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573A -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573A
KR20130033573A KR1020110097308A KR20110097308A KR20130033573A KR 20130033573 A KR20130033573 A KR 20130033573A KR 1020110097308 A KR1020110097308 A KR 1020110097308A KR 20110097308 A KR20110097308 A KR 20110097308A KR 20130033573 A KR20130033573 A KR 2013003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toon
fixed
fixed propeller
propeller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균
이승호
전승민
지원철
정민수
차영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573A/ko
Publication of KR2013003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진수 후에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폰툰; 상기 폰툰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중에 잠기며, 내부 공간으로 고정식 추진기를 수납하는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 및; 상기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에 부착되며, 고정식 추진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지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중에 고정식 추진기의 모터 및 프로펠러의 탑재가 반드시 완료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일정이 고정식 추진기의 납기일에 예속되지 않으며, 도크 내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 공정 중 특이사항(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박의 진수 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므로 진수 및 이후 공정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installation equipment of fixed type thruster on the water using pontoon}
본 발명은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진수 후에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선박을 건조함에는 다수의 강판이나 형강 등의 소재를 가공하여 먼저 개개의 부품을 제작하고, 그 일부를 조립정반(組立定盤) 위에서 소조립, 중조립을 통하여 부품의 대형화를 행한다. 이어서 라인화된 조립정반에 이들 부품을 배열, 조합하여 블록(block)을 제작한다. 제작된 블록은 도장공사(塗裝工事)를 행하여 최종공정인 도크(dock) 주위에서 총조립, 즉 블록과 블록의 결합작업 후 대형블록을 탑재하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선체가 완성된다.
블록건조 방식의 목적은 도크에서의 공사량을 극력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상의 조립정반 위에서 선체를 분할하여 제작하려고 하는 것으로, ① 도크에서의 작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② 공정과 공작기술의 관리 감독이 용이하며, ③ 적절한 작업원의 배치를 행하기 쉬우며, ④ 작업환경을 양호하게 하고 기계화, 자동화가 용이하므로 능률이 향상되며, ⑤ 고소작업(高所作業)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⑥ 현장용접이 적어지므로 용접변형과 잔류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⑦ 블록도장을 실시하므로 도크에서의 도장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블록은 그 크기와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대별하여 평블록과 곡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블록이라고 하면 플레이트(plate), 거더(girder), 스티프너(stiffener) 등에 의하여 평면적으로 구성된다고 개괄적으로 생각하더라도 무방한 경우가 많다. 어셈블리(대조립) 공정은 정반(定盤) 위에 플레이트를 배열하여 그 위에 거더, 스티프너를 배열하여 부착용접을 행하여 1개의 블록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보통 부재의 배열로부터 부착, 용접, 완료 후 각종 시험완료까지를 대조립 공정이라 하고 있다. 근년에는 의장품 부착이나 각종 시험의 공사도 선행화(先行化)하여 조립정반 위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블록의 중량은 설비의 증강 및 생산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대형화하여 가고 있으며, 대형 탱크선에서는 200~300톤이 보통으로 되어 있다. 또 설비의 규모에 따라 400~500톤을 초과하는 것도 있고, 더욱이 도크 옆에서 총조립(p.e) 공정을 거쳐 초대형 블록(800톤)을 건조하는 방식도 보편화되어 있다.
건조대상 선박은 설계단계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설 및 장비의 능력과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의 블록으로 분할되며, 이러한 블록들은 부재의 가공 및 조립공정을 통해 완성되어 도크로 이동된다. 탑재공정은 이와 같이 조립공정을 거쳐 완성된 블록들을 도크에서 하나하나 일정한 순서에 의해 쌓아가면서 선박의 형체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크레인 용량의 증가에 따라 분할된 블록이 대형화되어가고 탑재공사와 더불어 의장(艤裝)공사를 진행하거나 또는 그 일부를 선각공사(船殼工事)의 일환으로서 시공하는 소위 선행의장(先行艤裝)이 점차 증가되어 가고 있다.
한편, 추진기(thruster)는 상술한 블록공정 후 진수 전 도크 내에서 설치된다. 선박에 사용되는 추진기는 크게 고정식(fixed type) 추진기와 상하 이동식(retractable type) 추진기의 2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이 각기 다른 방법으로 탑재된다. 고정식 추진기는 도크 내 선박 건조 중 모터(motor)와 프로펠러(propeller)를 분리하여 모터는 블록조립 시 선행탑재하고(도 1, 도 2의 a) 프로펠러는 선박 외부에서 연결하여 탑재한다(도 1, 도 2의 b). 그리고 상하 이동식 추진기는 도크 내 선박 건조 중 골리앗 크레인(goliath crane)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정 위치 삽입하여 탑재한다(도 3, 도 4).
그런데, 고정식 추진기의 경우 기존의 탑재 공법에 따르면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중에 모터 및 프로펠러의 탑재가 반드시 완료되어야 하므로,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일정이 고정식 추진기의 납기일에 예속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 공정 중 특이사항(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진수 및 이후 공정이 필연적으로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박의 진수 후에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폰툰;
상기 폰툰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중에 잠기며, 내부 공간으로 고정식 추진기를 수납하는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 및;
상기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에 부착되며, 고정식 추진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지그;
를 포함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중에 고정식 추진기의 모터 및 프로펠러의 탑재가 반드시 완료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일정이 고정식 추진기의 납기일에 예속되지 않으며, 도크 내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 공정 중 특이사항(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박의 진수 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므로 진수 및 이후 공정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고정식 추진기의 경우 기존의 탑재 공법을 보여주는 도면 및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상하 이동식 추진기의 경우 기존의 탑재 공법을 보여주는 도면 및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제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3-D 모델링 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의 진수 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를 탑재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체 밸러스트수 조절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제작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3-D 모델링 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박의 진수 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를 탑재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체 밸러스트수 조절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진수 후에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폰툰(1),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 및 지그(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폰툰(pontoon)(1)은 해상에 부유하는 부유체로서 해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몸체 하부는 수중으로 잠기고 몸체 상부는 수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은 폰툰(1)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중에 잠기며 내부 공간으로 고정식 추진기(4)를 수납한다. 그리고 지그(3)는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에 부착되며 고정식 추진기(4)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5).
본 발명에서 폰툰(1)은 작업자가 상면에 탑승하여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4)를 선박에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종의 부유식 작업장이라 할 수 있다(도 7). 따라서 폰툰(1)은 해상에서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부유하는 한편 수상으로 드러난 상면의 면적이 넓어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하고 불편하지 않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폰툰(1)이 다수 개의 직육면체 형상의 부유체(1a)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그 전체 형상은 해상에 부유한 상태의 평면 형상이 ㄷ자 형상이 되도록 하였다(도 5의 b). 그리고 이 경우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은 양 끝단이 폰툰(1)과 결합하는 凹자 형상을 가지되, 폰툰(1)의 ㄷ자 형상 내부 가운데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였다(도 5의 d, 도 6). 이 경우 지그(3)는 폰툰(1)의 凹자 형상의 바닥에 위치한다(도 5의 d).
이처럼 폰툰(1)이 다수 개의 직육면체 형상의 부유체(1a)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면서도 해상에 부유한 상태의 평면 형상이 ㄷ자 형상이 되면 폰툰(1)은 해상에서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폰툰(1)의 전체 형상이 ㄷ자 형상이 되도록 한 이유는 폰툰(1)이 해상에서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폰툰(1)이 ㄷ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선박의 선미(5)에 용이하게 접근하고(도 5의 a) 나아가 선박의 선미(5)에 접촉한 상태에서 폰툰(1)이 이탈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도 7).
그리고 이처럼 폰툰(1)이 ㄷ자 형상인 경우에는 폰툰(1)의 가운데 공간에 고정식 추진기(4)를 싣고 선박의 선미(5)에 접촉하여 탑재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폰툰(1)의 상면을 오가면서 수면 아래 고정식 추진기(4)의 탑재 상태를 전후좌우에 걸쳐 두루 살펴 볼 수 있어서 좋다(도 7).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폰툰(1)이 ㄷ자 형상인 경우에,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은 폰툰(1)의 ㄷ자 형상 내부 가운데 지점에 위치하되, 그 형상은 양 끝단이 폰툰(1)과 결합하는 凹자 형상을 가지면서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d).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이 폰툰(1)의 ㄷ자 형상 내부 가운데 지점(보다 정확하게는 폰툰(1)의 무게중심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본 발명은 고정식 추진기(4)를 수면 아래 실은 최종 상태에서 부력이 대칭으로 작용하여 해상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으며(도 5의 c),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이 凹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은 바닥에 위치한 지그(3)의 작용과 함께 고정식 추진기(4)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5의 d).
한편, 폰툰(1)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상면 가장자리에 안전대 또는 안전바와 같은 안전수단(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c). 고정식 추진기(4)의 탑재작업 중 작업자가 실수로 해상에 떨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폰툰(1)은 고정식 추진기(4)의 탑재작업 시 선박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펠러 시스템 등의 자체 추진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폰툰(1)은 흘수 조절을 위하여 펌프, 밸브(7) 및 파이프(8) 등의 자체 밸러스트(ballast)수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8).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2)에 수납된 고정식 추진기(4)와 선미(5)의 탑재 위치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 폰툰(1)의 흘수를 조절하여 간단하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5의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중에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반드시 완료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선박의 도크 내 공정 일정이 고정식 추진기의 납기일에 예속되지 않으며, 도크 내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 공정 중 특이사항(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박의 진수 후 해상에서 고정식 추진기의 탑재가 가능하므로 진수 및 이후 공정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폰툰
2 :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
3 : 지그
4 : 고정식 추진기
5 : 선박의 선미
6 : 안전수단
7 : 밸브
8 : 파이프

Claims (9)

  1. 해상에 부유하는 폰툰;
    상기 폰툰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중에 잠기며, 내부 공간으로 고정식 추진기를 수납하는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 및;
    상기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에 부착되며, 고정식 추진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지그;
    를 포함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은 다수 개의 직육면체 형상의 부유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은 해상에 부유한 상태의 평면 형상이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폰툰의 ㄷ자 형상 내부 가운데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추진기 지지구조물은 양 끝단이 상기 폰툰과 결합하는 凹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은 상면 가장자리에 안전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은 이동을 위한 자체 추진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은 흘수 조절을 위한 자체 밸러스트수 조절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조절수단은 펌프, 밸브 및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KR1020110097308A 2011-09-27 2011-09-27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KR20130033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08A KR20130033573A (ko) 2011-09-27 2011-09-27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08A KR20130033573A (ko) 2011-09-27 2011-09-27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573A true KR20130033573A (ko) 2013-04-04

Family

ID=4843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08A KR20130033573A (ko) 2011-09-27 2011-09-27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35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166A (ko) * 2014-08-04 2016-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그선의 스러스터 베이스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166A (ko) * 2014-08-04 2016-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그선의 스러스터 베이스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7574B (zh) 大型舰船艉门传输系统的安装方法
JPH04231275A (ja) 船体構造およびその建造方法
CN109319045B (zh) 一种双相不锈钢化学品船隔舱中间产品的建造方法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CN101891010A (zh) 船用移动式作业平台装置
JP2020513364A (ja) 水中トンネルの沈埋管の輸送および設置のための自航式統合船
EP2714506B1 (en) A vessel and a metho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an offshore structure
AU2014412083B2 (en) A submersible vessel for dry docking a vessel
WO2019085520A1 (zh) 模块化海洋多功能作业平台、整体式工作平台及调运方法
CN102963494B (zh) 一种组块浮托安装方法
KR20130033573A (ko) 폰툰을 이용한 고정식 추진기의 해상 탑재 장치
CN105109617A (zh) 一种用于拆装式大型a字架的船体结构
KR20110025506A (ko) 해상 크레인의 운용 방법
JP2009517290A (ja) タンデム建造方法に適用する浸水方法
CN203727615U (zh) 舟船用浮动式引导装置
KR200468323Y1 (ko) 선박 계류용 펜더
KR20110136395A (ko) 반목 유격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20060096761A (ko) 대형 탑재 블록의 대차 탑재에 의한 경사선대에서의 선박건조 공법
CN104724249A (zh) 一种可伸缩全回转推进器的安装方法
KR20130074134A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운반 방법
JP2017114268A (ja) 浮体設備の建造方法、及び、浮体設備の浮体構造体
JP2017114264A (ja) 浮体設備の建造方法、及び、浮体設備の浮体構造体
CN102844147A (zh) 超声波喷丸施工方法及浮体式建造物
CN205396468U (zh) 一种过闸专用浮力式载驳船
CN104358234A (zh) 水上浮式栅型防撞装置及其制作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