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102A -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102A
KR20130031102A KR1020110094833A KR20110094833A KR20130031102A KR 20130031102 A KR20130031102 A KR 20130031102A KR 1020110094833 A KR1020110094833 A KR 1020110094833A KR 20110094833 A KR20110094833 A KR 20110094833A KR 20130031102 A KR20130031102 A KR 2013003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power supply
power
voltage
tim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296B1 (ko
Inventor
서병현
김아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전원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통해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전원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실시 예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는,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기 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및 반도체 발광표시장치(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splay device)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경박단소, 고휘도 풀컬러 및 대형화의 장점을 가지므로, 표시장치 중의 주류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 예를 들어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감마기준전압(Vref) 및 공통전압(Vcom) 등의 직류전압이 필요하다. 상기 구동전압들은 전원전압 생성부에서 생성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안정적 구동을 위해 모델별로 레벨이 다른 구동전압들을 안정적으로 공급해 주어야한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기준전압으로부터 외부저항에 의한 전압분배를 통해 각각의 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의 영향 및 정전기 등에 의해 안정적인 구동전압을 공급하지 못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공정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전원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통해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전원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방법은,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상기 읽어온 전원데이터를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의 레지스터에 쓰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방법은,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의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쓰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전원전압 생성부의 메모리를 제거하여 메모리 쓰기시간을 줄여 공정효율을 상승시킨다.
실시 예는 전원전압 생성부의 메모리를 제거하여 제조단가를 낮춘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제1 실시 예에 비해 상기 제2 실시 예가 개선된 효과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 표이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전원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통해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전원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I2C 통신 호스트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간의 데이터 교환은 I2C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스위칭을 통해 아날로그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전압은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로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방법은,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상기 읽어온 전원데이터를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의 레지스터에 쓰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은 외부 저항을 통한 피드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은 고정적으로 출력하는 전압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고, 상기 레지스터에 쓰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신방식은 I2C방식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방법은,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의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쓰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은 고정적으로 출력하는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I2C통신 호스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고, 상기 레지스터에 쓰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신방식은 I2C방식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2), 외부 인터페이스(3), 컨트롤 기판(10), 게이트 드라이버(21) 및 데이터 드라이버(23)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기판(10)은 타이밍 컨트롤러(30) 및 전원전압 생성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0)는 TV시스템 및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구동시스템으로부터 컨트롤 기판(10)으로 입력되는 데이터(RGB Data) 및 제어신호(입력 클럭,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 들을 입력받아 타이밍 컨트롤러(30)로 공급한다. 주로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해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인터페이스와 TTL 인터페이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모아서 타이밍 컨트롤러(12)와 함께 단일 칩으로 집적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은 글라스를 이용한 기판상에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교차되어 다수의 화소 영역을 형성하며, 각각의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액정이 구성되어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0)는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드라이버 집적회로들로 구성된 데이터 드라이버(23)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와 복수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들로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21)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 드라이버(18)로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는 예컨대,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이네이블(GOE: Gate Output En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한 프레임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2)의 첫 번째 게이트 라인의 구동시작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고, 상기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액정표시패널(2)의 각 게이트 구동 시작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고, 상기 게이트 출력 이네이블(GOE)은 각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를 보내는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쉬프트 클럭(SSC: Source Shift Clock), 소스 출력 이네이블(SOE: Source Output Enable), 극성 신호(P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한 프레임에서 첫 번째 라인 분의 데이터 전압의 공급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고, 상기 소스 쉬프트 클럭(SSC)은 각 라인 분의 데이터 전압의 공급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고, 상기 소스 출력 이네이블(SOE)은 상기 액정표시패널(2)의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보내는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며, 상기 극성신호(POL)는 데이터 전압 또는 부극성 데이터 전압을 선택하여 주는 신호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 기판(10)은 기준전압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는 데이터 드라이버(23)에서 사용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의 기준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전압들은 패널의 투과율-전압특성을 기준으로 생산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3)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디지털 데이터의 아날로그 변환을 위한 기준전압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전압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비디오 데이터를 액정표시패널(2)에 공급하여 액정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1)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액정표시패널(2) 상에 배열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 상의 게이트라인을 1수평동기 시간씩 순차적으로 인에이블 시킴으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2)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1라인 분씩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3)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들이 각 박막 트랜지스터들에 접속된 픽셀들로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40)는 상기 액정표시장치(1)를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 예를 들어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감마기준전압(Vref) 및 공통전압(Vcom) 등의 직류전압을 공급한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10)은 타이밍 컨트롤러(30), 제1 메모리(33), 전원전압 생성부(40),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50) 및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40)는 레지스터(41) 및 제2 메모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33) 및 제2 메모리(43)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 소자이며 공정간에 별도의 쓰기 시간이 요구된다. 상기 제1 메모리(33) 및 제2 메모리(43)는 전기적으로 메모리의 내용을 소거하거나 쓸 수 있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33)는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50)를 통해 인터페이스 및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비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33)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0)에 부속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40)는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50)를 통해 인터페이스 및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메모리(43) 및 상기 레지스터(41)가 작동된다.
상기 제2 메모리(43) 및 상기 레지스터(41)가 작동되면 상기 제2 메모리(43)에 미리 쓰여져 있던 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41)로 읽어와서 상기 레지스터(41)에 입력된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을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60)로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전압은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 예를 들어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감마기준전압(Vref) 및 공통전압(Vcom) 등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60)는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전압생성부 및 공통라인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Vgh) 및 게이트 로우전압(Vgl)은 게이트 드라이버로 인가되고 상기 감마 기준전압(Vref)은 기준전압생성부로 인가되고 상기 공통전압(Vref)은 상기 공통라인으로 인가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4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스위칭을 통해 아날로그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50)와 상기 제1 메모리(33),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50)와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40)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30)와 상기 제1 메모리(33) 간에는 I2C(Inter IC)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I2C통신방식은 모듈 간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양방향 디지털 직렬통신방식이다. 상기 I2C통신방식은 직렬 데이터(SDA: Serial DAta, 이하 SDA)와 직렬 클록(SCL: Serial CLock, 이하 SCL)을 전송하는 두 개의 버스라인만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현재 내장 칩들의 통신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 솔루션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1 실시 예와 같이 메모리와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전원전압을 생성함으로 인해 종래의 외부저항에 의한 전원전압 생성방법에 비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집적화가 가능하며 안정적인 전원전압을 발생할 수 있어 화상의 표시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3은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110)은 타이밍 컨트롤러(130), 제1 메모리(133), 전원전압 생성부(140),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50) 및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는 레지스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133)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 소자이며 공정간에 별도의 쓰기 시간이 요구된다. 상기 제1 메모리(133)는 전기적으로 메모리의 내용을 소거하거나 쓸 수 있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133)는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50)를 통해 인터페이스 및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비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133)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에 부속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는 상기 제1 메모리(133)의 동작전압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의 동작전압을 고정출력한다. 상기 제1 메모리(133)의 동작전압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의 동작전압을 고정출력하는 이유는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에 메모리를 삭제하였으므로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 메모리(133)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의 초기 동작을 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의 동작전압은 제조공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의 동작전압은 외부 저항을 통한 피드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133)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가 구동되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가 상기 제1 메모리(133)에 저장되어 있던 전원데이터를 읽어온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상기 제1 메모리(133)로부터 읽어온 상기 전원데이터를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의 상기 레지스터(141)에 쓴다.
상기 레지스터(141)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에 의해 쓰여진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 예를 들어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감마기준전압(Vref) 및 공통전압(Vcom) 등을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60)는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전압생성부 및 공통라인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Vgh) 및 게이트 로우전압(Vgl)은 게이트 드라이버로 인가되고 상기 감마 기준전압(Vref)은 기준전압생성부로 인가되고 상기 공통전압(Vref)은 상기 공통라인으로 인가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50)와 상기 제1 메모리(133),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와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0)와 상기 제1 메모리(133) 간에는 I2C(Inter IC)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 실시 예에 비해 상기 제2 실시 예가 개선된 효과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0.03$만큼 부품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실시 예가 제2 메모리라는 하나의 구성을 생략하며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메모리 쓰기 시간은 103ms이고 상기 제2 실시 예의 메모리 쓰기 시간은 97ms이다. 이로써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실시 예가 6ms만큼 메모리 쓰기 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으며 이 또한 제2 메모리 구성의 생략을 통한 시간 절감으로 인한 것이다. 상기 메모리 쓰기 시간 절감으로 공정효율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생산관리 파일 수는 2개이고, 상기 제2 실시 예의 생산관리 파일 수는 1개이다. 이 또한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실시 예가 제2 메모리 구성의 생략을 통한 관리파일 수 절감으로 이로 인해 메모리 불량에 의한 영향이 적고, 관리파일 수 절감으로 공정효율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는 제2 실시 예와 비교하여 컨트롤 기판(110)의 구성은 동일하나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주체가 다르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기판(110)은 타이밍 컨트롤러(130), 제1 메모리(133), 전원전압 생성부(140),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50) 및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는 레지스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는 상기 제1 메모리(133)의 동작전압을 고정출력한다. 상기 제1 메모리(133)의 동작전압을 고정출력하는 이유는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의 메모리를 삭제하였으므로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없어 상기 제1 메모리(133)의 초기동작을 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메모리(133)가 구동되면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가 상기 제1 메모리(133)에 저장되어 있던 전원데이터를 읽어온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는 상기 제1 메모리(133)로부터 읽어온 상기 전원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141)에 쓴다.
상기 레지스터(141)는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에 의해 쓰여진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 예를 들어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감마기준전압(Vref) 및 공통전압(Vcom) 등을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160)는 게이트 드라이버, 기준전압생성부 및 공통라인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Vgh) 및 게이트 로우전압(Vgl)은 게이트 드라이버로 인가되고 상기 감마 기준전압(Vref)은 기준전압생성부로 인가되고 상기 공통전압(Vref)은 상기 공통라인으로 인가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140)는 I2C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133)에 쓰여져 있는 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141)에 쓸 수 있어야 하므로 I2C마스터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야한다.
상기 제3 실시 예는 상기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2 메모리 구성을 생략하였으므로 제조단가 절감, 메모리 쓰기 시간 절감, 관리파일 수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공정효율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 액정표시장치 2: 액정표시패널
3: 인터페이스 10,110: 컨트롤 기판
21: 게이트 드라이버 23: 데이터 드라이버
30,130: 타이밍 컨트롤러 33,133: 제1 메모리
40,140: 전원전압 생성부 41,141: 레지스터
43: 제2 메모리 50,150: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부
60,160: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

Claims (14)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전원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통해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전원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인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I2C 통신 호스트기능을 가지는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간의 데이터 교환은 I2C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스위칭을 통해 아날로그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전압은 내부 인터페이스 연결부로 출력되는 전원공급장치.
  7.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상기 읽어온 전원데이터를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의 레지스터에 쓰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은 외부 저항을 통한 피드백으로 제어하는 전원공급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은 고정적으로 출력하는 전압인 전원공급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고, 상기 레지스터에 쓰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신방식은 I2C방식인 전원공급방법.
  11.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의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쓰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가 상기 전원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메모리의 동작전압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전압은 고정적으로 출력하는 전압인 전원공급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I2C통신 호스트 기능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데이터를 읽어오고, 상기 레지스터에 쓰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신방식은 I2C방식인 전원공급방법.


KR1020110094833A 2011-09-20 2011-09-20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10195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833A KR101957296B1 (ko) 2011-09-20 2011-09-20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833A KR101957296B1 (ko) 2011-09-20 2011-09-20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02A true KR20130031102A (ko) 2013-03-28
KR101957296B1 KR101957296B1 (ko) 2019-03-13

Family

ID=4818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833A KR101957296B1 (ko) 2011-09-20 2011-09-20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2931A (zh) * 2016-11-03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驱动控制方法、电压供给芯片及显示设备
US10657878B2 (en) 2016-12-06 2020-05-19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control circuit for displa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763A (ja) * 2002-01-16 2003-07-25 Nec Access Technica Ltd Lcd駆動回路
KR20060031476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디지털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집적 회로 칩
KR20070122098A (ko) * 2006-06-23 2007-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데이터 입력회로
KR20100023418A (ko) * 2008-08-22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제어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91481A (ko) * 2009-02-10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94816A (ko) * 2009-02-19 2010-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763A (ja) * 2002-01-16 2003-07-25 Nec Access Technica Ltd Lcd駆動回路
KR20060031476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디지털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집적 회로 칩
KR20070122098A (ko) * 2006-06-23 2007-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데이터 입력회로
KR20100023418A (ko) * 2008-08-22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제어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91481A (ko) * 2009-02-10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94816A (ko) * 2009-02-19 2010-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2931A (zh) * 2016-11-03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驱动控制方法、电压供给芯片及显示设备
CN106652931B (zh) * 2016-11-03 2019-05-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驱动控制方法、电压供给芯片及显示设备
US10657878B2 (en) 2016-12-06 2020-05-19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control circuit f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296B1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4423B (zh) 控制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亮度的设备和方法
CN101739981B (zh) 液晶显示设备
CN103236234A (zh) 一种栅极驱动器及显示装置
KR101661026B1 (ko) 표시장치
KR102452523B1 (ko) 주사 구동부
CN103915073A (zh) 一种显示面板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和显示装置
JP2011039205A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画像表示装置及びリセット信号出力方法
KR20160005839A (ko) 표시장치
KR101653006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소비전력 저감방법
KR102379188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02830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57296B1 (ko)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20160083565A (ko) 표시장치
US10008157B2 (en) Display device having power supply with varying output volt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1140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8652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30440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flash nois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785339B1 (ko) 공통전압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244774B1 (ko)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
KR10211892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59635A (ko) 게이트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773195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72293A (ko) 백라이트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18196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148489B1 (ko) 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