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405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405A
KR20130030405A KR1020110093847A KR20110093847A KR20130030405A KR 20130030405 A KR20130030405 A KR 20130030405A KR 1020110093847 A KR1020110093847 A KR 1020110093847A KR 20110093847 A KR20110093847 A KR 20110093847A KR 20130030405 A KR20130030405 A KR 20130030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communication
standby mo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938B1 (ko
Inventor
이동규
윤호
최재훈
전태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938B1/ko
Priority to US13/598,073 priority patent/US9671123B2/en
Priority to EP12183900.5A priority patent/EP2570745B1/en
Priority to CN201210347359.7A priority patent/CN103017259B/zh
Publication of KR2013003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선과 통신선을 통해 연결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에 통신선이 연결되면 온되고 대기 모드 시 오프되며 대기 모드의 해제 시 온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 오프 시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통신부에 전달하는 전압 조정부; 구동 전력이 입력되면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고, 대기 모드 진입 시 스위칭부를 오프 제어하고, 대기 모드 중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을 절감하고 타 기기로부터 대기 모드 해제 신호 수신 시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기기 간의 오결선 시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배하고 분배된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기기간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오결선 시 통신부를 보호하면서 대기 모드에서 해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기기 간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고 대기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증발 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토출시켜 특정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공급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저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되어 공급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및 기체 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또는 모세관)와, 팽창밸브에서 공급된 저온 저압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 중 액체 상태의 냉매를 여과하고 여과된 냉매가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기와 응축기는 실외기 내에 위치하고 증발기와 송풍팬은 실내기 내에 위치하며, 이러한 실내기와 실외기는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운전을 수행한다.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무선 제어기로 이루어지나, 복수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각각 조화시키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무선 제어기의 분실 우려로 인해 유선 제어기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 간, 실내기와 유선 제어기 간에는 각각 2개의 전원선 및 2개의 통신선이 연결되고, 이들은 2개의 전원선을 통해 전력을 주고받고 2개의 통신선을 통해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설치자는 실내기, 실외기 설치 시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을 각각 연결해야 하고 냉매관을 연결해야 하며, 또한 유선 제어기 설치 시 실내기와 유선 제어기 사이에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을 각각 연결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공기 조화기 설치 시 전원선과 통신선 간의 오결선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통신 회로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통신 회로 고장 시 수리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통신선 및 전원선 연결의 복잡성이 존재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의 통신회로의 통신단에 릴레이를 설치하여 통신선 정상 연결 시 릴레이가 온되도록 하고, 전원선 연결에 따른 오결선 시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오결선에 따른 통신회로의 고장을 방지하였다. 이로 인해 기기간 통신선과 전원선이 오결선되어도 부품의 고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기기간의 선 연결이 용이해졌다.
하지만 대기 모드 시에도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해 릴레이를 온상태로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실외기 전원 인가 방식의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의 전원이 차단된 대기 모드에서 실내기에 입력되는 사용자 등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서 일반 모드와 같은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경우 통신 라인이 끊겨 대기 모드 중 타기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대기 모드에서 해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 측면은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을 절감하고 타 기기로부터 대기 모드 해제 신호 수신 시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배하고 분배된 전압을 조정하여 기기간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통신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대기 모드 시 오프되고 대기 모드의 해제 시 온되어 서로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스위칭부; 대기 모드 중 수신된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대기 모드 중 전압 분배부로부터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부; 대기 모드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고 대기 모드의 진입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스위칭부를 오프 제어하고 대기 모드 중 통신부를 통해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위칭부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전압 분배부는 저항을 포함한다.
릴레이에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다.
공기 조화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통신부, 스위칭부,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면 스위칭부를 온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전원선과 통신선을 통해 연결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에 통신선이 연결되면 온되고 대기 모드 시 오프되며 대기 모드의 해제 시 온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 오프 시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통신부에 전달하는 전압 조정부; 구동 전력이 입력되면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고, 대기 모드 진입 시 스위칭부를 오프 제어하고, 대기 모드 중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통신부, 스위칭부,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에 기초하여 통신부에 통신선이 연결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는, 통신부에 통신선이 연결됨을 알리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전압 분배부는 대기 모드 중 수신된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고, 통신부는 대기 모드 중 전압 분배부로부터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대기 모드 중 통신부를 통해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부를 온 제어한다.
스위칭부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전압 분배부는 저항을 포함한다.
릴레이에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다.
통신부는 통신 신호가 입출력되는 제1입출력단 및 제2입출력단을 포함하고, 전압 분배부는 제1입출력단에 연결된 제1저항과 제2입출력단에 연결된 제2저항을 포함하고,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1저항, 제2저항을 이용하여 분배한다.
제1입출력단과 제2입출력단 사이의 임피던스를 더 포함하고,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저항, 제2저항, 임피던스에 의해 분배된다.
분배된 전압 중 임피던스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제어부의 트리거 신호 발생에 필요한 전압이다.
스위칭부는 제1입출력단에 연결된 제1릴레이와, 제2입출력단에 연결된 제2릴레이를 포함하고, 제1릴레이에 제1저항이 병렬 연결되고, 제2릴레이에 제2저항이 병렬 연결된다.
제1, 2 입출력단 사이에 전압 조정부가 마련된다.
전압 조정부는, 애노드가 맞닿아 설치된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전압 조정부는, 애노드가 맞닿아 설치된 제너 다이오드와 일반 다이오드를 두 쌍 포함한다.
한 쌍의 제너 다이오드와 일반 다이오드는 제1입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고, 다른 한 쌍의 제너 다이오드와 일반 다이오드는 제2입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을 절감하고 타 기기로부터 대기 모드 해제 신호 수신 시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기기 간의 오결선 시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배하고 분배된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기기간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오결선 시 통신부를 보호하면서 대기 모드에서 해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제1스위칭부와 제1전압 분배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전압 조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로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100)와 실외기(200)를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기기로, 냉매관(미도시)을 통해 실외기(2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실외기(20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고 공급된 냉매를 통해 열교환이 수행되면 열교환이 수행된 냉매를 실외기(200)에 전달한다.
이러한 실내기(100)는 실외기(200)의 팽창수단에서 팽창된 후 냉매관을 통해 이송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로 송풍시키고 실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실내 팬(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100)는 두 개의 통신선(CL1, CL2) 및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실외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외기(200)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실외기(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부하인 실내 팬을 구동시킨다.
실내기(100)는 입력부 또는 제어기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운전 명령에 대응하여 각종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운전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기(미도시)는 실내기(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명령을 실내기(100)에 전송한다.
실내기(100)는 운전 정지 후 일정 시간 내에 운전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로 상태를 전환한다.
즉, 실내기(100)는 대기 모드에 진입되면 대기전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부하를 오프시키고 제1제어부만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킨다.
이때 실내기(100)의 제1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Wake up)되기 위해서 일부 포트를 인터럽트포트(I)로 설정하고, 설정된 인터럽트 포트(I)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여 대기 모드를 해제하고 운전 모드로 복귀한다.
이때 실내기(100)는 통신선(CL1, CL2)을 통해 대기 모드의 해제 신호를 실외기(200)에 전송한다.
아울러 실내기(100)는 대기 모드 중 통신선(CL1, CL2)을 통해 실외기(200)로부터 대기 모드의 해제 신호를 입력받고, 대기 모드의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한다.
실외기(200)는 냉매관(미도시)을 통해 실내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실내기(100)와의 사이에 냉매가 순환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실외기(20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액상으로 변환시키면서 내부 잠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액상으로 변환된 냉매의 유량 조절로 압력을 저하시키는 모세관과 같은 팽창수단과, 실외 열교환기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외기(200)의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수단은 서로 냉매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실외기(200)의 팽창수단에 연결된 냉매관은 외부 냉매관(미도시)을 통해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있다.
실외기(200)는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실내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실외기(200)는 외부의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외부의 상용전원(AC)으로부터 공급받고 공급된 상용 전원의 전력을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실내기(100)에 공급한다.
실외기(200)는 두 개의 통신선(CL1, CL2)을 통해 실내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실외기(200)는 실내기(100)로부터 전송된 운전 명령에 대응하여 부하인 실외팬 및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실내기(100)를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운전 모드를 수행한다.
실외기(200)는 운전 정지 후 두 개의 통신선(CL1, CL2)을 통해 일정 시간 내에 운전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고, 실내기(10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운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한다.
또한 실외기(200)는 실내기(100)로부터 대기 모드 신호가 수신되면 대기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고, 실내기(100)로부터 대기 모드의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대기 모드를 해제하여 운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외기(200)는 대기 모드에 진입되면 대기전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부하를 오프시키고 제2제어부만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킨다.
이때 실외기(200)의 제2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Wake up)되기 위해서 일부 포트를 인터럽트포트(I)로 설정하고, 설정된 인터럽트 포트(I)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 대기 모드를 해제하고 운전 모드로 복귀한다.
아울러 실외기(200)는 대기 모드 중 실내기(10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압축기의 권선 가열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때 실내기(100)에 대기 모드의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실외기(200)는 통신선(CL1, CL2)을 통해 대기 모드 해제 신호를 실내기(100)에 전송한다.
대기 모드를 수행하고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실내기(100)와 실외기(20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실내기(100)는 제1변환부(110), 입력부(120), 제1제어부(130), 제1부하 구동부(140), 제1통신부(150), 제1스위칭부(160), 제1전압 분배부(170), 제1스위칭 구동부(180)를 포함하고, 실외기(200)는 제2변환부(210), 제2제어부(220), 제2부하 구동부(230), 제2통신부(240), 제2스위칭부(250), 제2전압 분배부(260), 제2스위칭 구동부(270)를 포함한다.
실내기(100)의 제1변환부(110)는 제1전원단(PT1: N, L)에 접속되어 제1전원단(PT1)으로부터 외부의 상용 교류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외부의 상용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각 구성부(120, 130, 140, 150, 160) 및 제1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1변환부(110)는 제1제어부(130)와 제1통신부(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약 5V, 제1스위칭부(16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약 12V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1전원단(PT1: N, L)은 두 전원선(PL1, PL2)을 통해 실외기(200)에 연결되어 실외기(200)로부터 외부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는다.
입력부(120)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부터 운전 명령을 입력받아 제1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것으로, 전원 온오프 버튼, 기능 설정 버튼, 목표 온도 설정 버튼 등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30)는 입력부(120) 또는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운전 명령과 실내 온도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검출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제1부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운전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제1제어부(130)는 운전 명령과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제2부하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제1통신부(150)를 통해 실외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부하는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내팬 등을 포함하고 제2부하는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실내기(100)는 운전 명령과 실내 온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1통신부(150)를 통해 실외기(2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30)는 운전이 정지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대기 모드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고, 대기 모드 진입 시점부터 대기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며, 대기 모드 중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대기 모드를 해제하여 운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한다.
제1제어부(130)는 대기 모드 진입 시 제1스위칭부(160)를 오프 제어하고, 제1통신부(150)를 통해 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고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대기 모드를 해제시켜 제1스위칭부(160)를 온 제어한다.
이러한 제1제어부(130)는 제1스위칭부(160)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대기 모드 중 제1통신부(150)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운전 모드 중 제1통신부(150)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대기 모드 시에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제1변환부(110)로부터 직류 전력의 전압이 공급되면 제1스위칭부(160)를 온 제어함으로써 실내기(100)와 실외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30)에 제1변환부(110)로부터 직류 전력의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1스위칭부(16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제1통신부(150)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30)는 제1통신단(CT1) 또는 제1전원단(PT1)에 설치된 전압 검출부(미도시)로부터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스위칭부(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부하 구동부(140)는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운전 모드 시 각종 제1부하를 구동시키고, 대기 모드 시 각종 제1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제1통신부(150)는 운전 모드 시 제1변환부(110)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받고,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실외기(200)에 전송한다.
제1통신부(150)는 대기 모드 시 제1변환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오프 상태로 상태가 전환된다.
이러한 제1통신부(150)는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입력단과 출력단은 하나로 일체화된 입출력단으로 형성 가능하고, 또한 별도로도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제1통신부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하나로 일체화된 입출력단을 두 개 가지는 통신부로,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신부(150)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제1입출력단(a) 및 제2입출력단(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은 통신 신호의 비반전 신호를 입출력하고, 제2입출력단(b)은 통신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출력하는 단으로, 제1통신부(150)는 신호 수신 시 비반전 신호와 반전 신호의 차등 전압을 고려하여 통신 신호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통신부(150)는 대기 모드 중 제1변환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2 입출력단(a, b)에 일정 전압 이상의 전압이 걸리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해제 신호를 제1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과 제2입출력단(b) 사이에는 임피던스(R13)가 존재하고, 이 임피던스에 걸리는 전압(Vd)에 따라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1통신부(150)는 임피던스(R13)에 걸리는 전압(Vd)이 기준 전압(Vr) 이상일 때 해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제1통신부를 이루는 통신소자에 따라 달라지고, 임피던스 또한 제1통신부를 이루는 통신소자에 따라 달라진다.
제1스위칭부(160)는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운전 모드 시 온되어 실내기(100)와 실외기(200) 간 폐회로를 구성하고, 대기 모드 시 오프된다.
이러한 제1스위칭부(160)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즉, 제1스위칭부(160)는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에 연결된 제1릴레이(161)와 제2입출력단(b)에 연결된 제2릴레이(162)를 포함하고, 제1스위칭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제1변환부(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제1, 2 릴레이(161, 162)가 온 된다.
제1전압 분배부(170)는 대기 모드 시 실외기(200)와 제1통신부(150) 간 폐회로를 구성한다. 즉, 제1전압분배부(170)가 제1스위칭부(160)에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 모드 시 제1스위칭부(160)가 오프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전압분배부(170)는 대기 모드 시 실외기(200)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압 분배부(170)는 저항을 포함하고, 이 저항은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된다.
즉, 제1전압분배부(170)는 제1릴레이(161)에 병렬 연결된 제1저항(R11)과, 제2릴레이(162)에 병렬 연결된 제2저항(R12)을 포함하고, 제1저항(R11)과 제2저항(R12)은 대기 모드 중 실외기(2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여 제1통신부(150)에 전달한다.
이때 실외기(200)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Vs)이 제1저항(R11), 제2저항(R12) 및 임피던스(R13)의 세 저항에서 분배된다.
이 중 제1통신부(150)의 제1, 2입출력단(a, b) 사이에 걸리는 전압, 즉 임피던스(R13)에 걸리는 전압(Vd)에 의해 해제 신호가 발생되고, 이 해제 신호에 의해 제1제어부(130)에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어 제1제어부(130)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된다.
이때 임피던스(R13)에 걸리는 전압(Vd)이 기준 전압(Vr) 이상이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Vd=(R13*Vs)/(R11+R12+R13), Vd ≥ Vr
이에 따라 제1저항(R11), 제2저항(R12)의 값은 제1통신부(150)의 제1, 2입출력단 사이의 임피던스(R13),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 전압(Vr)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제1스위칭 구동부(180)는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제1스위칭부(160)를 온오프 시킨다. 즉, 제1스위칭 구동부(180)는 대기 모드 시 제1스위칭부(160)를 오프시키고 운전 모드 시 제1스위칭부(160)를 온시킨다.
아울러, 제1스위칭 구동부(180)는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되면 제1스위칭부(160)를 온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실내기(100)의 제1전원단(PT1)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CL1, CL2)이 연결되면 제1스위칭부(160)가 온되고, 제1전원단(PT1)에 통신선(CL1, CL2)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되면 제1제어부(130)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제1스위칭부(16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에 전원선이 오결선되어도 통신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실내기(100)는 두 개의 통신선(CL1, CL2)이 연결되는 제1통신단(CT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통신단(CT1)에는 제1스위칭부(160) 및 제1전압 분배부(170)가 연결되고, 이들을 통해 제1통신부(150)에 연결된다.
즉 제1통신단(CT1)은 제1스위칭부(160) 및 제1전압 분배부(170)를 두 개의 통신선(CL1, CL2)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아울러, 실내기(100)는 제1통신단(CT1)에 설치된 전압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통신부(150)에 연결된 선이 통신선인지 전원선인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이 연결되면 교류의 전압이 검출되고,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되면 직류의 전압이 검출된다.
또한, 실내기(100)는 제1전원단(PT1)에 설치된 전압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전원단(PT1)에 연결된 선이 통신선인지 전원선인지 판단함으로써 제1통신부(150)에 연결된 선이 통신선인지 전원선인지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기(200)의 제2변환부(210)는 제2전원단(PT2)에 연결되어 외부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교류의 상용 전원을 직류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의 전력의 전압을 각 구성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2변환부(210)는 제2제어부(220)와 제2통신부(24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약 5V, 제2스위칭부(25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약 12V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2전원단(PT2)은 네 개의 단자(L: Live, N: Neutral, L', N')를 가지고, 이 네 개의 단자(L, N, L', N') 중 두 개의 단자(L, N)는 외부의 상용 전원에 연결되고, 나머지 두 개의 단자(L', N')는 상용 전원에 연결된 단자(L, N)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실내기(100)의 제1전원단(PT1)에 각각 연결된다.
제2제어부(220)는 운전이 정지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대기 모드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실내기(100)로부터 대기 모드 신호가 입력되면 대기 모드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여 대기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실내기(10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거나 대기 모드의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대기 모드를 해제하여 운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한다.
제2제어부(220)는 운전 모드 시 실내기(1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실외 온도 등의 데이터를 실내기(100)에 송신하고, 실내기(100)로부터 실내 온도, 목표 온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제어부(220)는 대기 모드 진입 시 제2스위칭부(250)를 오프 제어하고, 제2통신부(240)를 통해 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고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대기 모드를 해제시켜 제2스위칭부(250)를 온 제어한다.
이러한 제2제어부(220)는 제2스위칭부(250)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대기 모드 중 제2통신부(240)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운전 모드 중 제2통신부(240)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대기 모드 시에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제어부(220)는 제2변환부(210)로부터 직류 전력의 전압이 공급되면 제2스위칭부(250)를 온 제어함으로써 실내기(100)와 실외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아울러 제2제어부(220)에 제2전원단(PT2)의 단자 간 오결선 또는 제2전원단(PT2)과 제2통신단(CT2) 간의 오결선으로 인해 제2변환부(210)로부터 직류 전력의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스위칭부(25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제2통신부(240)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제어부(220)는 대기 모드 중 실내기(10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기능 향상을 위한 운전(예를 들어, 압축기의 권선 가열 등) 시점을 판단하여 대기 모드를 해제 시점을 판단하고, 대기 모드 해제 시점 시 제2스위칭부(250)를 온 제어하고, 제2통신부(240)를 통해 실내기(100)에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제2부하 구동부(230)는 제2제어부(220)의 명령에 따라 운전 모드 시 각종 제2부하를 구동시키고, 대기 모드 시 각종 제2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제2부하는 압축기, 실외팬, 팽창수단, 실외 온도 검출부 등이 있다.
제2통신부(240)는 운전 모드 시 제2변환부(210)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받고, 제2제어부(220)의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실내기(100)에 전송한다.
제2통신부(240)는 대기 모드 시 제2변환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오프 상태로 상태가 전환된다.
이러한 제2통신부(240)는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입력단과 출력단은 하나로 일체화된 입출력단으로 형성 가능하고, 또한 별도로도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제2통신부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하나로 일체화된 입출력단을 두 개 가지는 통신부로, 제1통신부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즉, 실외기(200)의 제2통신부(240), 제2스위칭부(250), 제2전압 분배부(260), 제2스위칭 구동부(270)의 기능은 실내기(100)의 제1통신부(150), 제1스위칭부(160), 제1전압 분배부(170), 제1스위칭 구동부(180)의 기능과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내기, 실외기 중 타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의 경우, 통신부에 전원선이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타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에만 스위칭부, 전압 분배부, 전압 조정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실내기(100)는 제1변환부(110), 입력부(120), 제1제어부(130), 제1부하 구동부(140), 제1통신부(150), 제1스위칭부(160), 제1전압 분배부(170), 제1스위칭 구동부(180), 제1전압 조정부(190)를 포함하고, 실외기(200)는 제2변환부(210), 제2제어부(220), 제2부하 구동부(230), 제2통신부(240), 제2스위칭부(250), 제2전압 분배부(260), 제2스위칭 구동부(270), 제2전압 조정부(28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제1통신부(150)와 제1통신단(CT1) 사이에 마련된 제1전압 조정부(190)와, 제2통신부(240)와 제2통신단(CT2) 사이에 마련된 제2전압 조정부(28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제1, 2 전압 조정부(190, 280)를 통해 오결선에 의한 제1, 2통신부(150, 240)의 소손을 방지한다.
실내기(100)의 제1변환부(110), 입력부(120), 제1제어부(130), 제1부하 구동부(140), 제1통신부(150)의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압 조정부(190)는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 및 제2입출력단(b) 사이에 위치한다.
제1전압 조정부(190)는 복수의 제너 다이오드(ZD11, ZD12)를 포함한다.
즉,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에 제1제너 다이오드(ZD11)의 캐소드 단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의 제2입출력단(b)에 제2제너 다이오드(ZD12)의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이로 인해 제1, 2 제너 다이오드(ZD11, ZD12)의 애노드 단이 맞닿는다.
이러한 제1전압 조정부(190)는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되어 전원선(PL1, PL2)을 통해 일정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제1 제너 다이오드(ZD11)는 일정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캐소드 단에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이때 제1제너 다이오드(ZD11)의 캐소드 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저항(R11)에서의 전압이고, 제1제너 다이오드(ZD11)에서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된 전압은 제2 제너다이오드(ZD12)의 애노드 단을 통해 통과한다. 여기서 제2 제너 다이오드(ZD12)은 일반 다이오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제2 제너 다이오드(ZD12)는 일정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캐소드 단에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이때 제2 제너 다이오드(ZD12)의 캐소드 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저항(R12)에서의 전압이고, 제2제너 다이오드(ZD12)에서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된 전압은 제1제너다이오드(ZD11)의 애노드 단을 통해 통과한다. 여기서 제1제너다이오드(ZD11)은 일반 다이오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된 경우, 통신선(CL1)을 통해 제1제너 다이오드(ZD11)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 전압 미만의 역방향 전압이기 때문에 제1 제너 다이오드(ZD11)는 전압 조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통신선(CL2)을 통해 제2제너다이오드(ZD12)에 인가되는 전압 역시 일정 전압 미만의 역방향 전압이기 때문에 제2 제너 다이오드(ZD12) 역시 전압 조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된 경우 통신선(CL1, CL2)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은 제1통신부(150)에 인가된다.
제1스위칭부(160)는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운전 모드 시 온되어 실내기(100)와 실외기(200) 간 폐회로를 구성하고, 대기 모드 시 오프된다. 이러한 제1스위칭부(160)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즉, 제1스위칭부(160)는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 및 제1제너 다이오드(ZD11)의 캐소드 단에 연결된 제1릴레이(161)와, 제2입출력단(b) 및 제2제너 다이오드(ZD12)의 캐소드 단에 연결된 제2릴레이(162)를 포함하고, 제1스위칭구동부(180)의 구동에 따라 제1변환부(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제1, 2 릴레이(161, 162)가 온 된다.
제1전압 분배부(170)는 대기 모드 시 실외기(200)와 제1통신부(150) 간 폐회로를 이룬다. 즉, 제1전압분배부(170)가 제1스위칭부(160)에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 모드 시 제1스위칭부(160)가 오프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전압분배부(170)는 대기 모드 시 실외기(200)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압 분배부(170)는 저항을 포함하고, 이 저항은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된다.
즉, 제1전압분배부(170)는 제1릴레이(161)에 병렬 연결된 제1저항(R11)과, 제2릴레이(162)에 병렬 연결된 제2저항(R12)을 포함하고, 제1저항(R11)는 제1전압 조정부(190)의 제너 다이오드(ZD11)의 캐소드 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저항(R12)은 제1전압 조정부(190)의 제너 다이오드(ZD12)의 캐소드 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1전압분배부(170)의 제1저항(R11)과 제2저항(R12)은 대기 모드 중 실외기(2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여 제1통신부(150)에 전달한다.
이때 실외기(200)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Vs)이 제1저항(R11), 제2저항(R12) 및 임피던스(R13)의 세 저항에서 분배된다.
이 중 제1통신부(150)의 제1, 2입출력단(a, b) 사이에 걸리는 전압, 즉 임피던스(R13)에 걸리는 전압(Vd)에 의해 해제 신호가 발생되고, 이 해제 신호에 의해 제1제어부(130)에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어 제1제어부(130)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된다.
이때 임피던스(R13)에 걸리는 전압(Vd)이 기준 전압(Vr) 이상이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전압분배부(170)의 제1저항(R11)과 제2저항(R12)은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된 경우 전원선(PL1, PL2)을 통해 인가된 전압을 분배한다.
이때 제1저항(R11)과 제2저항(R12)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제1, 2제너 다이오드(ZD11, ZD12)에 의해 일정 전압으로 조정된다.
즉, 제1스위칭부(16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통신단(CT1)을 통해 인가된 전원선(PL1, PL2)의 전압이 제1저항(R11), 제2저항(R12)에서 분배되고, 제1저항과 제2저항에서 분배된 전압이 제1, 2 제너다이오드(ZD11, ZD12)에 의해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된다.
이로 인해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을 오결선한 경우 전원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1통신부(150)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위칭 구동부(180)는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제1스위칭부(160)를 온오프 시킨다. 즉, 제1스위칭 구동부(180)는 대기 모드 시 제1스위칭부(160)를 오프시키고 운전 모드 시 제1스위칭부(160)를 온시킨다.
또한, 제1스위칭 구동부(180)는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되면 제1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제1스위칭부(160)를 온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실내기(100)의 제1전원단(PT1)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CL1, CL2)이 연결되면 제1스위칭부(160)가 온되고, 제1전원단(PT1)에 통신선(CL1, CL2)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되면 제1제어부(130)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제1스위칭부(16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전원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선의 전압을 제1, 2저항을 통해 분배하고 제1, 2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조정함으로써 통신부에 전원선이 오결선되어도 제1통신부(15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결선에 따른 고장 방지를 위한 릴레이를 대기 전력 절감을 위해 대기 모드 시에 오프시켜도 제1, 2 저항을 통해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200)의 제2변환부(210), 제2제어부(220), 제2부하구동부(230), 제2통신부(240), 제2스위칭부(250), 제2전압 분배부(260), 제2스위칭 구동부(270)의 구성은 일실시예의 실외기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200)의 제2전압 조정부(280)도 실내기(100)의 제1전압 조정부(190)의 구성과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실내기(100)와 실외기(200)는 통신선과 전원선의 연결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192, 290)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3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제어부(130)에 직류의 전력이 인가되면, 즉 구동 전력이 인가되면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출력부(1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됨을 알린다.
이러한 제1, 2출력부(195, 290)는 표시등 또는 알람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제1, 2 전압 조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제1, 2 전압 조정부를 도 5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전압 조정부의 구성과 제1전압 조정부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제1 전압조정부(190)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전압 조정부(190)는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 및 제2입출력단(b) 사이에 위치한다.
제1전압 조정부(190)는 복수의 제너 다이오드(ZD11, ZD12)와 복수의 일반 다이오드(D11, D12)를 포함한다.
즉,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에 제1제너 다이오드(ZD11)의 캐소드 단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의 제2입출력단(b)에 제1 일반 다이오드(D11)의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이로 인해 제1 제너 다이오드(ZD11)와 제1 일반 다이오드(D12)의 애노드 단이 서로 맞닿는다. 이러한 제1 제너 다이오드와 제1 일반 다이오드는 제1 다이오드 쌍을 이룬다.
또한 제1통신부(150)의 제1입출력단(a)에 제2 일반 다이오드(D12)의 캐소드 단이 연결되고, 제1통신부(150)의 제2입출력단(b)에 제2 제너 다이오드(ZD12)의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이로 인해 제2 제너 다이오드(ZD12)와 제2 일반 다이오드(D12)의 애노드 단이 서로 맞닿는다. 이러한 제2 제너 다이오드와 제2 일반 다이오드는 제2 다이오드 쌍을 이룬다.
여기서 제1 다이오드 쌍과 제2 다이오드 쌍은 서로 병렬 관계를 이룬다.
이러한 제1전압 조정부(190)는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되어 전원선(PL1, PL2)을 통해 일정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제1 제너 다이오드(ZD11)는 일정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캐소드 단에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이때 제1제너 다이오드(ZD11)의 캐소드 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저항(R11)에서의 전압이고, 제1제너 다이오드(ZD11)에서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된 전압은 제1 일반 다이오드(D11)의 애노드 단을 통해 통과한다.
아울러 제1저항(R11)를 통해 제 2 일반 다이오드(D12)에 인가되는 전압은 역방향의 전압이기 때문에 제2 일반 다이오드(D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반면 제2 제너 다이오드(ZD12)는 일정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캐소드 단에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이때 제2 제너 다이오드(ZD12)의 캐소드 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저항(R12)에서의 전압이고, 제2제너 다이오드(ZD12)에서 일정 전압 이하로 조정된 전압은 제2 일반 다이오드(D12)의 애노드 단을 통해 통과한다.
아울러 제2저항(R12)를 통해 제 2 일반 다이오드(D12)에 인가되는 전압은 역방향의 전압이기 때문에 제2 일반 다이오드(D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즉 제1 제너 다이오드(ZD11)는 제1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대해 전압 조정을 수행하고, 제2제너다이오드(XD12)s느 제2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대해 전압 조정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통신부(150)에 전원선(PL1, PL2)이 연결된 경우, 제1스위칭부(16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통신단(CT1)을 통해 전원선(PL1, PL2)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때 인가된 전압이 제1전압분배부(170)의 제1저항(R11)과 제2저항(R12)에서 분배되고, 제1저항(R11)과 제2저항(R12)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제1, 2제너 다이오드(ZD11, ZD12)에 의해 일정 전압으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전원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선의 전압을 제1, 2저항을 통해 분배하고 제1, 2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조정함으로써 통신부에 전원선이 오결선되어도 제1통신부(15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결선에 따른 고장 방지를 위한 릴레이를 대기 전력 절감을 위해 대기 모드 시에 오프시켜도 제1, 2 저항을 통해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된 경우, 통신선(CL1)을 통해 제1제너 다이오드(ZD11)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 전압 미만의 역방향 전압이기 때문에 제1 제너 다이오드(ZD11)는 전압 조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통신선(CL2)을 통해 제2제너다이오드(ZD12)에 인가되는 전압 역시 일정 전압 미만의 역방향 전압이기 때문에 제2 제너 다이오드(ZD12) 역시 전압 조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제1통신부(150)에 통신선이 연결된 경우 통신선(CL1, CL2)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은 제1통신부(150)에 인가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각 구성 간 연결 상태를 달리한 공기 조화기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100), 실외기(200)를 포함하고, 실내기(100)에 유선 연결되어 실내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유선 제어기(300)를 더 포함한다.
실내기(100)와 실외기(200), 실내기(100)와 유선 제어기(300)는 각각 두 개의 통신선(CL1, CL2) 및 두 개의 통신선(CW1, CW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실내기(100)와 실외기(200)는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실내기(100)와 유선 제어기(300)도 두 개의 전원선(PW1, PW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내기(100)는 각 전원선을 통해 실외기(200) 및 유선 제어기(3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아울러 실내기, 실외기, 유선 제어기 중 타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의 경우, 통신부에 전원선이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타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에만 스위칭부, 전압 분배부, 전압 조정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 실외기(200), 유선 제어기(300) 역시 스위칭부, 전압 분배부, 전압 조정부를 각각 포함하고, 이에 의해 기기간의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대기 모드 시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는 도 6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에서 유선 제어기(300)의 연결 상태를 달리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 역시 도 6과 동일하다.
실내기(100)와 실외기(200)는 두 개의 통신선(CL1, CL2) 및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두 개의 통신선(CL1, CL2)을 통해 상호 통신을 수행하고, 두 개의 전원선(PL1, PL2)을 통해 실내기(100)에서 실외기(200)로 전력을 공급한다.
유선 제어기(300)의 통신선(CW1, CW2)은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통신선(CL1, CL2)에 연결되어 각 통신선(CW1, CW2, CL1, CL2)을 통해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유선 제어기(300)의 전원선(PW1, PW2)은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전원선(PL1, PL2)에 연결되어 각 전원선(PW1, PW2, PL1, PL2))을 통해 실내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유선 제어기(300)는 실외기(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 실외기(200), 유선 제어기(300) 역시 스위칭부, 전압 분배부, 전압 조정부를 각각 포함하고, 이에 의해 기기간의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대기 모드 시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100: 실내기 110: 제1변환부
120: 입력부 130: 제1제어부
140: 제1부하 구동부 150: 제1통신부
160: 제1스위칭부 170: 제1전압분배부
180: 제1스위칭 구동부 190: 제1전압 조정부
195: 제1 출력부 200: 실외기
210: 제2변환부 220: 제2제어부
230: 제2부하 구동부 240: 제2통신부
250: 제2스위칭부 260: 제2전압분배부
270: 제2스위칭 구동부 280: 제2전압 조정부
290: 제2 출력부 300: 유선 제어기

Claims (20)

  1. 통신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대기 모드 시 오프되고 상기 대기 모드의 해제 시 온되어 서로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스위칭부;
    상기 대기 모드 중 수신된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대기 모드 중 상기 전압 분배부로부터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부;
    상기 대기 모드의 진입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대기 모드의 진입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 중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는 저항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에 상기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상기 통신부, 스위칭부,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5. 전원선과 통신선을 통해 연결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상기 통신선이 연결되면 온되고 대기 모드 시 오프되며 상기 대기 모드의 해제 시 온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 오프 시 상기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전압 조정부;
    구동 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 진입 시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 중 상기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상기 통신부, 스위칭부,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에 상기 통신선이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통신선이 연결됨을 알리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대기 모드 중 수신된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기 모드 중 상기 전압 분배부로부터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면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기 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 중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온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는 저항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에 상기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공기 조화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 신호가 입출력되는 제1입출력단 및 제2입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제1입출력단에 연결된 제1저항과 상기 제2입출력단에 연결된 제2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제1저항, 제2저항을 이용하여 분배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단과 제2입출력단 사이의 임피던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상기 임피던스에 의해 분배되는 공기 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된 전압 중 상기 임피던스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상기 제어부의 트리거 신호 발생에 필요한 전압인 공기 조화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입출력단에 연결된 제1릴레이와, 상기 제2입출력단에 연결된 제2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릴레이에 상기 제1저항이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제2저항이 병렬 연결된 공기 조화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입출력단 사이에 상기 전압 조정부가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부는,
    애노드가 맞닿아 설치된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부는,
    애노드가 맞닿아 설치된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일반 다이오드를 두 쌍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너 다이오드와 일반 다이오드는 제1입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고, 다른 한 쌍의 제너 다이오드와 일반 다이오드는 제2입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093847A 2011-09-19 2011-09-19 공기 조화기 KR101858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47A KR101858938B1 (ko) 2011-09-19 2011-09-19 공기 조화기
US13/598,073 US9671123B2 (en) 2011-09-19 2012-08-29 Air conditioner
EP12183900.5A EP2570745B1 (en) 2011-09-19 2012-09-11 Air conditioner
CN201210347359.7A CN103017259B (zh) 2011-09-19 2012-09-18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47A KR101858938B1 (ko) 2011-09-19 2011-09-19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405A true KR20130030405A (ko) 2013-03-27
KR101858938B1 KR101858938B1 (ko) 2018-06-29

Family

ID=4692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47A KR101858938B1 (ko) 2011-09-19 2011-09-19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71123B2 (ko)
EP (1) EP2570745B1 (ko)
KR (1) KR101858938B1 (ko)
CN (1) CN10301725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65A (ko) * 2017-08-18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71894A (ko) * 2018-12-11 2020-06-22 에버맥스(주) 냉온수를 열원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의 가변형 밸브 제어 장치 및 가변형 밸브 전원공급장치
KR20200084192A (ko) * 2019-01-02 2020-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11342A (ko) *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0904A (zh) * 2011-10-24 2014-09-10 瓦列里·瓦西里耶维奇·奥夫奇尼科夫 双电线通信线路的电源
WO2014184878A1 (ja) * 2013-05-14 2014-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保護装置および保護方法
CN103644629B (zh) * 2013-12-26 2016-08-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管机的运行控制方法及系统
JP6157374B2 (ja) * 2014-02-05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390306B (zh) * 2014-10-24 2017-09-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通讯系统、空调通讯方法及空调器
JP6184391B2 (ja) * 2014-11-07 2017-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10185297B2 (en) * 2015-06-16 2019-01-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nhanced wake activation response speeds for industrial control systems
KR101737364B1 (ko) * 2015-08-31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537697B2 (ja) * 2016-02-23 2019-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室内機
JP2018162902A (ja) * 2017-03-24 2018-10-18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7036233B (zh) * 2017-03-27 2020-10-20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多联机组的室内、外机通讯方法、装置及空调机
KR101951675B1 (ko) * 2017-03-28 201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KR102001934B1 (ko) * 2017-06-20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1486596B2 (en) * 2017-07-26 2022-11-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CN107332228B (zh) 2017-08-01 2021-05-2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保护电路及空调
CN107547109B (zh) * 2017-08-04 2021-05-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电流环通信电路及空调器
GB2567162B (en) * 2017-10-03 2019-10-16 Aspen Pumps Ltd A connection box for condensate pumps in air-conditioning units
CN108168048B (zh) * 2017-11-16 2020-04-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识别空调电路的方法、装置及空调
CN108224707A (zh) * 2017-11-29 2018-06-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内外机通讯方法、装置及空调
CN108507103B (zh) * 2018-06-05 2023-08-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烧保护电路、加湿器和空调器
CN108518826B (zh) * 2018-06-05 2023-1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零待机功耗空调外机的控制电路和空调
US10992175B2 (en) * 2018-06-15 2021-04-27 Google Llc Communication circuit for 2-wire protocols between HVAC systems and smart-home devices
CN111339069B (zh) * 2018-12-19 2023-07-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机数据统计分析方法、系统及智能终端
CN112524685A (zh) * 2020-11-30 2021-03-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
JP7244778B2 (ja) * 2021-07-09 2023-03-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通信アダプタ
US20230114521A1 (en) * 2021-10-12 2023-04-13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in a calibration m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251A (ko) * 2003-10-21 2006-08-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설비 기기용 통신 회로
JP2010054065A (ja) * 2008-08-26 2010-03-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990A (en) * 1996-01-11 1998-10-20 Illinois Tool Works Inc. Power selection and protection circuit for inverter power supply
JP3019844B1 (ja) 1998-10-05 2000-03-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セパレート形空気調和機
KR100566851B1 (ko) * 2000-08-28 2006-04-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US7822967B2 (en) * 2000-09-27 2010-10-26 Huron Ip Llc Apparatus, architecture, and method for integrated modular server system providing dynamically power-managed and work-load managed network devices
JP3806882B2 (ja) * 2004-11-29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7434744B2 (en) * 2005-12-12 2008-10-14 Emerson Electric Co. Low voltage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climate control system
CN1987243A (zh) 2005-12-22 2007-06-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
KR20080035173A (ko)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7748640B2 (en) * 2006-12-18 2010-07-06 Carrier Corporation Stackable thermostat
JP5478075B2 (ja) 2009-01-06 2014-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408755B1 (ko) 2009-07-28 2014-06-17 파나소닉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단말기
KR101677609B1 (ko) 2009-09-07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9104211B2 (en) * 2010-11-19 2015-08-11 Google Inc. Temperature controller with model-based time to target calculation and display
JP5690545B2 (ja) * 2010-10-06 2015-03-2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251A (ko) * 2003-10-21 2006-08-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설비 기기용 통신 회로
JP2010054065A (ja) * 2008-08-26 2010-03-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65A (ko) * 2017-08-18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71894A (ko) * 2018-12-11 2020-06-22 에버맥스(주) 냉온수를 열원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의 가변형 밸브 제어 장치 및 가변형 밸브 전원공급장치
KR20200084192A (ko) * 2019-01-02 2020-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11342A (ko) *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0745A2 (en) 2013-03-20
CN103017259A (zh) 2013-04-03
US9671123B2 (en) 2017-06-06
US20130067941A1 (en) 2013-03-21
CN103017259B (zh) 2017-05-17
EP2570745B1 (en) 2020-11-04
EP2570745A3 (en) 2018-06-27
KR101858938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938B1 (ko) 공기 조화기
CN110207342B (zh) 室内机、空调机组的控制电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N103292389B (zh) 空调器及其室外机、温控器和该空调器的控制方法
US8042746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WO2012101902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始動制御方法
JP4179366B2 (ja) 空気調和機
JP2008175466A (ja) 消費電力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消費電力制御方法
JP6072673B2 (ja)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EP2864713B1 (en) Air conditioner
JPH1114123A (ja) 空気調和装置
KR1015733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U2021346997A9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ndoor unit of same
AU202134699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ndoor unit of same
KR1015966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10197601U (zh) 一种空调压力保护装置及空调
US20060144064A1 (en) Airconditioning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solving unbalanced phas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90084449A (ko) 중앙제어를 통한 개별 실내온도 제어방법
KR101028094B1 (ko) 비상전원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4430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1952510A (zh) 配备待机电力断开开关的空调器的调节系统及运转方法
JP200104153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0126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2259A (ko) 공기조화기의 오결선 감지장치
KR10115534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JP6628527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