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371A -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371A
KR20130033371A KR1020127031412A KR20127031412A KR20130033371A KR 20130033371 A KR20130033371 A KR 20130033371A KR 1020127031412 A KR1020127031412 A KR 1020127031412A KR 20127031412 A KR20127031412 A KR 20127031412A KR 20130033371 A KR20130033371 A KR 2013003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arrier
primary component
terminal
base station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771B1 (ko
Inventor
위신 웨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3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가 취득되며; 상기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과 일치하는지가 결정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이전의 요소 반송파가 새로운 요소 반송파로 대체되거나 새로운 요소 반송파가 추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요소 반송파가 보다 효과적으로 업데이트된다.

Description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PDATING COMPONENT CARRIER}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송파 집적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기지국, 단말기, 및 그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장래의 롱 텀 에볼루션 어드밴스드(LTE-A) 시스템은 100MHz까지의 송신 대역폭을 지원할 것이다. 그러나,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에서 최대 지원가능한 송신 대역폭은 20MHz이고, 따라서, 더 넓은 송신 대역폭을 달성하는 데 다중의 반송파들을 집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송파 집적은 장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송신 대역폭에 대한 더 높은 요건을 지원하도록, 결합 송신을 위한 다중의 반송파들을 집적하도록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제안된 기법이다.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집적할 반송파들의 위치에 따라, 반송파 집적은 연속 반송파 집적 및 비연속 반송파 집적으로 분류될 수 있고, LTE-A는 2개의 집적 신(scene) 양자를 동시에 지원한다. 반송파 집적 기법을 도입하면서, 3GPP는 또한 하위 호환성을 고려한다. 이것은, 장래의 장기간 동안,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는 단말기들 및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들이 공존할 것이고,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는 단말기들이 다중의 반송파들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들이 단지 하나의 반송파에 액세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적 신에서 무선 자원 관리를 간략화하도록,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의 개념이 LTE-A에 도입될 것이다. 따라서, 반송파 집적 신에서의 반송파 관리는 분산형 관리로부터 집중형 관리로 발전할 것이다. 따라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무선 자원 관리에서 중요한 부분을 수행하는, 공통 반송파가 갖지 않는 기능들을 반드시 가질 것이다.
물론, 단말기의 초기 액세스를 위한 셀에 대응하는 반송파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서 선택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건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new) 반송파를 추가하여 반송파 집적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단말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 상태에서의 변동으로, 사용중인 일부 반송파들을 대체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의 이동 및 집적하는 반송파들의 성능들 사이의 차이로 인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재지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간략한 요약이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요약이 본 발명에 관한 포괄적인 요약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필수적이거나 중요한 부분을 결정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것은 단지, 추후 논의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기능하도록 간략한 형태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출원의 목적은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세컨더리(secondary)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및 그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 경우에, 적어도 분포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상술한 제1 양태의 방법으로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전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상술한 제1 양태의 방법으로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디바이스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또는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반송파 분포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지를 결정하는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 경우에, 적어도 분포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 및 사용되도록 결정된 요소 반송파를 상대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통지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요소 반송파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일 수 있고, 또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기지국일 수 있고, 여기서, 상대 디바이스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기일 수 있고, 여기서, 상대 디바이스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이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이전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이 제공되고, 이 기지국은,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상태 취득 유닛,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유닛,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이전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 구성된 단말기가 제공되고, 이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 및 사전설정에 따르거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비활성화 커맨드에 따라 이전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는 비활성화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이 제공되고, 이 기지국은,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상태 취득 유닛,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유닛,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 구성된 단말기가 제공되고, 이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 및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아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기술적 특징들 또는 컴포넌트들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로 표기될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 예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 및 이점들을 설명하도록 채용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되는 제1 신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되는 제2 신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되는 제3 신의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3 신에서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 상태의 3개의 상황들의 개략도들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서 핸드오버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서 재구성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재구성 흐름의 변동의 개략도이다.
도 20, 도 21 및 도 22는 도 16, 도 18 및 도 19 각각에 도시된 흐름의 변동의 개략도들이다.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도 16, 도 18 및 도 19 각각에 도시된 흐름의 다른 변동의 개략도들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서 재구성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재구성 흐름의 변동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대응하는 단말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대응하는 단말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명확화 및 간결함을 위해, 실제 실시예들의 모든 특징들이 명세서에 설명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실시예-특정 판정들이 예를 들어, 시스템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제한 조건들에 따라 개발자의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임의의 이러한 실제 실시예들의 개발 동안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들 제한 조건들이 상이한 실시예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개발 작업이 매우 복잡할 수도 있고, 시간 소모적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개발 작업은 본 개시물로부터 이익을 얻는 당업자에 대해 단지 일상적인 작업이라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어도 기초한 솔루션과 밀접하게 관련된 장치 구성들 및/또는 프로세싱 단계들만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본 발명에 덜 관련되는 다른 상세들은 불필요한 상세들로 인해 본 발명의 버링(burring)을 회피하기 위해 생략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특히, 접속 관계들 및 정보 흐름들이 지칭될 때, 도면들에서의 도시 및 명세서에서의 설명들은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만을 수반하고, 도시들을 철저히 나타내지 않고 또는 모든 접속 및 정보 흐름들을 열거하지 않는다.
요소 반송파의 선택
제1 실시예
본 출원에서,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기 및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를 가용 반송파라 칭한다. 단말기가 사용해 오고 있는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라 칭하고, 이 또한 가용 반송파이다. 반송파 집적 모드에서 작용하는 단말기의 요소 반송파는 하나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PCC), 및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SCC)를 포함한다.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및 단말기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위치한 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반송파들에 대해, 기지국 안테나의 커버리지 범위는 일반적으로 변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출원은 커버리지 범위들의 상이한 분포 모드들에 대해 상이한 요소 반송파 선택 전략들을 채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02),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04), 및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 경우에, 적어도 분포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06)를 포함한다.
기지국에 대한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는 기지국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는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명백하게, 특정한 가용 반송파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단말기가 이러한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단말기의 위치는 다중의 기지국들에 의해 공동으로 위치확인될 수 있고,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등의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 모드에 따라 요소 반송파 선택 전략을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출원은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3개의 잠재적 애플리케이션 신들을 가정하고, 상이한 요소 반송파 선택 전략들이 상이한 신들에서 채용될 수 있다. 물론, 애플리케이션 신들 중 하나 또는 2개만을 고려하거나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 신들을 고려하고 더 많은 선택 전략들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간결함을 위해, 본 출원에 인용된 예들에서는 단지 2개의 가용 반송파들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복수의 가용 반송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애플리케이션 신, 즉,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제1 분포 모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분포 모드에서, 기지국들(210, 220 및 230) 각각은 2개의 반송파들(F1 및 F2)을 각각 사용하고, F1 및 F2에 대응하는 셀 커버리지 범위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F1 및 F2는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 대역내에 있을 수도 있고, 이것은 일종의 통상의 연속 반송파 집적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신에서, 단말기(250)는, 그 단말기(250)가 셀 커버리지 범위내에 있는 한은, 2개의 반송파들(F1 및 F2)의 커버리지 범위들 양자내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다른 조건이 고려되지 않으면, 2개의 반송파들(F1 및 F2)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고, 반송파들(F1 및 F2) 중 어느 하나가 새로운 요소 반송파로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고, 다르게는, 다른 조건들을 더 고려한 경우 하나의 반송파가 2개의 반송파들(F1 및 F2)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각 반송파의 신호 품질, 간섭 크기, 부하 조건들, 및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같은)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대해, 특정한 반송파에 대해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지면, 신호는 이러한 반송파에 대해 간섭을 덜 받고, 이러한 반송파는 비교적 낮은 부하 및 더 많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자원을 갖고, 이러한 반송파가 요소 반송파로서 선택되는 가능성이 비교적 더 높다.
상기 고려되는 다양한 요인들은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들 또는 상이한 가중치들을 가질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이 각 요인마다 설정되는 경우에, 결정은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요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순서의 우선순위 레벨들이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우선순위 레벨들의 설정에 기초하여, 후보 요소 반송파가 상기 요인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이 상기 요인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우선순위 레벨은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우선순위 레벨들보다 높고, 다르게는, 우선순위 레벨들의 반대 순서가 설정되거나, 상이한 요인들 또는 상이한 수의 요인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이 설정된다. 즉,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설정 및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에 기초하여, 후보 요소 반송파가 요인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만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황에 의존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는) 가중치가, 상기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각각 내에서, 예를 들어,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각 요인마다 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가중치들이 상이한 요인들에 대해 설정되는 경우에, 요소 반송파의 선택에 대한 각 요인의 영향은 종합적으로 고려된다. 실제 요건에 의존하여, 임의의 가중치 분포가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가중치는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애플리케이션 신,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제2 분포 모드에서, 기지국들(310, 320 및 330) 각각은 2개의 반송파들(F3 및 F4)을 각각 사용하고, F4의 커버리지 범위가 더 크고 F3의 커버리지 범위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F4에 대응하는 셀은 주로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F3에 대응하는 셀은 쓰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F3 및 F4는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 대역들 내에 있을 수도 있고, 이것은 비연속 반송파 집적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신에서, 단말기(250)가 F3의 커버리지 범위내가 아닌 F4의 커버리지 범위내에만 있을 때, 하나의 가용 반송파, 즉, F4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 선택의 문제는 없다. 단말기(250)가 F3 및 F4의 커버리지 범위들 내에 동시에 있을 때, 커버리지 선택의 문제가 있다. 본 출원에 의해 제안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에, 다른 조건이 고려되지 않으면, 더 큰 커버리지 범위를 갖는 반송파, 즉, F4가 새로운 요소 반송파로서 선택될 수 있다. 더 큰 커버리지 범위를 갖는 다중의 반송파들이 존재하고 커버리지 범위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또한, 요소 반송파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제1 신에서의 선택 전략에 따라 선택된다.
물론, 제1 신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반송파가 다른 조건들을 더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하게는, 각 반송파의 신호 품질, 간섭 크기, 부하 조건들,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PDCCH 등과 같은)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기준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대해, 특정한 반송파에 대해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지면, 신호는 이러한 반송파에 대해 간섭을 덜 받고, 이러한 반송파는 비교적 낮은 부하 및 더 많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자원을 갖고, 이러한 반송파가 요소 반송파로서 선택되는 가능성이 비교적 더 높다.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를 포함하는, 상기 고려되는 다양한 요인들은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들 또는 상이한 가중치들을 가질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이 각 요인마다 설정되는 경우에, 결정은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요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순서의 우선순위 레벨이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우선순위 레벨들의 설정에 기초하여, 후보 요소 반송파가 상기 요인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이 상기 요인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범위의 우선순위 레벨은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고,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우선순위 레벨은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우선순위 레벨들보다 높고, 다르게는, 우선순위 레벨들의 반대 순서가 설정되거나, 상이한 요인들 또는 상이한 수의 요인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이 설정된다. 즉,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설정 및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에 기초하여, 후보 요소 반송파가 요인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만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황에 의존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는) 가중치가, 상기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각각 내에서, 예를 들어,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각 요인마다 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가중치들이 상이한 요인들에 대해 설정되는 경우에, 요소 반송파의 선택에 대한 각 요인의 영향은 종합적으로 고려된다. 실제 요건에 의존하여, 임의의 가중치 분포가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버리지 범위의 가중치는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가중치는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애플리케이션 신,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제3 분포 모드에서, 기지국들(410, 420 및 430) 각각은 2개의 반송파들(F5 및 F6)을 각각 사용하고, 2개의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지도 않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포함되지도 않지만, 서로 오버랩된다. F5에 대응하는 셀은 주로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F6에 대응하는 셀은 쓰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신은, F6에 대응하는 셀의 안테나가 F5에 대응하는 셀에서의 에지 영역으로 향하고, 이것은 F5에 대응하는 에지 영역의 쓰루풋을 매우 향상시킨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F5 및 F6은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 대역들내에 있을 수도 있고, 이것은 비연속 반송파 집적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신에서, 단말기(250)가 F5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만 있거나 F6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만 있을 때, 하나의 가용 반송파, 즉, F5 또는 F6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 선택의 문제는 없다. 단말기(250)가 F5 및 F6의 커버리지 범위들 내에 동시에 있을 때, 즉, 2개의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오버랩 영역에 있을 때, 커버리지 선택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조건의 고려되지 않으면, 후보 요소 반송파는 적어도 단말기가 위치되는 위치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에 대한 3개의 모드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정된다. 그러나,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은 다른 방식들로 분할될 수 있고, 여기에서의 3개의 모드들이 또한 변하고, 스플릿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모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단말기(250)는 가용 반송파(F5)의 에지에 있으며 이러한 가용 반송파로부터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가 이러한 가용 반송파로부터 빠르게 벗어나면, 후보 요소 반송파가 되는 더 높은 가능성이,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가용 반송파(여기서 F6)에 할당된다. 물론,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반송파는 후보 요소 캐리어로서 직접 선택될 수 있고, 즉, 확률이 100%이다.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이 있는 경우에(F6 외에도, 여전히 다른 가용 반송파들이 있음), 후보 요소 반송파는,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또는 제2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다.
"빠르게" 벗어나는 것이 상기 언급되었다. 여기서 "빠르게"는 단말기의 속도에 따라,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반송파 커버리지 범위를 곧 벗어날 것이지만 작은 범위에서 단지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가 작은 범위 주위에서 걷지만 이러한 반송파 커버리지 범위 밖으로 가려고(예를 들어, 다른 장소로 가려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 이때 반송파가 업데이트되면 불필요한 동작들이 유도된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얼마나 높은 속도가 "빠르게"를 의미하는지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특히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의 다른 모드를 예시하고, 즉, 단말기(250)는 특정한 가용 반송파(F5)의 에지에 있고 이러한 가용 반송파(F5)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후보 요소 반송파는 적어도 가용 반송파들(F5 및 F6)의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즉, 제2 애플리케이션 신과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커버리지 범위가 거의 동일하면, 제1 신에서의 선택 전략이 적용될 것이다.
도 7은 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에 대한 다른 모드를 예시하고, 즉, 단말기(250)는 가용 반송파들(F5 및 F6)의 오버랩 영역에서의 위치에 있지만, 오버랩 영역의 에지로부터 멀리, 즉, 오버랩 영역내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후보 요소 반송파는 적어도 가용 반송파들(F5 및 F6)의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즉, 제2 애플리케이션 신과 유사하게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커버리지 범위가 거의 동일하면, 제1 신에서의 선택 전략이 적용될 것이다.
물론,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 신들과 유사하게, 하나의 반송파가 다른 조건들을 더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하게는, 각 반송파의 신호 품질, 간섭 크기, 부하 조건들, 및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PDCCH와 같은)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기준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가 위치되는 위치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및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를 포함하는 이들 요인들은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들 또는 상이한 가중치들을 가질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이 각 요인마다 설정되는 경우에, 결정은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요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순서의 우선순위 레벨은,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의 이동 방향, 단말기의 이동 속도,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우선순위 레벨들의 설정에 기초하여, 후보 요소 반송파가 상기 요인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이 상기 요인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의 이동 방향, 단말기의 이동 속도 및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의 우선순위 레벨은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고,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우선순위 레벨은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우선순위 레벨들보다 높고, 다르게는, 우선순위 레벨들의 반대 순서가 설정되거나, 상이한 요인들 또는 상이한 수의 요인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이 설정된다. 즉,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설정 및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에 기초하여, 요소 반송파가 요인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만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황에 의존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는) 가중치가, 상기 우선순위 레벨 그룹들의 각각 내에서, 예를 들어,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각 요인마다 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가중치들이 상이한 요인들에 대해 설정되는 경우에, 요소 반송파의 선택에 대한 각 요인의 영향은 종합적으로 고려된다. 실제 요건에 의존하여, 임의의 가중치 분포가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의 이동 방향, 단말기의 이동 속도 및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의 가중치는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가중치는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요소 반송파의 선택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신들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신들이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혼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들은 서로 완전하게 일치할 수도 있고(제1 애플리케이션 신), 포함 관계를 가질 수도 있거나(제2 애플리케이션 신) 서로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수도 있다(제3 애플리케이션 신).
따라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에 의해 제안된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요소 반송파는, 사용될 요소 반송파가 유도될 때까지, 후보 요소 반송파들의 범위를 축소하도록,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신들에 대해 구성된 선택 전략들을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선택된다. 즉,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적어도 2개의 소정의 모드들을 포함할 때, 고유 후보 요소 반송파가 유도될 때까지, 후보 요소 반송파들은 먼저 모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결정된 후, 세컨더리 후보 요소 반송파들이 다른 모드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각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가 먼저 결정된다(단계 102). 그 후,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지가 결정된다(단계 104). 2개의 단계들은 제1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되었고,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커버리지 범위가 제1 모드(806) 및 제2 모드(910)와 같은 다중의 분포 모드들을 갖는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 후보 요소 반송파들이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규칙에 따라 먼저 결정될 수 있다(단계 808). 예를 들어, 제1 모드가 이전에 설명한 제3 애플리케이션이면, 제3 애플리케이션 신에서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선택 전략이 후보 요소 반송파들을 선택하는 데 채용된다. 결정된 후보 요소 반송파는 고유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흐름이 종료되고, 결정된 후보 요소 반송파가 사용된다. 결정된 후보 요소 반송파는 또한 고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애플리케이션 신에서, 단말기의 이동 방향으로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이 존재하고, 각 가용 반송파의 다른 양태들에서의 요소들 또는 선택 전략에 따라 고려되는 요소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후보 요소 반송파들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유도하기 위해,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규칙(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애플리케이션 신에 대응하는 선택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다중의 후보 요소 반송파들 중에서 연속 선택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단계 812).
도 8은 2개의 분포 모드들을 갖는 상황을 단지 예시한다. 명백하게는, 다중의 분포 모드들이 있을 수도 있고, 다양한 분포 모드들에 대한 선택 전략들의 애플리케이션 순서는 선택적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또한, 단말기가 반송파 집적 모드에서 동작할 때, 하나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이외에, 모드가 활성 상태에 있는 동시에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SCC)들이 여전히 있다. 한편, 구성되었지만 비활성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반송파들이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반송파들이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할 때,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이미 사용중인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아직 구성되지 않았거나 구성되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들로부터 또한 선택될 수 있다. 세컨더리 반송파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할 때,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아직 구성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구성되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들로부터 또한 선택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상이한 상태에서의 반송파들은 추가될 때 상이한 동작 복잡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기초하여, 각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는, 후보 요소 반송파가 결정될 때 각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를 더 고려하기 위해, 요소 반송파가 선택될 때 먼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은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고,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은 구성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다.
여기서,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은 더 높은 가중치를 의미하거나, 일부 상황들, 예를 들어,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4 실시예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의 초기 액세스를 위한 셀에 대응하는 반송파, 또는 단말기에 의해 재확립하는 접속 동안 사용된 반송파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서 본질적으로 디폴트된다. 그러나, 단말기, 기지국 상태 및 네트워크 조건들에서의 변동들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요소 반송파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이전의(old)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전환된다.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부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의 핸드오버는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고, 종래 기술에 이미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본 출원에서, 출원인은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새로운 흐름을 제안한다.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는 여러 횟수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가 셀에 초기에 액세스할 때 또는 접속이 재확립된 이후의 제1 시간 동안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초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즉,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서 디폴트된 단말기의 초기 액세스 동안 또는 무선 자원 접속의 재확립 동안 사용된 반송파이다.
반송파 집적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수반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각 반송파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에 있을 수도 있고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내에 있을 수도 있다. 업데이트 이전 및 이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에 있는지 여부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할 때 요구되는 오버헤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용 반송파들 사이의 주파수 관계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위해 또한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 동안, 각 가용 반송파의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가 먼저 취득될 수 있고, 그 후, 각 가용 반송파의 주파수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사이의 관계가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기 위해 또한 고려된다. 동일한 활성화 및 구성 상태를 갖는 가용 반송파들 중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의 가용 반송파들이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다. 유사하게,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은 더 높은 가중치를 의미하거나, 일부 상황들, 예를 들어,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5 실시예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의 초기 액세스를 위한 셀에 대응하는 반송파, 또는 단말기에 의해 재확립하는 접속 동안 사용된 반송파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서 본질적으로 디폴트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건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반송파를 추가하여 반송파 집적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먼저,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추가된다.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추가는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고, 종래 기술에 이미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본 출원에서, 출원인은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는 새로운 흐름을 제안한다.
제6 실시예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에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도움을 받아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또한 기지국의 도움을 받아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가 먼저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 및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및 기지국의 설명에서, 필요하지 않으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더 이상 반복되지 않을 것이며,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용으로 구성된 단말기(920)가 기지국(960)과 통신하고, 기지국(960)의 도움으로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며, 그 요소 반송파를 기지국(96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920)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또는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반송파 분포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지를 결정하는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904),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 경우에, 적어도 분포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 및 사용되도록 결정된 요소 반송파를 기지국에 통지하는(프로세스 (4)) 통지 유닛(908)을 포함한다.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의 목적은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이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의 위치 및 기지국의 반송파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단말기의 위치는 다중의 기지국(960)들에 의해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고,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등의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940)에 의해 단말기(920)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위성 포지셔닝의 경우에,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은 단말기에 내장되고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과 통신하는(프로세스 (1))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단말기의 위치를 기지국(960)으로 전송하고(프로세스 (2)), 단말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960)은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으로 전송한다(프로세스 (3)). 실시예의 변동에서, 단말기(902)는 기지국(960) 없이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902)는 각 반송파의 신호 강도를 검출함으로써 특정한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내에 단말기 자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의 결정에 관하여, 프로세스들 (2) 및 (3)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기지국 포지셔닝의 경우에, 단말기의 위치가 기지국에 의해 획득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기에서의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이 기지국(960)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프로세스 (3)), 이러한 위치에 따라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 소정의 분포 모드이라는 것을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904)이 결정하면,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모든 가용 반송파들을 후보 요소 반송파들로서 취한다.
커버리지 범위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용 반송파가 존재한다는 것이 소정의 분포 모드이라는 것을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904)이 결정하면,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한다.
커버리지 범위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지 않고 하나의 커버리지 범위가 다른 커버리지 범위에 포함되지도 않지만 서로가 오버랩되는 적어도 2개의 가용 반송파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소정의 분포 모드이라는 것을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904)이 결정하면,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은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적어도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상이한 순간들에 단말기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위치들은 내장형 위성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960)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도,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위성 포지셔닝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960)으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위치 정보가 기지국(960)으로부터 획득되는 경우에, 기지국(960)은 (확실히 다른 프로세스일 수 있는) 프로세스 (3)에 의해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위치가 기지국(960)에 의해 계산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계산은 또한 기지국(960)에 의해 명백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지국(960)은 단지 (확실히 다른 프로세스일 수 있는) 프로세스 (3)에 의해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에 직접 제공하면 된다.
따라서,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으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단말기가 특정한 가용 반송파의 에지에 있고 이러한 가용 반송파를 빠르게 벗어나고 있음을 나타내면, 후보 요소 반송파가 되는 더 높은 가능성이,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가용 반송파에 할당되고,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902)에 의해 획득된 정보가 단말기가 특정한 가용 반송파의 에지에 있고 이러한 가용 반송파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거나 단말기가 오버랩 영역내의 위치에 있지만 그 오버랩 영역의 에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후보 요소 반송파가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이 있으면, 후보 요소 반송파가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품질은 종래의 기법들에 따라 단말기 자체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이고, 현재의 단말기에 대한 다른 기지국들, 반송파들, 단말기들 등의 간섭도 또한 종래의 기법들에 따라 신호 품질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는 정보이다.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부하 조건들은 종래의 기법들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정보이다(도 10의 프로세스 (5) 참조).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현재의 단말기의 간섭을 고려하면,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기지국은 다른 단말기들의 보고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후보 요소 반송파의 결정시, 커버리지 범위, 단말기의 위치,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중요도가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중요도보다 높고,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중요도가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중요도보다 높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고, 다르게는, 후보 요소 반송파는 커버리지 범위, 단말기의 위치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요인 또는 다중의 요인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적어도 2개의 소정의 모드들을 포함할 때, 고유 후보 요소 반송파가 유도될 때까지, 후보 요소 반송파가 먼저 모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결정된 후, 세컨더리 후보 요소 반송파들이 다른 모드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는 각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를 취득하는 반송파 상태 취득 유닛(910)(도 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각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가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데 또한 고려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은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고,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은 구성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0에서의 프로세스 (5)를 갖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다른 변형에서, 도 10에서의 프로세스 (5)가 존재할 수 있음을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단말기에 의해 결정된 요소 반송파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일 수 있고, 또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일 수 있다.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때,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906)은, 각 가용 반송파의 주파수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사이의 관계가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데 또한 고려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활성화 및 구성 상태를 갖는 가용 반송파들 중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의 가용 반송파들이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기지국과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를 개시한다. 명백하게, 상기 단말기 및 그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으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을 또한 개시한다.
제7 실시예
제6 실시예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단말기를 설명하였다. 제7 실시예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기지국을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및 아래의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및 기지국의 설명에서, 필요하지 않으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더 이상 반복되지 않을 것이며,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1220)은 단말기(1260)와 통신하고, 단말기(1260)의 도움으로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며, 그 요소 반송파를 단말기(126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220)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또는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반송파 분포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지를 결정하는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1204),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소정의 분포 모드에 따르는 경우에, 적어도 분포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사용될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 및 사용되도록 결정된 요소 반송파를 단말기에 통지하는(프로세스 (4)) 통지 유닛(1208)을 포함한다.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의 목적은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이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의 위치 및 기지국의 반송파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단말기의 위치는 기지국(1220) 자체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등의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940)에 의해 단말기(1260)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다(프로세스 (1)).
따라서, 위성 포지셔닝의 경우에,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은, 기지국의 가용 반송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더 획득하기 위해, 내장형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포지셔닝 정보를 단말기(126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프로세스 (2)).
또한, 기지국 포지셔닝의 경우에, 단말기의 위치가 기지국에 의해 획득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이러한 위치에 따라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 소정의 분포 모드이라는 것을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1204)이 결정하면,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모든 가용 반송파들을 후보 요소 반송파들로서 취한다.
커버리지 범위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용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용 반송파가 존재한다는 것이 소정의 분포 모드이라는 것을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1204)이 결정하면,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한다.
커버리지 범위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하지 않고 하나의 커버리지 범위가 다른 커버리지 범위에 포함되지도 않지만 서로가 오버랩되는 적어도 2개의 가용 반송파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소정의 분포 모드이라는 것을 반송파 분포 모드 결정 유닛(1204)이 결정하면,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은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적어도 단말기의 위치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상이한 순간들에 단말기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위치들은 내장형 위성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1220)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도,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단말기(1260)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 또는 기지국에 의해 계산된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위치가 위성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1260)에 의해 획득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계산은 또한 단말기 자체에 의해 명백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기(1260)는 단지 (물론 다른 프로세스일 수 있는) 프로세스 (2)에 의해 단말기의 위치 정보,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에 직접 제공하면 된다.
따라서,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으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단말기가 특정한 가용 반송파의 에지에 있고 이러한 가용 반송파를 빠르게 벗어나고 있음을 나타내면, 후보 요소 반송파가 되는 더 높은 가능성이,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가용 반송파에 할당되고, 단말기 정보 취득 유닛(1202)에 의해 획득된 정보가 단말기가 특정한 가용 반송파의 에지에 있고 이러한 가용 반송파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거나 단말기가 오버랩 영역내의 위치에 있지만 그 오버랩 영역의 에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후보 요소 반송파가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벗어나는 방향에 대응하는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이 있으면, 후보 요소 반송파가 적어도 커버리지 범위의 사이즈에 따라 다중의 가용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품질은 종래의 기법들에 따라 단말기 자체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이고, 현재의 단말기에 대한 다른 기지국들, 반송파들, 단말기들 등의 간섭도 또한 종래의 기법들에 따라 신호 품질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이다.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부하 조건들은 종래의 기법들에 기초하여 기지국 자체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정보이다.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현재의 단말기의 간섭을 고려하면, 관련 정보는 다른 단말기들에 의해 보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획득된다. 따라서,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요구되는 경우에 단말기(1260)로부터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도 13에서의 프로세스 (5) 참조).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후보 요소 반송파의 결정시, 커버리지 범위, 단말기의 위치, 및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중요도가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중요도보다 높고,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의 중요도가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의 중요도보다 높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고, 다르게는, 후보 요소 반송파는, 커버리지 범위,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신호 품질,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간섭 크기 및 부하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요인 또는 다중의 요인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상이한 가용 반송파들의 커버리지 범위들의 분포가 적어도 2개의 소정의 모드들을 포함할 때, 고유 후보 요소 반송파가 유도될 때까지, 후보 요소 반송파가 먼저 모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결정된 후, 세컨더리 후보 요소 반송파들이 다른 모드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후보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를 취득하는 반송파 상태 취득 유닛(1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각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가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데 또한 고려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가용 반송파들의 우선순위 레벨은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고,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은 구성되지 않은 가용 반송파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다. 여기서,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는 단말기 자체의 상태이고,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기지국은 프로세스 (6)(도 14)을 통해 이러한 단말기의 가용 반송파의 활성화 및 구성 상태 정보를 단말기(1260)로부터 획득할 필요가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3에서의 프로세스 (5)를 갖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다른 변형에서, 도 13에서의 프로세스 (5)가 존재할 수 있음을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요소 반송파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일 수 있고, 또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일 수 있다.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때, 요소 반송파 결정 유닛(1206)은, 각 가용 반송파의 주파수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사이의 관계가 후보 요소 반송파를 결정하는 데 또한 고려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활성화 및 구성 상태를 갖는 가용 반송파들 중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의 가용 반송파들이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단말기와 상호작용하는 기지국을 개시한다. 명백하게, 상기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을 또한 개시한다.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
제8 실시예
상기 실시예들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요소 반송파가 선택된 이후에, 적합한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부터 선택된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전환하거나, 선택된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특정한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선택된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것(실제로는 추가 동작과 삭제 동작의 결합)이 필요하다. 또한,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거나 추가하는 기회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이 방법은,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단계 1502),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504),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이전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단계 1506)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단말기, 기지국, 사용중인 요소 반송파의 성능 및 상태, 및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있을 수도 있다. 관련 정보는 다양한 측정 또는 통신 수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대해, 다양한 소정의 조건들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요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업데이트된다.
한정적인 열거가 아니라 예시적인 예로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데 고려되는 조건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단말기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외부로 이동하고,
2.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고,
3.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충분하지 않고,
4. 원래의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전체 부하의 밸런스 및 사용자들 사이의 간섭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5.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로 이동한다.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는 핸드오버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재구성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 흐름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은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그 후, 단말기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및 무선 링크 제어(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 내의 이동성 제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한다.
그 후,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에 액세스하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될 수 있거나, 기지국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는 액세스 요청이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쟁 프로세스이고,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은 자원 및 다른 단말기들로부터의 액세스 요청들에 따라 할당을 수행하고, 즉, 랜덤 액세스는 단말기들이 자원을 확보하는 프로세스이다. 랜덤 액세스가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 필요하면 재시도될 수도 있거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재-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되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한 대응하는 자원을 사전에 이미 예약하였다. 따라서, 단말기는, 단말기 측에서의 상황이 변하지 않으면 이에 응답만 하면 된다. 이러한 랜덤 액세스를 비경쟁 랜덤 액세스로 칭한다.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액세스된 이후에,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비활성화는 2개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방식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활성화 커맨드를 단말기에 직접 송신하고, 단말기는 그 비활성화 커맨드의 수신 후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것이다. 다른 방식은, 암시적 비활성화 방식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는 것이고(도 16에 미도시), 즉,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비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할 필요가 없으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자동 비활성화한다. 이러한 자동 동작은 예를 들어,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고, 즉, 시스템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시간을 사전에 정의하거나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사전에 정의한다.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은 여기에 언급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할 때, 상기 2개의 용어들은 동일한 기지국을 가리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는 재구성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 흐름과 비교하여, 재구성 흐름은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및 중요한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 않지만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하는, RRC 재구성 정보의 컨텐츠는 단순화된다. 따라서, RRC 재구성 정보의 수신 이후에, 단말기는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면 되지만, MAC, PDCP,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보안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에 의해 초래되는 추가 시스템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고,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으로 인한 사용자에 대한 더 낮은 서비스 품질의 문제점이 회피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를 들어,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RRC 정보 바디에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모든 관련 구성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은 불필요하고,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와 비교하여 업데이트되는 구성 정보, 즉,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증분 시그널링이라 칭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명백하게, 모든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는 핸드오버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모든 업데이트가 재구성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보안 키를 갖고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는 것이 불필요한 경우에만, 재구성 흐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출원은 업데이트하는 흐름이 업데이트 신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계속 제안한다. 업데이트 이전 및 이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에,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재구성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업데이트된다. 업데이트 이전 및 이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는 경우에,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핸드오버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업데이트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흐름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702),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에, 재구성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기지국에 의해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단계 1704),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의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단계 1704), 및 핸드오버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단계 170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1704에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이하, 이전의 기지국이라 약칭함)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이하 새로운 기지국이라 약칭함)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새로운 기지국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의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위해 필요한 구성 정보를 준비할 수 있고, 따라서, 이전의 기지국은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필요한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이전의 기지국은 핸드오버 흐름 동아 단말기에 전송될 RRC 재구성 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재구성 흐름(1704) 및 핸드오버 흐름(1706)은 상기에 도 16 및 도 18과 함께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약간의 차이점은,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기 때문에, RRC 재구성 정보가 이전의 기지국으로 여전히 전송되더라도, 구성이 완료된 이후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새로운 기지국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이다(이하 도 31과 함께 상세히 설명됨). 단말기가 구성을 완료한 이후의 응답(또는 확인)이 또한 새로운 기지국으로 직접 전송된다.
제8 실시예를 제9 실시예와 비교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세스 동안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오버헤드가 증가되고 통신 인터럽트의 현상이 반드시 발생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재구성 흐름이 채용되면, 시스템 오버헤드는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며, 통신 인터럽트의 기간은 감소된다. 따라서, 핸드오버 흐름 또는 재구성 흐름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는지 여부가 업데이트 이전 및 이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제9 실시예에 의해 제안된 방법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로 인한 추가 시스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고,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로 인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재구성 흐름에서,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에 있고 동일한 시간 어드밴스(time advance)를 가지며, 이러한 양측의 반송파는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유지한다.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되기 이전에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0 실시예
제8 및 제9 실시예에서, 암시적 전제는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고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거나 초기에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는 신이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신에서, 아직 초기에 구성되지 않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서 사용될 반송파를 초기에 구성하고 활성화하고, 초기에 구성되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서 사용될 반송파를 활성화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초기 구성(즉, 이러한 반송파의 추가)은 핸드오버 흐름 또는 재구성 흐름의 시작에서 수행되어야 하지만(도면들에는 미도시), 활성화 프로세스는 시간 순서에 관하여 비교적 플렉시블하다. 도 16, 도 18 및 도 19에 대응하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 프로세스 동안, 활성화 커맨드는 구성이 완료된 이후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이후, 또는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되기 이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비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 프로세스는 또한 단말기 자체에 의한 암시적 비활성화일 수 있다). 다르게는, 도 16, 도 18 및 도 19에 대응하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 프로세스 동안, 활성화 커맨드는 또한 RRC 재구성 정보가 전송되기 이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커맨드는 다른 커맨드들과 조합될 수 있거나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 초기 구성 및 활성화 프로세스들은 구성 및 활성화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구성 및 활성화" 프로세스로서 정의되도록 조합될 수 있고, 즉, 기지국이 "구성 및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커맨드를 수신한 이후에 구성 및 활성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활성화 커맨드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초기 구성 흐름 및 후속 핸드오버 흐름 또는 재구성 흐름은 수행될 하나의 커맨드에 포함되지만 분리되지 않도록 조합될 수 있다. 즉, 초기 구성 커맨드는 RRC 재구성 정보와 조합될 수 있다.
제11 실시예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는 선택된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특정한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선택된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후자의 상황은, 실제로는 추가 동작과 삭제 동작의 조합이다. 제8 실시예에서의 고려사항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는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거나 추가하는 기회를 적절하게 결정하기 위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방법은,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단계 2202),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2204),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단계 2206)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기, 기지국, 사용중인 요소 반송파의 성능 및 상태, 또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존재하고, 관련 정보가 다양한 측정 또는 통신 수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대해, 다양한 소정의 조건들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요건에 의존하여 설정될 수 있고,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는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업데이트된다.
한정적인 열거가 아니라 예시적인 예로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데 고려되는 조건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더 많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들이 서비스의 요건으로 인해 필요하고;
2. 단말기가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외부로 이동하고;
3.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고;
4.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충분하지 않고;
5. 원래의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전체 부하의 밸런스 및 사용자들 사이의 간섭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6.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로 이동한다.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가 재구성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 흐름은 도 18과 함께 설명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재구성 흐름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고유하지 않기 때문에,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의 본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는 것이고, 따라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위한 재구성 흐름은 비활성화 프로세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재구성 흐름에서, 기지국은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한다. 그 후, 단말기는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한다.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거나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에 의해 초래되는 추가 시스템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에 의해 초래되는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저하 문제가 회피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를 들어,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RRC 정보 바디에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모든 관련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증분 시그널링이라 칭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유사하게, 제10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제로는,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았거나 초기에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신이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신에서, 사용될 반송파를, 초기에 아직 구성되지 않았거나, 초기에 구성되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서 활성화시키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도 27 및 도 28).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에 대해, 본 출원에서의 재구성이 완료될 때,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재구성이 완료된다(즉, 이러한 반송파의 추가). 활성화 프로세스는 또한 시간 순서에 관하여 비교적 플렉시블하다. 도 2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 프로세스 동안, 활성화 커맨드는 RRC 재구성 정보에 기초한 구성이 완료된 이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 프로세스 동안, 활성화 커맨드는 RRC 재구성 정보가 전송되기 이전에 기지국에 의해 또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활성화 커맨드는 다른 커맨드들과 조합될 수 있거나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커맨드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제12 실시예
제8 내지 제10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하는 기지국과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을 각각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 및 아래의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의 설명에서, 필요하지 않으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더 이상 반복되지 않을 것이며,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2420)은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기(2520)와 통신하고,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상태 취득 유닛(2402),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유닛(2404),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240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취득 유닛(2402)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 조건이 충족되는지에 기초하여 상태 결정 유닛(2404)이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사용된다. 어떤 정보를 획득할지는 업데이트 조건에 의존하고, 그 결과 업데이트 조건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조건을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단말기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외부로 이동하고,
2.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고,
3.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충분하지 않고,
4. 원래의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전체 부하의 밸런스 및 사용자들 사이의 간섭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5.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로 이동한다.
그 후, 조건 1 및 5에 대해, 판정은 단말기의 위치 및 대응하는 기지국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조건 2에 대해, 단말기로부터 신호 품질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건 3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건 4는 순전히 기지국으로부터의 커맨드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어떤 소정의 조건인지에 의존하여, 상태 획득 유닛(2402)은 단말기(2520)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기지국 자체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할 필요만 있을 수도 있고, 또한,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단말기(2520)와 상호작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정보를 취득하는 특정한 방식이 요소 반송파의 선택과 관련하여 제공된 설명에 설명되었고, 이것은 여기에서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2406)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단말기(2502)와 상호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의 모든 업데이트는 핸드오버 흐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2406)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24062), -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 정보 및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함 -, 및 비경쟁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거나 단말기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응답하는 랜덤 액세스 유닛(24064)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흐름은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포함한다. 그러나, 비활성화 커맨드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수 있거나, 암시적 비활성화가 단말기 자체에 의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전자의 방식으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2406)은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 커맨드 송신 유닛(240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방식으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2406)은 비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24066)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응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단말기(2520)를 더 제공하고, 이 단말기(2520)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2502),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따라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는 이동성 제어 구성 유닛(2504),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2506), 경쟁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거나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비경쟁 랜덤 액세스에 응답하는 랜덤 액세스 유닛(2510), 및 사전설정에 따르거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비활성화 커맨드에 따라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화 유닛(2508)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2420) 및 단말기(2520)는 핸드오버 흐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질적으로, 상술한 재구성 흐름이 완료될 때,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24062)이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단말기(2520)에 의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한다. 대응하여, 이동성 제어 구성 유닛(2504)의 기능은 단말기(2520)에서 필요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구성 흐름은 일반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갖지 않고, 따라서, 재구성 흐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기지국(2420) 및 단말기(2520)는 모두 랜덤 액세스 유닛을 가질 수 없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2420) 및 단말기(2520)는 또한,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아래의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되기 이전에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에 랜덤하게 액세스하도록,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유닛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에 있고 동일한 시간 어드밴스를 가지며, 이러한 양측의 반송파는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에 대해, 바람직한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신에 의존하여 핸드오버 흐름 또는 재구성 흐름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고, 따라서, 기지국 및 단말기가, 핸드오버 흐름 및 재구성 흐름을 프로세싱하는 능력을 각각 갖는 것이 양호하다. 단말기(2520)에 대해, 도 30에 도시된 단말기(2520)의 모든 예시된 컴포넌트들이 핸드오버 흐름에서 사용되고, 컴포넌트들 중 일부만이 재구성 흐름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흐름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가 재구성 흐름도 또한 수행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RRC 재구성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따라서, 핸드오버 흐름 또는 재구성 흐름을 사용할지 여부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 흐름 및 재구성 흐름 양자를 지원하는 기지국(2420)에서, 상태 결정 유닛(2404)은 상태 취득 유닛(2402)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판정은 또한 기지국(2420)에서의 임의의 컴포넌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결과가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2406)에 통지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기지국 자체는 단말기의 현재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알고 있다. 그러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선택 동안,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고 기지국에 통지되고(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요청을 기지국에 송신함), 따라서, 기지국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단말기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단말기가 현재 속하는 기지국(즉,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요청해야 하기 때문에, 기지국의 상기 판정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기지국 자체의 반송파인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대응하여,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24062)은 상이한 경우들에서 상이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에, 단말기에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기 위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하고,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는 경우에,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단말기에 의해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는 정보 및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고 핸드오버가 사용되는 경우에, 단말기(2520)의 랜덤 액세스 유닛(2510)은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기지국(2420')의 랜덤 액세스 유닛(24064')과 상호작용하지만 이전의 기지국(2420)의 랜덤 액세스 유닛(24064)과는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운 기지국(2420')의 랜덤 액세스 유닛(24064') 및 이전의 기지국(2420)의 랜덤 액세스 유닛(24064)은 동일한 컴포넌트일 수 있지만 상이한 기지국 엔터티들에 속할 수 있고, 이들은 또한 상이한 컴포넌트들일 수 있고, 심지어 이전의 기지국(2420)은 새로운 기지국(2420')과 반드시 동일하지 않다. 그러나, 이상적인 조건에서, 이전의 기지국(2420) 및 새로운 기지국(2420')은 동일한 구조를 가져야 하고, 새로운 기지국(2420')의 컴포넌트들 중 일부만이 간결함을 위해 도 31에 예시되어 있다. 이하 언급하는 비활성화 유닛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단말기가 암시적 방식으로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비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랜덤 액세스 유닛과 유사하게,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고 핸드오버 흐름이 사용되는 경우에, 비활성화 커맨드는 새로운 기지국(2420')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고, 즉, 새로운 기지국(2420')의 비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24066')은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2520)의 비활성화 유닛(2508)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고 핸드오버 흐름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이한 기지국들이 수반되기 때문에, 상이한 기지국들 사이의 연관성이 또한 수반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이 단말기에 송신될 RRC 재구성 정보를 준비하도록,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새로운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들이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는 경우에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는 전환 요청 유닛(3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는 방법 실시예들에 설명되었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 또는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하도록,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이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전이나 송신하는 동안 또는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구성을 수행한 이후에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는 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초기에 구성(추가)하는 커맨드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초기 구성 유닛(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여,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활성화 유닛(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는 초기 구성 유닛(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도 29,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명은 상기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상기 기지국의 다양한 실시예들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을 더 개시한다.
제13 실시예
제1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하는 기지국과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을 각각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 및 아래의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의 설명에서, 필요하지 않으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더 이상 반복되지 않을 것이며,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3000)은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기(3020)와 통신하고,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단말기, 기지국 및/또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상태 취득 유닛(3002),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유닛(3004), 및 상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300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취득 유닛(3002)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 조건이 충족되는지에 기초하여 상태 결정 유닛(3004)이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사용된다. 어떤 정보를 획득할지는 업데이트 조건에 의존하고, 그 결과 업데이트 조건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조건을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더 많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들이 서비스의 요건으로 인해 필요하고;
2. 단말기가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 외부로 이동하고;
3.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고;
4.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 및 다운링크에 대한 물리적 자원량이 충분하지 않고;
5. 원래의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전체 부하의 밸런스 및 사용자들 사이의 간섭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요구하고;
6.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로 이동한다.
그 후, 조건 2 및 6에 대해, 판정은 단말기의 위치 및 대응하는 기지국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커버리지 범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조건 3에 대해, 단말기로부터 신호 품질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건 4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건들 1 및 5는 완전히 기지국으로부터의 커맨드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어떤 소정의 조건인지에 의존하여, 상태 획득 유닛(3002)은 단말기(3020)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기지국 자체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할 필요만 있을 수도 있고, 또한,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단말기(3020)와 상호작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정보를 취득하는 특정한 방식이 요소 반송파의 선택과 관련하여 제공된 설명에 설명되었고, 이것은 여기에서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3006)은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단말기(3002)와 상호작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3006)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30062)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한다.
대응하여, 본 실시예는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단말기(3020)를 더 제공하고, 이 단말기(3020)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3022), 및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3024)을 포함한다.
또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3006)은,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도록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추가되거나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된 이후에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고, 다르게는,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거나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도록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이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전이나 송신하는 동안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는 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300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여,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활성화 유닛(30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명은 상기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상기 기지국의 다양한 실시예들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을 더 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 중 일부를 상세히 상술하였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모든 또는 임의의 단계 또는 컴포넌트는 본 발명의 내용의 지식과 기본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네트워크(통신 네트워크 포함) 또는 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통신 디바이스 포함)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어서, 여기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가능한 외부 동작들이 상기 설명에 수반될 때,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및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명백하게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관련 하드웨어, 컴퓨터에서의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및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컴포넌트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임의의 정보 처리 디바이스상에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의 그룹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디바이스는 널리 공지된 범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방법 또는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단지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한다. 명백하게는,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자기 광 디스크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되어 있거나 장래에 개발될 임의의 타입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방법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 또는 다양한 단계들이 분할되고, 결합되고/되거나 분할된 후 재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들 분할 및/또는 재결합은 본 발명의 등가의 솔루션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일련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들은 설명의 시퀀스에 따라 연대순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시간 순서로 직렬로 불필요하게 수행된다. 일부 단계들은 병렬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이 일 실시예마다 제공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명백하게는, 당업자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포함된 다양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한, 다양한 실시예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명백하게, 동일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모든 기술적 특징들이 또한 이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한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최종으로, 용어들 "포함한다", "구비한다", "함유한다"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어서, 일련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이들 요소뿐만 아니라 명백하게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의 고유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더 이상의 제한이 없는 경우에, 문장 "하나를 구비한다(comprise a)"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의 이점들이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동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정의되며, 첨부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동,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7)

  1.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머리(primary)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서,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는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대체하는 데에 사용됨 - ; 및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에, 재구성 흐름을 사용하여 이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단계 - 상기 재구성 흐름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는 경우에, 핸드오버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되며,
    상기 핸드오버 흐름은,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의해,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서 상기 이동성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에 랜덤하게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의해 비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암시적 비활성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아래의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상기 재구성 흐름에서 비활성화되기 전에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랜덤하게 액세스되며,
    상기 아래의 조건들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에 있고, 동일한 시간 어드밴스(time advance)를 가지며, 양측이 상기 기지국과 동기화를 유지하는 것인,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단말기를 위해 초기에 구성되고 먼저 활성화되고;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먼저 활성화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커맨드 및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동시에 송신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거나,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7.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의해,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함 -;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은 경우, 혹은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먼저 활성화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커맨드 및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동시에 송신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추가되거나 상기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된 후에,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활성화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1.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상기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으로서,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유닛;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 -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에, 단말기에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보안 키를 업데이트하는 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기 위한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비경쟁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거나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응답하는 랜덤 액세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상이한 기지국들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속하는 기지국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는 전환 요청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 또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전이거나 송신하는 동안, 또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구성(configuration)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는 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초기에 구성하는 커맨드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초기 구성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 커맨드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7.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상기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으로서,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도록 구성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 - 상기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추가되거나 상기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된 후에,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고; 또는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가 초기에 구성 또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전이거나 송신하는 동안,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는 활성화 커맨드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9.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 구성된 단말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따라 MAC, PDCP 및 RLC 층들을 재구성하고 보안 키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이동성 제어 구성 유닛; 및
    경쟁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거나 상기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비경쟁 랜덤 액세스에 응답하는 랜덤 액세스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경쟁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거나 상기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비경쟁 랜덤 액세스에 응답하는 랜덤 액세스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하는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활성화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초기에 구성하는 초기 구성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4.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 구성된 단말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 및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하는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활성화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6.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며,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유닛;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 - 상기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가 상기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 및
    이전의 프라이머리 요소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7. 반송파 집적 통신 네트워크에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며, 기지국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추가하거나 이전의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로 대체하도록 구성된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 - 상기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 업데이팅 유닛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구성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는, 상기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의 무선 자원 구성 정보만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재구성 정보 수신 유닛; 및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무선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새로운 세컨더리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무선 자원 구성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27031412A 2010-04-30 2011-04-02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101456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62513.4 2010-04-30
CN201010162513.4A CN102238522B (zh) 2010-04-30 2010-04-30 更新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PCT/CN2011/072407 WO2011134338A1 (zh) 2010-04-30 2011-04-02 更新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371A true KR20130033371A (ko) 2013-04-03
KR101456771B1 KR101456771B1 (ko) 2014-10-31

Family

ID=4486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412A KR101456771B1 (ko) 2010-04-30 2011-04-02 요소 반송파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5) US9179462B2 (ko)
EP (5) EP3337207B1 (ko)
JP (3) JP5510609B2 (ko)
KR (1) KR101456771B1 (ko)
CN (3) CN106455076B (ko)
AU (1) AU2011247729B2 (ko)
BR (1) BR112012025577B1 (ko)
CA (1) CA2796018C (ko)
ES (1) ES2679248T3 (ko)
MX (2) MX2012012587A (ko)
RU (2) RU2563149C2 (ko)
WO (1) WO2011134338A1 (ko)
ZA (1) ZA2012088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976A1 (ko) * 2013-09-27 2015-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5076B (zh) * 2010-04-30 2022-01-25 索尼公司 无线资源控制装置和方法、基站和终端装置及其方法
CN102238552B (zh) * 2010-04-30 2015-08-05 索尼公司 选择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WO2013073916A1 (ko) * 2011-11-17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CN103368715B (zh) * 2012-03-28 2017-10-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应答信息的传输方法、系统以及装置
WO2014015474A1 (en) * 2012-07-24 2014-01-3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ell switching strategy for an lte-advanced system based on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JP5416820B1 (ja) * 2012-10-0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3987127B (zh) * 2013-02-07 201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方法、装置和系统
KR20140119853A (ko) * 2013-03-27 2014-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이동상태와 셀의 커버리지를 고려한 주요소 반송파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CN104159303B (zh) * 2013-05-15 2019-06-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成员载波分配方法及装置
WO2015011822A1 (ja) * 2013-07-25 2015-01-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542435B2 (en) 2013-09-24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in unlicensed spectrum
US10356623B2 (en) 2013-09-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US9775048B2 (en) * 2013-09-2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of a user equipment (UE) in unlicensed spectrum
WO2015076000A1 (ja) * 2013-11-25 2015-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US9560649B1 (en) * 2014-03-13 2017-01-31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to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5176996A1 (en) * 2014-05-19 2015-1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ation of scell configuration
US9503247B2 (en) * 2014-05-21 2016-11-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rrier aggregation management
US10536243B2 (en) * 2014-08-20 2020-0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resources
CN105792158B (zh) * 2014-12-22 2019-06-11 杭州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中的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US20160210665A1 (en) * 2015-01-20 2016-07-21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CN105992386A (zh) * 2015-02-12 2016-10-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授权载波的激活方法及装置
JP6492952B2 (ja) 2015-05-14 2019-04-0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基地局の処理方法
CN108141774B (zh) * 2015-10-05 2021-09-1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测量报告组的布置
KR20190025819A (ko) * 2016-07-01 2019-03-1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6851722B (zh) * 2017-01-19 2019-09-17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处理载波聚合配置的方法及装置
MX2020004485A (es) * 2017-11-16 2020-08-03 Sony Corp Dispositivo de comunicacion por radio, metodo de comunicacion por radio y programa de computadora.
BR112020014069A2 (pt) * 2018-01-12 2020-12-01 Ntt Docomo, Inc. terminal,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para um terminal e estação base
CN112804696B (zh) * 2020-12-31 2022-07-08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多模小区激活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9173A1 (en) * 2004-04-06 2005-10-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on based handoff for mobile devices
US20060245390A1 (en) * 2005-04-28 2006-11-02 Yukihiro Omot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constitu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893343B (zh) * 2005-07-05 2010-05-05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多载波hsdpa下行业务信道资源分配及数据传输的方法
RU2378764C2 (ru) * 2005-07-20 2010-01-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Асимметричный режим работы в системах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несущих
JP4648793B2 (ja) * 2005-08-04 2011-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端末
GB2429605B (en) * 2005-08-24 2008-06-04 Ipwirel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ignalling information
TWI415417B (zh) * 2006-02-03 2013-11-11 Lg Electronics Inc 用於在細胞邊緣區域加強表現之方法
JP4767768B2 (ja) * 2006-06-19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基地局で使用される方法
US9839005B2 (en) * 2006-08-02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based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wireless network optimization
CN101170526A (zh) * 2006-10-24 2008-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布式子载波映射到物理资源块的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终端
US8036702B2 (en) * 2007-05-14 2011-10-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 in wireless systems
KR100892069B1 (ko) * 2007-08-16 2009-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이동 속도 기반 망 자원 예약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이에 이용되는 이동 단말
US20090143078A1 (en) * 2007-11-30 2009-06-04 Palm, Inc. Techniques to manage a radio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8553712B2 (en) * 2008-02-01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signed a set of two or more carriers b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477737B2 (en) * 2008-03-26 2013-07-02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uplink coverage in multi-carrier systems
JP2009239766A (ja) * 2008-03-28 2009-10-15 Fujitsu Ltd 無線基地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ES2362397T3 (es) * 2008-04-11 2011-07-04 Innovative Sonic Limite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manipular un procedimiento de transferencia.
US8050369B2 (en) 2008-04-14 2011-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and processing multicommunication signals
KR101276848B1 (ko) * 2008-07-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93662B1 (ko) * 2008-09-05 2016-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1674681A (zh) * 2008-09-09 2010-03-17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n频点同频网络中的接入方法
JP4961040B2 (ja) * 2008-09-22 2012-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DK2351445T3 (en) * 2008-10-20 2015-10-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carrier Aggregation
CA2739880C (en) * 2008-10-22 2016-02-09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mobile station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apparatus and processing section
US8824390B2 (en) * 2008-12-03 2014-09-02 N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frequency channel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US8605616B2 (en) * 2008-12-26 2013-12-10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station apparatus, processing s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1459958A (zh) * 2009-01-06 2009-06-17 东南大学 分布式多天线正交频分多址系统的下行资源分配方法
US20130153298A1 (en) * 2009-02-19 2013-06-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ell-edge user performance and signaling radio link failure conditions via downlink cooperative component carriers
US8873505B2 (en) * 2009-03-12 2014-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CN101516095B (zh) * 2009-03-19 201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配载波的方法、装置及系统
CN101540978B (zh) 2009-04-27 2013-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分量载波标识方法、同步下行分量载波上报方法与装置
US20120044922A1 (en) * 2009-04-28 2012-02-2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KR101521892B1 (ko) * 2009-05-13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9014138B2 (en) * 2009-08-07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 virtual carrier for multi-carrier and coordinated multi-point network operation
CN101640978A (zh) 2009-08-29 2010-02-03 深圳市深联电路有限公司 一种制作单面电镍金板的方法及设备
CN101674586B (zh) * 2009-10-13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中的测量处理方法及系统
RU2558733C2 (ru) * 2009-11-19 2015-08-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Активация/деактивация компонентных несущих в системах с несколькими несущими
US8447314B2 (en) * 2009-12-21 2013-05-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ource management in a network environment
EP2517499B1 (en) * 2009-12-23 2019-06-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erforming measur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carriers
US20130022026A1 (en) * 2010-02-15 2013-01-24 Ntt Docomo, Inc.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363059B2 (en) * 2010-04-02 2016-06-07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N106455076B (zh) * 2010-04-30 2022-01-25 索尼公司 无线资源控制装置和方法、基站和终端装置及其方法
CN102238552B (zh) * 2010-04-30 2015-08-05 索尼公司 选择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US20110267948A1 (en) *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976A1 (ko) * 2013-09-27 2015-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756632B2 (en) 2013-09-27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US9769816B2 (en) 2013-09-27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848416B2 (en) 2013-09-27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867177B2 (en) 2013-09-27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314030B2 (en) 2013-09-27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841917B2 (en) 2013-09-27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576167B2 (en) 2013-09-27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5577B1 (pt) 2022-02-01
ZA201208899B (en) 2013-02-27
US20130034018A1 (en) 2013-02-07
EP3890380A1 (en) 2021-10-06
CN106455076B (zh) 2022-01-25
US20150131581A1 (en) 2015-05-14
MX339577B (es) 2016-05-31
BR112012025577A2 (ko) 2017-08-29
CN113194537A (zh) 2021-07-30
RU2563149C2 (ru) 2015-09-20
EP3598785A1 (en) 2020-01-22
EP4161115A1 (en) 2023-04-05
US9750023B2 (en) 2017-08-29
JP2013529426A (ja) 2013-07-18
CA2796018C (en) 2018-10-23
AU2011247729B2 (en) 2014-02-06
MX2012012587A (es) 2012-12-17
JP5510609B2 (ja) 2014-06-04
US20190166601A1 (en) 2019-05-30
EP3337207B1 (en) 2019-08-21
CA2796018A1 (en) 2011-11-03
RU2015132767A (ru) 2015-12-10
JP2014150558A (ja) 2014-08-21
CN106455076A (zh) 2017-02-22
RU2628132C2 (ru) 2017-08-15
EP3598785B1 (en) 2021-11-03
EP2566202A4 (en) 2016-04-06
EP3337207A1 (en) 2018-06-20
KR101456771B1 (ko) 2014-10-31
JP5943024B2 (ja) 2016-06-29
ES2679248T3 (es) 2018-08-23
US20170290019A1 (en) 2017-10-05
WO2011134338A1 (zh) 2011-11-03
AU2011247729A1 (en) 2012-11-01
US9179462B2 (en) 2015-11-03
JP6414140B2 (ja) 2018-10-31
JP2016149812A (ja) 2016-08-18
US10212707B2 (en) 2019-02-19
US20210112556A1 (en) 2021-04-15
EP2566202B1 (en) 2018-05-30
EP2566202A1 (en) 2013-03-06
US10912092B2 (en) 2021-02-02
CN102238522A (zh) 2011-11-09
CN102238522B (zh) 2016-11-16
RU2012151256A (ru) 2014-06-10
EP3890380B1 (en)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092B2 (en)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pdating component carrier
KR101471736B1 (ko)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CN104601314B (zh) 选择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AU2016202460B2 (en)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electing a component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