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583A -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583A
KR20130032583A KR1020110096268A KR20110096268A KR20130032583A KR 20130032583 A KR20130032583 A KR 20130032583A KR 1020110096268 A KR1020110096268 A KR 1020110096268A KR 20110096268 A KR20110096268 A KR 20110096268A KR 20130032583 A KR20130032583 A KR 2013003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ece
elastic piece
protru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285B1 (ko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2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몸체부(10)의 선단에 결합부(20)가 형성되고, 후단에 와이어바렐부(14)와 인슐레이션바렐부(16)로 구성되는 바렐(12)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0)를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베이스판(22)과 커버판(28)에는 각각 제1탄성편(30)과 제2탄성편(34)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편(30)에는 제1선단돌출부(32)와 제1후단돌출부(32')가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편(34)에도 상기 제1선단돌출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선단돌출부(36)가 상기 제1후단돌출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후단돌출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편(30)은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22)에 연결되는데,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편(30)은 기저부가 상기 커버판(28)에 연결되는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제2탄성편(30)의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될 때 지지되는 분리리브(58)가 상기 커버판(28)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터미널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되고 리셉터클 터미널의 견고성이 좋아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되는 탭터미널이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서로 결합되는 두 커넥터에 각각 사용되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터미널(1)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크게 몸체부(3)와 상기 몸체부(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부(5) 및 바렐부(4)로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4)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전선의 심선 및 피복이 상기 바렐부(4)에 압착되어 상기 터미널에 상기 전선이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5)는 속이 빈 박스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상대터미널인 탭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의 내부에는 탭터미널을 지지하여주는 탄성편(7)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5)의 외면에는 삽입가이드(11)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가이드(11)는 상기 터미널이 커넥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슬릿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가이드(11)가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야만 상기 터미널(1)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므로, 상기 터미널(1)이 상기 하우징에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탭터미널의 선단이 상기 결합부(5)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7)과 결합부(5)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데, 상기 탄성편(7)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5)의 일측 내면에 밀착된다. 하지만, 상기 탄성편(7)은 상대 탭터미널에 그 중간부분만이 접촉되므로 전체적으로 탭터미널과 리셉터클터미널의 접촉점은 상기 탄성편(7)과 결합부(5)의 내면의 2부분이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탭터미널은 상기 탄성편(7)과 접촉되는 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접촉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5)의 내면과 2점에서 접촉되고 상기 탄성편(7)의 한점에서 접촉되어 총 3군데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도 하나 탭터미널의 양면에 접촉되는 개소가 달라 여전히 접촉의 불안정성이 문제된다.
그리고, 종래의 터미널(1)은 상기 몸체부(3), 바렐부(4) 및 결합부(5)가 하나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가공하고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특히 박스형상으로 되는 결합부(5)는 별도의 용접 작업을 하지 않으면 그 결합상태가 불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결합부(5)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됨에 의해 결합부(5)의 형상이 유지되는데, 그 결합상태가 완벽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탭터미널의 양면에 각각 동일 숫자의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부의 조립상태가 보다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터미널의 외팔보 형태의 탄성편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의 탄성변형이 서로 별개로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내부의 결합공간에는 제1선단돌출부와 제1후단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탄성편과 상기 제1선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선단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후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후단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편과 마주보는 제2탄성편이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편은 양단이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편은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 해당되는 선단부가 자유단부로 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는 커버판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편은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에는 일측단에 겹침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1측판에 걸어지고 상기 겹침결합편의 반대쪽인 타측단에는 걸이편이 형성되어 제2측판에 걸어진다.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는 상기 커버판에 일체로 형성된 밀착편에 의해 상기 커버판에 밀착된다.
상기 제2탄성편의 제2선단돌출부와 제2후단돌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 탭터미널의 삽입시에 밀착되는 분리리브가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는 커버판에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탄성편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절곡되는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2측판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며 상기 제2탄성편이 형성되는 커버판과 상기 제1측판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의 일부를 덮는 결합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겹침결합편과 제2결합편이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결합통공과 제2결합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통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겹침결합편을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가 상기 제1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통공과 마주보는 제2측판에는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편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지지돌부가 상기 제2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구비하고,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절곡되는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2측판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는 커버판과, 상기 제1측판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의 일부를 덮는 결합걸이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결합공간으로 돌출되게 제1선단돌출부와 제1후단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탄성편과 상기 제1선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선단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후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후단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편과 마주보는 제2탄성편이 상기 커버판에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편은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편은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 해당되는 선단부가 자유단부로 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커버판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에는 일측단에 겹침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측판에 걸어지고 상기 겹침결합편의 반대쪽인 타측단에는 걸이편이 형성되어 제2측판에 걸어진다.
상기 제2탄성편의 제2선단돌출부와 제2후단돌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 탭터미널의 삽입시에 밀착되는 분리리브가 상기 커버판에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겹침결합편과 제2결합편이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결합통공과 제2결합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통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겹침결합편을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가 상기 제1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통공과 마주보는 제2측판에는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편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지지돌부가 상기 제2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의 양측 표면에 리셉터클 터미널의 제1탄성편과 제2탄성편의 각각의 선단 및 후단 돌출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접촉된다. 특히 상기 선단 및 후단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편에 각각 형성되므로 탭터미널의 양측 표면에 각각 복수개의 동일한 위치에 접촉이 이루어져 탭터미널의 삽입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결합통공과 제2결합통공에 각각 겹침결합편과 제2결합편이 삽입되어 걸어짐과 동시에 제1측판에 있는 결합걸이부가 제1측판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어 커버판을 눌러주므로 결합부의 결합상태가 보다 정확하면서도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판에 후단의 일측단이 겹침결합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2탄성편이 밀착편에 의해 스프링백이 방지되도록 됨과 동시에 상기 겹침결합편과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걸이편이 각각 제1 및 제2 측판에 걸어져 결합되므로 제2탄성편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상대 탭터미널과의 결합 과정 및 결합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면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결합부 후단의 부분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은 전체가 도전성 금속판을 프레스장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터미널의 중간부분은 몸체부(10)이고 길이방향 후단에는 바렐(12)이 구비된다. 실제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바렐(12)이나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20)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굳이 상기 바렐(12)이나 결합부(20)와 구별하여 명명할 필요는 없으나 편의상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렐(12)은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바렐(12)은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바렐부(14)과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 연결되는 인슐레이션바렐부(16)로 구성된다. 이들 와이어바렐부(14)와 인슐레이션바렐부(16)는 대략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판이 각각 와이어의 심선과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 압착시키게 된다. 도면부호 18은 상기 와이어바렐부(14)에 내부 표면에 형성되어 와이어의 심선과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요철부이다.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는 결합부(2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의 선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20)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통형상으로 내부에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결합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20')은 상기 결합부(20)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결합부(20)의 구성을 도 2 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결합부(20)는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베이스판(22)의 양단에서 제1측판(24)과 제2측판(26)이 각각 직각이 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2측판(24)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22)과 평행하게 되도록 커버판(28)이 구비된다. 이들 베이스판(22), 제1측판(24), 제2측판(26) 및 커버판(28)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28)이 스프링백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측판(24)에서 직교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커버판(28)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즉 자유단 쪽 일부를 덮도록 결합걸이부(29)가 상기 제1측판(24)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22)에는 탄성편윈도우(22')가 베이스판(2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윈도우(22')에는 제1탄성편(30)이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편(30)은 상기 결합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편윈도우(2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판(22)에 연결된다. 실제로는 상기 탄성편윈도우(2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22)의 일부를 잘라내고 남은 부분을 설계된 형상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탄성편(30)을 만든다.
상기 제1탄성편(30)은 상기 결합공간(20') 내에서 상기 커버판(28)을 향해 돌출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탄성편(3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탄성편(34)과 협력하여 상기 결합공간(20')내로 삽입된 상대 탭터미널의 양측 표면에 밀착되어 탭터미널을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편(30)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하나가 형성되어도 된다. 물론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탄성편(30)의 갯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각각의 제1탄성편(30)의 폭이 줄어들어 탄성력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1탄성편(30)은 양단부에 비해 중간부분이 상기 커버판(28)쪽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탄성편(30)에 제1선단돌출부(32)와 제2선단돌출부(32')가 가장 돌출된다. 즉, 상기 제1탄성편(30)에서 상기 제1선단돌출부(32)와 제2선단돌출부(32')는 같은 높이로 가장 높이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간(20')내에는 상기 제1탄성편(30)과 마주보게 제2탄성편(34)이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편(34)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커버판(28)의 내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상기 제2탄성편(34)은 상기 커버판(28)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탄성편(30)과 마주보게 상기 커버판(28)에 인접하여 있다.
상기 제2탄성편(34)에도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가 각각 상기 제1탄성편(30)의 제1선단돌출부(32)와 제1후단돌출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는 상기 제1선단돌출부(32) 및 제1후단돌출부(32')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들이 각각 탭터미널의 서로 대응되는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탄성편(34)의 일측에는 도피부(37)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결합편(55)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2탄성편(34)의 기저부는 상기 커버판(28)에 연결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겹침결합편(38)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겹침결합편(38)은 결합부(20)가 완성되었을 때,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1결합통공(42)에 삽입되어 제1측판(24)에 걸어져 결합된다.
상기 겹침결합편(38)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제2탄성편(34)의 기저부 반대쪽 측단에는 걸이편(4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40)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공(50)에 걸어져 제2측판(26)에 걸어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탄성편(34)의 기저부 양측이 각각 상기 제1측판(24)과 제2측판(26)에 각각 걸어져 고정됨에 의해 상대 터미널의 삽입과 분리시에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상대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력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판(24)에는 제1결합통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통공(42)은 상기 겹침결합편(38)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결합통공(42)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제1측판(24)은 제1지지돌부(44)를 형성한다. 상기 제1지지돌부(44)는 상기 제1측판(24)의 부분이 상기 결합공간(2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측판(24)의 외면이 오목하게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결합공간(20')쪽의 제1측판(24)의 내면이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측판(24)이 상기 제1지지돌부(44)의 형성을 위해 돌출된 정도는 최소한 상기 제1측판(24)의 두께 정도이다. 따라서, 제1지지돌부(44)에 의해 상기 겹침결합편(38)은 보다 많은 영역에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측판(24)에는 상기 제2결합편(55)이 걸어지는 제2결합통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통공(46)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슬롯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편(55)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제2결합통공(46)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제1측판(24)의 선단중에서 상기 제1결합통공(42)에서 결합부(20)의 선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이고, 이들 제1결합통공(42)과 제2결합통공(46)은 모두 상기 결합걸이부(29)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걸이부(29)의 선단에는 스테빌라이저(48)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48)는 리셉터클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테빌라이저(48)는 상기 결합걸이부(29)의 선단을 결합부(20)의 후방을 향하도록 180도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제2측판(26)에는 걸이공(5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50)은 상기 걸이편(4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편(40)이 상기 겹침결합편(3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걸이공(50)은 상기 겹침결합편(38)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결합통공(4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50)에도 제2지지돌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돌부(52)는 상기 제2측판(26)의 내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지지돌부(52)가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제2측판(26)의 두께 정도이다.
상기 커버판(28)의 후단에는 밀착편(54)이 구비되는데, 상기 밀착편(54)은 결합부(20)의 제작 전에는 상기 커버판(28)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결합부(20)의 제작 후에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0)의 선단을 향해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2탄성편(34)의 기저부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편(54)은 상기 제2탄성편(34)이 스프링백 형상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판(28)에는 제2결합편(55)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편(55)은 상기 제2결합통공(46)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결합편(55)은 상기 커버판(28)에서 상기 결합부(20)의 선단 쪽에 치우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판(28)에는 랜스걸이공(56)이 형성된다. 상기 랜스걸이공(56)은 상기 커버판(28)의 선단쪽에 형성되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랜스걸이공(56)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판(28)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랜스걸이공(56)중 상기 커버판(28)의 결합부(20) 선단쪽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 하우징의 랜스(도시되지 않음)가 걸어진다.
상기 랜스걸이공(56)에서 일측 가장자리에는 분리리브(58)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리브(58)는 실제로는 상기 제1지지돌부(44)나 제2지지돌부(52)와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상기 결합공간(20')의 내부로 상기 커버판(28)의 해당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한 것이다. 상기 분리리브(58)는 상대 탭터미널이 결합공간(20')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2탄성편(34)의 중간부분을 지지하여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의 탄성변형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판(28)의 선단에는 가이드편(6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60)은 결합부(20)의 제작 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28)의 결합부(20) 선단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결합부(20)의 제작 후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22)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22)은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커버판(28)에 대해 90도 이상 절곡되어 있는데, 이는 상대 탭터미널을 상기 결합공간(20')으로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이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터미널이 만들어짐에 있어서는 띠 모양의 금속판재를 프레스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필요한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즉, 몸체부(10), 바렐(12) 그리고 결합부(20)가 동시에 가공되면서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부(20)가 요지이므로 결합부(20)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을 한다. 자세한 도면을 제공하지는 않았지만, 도 4에는 하나의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부만의 전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소재는 일렬로 서로 연결되어 다수개가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도 4의 상태에서는 이미 상기 제1탄성편(3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통공(42), 제1지지돌부(44), 제2결합통공(46), 랜스걸이공(56), 분리리브(58) 등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탄성편(34)의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를 형성하고, 상기 겹침결합편(38)이 겹쳐지도록 상기 제2탄성편(34)을 상기 커버판(28)과 마주보게 겹침결합편(38)을 절곡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편(40)이 상기 걸이공(50)에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밀착편(54)을 180도 절곡하여 상기 제2탄성편(34)의 후단에 밀착되게 하여 작업 중에 또는 작업 후에 상기 제2탄성편(34)이 스프링백 형상에 의해 상기 커버판(28)에서 멀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밀착편(54)을 절곡한 후에는 상기 커버판(28)을 상기 제2측판(26)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한다. 상기 커버판(28)의 절곡으로 인해 상기 걸이공(50)에 상기 걸이편(40)이 삽입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측판(24)을 상기 베이스판(22)에 대해 직각이 되게 절곡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측판(24)과 상기 제2탄성편(34)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는 상기 제2측판(26)을 상기 베이스판(22)에 대해 직각이 되게 절곡한다. 상기 제2측판(26)을 상기 베이스판(22)에 대해 직각이 되게 절곡하면 상기 커버판(28)에 있는 상기 겹침결합편(38)과 제2결합편(55)이 각각 상기 제1결합통공(42)과 제2결합통공(46)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결합통공(42)의 제1지지돌부(44)가 상기 겹침결합편(38)을 보다 넓은 영역에서 지지하도록 되므로 상기 겹침결합편(38)이 상기 제1결합통공(42)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측판(24)의 제1결합통공(42)과 제2결합통공(46)에 상기 겹침결합편(38)과 제2결합편(55)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합걸이부(29)을 상기 제1측판(24)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절곡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결합부(20)의 결합상태가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스테빌라이저(48)와 가이드편(60)을 절곡한다. 물론, 상기 스테빌라이저(48)와 가이드편(60)을 미리 절곡하여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20)가 완성된 리셉터클 터미널은 커넥터하우징내에 상기 바렐(12)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로 삽입되고, 상대 커넥터가 결합됨에 의해 상대 터미널이 상기 결합부(20)의 결합공간(20') 내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선단돌출부(32)와 제2선단돌출부(36)가 마주보고 상기 제1후단돌출부(32')와 제2후단돌출부(36')가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는 제1탄성편(30)과 제2탄성편(34)의 사이로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되면, 상기 탭터미널의 양면에 각각 상기 제1선단돌출부(32), 제1후단돌출부(32'), 제2선단돌출부(36), 제2후단돌출부(36')가 각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편(30)이 하나라면 최소한 4점에서 접촉이 이루어고, 본 실시예의 경우 6점에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탭터미널의 양측 표면중 서로 대응되는 표면에 제1선단돌출부(32)와 제2선단돌출부(36) 그리고 제1후단돌출부(32')와 제2후단돌출부(36')가 접촉되므로 탭터미널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공간(20') 내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탭터미널이 상기 제1탄성편(30)과 제2탄성편(34)의 사이로 삽입되면 이들 탄성편(30,34)들을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데, 상기 제2탄성편(34)의 중앙부는 상기 분리리브(58)에 닿게 된다. 일단 상기 분리리브(58)에 상기 제2탄성편(34)의 중간부가 닿게 되면, 상기 제2선단돌출부(36)와 제2후단돌출부(36')에 탭터미널이 접촉되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때,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분리리브(58)에 상기 제2탄성편(34)의 중간부분이 닿게 되면, 상기 제2선단돌출부(36)에 힘이 작용하여 탄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후단돌출부(36') 쪽에는 거의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제2후단돌출부(36')에 탭터미널이 접촉되어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2후단돌출부(36')쪽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제2선단돌출부(36)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몸체부 12: 바렐
14: 와이어바렐부 16: 인슐레이션바렐부
18: 요철부 20: 결합부
22: 베이스면 24: 제1측판
26: 제2측판 28: 커버판
30: 제1탄성편 32: 제1선단돌출부
32': 제1후단돌출부 34: 제2탄성편
36: 제2선단돌출부 36': 제2후단돌출부
38: 겹침결합편 40: 걸이편
42: 제1결합통공 44: 제1지지돌부
46: 제2결합통공 48: 스테빌라이저
50: 걸이공 52: 제2지지돌부
54: 밀착편 55: 제2결합편
56: 랜스걸이공 58: 분리리브
60: 가이드편

Claims (16)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내부의 결합공간에는 제1선단돌출부와 제1후단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탄성편과 상기 제1선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선단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후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후단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편과 마주보는 제2탄성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편은 양단이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편은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 해당되는 선단부가 자유단부로 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는 커버판에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편은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에는 일측단에 겹침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1측판에 걸어지고 상기 겹침결합편의 반대쪽인 타측단에는 걸이편이 형성되어 제2측판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는 상기 커버판에 일체로 형성된 밀착편에 의해 상기 커버판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의 제2선단돌출부와 제2후단돌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 탭터미널의 삽입시에 밀착되는 분리리브가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는 커버판에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탄성편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절곡되는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2측판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며 상기 제2탄성편이 형성되는 커버판과 상기 제1측판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의 일부를 덮는 결합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겹침결합편과 제2결합편이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결합통공과 제2결합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통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겹침결합편을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가 상기 제1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통공과 마주보는 제2측판에는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편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지지돌부가 상기 제2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0.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구비하고,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절곡되는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2측판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는 커버판과, 상기 제1측판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의 일부를 덮는 결합걸이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결합공간으로 돌출되게 제1선단돌출부와 제1후단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탄성편과 상기 제1선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선단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후단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후단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편과 마주보는 제2탄성편이 상기 커버판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터미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편은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편은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 해당되는 선단부가 자유단부로 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커버판에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에는 일측단에 겹침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측판에 걸어지고 상기 겹침결합편의 반대쪽인 타측단에는 걸이편이 형성되어 제2측판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의 제2선단돌출부와 제2후단돌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 탭터미널의 삽입시에 밀착되는 분리리브가 상기 커버판에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겹침결합편과 제2결합편이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결합통공과 제2결합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통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겹침결합편을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가 상기 제1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통공과 마주보는 제2측판에는 상기 제2탄성편의 기저부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편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지지돌부가 상기 제2측판의 두께만큼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KR1020110096268A 2011-09-23 2011-09-23 리셉터클 터미널 KR10127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268A KR101275285B1 (ko) 2011-09-23 2011-09-23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268A KR101275285B1 (ko) 2011-09-23 2011-09-23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583A true KR20130032583A (ko) 2013-04-02
KR101275285B1 KR101275285B1 (ko) 2013-06-17

Family

ID=4843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268A KR101275285B1 (ko) 2011-09-23 2011-09-23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93B1 (ko) * 2012-09-24 2013-12-3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리셉터클 터미널
KR101407736B1 (ko) * 2013-02-19 2014-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101477730B1 (ko) * 2013-07-29 2014-12-31 주식회사 신화콘텍 전자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023B1 (ko) 2018-08-23 2023-08-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20200069834A (ko) 2018-12-07 2020-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3576488B2 (ja) * 2000-12-18 2004-10-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雌端子
JP2005209518A (ja) * 2004-01-23 2005-08-04 Yazaki Corp 雌端子
JP4706760B2 (ja) * 2009-01-26 2011-06-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93B1 (ko) * 2012-09-24 2013-12-3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리셉터클 터미널
KR101407736B1 (ko) * 2013-02-19 2014-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101477730B1 (ko) * 2013-07-29 2014-12-31 주식회사 신화콘텍 전자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285B1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1854B2 (en) Female terminal
US7837521B2 (en) Terminal reducing a large insertion force
KR101275285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1157672B1 (ko) 커넥터
US20130323955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including this connector terminal
US7229328B2 (en) Female contact
JP2019061743A (ja) オス型端子及び接続構造体
JP7107708B2 (ja) コネクタ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KR101407736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7330036B2 (ja) コネクタ
JP2013118102A (ja) 雌端子構造
TWI565168B (zh)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US20210126393A1 (en)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JP4353932B2 (ja) グランド板付電気コネクタ
JP693397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20042903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923851B2 (ja) 中継コネクタ
JP7472828B2 (ja) 端子
JP7068512B2 (ja) 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用の接点及び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
KR102567023B1 (ko) 리셉터클 터미널
WO2021124842A1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JP5665533B2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