된 것처럼 전사대상물(100)과 1차융착과정(S420)을 거친 인쇄물(200)이 롤 상태에서 풀어지면서 일정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호 마주본 상태로 회전하는 제1, 2롤러(1)(2) 사이를 동시에 통과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이 인쇄물의 인쇄층(220)에 밀착 적층된 상태로 제1, 2롤러(1)(2)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적층된 전사대상물(100)과 인쇄물(200)은 제1,2롤러(1)(2)에 의해 약간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잉크이동용 수지(300)의 상측구간이 코팅층(110)의 미세공극을 통해 인쇄층(220) 내부로 침투하여 메인성분과 코팅성분이 상호 융화 결착되는 2차융착과정(S440)이 진행된다.
이로 인해 잉크이동용 수지(300)는 일부가 인쇄물(200)의 인쇄층(220)과 1차융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가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에도 침투하여 2차융착됨에 따라, 인쇄층(220)은 잉크이동용 수지(300)를 매개로 코팅층(110)과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잉크이동용 수지(300) 중 잉크를 캡슐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부분의 일부도 [도 6]과 같이 코팅층(110)으로 이동하여 코팅층(110)과 융착 된다. 즉 인쇄층을 비롯해 내부의 잉크도 잉크이동용 수지를 통해 모두 코팅층(110)과 일체화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전사대상물(100)의 재질이 잉크이동용 수지와 직접적인 융착이 가능한 재질일 경우, 잉크이동용 수지는 전사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침투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접합단계(S400)가 완료되면 분리단계(S500)를 거친다.
분리단계(S500)는 인쇄물(200)의 인쇄층을 비롯해 잉크가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으로 실제 이동하는 과정으로,
2차융착과정(S440)을 거친 상태에서 전사대상물(100)은 [도2 ] 및 [도 7]과 같이 별도의 제1감김롤러(3)에 의해 당겨져 감기고 인쇄물(200)은 제2감김롤러(4)에 의해 당겨져 감긴다.
이로 인해 적층상태로 제1, 2롤러(1)(2)를 통과한 전사대상물(100)과 인쇄물(200)은 상호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 과정에서 인쇄물(200)의 인쇄층(220)은 잉크이동용 수지(300)와의 융착력 및 인쇄층에 함유된 박리성분(228)에 의해 원지(210)로부터 분리되어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 표면상으로 이동된다.
이때 인쇄층(220)에는 전사용 이미지의 잉크(500)가 함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결국 인쇄층(220)이 전사대상물(100)표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쇄물(200)의 이미지도 함께 전사대상물 표면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전사대상물(100)로부터 분리된 인쇄물(200)은 원지(210)만 남게 되고 제1감김롤러(3)에 감겨진 전사대상물(100)의 코팅층(110) 표면에는 원지(210)에 인쇄되어 있던 이미지가 전사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비 가열 전사방법은 잉크이동용 수지를 사이에 두고 인쇄물과 전사대상물 간의 접합이 이루어진 후 분리되면서 잉크이동용 수지가 인쇄물 상의 인쇄층을 인쇄물로부터 뜯어내 전사대상물 표면으로 가져가는 개념이다.
참고로 전사대상물(100)이 제1감김롤러(3)에 감기는 과정에서 별도의 간지(미도시)가 코팅층(110) 표면에 적층된 상태로 감겨지기 때문에, 코팅층(110)표면의 이미지가 전사대상물의 타 구간에 묻어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전사대상물과 잉크이동용 수지 간의 융착원리 만을 이용해 이미지 전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사대상물이 재질이나 크기에 제약 없이 손쉽게 전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잉크이동용 수지를 사이에 두고 전사대상물과 인쇄물 간의 접합 및 분리과정만 거치기 때문에 타 전사방식에 비해 설비규모가 훨씬 간소해져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전사과정을 전사대상물의 기초 생산공정에 접목시키기가 손쉬워져, 결국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인쇄물의 잉크를 뜯어내 전사대상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사과정에서 잉크의 손실이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므로, 그만큼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전사대상물(100) 코팅층(110)상에 이미지가 전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UV코팅제 등을 이용한 제3코팅층을 제2코팅층 표면에 형성시켜 이미지의 훼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모든 전사공정을 거친 전사대상물(100)은 표면에 코팅층(110)이 형성되어 있고 코팅층(110)표면에는 잉크를 함유하고 있는 인쇄물의 인쇄층(220)과 잉크이동용 수지(300)가 동시에 융착된 상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Claims (8)

  1. 잉크가 함유된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을 상기 인쇄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잉크이동용 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표면에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융착될 수 있는 전사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과 상기 인쇄층이 접합되어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과 상기 인쇄층에 동시에 침투하여 융착되는 접합단계,
    상기 전사대상물과 상기 인쇄물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잉크를 함유한 상기 인쇄층이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에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으로 이동되는 잉크이동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 전사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과 인쇄층이 접합되기 전에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를 상기 인쇄층에 도포시키는 수지도포과정,
    상기 도포된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인쇄층에 침투하여 인쇄층과 융착되는 제1융착과정,
    상기 제1융착과정 후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과 상기 인쇄층이 마주본 상태로 상호 밀착 접촉되는 밀착과정,
    상기 밀착과정 후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에 침투하여 융착되는 제2융착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 전사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1융착과정은,
    상기 인쇄층에 침투된 잉크이동용 수지 일부가 상기 인쇄층에 함유된 잉크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표면 전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사대상물 준비단계는,
    상기 전사대상물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코팅층에 침투하여 전사대상물 표면에 접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표면 전사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1융착과정과 상기 제2융착과정은,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가 상기 코팅층과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미세 공극을 통해 상기 코팅층과 인쇄층 내부로 침투되는
    표면 전사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는 상기 코팅층과 상기 인쇄층과 동일한 계열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과정 및 제2융착과정은 상기 잉크이동용 수기가 상기 코팅층과 인쇄층을 침투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일계열의 성분이 상호 융화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전사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대상물과 상기 인쇄물이 상호 마주보며 회전하는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잉크이동단계는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한 전사대상물과 상기 인쇄물이 상호 분리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표면 전사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인쇄물은,
    원지 및 상기 원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잉크를 머금고 있는 안료성분, 상기 인쇄층과 상기 인쇄물 간을 접착시키는 접착성분 및 상기 잉크이동용 수지와 동일한 재질의 코팅성분이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표면 전사방법.




KR1020110097450A 2011-09-27 2011-09-27 표면 전사방법 KR10130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50A KR101305955B1 (ko) 2011-09-27 2011-09-27 표면 전사방법
CN201280047316.5A CN103826863B (zh) 2011-09-27 2012-09-27 表面转印方法
PCT/KR2012/007789 WO2013048127A2 (ko) 2011-09-27 2012-09-27 표면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50A KR101305955B1 (ko) 2011-09-27 2011-09-27 표면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50A true KR20130033650A (ko) 2013-04-04
KR101305955B1 KR101305955B1 (ko) 2013-09-12

Family

ID=4799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450A KR101305955B1 (ko) 2011-09-27 2011-09-27 표면 전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5955B1 (ko)
CN (1) CN103826863B (ko)
WO (1) WO201304812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992A1 (ko) * 2014-05-27 2015-12-03 주식회사 컴마트 피혁의 컬러 이미지 코팅 방법
WO2015182990A1 (ko) * 2014-05-27 2015-12-03 주식회사 컴마트 판상 재료의 이미지 전사 코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0801C1 (ko) * 1991-04-04 1992-05-27 Kurt 4040 Neuss De Lappe
JPH0624121A (ja) * 1992-07-08 1994-02-01 Jushi Insatsushiya:Kk 複写された転写原版の製造および転写印刷方法
CN1173431A (zh) * 1997-06-26 1998-02-18 白洪城 乙烯醋酸乙烯酯发泡体表面的热转印方法
JP4008663B2 (ja) * 1998-07-29 2007-11-14 ダブリュー.エー. サンデルス パピエルファブリック コッデンホーヴェ ビー.ヴィー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転写紙
KR20010035107A (ko) * 2000-12-26 2001-05-07 김정열 인쇄층과 보호코팅층을 일체로 대상물 표면에 접착인쇄시키는 인쇄방법
CN1175977C (zh) * 2001-12-10 2004-11-17 增城市运豪五金塑料有限公司 装饰图案的转印方法及转印纸
JP2007090162A (ja) * 2005-09-27 2007-04-12 Dainippon Ink & Chem Inc 印刷物の表面加工方法
DE102006038798A1 (de) * 2006-07-31 2008-02-0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Folientransferwerk mit Materialaufbringeinrichtung
CN101284477B (zh) * 2007-04-09 2010-05-26 众安股份有限公司 冷转印贴纸结构及其制造方法
CN100519217C (zh) * 2007-07-23 2009-07-29 纳百利装饰材料(深圳)有限公司 薄膜转移印刷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992A1 (ko) * 2014-05-27 2015-12-03 주식회사 컴마트 피혁의 컬러 이미지 코팅 방법
WO2015182990A1 (ko) * 2014-05-27 2015-12-03 주식회사 컴마트 판상 재료의 이미지 전사 코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863B (zh) 2016-11-16
WO2013048127A2 (ko) 2013-04-04
KR101305955B1 (ko) 2013-09-12
WO2013048127A3 (ko) 2013-05-23
CN103826863A (zh)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43193A (ru) Полимерная графическая плен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0816114A2 (en) Heat transfer sheet and method for thermally transferring a design to an article
MX2012010419A (es) Laminados multicapa reconfigurables, y metodos.
US5897735A (en)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ive design laminate for application to a substrate utilizing an embossing resin
CN101589002A (zh) 具有多种设计图案的人造大理石及其制备方法
KR101305957B1 (ko)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8508A (ko) 입체 패턴을 갖는 실리콘 디자인 전사지
KR20130033650A (ko) 표면 전사방법
KR101305956B1 (ko) 금속판재 표면의 전사방법
US6730190B1 (en) Method for making water activatable device
CN204759911U (zh) 一种热敏标签
US6346312B1 (en) Transfer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JP2007076259A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筒状ラベル
CN109677146A (zh) 热转印膜制造方法及热转印膜
US10603881B2 (en) Digital printed duct tape
US20160361945A1 (en) Method and device of transferring an impression from a substrate to a surface
KR100488674B1 (ko) 오프셋 인쇄가능한 실리콘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US61714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offset varnishing
WO1999003674A1 (en) Scratch-resistant, self-laminated printed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H0455872B2 (ko)
JPS6151074B2 (ko)
TWI308115B (ko)
KR20230120929A (ko) 글리터층을 갖는 전사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KR20230123635A (ko) 글리터를 활용한 실내 인테리어시트와 그 제조방법
CA2368412A1 (en) Color samp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