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179A -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179A
KR20130031179A KR1020110133050A KR20110133050A KR20130031179A KR 20130031179 A KR20130031179 A KR 20130031179A KR 1020110133050 A KR1020110133050 A KR 1020110133050A KR 20110133050 A KR20110133050 A KR 20110133050A KR 20130031179 A KR20130031179 A KR 2013003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file
informa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126B1 (ko
Inventor
씽 비모르찬드 와이컴
방효상
승정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567,390 priority Critical patent/US9100724B2/en
Priority to CN201210352152.9A priority patent/CN103024607B/zh
Priority to EP12185157.0A priority patent/EP2573758B1/en
Publication of KR2013003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효과를 파일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하며,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동영상을 자동으로 요약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summary video}
본 발명은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는 재생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한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들은 서로 연관성을 갖는 경우가 많다.
한편,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중가와 통신 및 디지털 미디어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수많은 동영상 비디오가 출현함에 따라, 축약된 동영상 비디오의 요약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검색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와 만족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비디오 축약은 사람이 직접 개입하여 적절한 장면이나, 이미지를 추려내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최근, 동영상 비디오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상업이 전개되면서 대량의 동영상 비디오를 자동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동영상 비디오를 축약하는 방법에는 비디오 스키밍(Video skimming), 하이라이트(highlight)와 비디오 요약(summary) 방법이 있다. 하이라이트는 주로 특정 이벤트 중심으로 동영상의 흥미로운 일부분만 추려내어 축약한 것이다. 비디오 요약은 동영상 비디오에 대한 의미 있는 내용과 구조적인 정보를 추려내기 위한 것으로, 비디오 요약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주요 정지영상(키 프레임)의 연속된 형태(sequence of key frames)로 표현되는데, 현재까지 대부분의 동영상 축약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동영상 요약 정보 생성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키 프레임으로 표현된 비디오 요약은 비디오 전체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 키 프레임을 담고 있는 장면(scenes 또는 shot)이 창구(entries)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비디오 요약 작업을 최적의 키 프레임 선정, 또는 최적의 키 프레임이 위치한 세그먼트 선정 작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보통 색상, 움직임 등 시각적으로 도드라진 특징들이 키 프레임을 선택하는 데에 중요한 요건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다양한 효과를 파일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하며,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동영상을 자동으로 요약해서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파일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의 속성은, 상기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의 녹화 중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 이미지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파일 헤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미지의 촬영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형태는, 파노라마 촬영, 연사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동영상이고, 상기 동영상의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가 없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동영상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최초 연관 이미지와 마지막 연관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요약 동영상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연관 이미지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초 연관 이미지와 마지막 연관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요약 동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한 동영상에 오버랩되어 팝 업 되었다가 사라지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동영상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제3 임계값이상이고,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요약 동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한 동영상에 오버랩되어 팝 업 되었다가 사라지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요약 동영상의 테마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테마에 따라 미리 결정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키 세그먼트 및 상기 결정된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연관 이미지들이 촬영된 각각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키 세그먼트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관 이미지들의 개수 및 상기 연관 이미지들 사이의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요약 동영상에 적용할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키 세그먼트들 및 상기 결정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은 동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의 속성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속성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로부터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키 세그먼트 및 상기 결정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의 속성은,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의 녹화 중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정보 및 상기 연관 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한 파일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의 속성은, 상기 동영상의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파일의 헤더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파일의 속성을 결정하는 파일 속성 결정부; 상기 선택한 파일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결정한 파일의 속성 및 상기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약 동영상에 적용하는 효과를 결정하는 효과 결정부; 및 상기 결정한 효과에 따른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요약 동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효과를 파일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하며,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동영상을 자동으로 요약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개략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해석부(201)의 개략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속성에 따른 효과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속성에 따른 효과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속성에 따른 효과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라로이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일리 스토리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TV, 모니터 등의 가전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lens unit, 110)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디스플레이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비되어 있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데이터 디스플레이 동작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동영상 녹화 중에 정지 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함으로써 요약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동영상 녹화 중에 정지 영상들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동영상 촬영 버튼, 예를 들면 REC 버튼을 눌러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고, 녹화 도중에 정지 영상으로 기록하고자 장면을 포착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정지 영상 촬영 버튼, 예를 들면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눌러, 정지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영상을 녹화하면서 정지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을 1분 동안 녹화하면서 1분 동안에 정지 영상을 5장 촬영하면, 1분 동안의 동영상 파일과 5장의 정지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 파일은 MP4(MPEG-4 Part 14) 파일 포맷, AVI(Audio Video Interleaved) 파일 포맷, WMV(Windows Media Audio) 파일 포맷 등 다양한 동영상 파일 포맷으로 SD(Secure Digital)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정지 영상 파일은 JPEG 파일 포맷으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요약 동영상을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녹화된 동영상과 연관된 정지 영상의 정보들은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저장된다. 즉, 정지 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와 상응하는 정지 영상 파일에 대한 정보는 메타 데이터로서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MP4 파일의 경우에는 free 태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동영상과 정지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영상 디코더와 정지 영상 디코더를 구비하며,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동영상 인코더를 더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을 포함한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는 기능적으로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해석부(201)와 요약 동영상 생성부(202)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청구범위에 사용된 제어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받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통해 요약하고자 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사용자의 수동 선택이 아니라, 임의로 또는 자동으로 결정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일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결정한다. 여기서, 파일의 속성은 선택된 파일이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 영상인지를 포함한다. 또한, 동영상인 경우, 연관된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 연관된 이미지가 몇 개인지 여부, 연관된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연관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동영상 길이 또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파일 속성일 수 있다. 여기서, 연관 이미지는 동영상 녹화 중에 촬영된 정지 영상을 의미한다. 동영상 녹화 중에 촬영된 정지 영상이 있는지, 몇 장인지, 촬영된 타이밍에 대한 정보들이 파일 속성일 수 있다. 이러한 파일 속성은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정지 영상인 경우, 파일의 속성은 정지 영상의 촬영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파노라마 촬영인지, 고속 촬영인지, 연사 촬영인지가 촬영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파노라마 촬영, 고속 촬영, 연사 촬영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촬영 형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촬영 형태에 관한 정보는 정지 영상의 사진촬영정보 또는 Exif로부터 해석이 가능하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일의 속성을 해석하고, 파일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적용한다. 여기서, 효과는 하이브리드 효과, 일반 동영상 효과, 파노라마 이미지 효과, 폴더 이미지 효과, 싱글 이미지 효과 등 다양한 효과일 수 있으며, 요약 동영상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해석부(201)는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선택받아, 선택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해석한다. 여기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의 해석은 각각의 파일을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파일의 헤더를 해석함으로써, 선택된 동영상이 연관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몇 개인지, 연관 이미지들 중 처음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긴지 짧은지, 연관 이미지가 없다면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긴지 짧은지를 해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석부(201)는 파일 속성 결정부(301), 추출부(302) 및 효과 결정부(303)를 포함한다.
파일 속성 결정부(301)는 입력된 또는 선택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의 파일 속성을 결정한다. 파일 속성은 입력된 파일의 헤더를 해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파일 속성은 입력 파일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 동영상인 경우 연관 이미지가 있는지,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몇 개인지,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정지영상인 경우 파노라마 촬영인지, 고속 촬영인지, 연사 촬영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302)는 입력된 동영상과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추출부(302)는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연관 이미지는 동영상 녹화 중 촬영된 정지 영상을 의미하고, 시간 정보는 정지 영상이 촬영된 타이밍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10분의 동영상인 경우, 연관 이미지가 1분, 5분, 8분에 촬영되었다면, 1분에 해당하는 연관 이미지의 앞뒤로 30초씩, 즉 1분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5분에 해당하는 연관 이미지의 앞뒤로 30초씩, 다른 1분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8분에 촬영된 연관 이미지의 앞뒤로 30초씩, 또 다른 1분의 세그먼트를 추출한다. 따라서, 요약 동영상의 길이는 3분으로 요약이 가능하다. 여기서, 연관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를 중심으로 앞뒤로 일정 시간으로 구분하여 동영상의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추출 방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효과 결정부(303)는 파일의 속성,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요약 동영상에 적용하는 효과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효과 결정부(303)는 연관된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일정 개수 이상이고, 최초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데일리 스토리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일정 개수이상이지만, 최초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폴라로이드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일정 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도 폴라로이드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동영상 효과로 각각 결정한다. 또한, 동영상이 아닌 경우, 정지 영상이 파노마라 촬영인 경우 파노라마 효과, 정지 영상이 고속/연사 촬영인 경우 폴더 이미지 효과, 일반 촬영인 경우, 싱글 이미지 효과로 결정한다. 여기서, 각각의 효과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파일의 속성,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요약 동영상 생성부(202)는 결정한 효과에 따른 요약 동영상을 생성한다. 요약 동영상 생성부(202)는 입력된 파일의 속성을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요약 동영상은 다수의 정지 영상들로 이루어지거나,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키 세그먼트들의 조합으로 생성된 동영상을 포함한다. 요약 동영상 생성부(202)는 동영상 디코더, 동영상 인코더, 정지 영상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디코더는 입력된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에 대한 추출 정보로부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정지 영상 디코더는 입력된 정지 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동영상 인코더는 키 세그먼트 추출 정보에 따라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파일의 속성에 따라 결정된 효과 적용에 대한 효과 정보 데이터, 및/또는 디코딩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요약 동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 디코더는 H.264, MPEG-4, MPEG-2 등과 같은 압축 포맷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비트 스트림을 압축되지 않은 YUV/RGB 동영상 프레임 포맷으로 디코딩한다. 동영상 인코더는 YUV/RGB 동영상 프레임 포맷을 H.264, MPEG-4, MPEG-2와 같은 압축 포맷으로 실시간 인코딩한다. 정지 영상 디코더는 인코딩된 JPEG 이미지들을 압축되지 않은 YUV/RGB 이미지로 디코딩한다. 여기서, 각각의 인코더 및 디코더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각의 인코더 및 디코더가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0에서,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와 동영상이 함께 선택될 수 있으며, 각각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 또는 복수의 동영상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수동 선택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설정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단계 402에서, 입력 이미지 또는 입력 동영상의 파일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리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입력된 파일의 속성을 해석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파일 속성은 입력 파일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 동영상인 경우 연관 이미지가 있는지,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몇 개인지,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정지영상인 경우 파노라마 촬영인지, 고속 촬영인지, 연사 촬영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사용자로부터 테마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테마는 요약하고자 하는 요약 동영상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테마는 행복함, 자연스러움, 슬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6에서, 미리 설정된 효과가 선택된다. 단계 404에서, 선택된 테마에 따라 미리 결정된 테마에 어울리는 요약 동영상의 효과가 선택된다.
단계 408에서, 선택된 효과에 상응하는 파일들을 매핑한다. 여기서, 선택된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동영상 또는 이미지 파일들을 정한다.
여기서, 단계 404 내지 408은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테마 선택과 테마 선택에 따른 효과 적용을 디폴트로 제공하는 것으로, 제외되고 요약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410에서, 단계 400에서 입력된 파일이 동영상인지 판단한다. 동영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412에서, 이미지 파일에 선택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이미지 파일이 복수 개로 여러 장의 이미지들을 가지고 단계 404 내지 408에서 결정된 효과를 적용하여 요약 동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요약 동영상의 길이 또는 재생 시간, 요약 동영상의 사이즈, 예를 들면 1280×1080, 640×480, 320×240 등을 입력받아, 이를 요약 동영상 생성에 반영할 수도 있다.
단계 410에서, 입력 파일이 동영상인 경우, 단계 414에서,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키 세그먼트는 요약 동영상을 이루는 단위로 중요 또는 관심 부분을 의미한다. 키 세그먼트는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다. 예를 들면 10분의 동영상인 경우, 연관 이미지가 1분, 5분, 8분에 촬영되었다면, 1분에 해당하는 연관 이미지의 앞뒤로 30초씩, 즉 1분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5분에 해당하는 연관 이미지의 앞뒤로 30초씩, 다른 1분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8분에 촬영된 연관 이미지의 앞뒤로 30초씩, 또 다른 1분의 세그먼트를 추출한다. 각각의 키 세그먼트를 합성하여 3분의 요약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416에서, 동영상에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따라 효과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연관된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일정 개수 이상이고, 최초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데일리 스토리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일정 개수이상이지만, 최초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폴라로이드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일정 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도 폴라로이드 효과, 연관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동영상 효과로 각각 결정한다.
단계 418에서, 단계 414에서 추출한 키 세그먼트와 단계 416에서 결정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속성에 따른 효과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동영상 및/또는 이미지를 선택받는다. 단계 502에서, 동영상인 경우, 단계 504에서, 연관된 이미지가 있는지 판단한다. 연관 이미지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연관 이미지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이미지는 동영상 녹화 중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또한, 녹화중 촬영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녹화된 동영상과 관련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단계 504에서, 연관된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506에서, 연관 이미지를 획득한다.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는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연관 이미지 정보로부터 기록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단계 508에서, 연관 이미지가 있는 경우, 단계 508에서, 하이브리드 효과로 결정하고, 단계 522로 진행한다.
단계 504에서, 연관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510에서, 동영상 효과로 결정하고, 단계 522로 진행한다.
단계 502에서, 동영상이 아닌 경우, 단계 512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인지 판단한다. 파노라마 이미지인지 여부는 이미지 파일의 EXIF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단계 512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인 경우, 단계 514에서, 파노라마 이미지 효과로 결정하고, 단계 522로 진행한다.
단계 512에서, 파노라마 이미지가 아닌 경우, 단계 516에서, 연사 또는 고속 촬영 이미지인지 판단한다. 연사 또는 고속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는 이미지 파일의 EXIF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단계 516에서, 연사 또는 고속 촬영 이미지인 경우에는 단계 518에서, 폴더 이미지 효과로 결정하고, 단계 522로 진행한다.
단계 516에서, 연사 또는 고속 촬영 이미지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520에서, 싱글 이미지 효과로 결정한다.
단계 522에서, 마지막 파일인 경우에는 종료하고, 마지막 파일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500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속성에 따른 효과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동영상과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602에서, 동영상 촬영 중 이미지들이 촬영된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604에서, 연관 이미지의 수가 4개 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4개 이상인지 여부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604에서, 연관 이미지의 수가 4개 이상인 경우, 단계 606에서, 최초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30초 이상인지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30초 이상인지 여부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606에서, 30초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608로 진행하여 데일리 스토리 효과로 결정한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데일리 스토리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는 동영상(1000)이 재생된다. 그리고 제2 영역, 즉 화면 상단에는 연관 이미지 1 내지 4(1010 내지 104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11a 내지 11f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영역에는 하루의 시간 변화를 느낄 있도록 요약된 동영상이 재생된다. 제2 영역에는 연관 이미지들이 촬영 타이밍 순서로 배열되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연관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이며, 슬라이딩하는 시간은 제1 영역에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 전환 타이밍에 동기된다.
단계 606에서, 최초 이미지와 마지막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30초보다 짧은 경우에는 단계 612에서, 폴라로이드 효과로 결정한다.
단계 604에서, 연관 이미지의 수가 4개보다 적은 경우에는 단계 610에서, 연관 이미지의 수가 2개 이상인지 판단한다. 연관 이미지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612에서, 폴라로이드 효과로 결정한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폴라로이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폴라로이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는 동영상(800)을 재생하다가,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타이밍에 연관 이미지(810)가 화면 중앙에 팝업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동영상(900)이 재생된다. 도 9b 및 9c에서, 연관 이미지(910)가 촬영된 타이밍에 연관 이미지(910)가 나타나고, 화면 중앙에 폴라로이드 사진처럼 디스플레이된다. 도 9d에서, 디스플레이된 연관 이미지(930)가 점차 사라진다. 도 9e에서, 동영상(900)이 재생된다.
단계 610에서, 연관 이미지의 수가 2개보다 적은 경우에는 단계 614에서, 동영상 효과로 결정한다. 여기서, 동영상 효과는 노멀 동영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연관 이미지의 촬영 타이밍을 동영상의 중간 지점으로 해서, 중간 지점을 중심으로 10초간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요약 동영상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속성에 따른 효과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0에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한다. 단계 702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이 1분 이하인지 판단한다. 동영상 재생 시간이 1분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704에서, 동영상 시작부터 10초간의 동영상 데이터들을 키 세그먼트로 추출하고, 10초 건너뛰고, 10초간의 동영상 데이터들을 다른 키 세그먼트로 추출하는 방식으로 추출한다. 즉, 1분의 동영상을 30초의 요약 동영상으로 생성한다.
단계 702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이 1분보다 긴 경우에는 단계 706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이 3분 이하인지 판단한다. 단계 706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이 3분보다 긴 경우에는 단계 708에서, 빨리 감기 효과로 결정한다.
단계 706에서, 동영상 재생 시간이 3분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710에서, 동영상을 3개의 동일한 시간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단계 712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로부터 10초간의 동영상 데이터들을 키 세그먼트로 추출한다. 그리고, 요약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레이 아웃을 첫번째 세그먼트에서는 전체 화면으로 재생하다가, 두번째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타이밍에 화면을 반으로 분할하여 두번째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다가, 세번째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타이밍에는 화면의 절반에 세번째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 이때 나머지 절반에는 첫번째 및 두번째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이 멈춤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단계 712에서, 키 세그먼트들로 요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디지털 카메라
110: 렌즈부
200: 디지털 신호 처리부
201: 해석부
202: 요약 동영상 생성부
301: 파일 속성 결정부
302: 추출부
303: 효과 결정부

Claims (22)

  1.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파일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의 속성은,
    상기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의 녹화 중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 이미지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파일 헤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미지의 촬영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형태는,
    파노라마 촬영, 연사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동영상이고, 상기 동영상의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가 없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동영상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최초 연관 이미지와 마지막 연관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요약 동영상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연관 이미지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연관 이미지와 마지막 연관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요약 동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한 동영상에 오버랩되어 팝 업 되었다가 사라지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파일이 동영상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의 개수가 제3 임계값이상이고,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요약 동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한 동영상에 오버랩되어 팝 업 되었다가 사라지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동영상의 테마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테마에 따라 미리 결정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키 세그먼트 및 상기 결정된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들이 촬영된 각각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키 세그먼트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관 이미지들의 개수 및 상기 연관 이미지들 사이의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요약 동영상에 적용할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키 세그먼트들 및 상기 결정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5. 동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의 속성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속성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로부터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키 세그먼트 및 상기 결정한 효과를 적용한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의 속성은,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의 녹화 중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정보 및 상기 연관 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생성 방법.
  19.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한 파일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효과가 적용된 요약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의 속성은,
    상기 파일에 포함된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파일의 속성을 결정하는 파일 속성 결정부;
    상기 선택한 파일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결정한 파일의 속성 및 상기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약 동영상에 적용하는 효과를 결정하는 효과 결정부; 및
    상기 결정한 효과에 따른 요약 동영상을 생성하는 요약 동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연관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영상의 키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33050A 2011-09-20 2011-12-12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190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67,390 US9100724B2 (en) 2011-09-20 2012-08-0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mmary video
CN201210352152.9A CN103024607B (zh) 2011-09-20 2012-09-20 用于显示摘要视频的方法和设备
EP12185157.0A EP2573758B1 (en) 2011-09-20 2012-09-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mmary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6671P 2011-09-20 2011-09-20
US61/536,671 2011-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79A true KR20130031179A (ko) 2013-03-28
KR101909126B1 KR101909126B1 (ko) 2018-10-18

Family

ID=481805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162A KR20130031176A (ko) 2011-09-20 2011-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110133050A KR101909126B1 (ko) 2011-09-20 2011-12-12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162A KR20130031176A (ko) 2011-09-20 2011-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311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38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87573A (ko) * 2015-01-14 2016-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본 컨텐츠와 연계된 편집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
KR20170098139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요약 장치 및 방법
WO2019103231A1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플레인베이글 동영상 요약 정보 재생 장치, 동영상 요약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43B1 (ko) 2013-11-01 2020-09-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90809B1 (ko) * 2015-08-12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820A (ko) * 2004-09-08 2007-06-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및 방법,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1071968A (ja) * 2009-08-28 2011-04-07 Nikon Corp 静止画像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820A (ko) * 2004-09-08 2007-06-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및 방법,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1071968A (ja) * 2009-08-28 2011-04-07 Nikon Corp 静止画像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電子カメ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38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87573A (ko) * 2015-01-14 2016-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본 컨텐츠와 연계된 편집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
KR20170098139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요약 장치 및 방법
WO2019103231A1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플레인베이글 동영상 요약 정보 재생 장치, 동영상 요약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76A (ko) 2013-03-28
KR101909126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37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mmary video
KR101189980B1 (ko) 기록 장치 및 방법,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US20140153900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10007187A1 (en) Imaging Device And Image Playback Device
KR101626004B1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에서 raw포맷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14451A (ko) 장면에 따른 해상도 및 화질 변경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084213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09126B1 (ko)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EP2573759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1517990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4902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00070043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장면 인식 표시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표시 방법을 적용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JP2009077026A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92780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5266701B2 (ja) 撮像装置、被写体分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97815B2 (e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image management method
US995513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herein a RAW image to be subjected to special processing is preferentially subjected to development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1101161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106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bining related video images with different frame rates
US20110050953A1 (en) Method of setting image aspect ratio according to scene recogn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14103644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色補正方法
US8798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producing moving picture f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