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19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192A
KR20200084192A KR1020190000300A KR20190000300A KR20200084192A KR 20200084192 A KR20200084192 A KR 20200084192A KR 1020190000300 A KR1020190000300 A KR 1020190000300A KR 20190000300 A KR20190000300 A KR 20190000300A KR 20200084192 A KR20200084192 A KR 2020008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air conditioner
switching element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972B1 (ko
Inventor
정용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고,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전환부, 제1 기준 전압에 연결되는,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제1 통신부,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통신선을 통해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제1 기준 전압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통신부의 전원 입력 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제1 스위칭 소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경로 전환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제1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제2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경로 전환부는, 제2 스위칭 소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내기의 제어에 따라, 외부 교류 전원을 실외기로 공급할 수 있어,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가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 중 실외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소모가 큰 편이므로, 실외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작동을 중지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공기 조화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상호 간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와 실외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이용하여, 상호 간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의 대기 전력 상태가 해제되면, 실내기는 통신선을 통해 실외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실외기를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실외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전력을 전혀 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실내기와 실외기가 상호 간에 전원을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면, 실내기와 실외기가, 시리얼 통신 방식(예: RS-485 통신)을 위한 통신선으로만 연결된 경우, 해당 통신선을 통해 실외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실외기는, 실내기를 통한 전원 공급 없이, 공기조화기의 대기 전력 상태가 해제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공기조화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대기 전력 상태에서도, 실외기가 여전히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에 전달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실외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고,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전환부, 제1 기준 전압에 연결되는,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제1 통신부,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통신선을 통해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제1 기준 전압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통신부의 전원 입력 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제1 스위칭 소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경로 전환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제1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제2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경로 전환부는, 제2 스위칭 소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내기의 제어에 따라, 외부 교류 전원을 실외기로 공급할 수 있어,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가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잡하고 고비용의 회로 소자가 아닌, 저항, 트랜지스터 등 비교적 간단한 회로 소자를 사용하므로, 그 구현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31), 실내기(31)에 연결되는 실외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31) 및 실외기(2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31)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는, 연결된 실내기(31)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외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리모컨(미도시)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연결되어, 실내기(31)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실내기(3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3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102b)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측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예를 들면,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21)와 실내기(31)를 구비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실외기 전원부(201), 실외기 제어부(202), 실외기 통신부(203), 및/또는 실외기 모터구동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전원부(201)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외기 전원부(201)는, 예를 들면, 경로 전환부(미도시),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정류부(미도시), 및/또는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dc단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전환부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될 수 있고, 외부 교류 전원의 공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경로 전환부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의 공급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로 전환부는, 외부 교류 전원의 공급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복수의 릴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정류부는, 예를 들면, 삼상 브릿지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다이오드 소자 및 하암 다이오드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 또는 세 쌍의 상, 하암 다이오드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실외기(21)에 구비된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 제어부(202)는, 실외기 전원부(201)에 구비된 경로 전환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외부 교류 전원의 공급 경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전원부(201)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강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전압강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외부 교류 전원의 공급 경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외기(21)에 구비된 전압강압부는, 예를 들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전원부(201)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이 실외기(21)에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경로 전환부, 정류부, dc단 커패시터 및 전압강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단에서 검출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실외기 전원부(201)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이 실외기(21)에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교류 전압 검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교류 전압 검출부는, 예를 들면, 경로 전환부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교류 전압 검출부는, 예를 들면, 저항 소자,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op-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경로 전환부의 출력 전압은, 예를 들면,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일 수 있다.
한편,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교류 전류 검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교류 전류 검출부는, 예를 들면, 경로 전환부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교류 전류 검출부는, 예를 들면,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션트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직류 전압을 검출하는 직류 전압 검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직류 전압 검출부는, 예를 들면, 정류부, dc단 커패시터 및 전압강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직류 전압 검출부는, 예를 들면, 변압기(voltage transformer, VT), 저항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부(203)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통신부(303)와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는,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부(203)는, 예를 들면, 실내기 통신부(303)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 및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 통신부(203)는, 예를 들면,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실내기(31)와의 통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100) 내의 통신방식과는 상이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의 서버 또는 제어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실외기 모터구동부(204)는, 예를 들면, 실외기(21)에 구비된 전동기(102b, 105b)를 구동할 수 있다.
실외기 모터구동부(204)는, 예를 들면,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실외기 전원부(201)의 출력 전원을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는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회로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제어부(20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실외기 모터구동부(204)는, 지능형 전력 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IPM)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M은,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및 IGBT의 구동을 위한 제어 회로를 단일 패키지에 내장하여 모듈화한 회로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실외기 모터구동부(204)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제어부(202)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실외기(21)에 구비된 전동기(102b, 105b)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구비된 전동기의 개수에 따라 실외기 모터구동부(204)를 복수 개 구비할 수도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기 전원부(301), 실내기 제어부(302), 실내기 통신부(303), 실내기 모터구동부(304), 및/또는 실내기 입력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전원부(301)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내기 전원부(301)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정류부(미도시), 및/또는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dc단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는, 예를 들면, 삼상 브릿지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다이오드 소자 및 하암 다이오드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 또는 세 쌍의 상, 하암 다이오드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구비된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 제어부(302)는, 운전 모드 및 대기 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 모드는, 예를 들면, 냉방기능, 난방기능, 제습기능 또는 송풍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에 따라, 공기조화기(100)가 동작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대기 전력 모드는, 예를 들면, 실외기(2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실내기(31)에서 운전 모드와 관련된 동작을 정지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실내기 입력부(305)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 제어부(302)는, 실내기 입력부(305)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운전 모드 및 대기 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실내기 모터구동부(304)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구비된 전동기(109b)를 구동할 수 있다. 실내기 모터구동부(304)는, 예를 들면, 실내기 제어부(302)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동기(109b)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 모터구동부(304)는, 예를 들면,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실내기 전원부(301)의 출력 전원을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는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회로는, 예를 들면, 실내기 제어부(30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실내기 모터구동부(304)는, 지능형 전력 모듈(IPM)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내기 통신부(303)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외기 통신부(203)와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 통신부(303)는,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 및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실외기(21)와의 통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100) 내의 통신방식과는 상이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의 서버 또는 제어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실내기 입력부(305)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실내기 입력부(305)는, 예를 들면,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내기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기 전원부(301)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강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내기(31)에 구비된 전압강압부는, 예를 들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전압강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동작 전원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압강압부는, 예를 들면, 실외기(21)와 연결될 수 있고, 전압강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실외기(21)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리모컨(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기(31)에 구비된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리모컨과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은, 예를 들면, 실내기(3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리모컨은, 실내기(31)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목표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은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실내기(3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31)는, 전송된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내기(31)에 포함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기 제어부(302), 실내기 통신부(303), 및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와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단자(Rx, Tx)를 통해, 실외기 통신부(203)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전원 입력 단자(5V)를 통해, 동작 전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실내기 통신부(303)는, 예를 들면, 전원 입력 단자(5V)를 통해, 기준 전압(DC 5V)을 동작 전원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기준 전압(DC 5V)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구비된 전압강압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전압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실내기 통신부(303)가 5V의 직류 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입력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V의 직류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는, 예를 들면, 일단에 기준 전압(DC 5V)이 입력되고, 타단이 실외기(21)와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는, 예를 들면, 실내기 제어부(30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소자일 수 있다.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는, 예를 들면,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ive Transistor; FE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가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인 경우, 실내기 제어부(302)는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의 베이스 단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경우, 실내기 제어부(302)는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의 게이트 단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PWM 형태의 베이스 입력 전류 또는 게이트 입력 전압일 수 있다.
한편,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는, 예를 들면,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릴레이일 수도 있다.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인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21)로 전달되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전력 모드인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21)로 전달되지 않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전원부(201), 실외기 제어부(202), 실외기 통신부(203), 및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전원부(201)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강압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압강압부(240)는, 예를 들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전원부(201)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Vs)의 공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경로 전환부(220) 및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정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전환부(220)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Vs)에 연결될 수 있다. 경로 전환부(220)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Vs)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221) 및 제2 릴레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릴레이(221) 및 제2 릴레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턴-온 되는 경우, 정류부(230)에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경로 전환부(220)는, 예를 들면, 제2 릴레이(222)에 연결되는 저항 소자(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릴레이(221)는, 예를 들면,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제1 릴레이(221)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될 수 있다.
제2 릴레이(222)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제어부(20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 제어부(20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제1 릴레이(221)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제2 릴레이(222)는, 예를 들면, 전압강압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압강압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제1 릴레이(221)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제1 릴레이(221) 및 제2 릴레이(222)는, 예를 들면,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릴레이(221) 및 제2 릴레이(222)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PWM 형태의 베이스 입력 전류 또는 게이트 입력 전압일 수 있다.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는, 예를 들면, 일단이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의 타단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이 제1 릴레이(221)에 접속될 수 있다.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제어부(20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소자일 수 있다.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는, 예를 들면,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 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가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인 경우, 실외기 제어부(202)는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의 베이스 단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경우, 실외기 제어부(202)는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의 게이트 단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PWM 형태의 베이스 입력 전류 또는 게이트 입력 전압일 수 있다.
한편,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는, 예를 들면,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릴레이일 수도 있다.
실외기 통신부(203)는, 예를 들면, 통신선을 통해, 실내기 통신부(303)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203)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단자(Rx, Tx)를 통해, 실내기 통신부(303)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통신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부(203)는, 예를 들면, 전원 입력 단자(5V)를 통해, 동작 전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실외기 통신부(203)의 전원 입력 단자(5V)는, 예를 들면,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의 일단에 접속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221)로 전달되도록,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2 릴레이(222)를 통해 공급되지 않도록, 제2 릴레이(222)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제2 릴레이(222)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전압강압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제2 릴레이(222)가 턴-오프 되도록, 전압강압부(2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실외기 제어부(202)가 전압강압부(2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제1 릴레이(221) 및/또는 제2 릴레이(222)를 통해, 실외기(21)에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2 릴레이(222)를 통해 공급되도록, 제2 릴레이(222)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221)로 전달되지 않도록,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실내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실외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실내기(31)는, S501 동작에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대기 전력 모드 전환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입력부(305)를 통해, 대기 전력 모드 전환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리모컨으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 전환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S502 동작에서, 대기 전력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1)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를, 운전 모드에서 대기 전력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S503 동작에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에서 대기 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21)로 전달되지 않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S504 동작에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전력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대기 전력 모드 탈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입력부(305)를 통해, 대기 전력 모드 탈출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리모턴으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 탈출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S505 동작에서, 대기 전력 모드 탈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전력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S506 동작에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전력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된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21)로 전달되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를 턴-온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실외기(21)는, S511 동작에서, 실외기 통신부(203)의 전원 입력 단자(5V)를 통해,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S512 동작에서,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221)로 전달되도록,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를 턴-온 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S513 동작에서,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2 릴레이(222)를 통해 공급되지 않도록, 제2 릴레이(222)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S514 동작에서, 제1 릴레이(221) 및/또는 제2 릴레이(222)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S515 동작에서,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2 릴레이(222)를 통해 공급되도록, 제2 릴레이(222)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S516 동작에서,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221)로 전달되지 않도록,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를 턴-오프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6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면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외부 교류 전원(V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공기 조화기(100)에 구비된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실외기 전원부(201)에 구비된, 경로 전환부(220)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Vs)에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턴-온 된 제2 릴레이(222)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V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인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내기(31)에서 실외기(21)로 전달되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를 턴-온 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인 경우, 동작 모드를 대기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대기 전력 모드 전환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에서 대기 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21)로 전달되지 않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 통신부(203)의 전원 입력 단자(5V)를 통해,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221)로 전달되도록,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를 턴-온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 통신부(203)에 동작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2 릴레이(222)를 통해 공급되지 않도록, 제2 릴레이(222)를 턴-오프 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동작 모드가 대기 전력 모드인 경우, 동작 모드를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대기 전력 모드 탈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제1 릴레이(221) 및/또는 제2 릴레이(222)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Vs)이 실외기(21)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동작 모드가 대기 전력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된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21)로 전달되도록,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를 턴-온 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 스위칭 소자(310)가 턴-온 됨에 따라, 기준 전압(DC 5V)이 실외기 통신부(203) 및 제1 릴레이 소자(221)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 소자(221)에 전달됨에 따라,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1 릴레이(221)를 통해 공기조화기(1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 교류 전원(Vs)이 제2 릴레이(222)를 통해 공급되도록, 제2 릴레이(222)를 턴-온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되는 경우, 기준 전압(DC 5V)이 제1 릴레이(221)로 전달되지 않도록, 실외기 스위칭 소자(210)를 턴-오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31)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실외기(21)에 외부 교류 전원(Vs)이 공급될 수 있고, 전원을 공급받은 실외기(21)는 공기조화기(100)의 대기 전력 상태가 해제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31)와 실외기(21)가 상호 간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 공기 조화기(100)에 구비되지 않더라도, 공기조화기(100)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21)에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대기 전력 상태에서 실외기(21)가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1: 실외기 201: 전원부
202: 실외기 제어부 203: 실외기 통신부
210: 실외기 스위칭 소자 220: 경로 전환부
221: 제1 릴레이 222: 제2 릴레이
230: 정류부 240: 전압강압부
31: 실내기 302: 실내기 제어부
303: 실내기 통신부 310: 실내기 스위칭 소자
DC 5V: 기준 전압 Vs: 외부 교류 전원

Claims (9)

  1.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전환부;
    제1 기준 전압에 연결되는,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제1 통신부;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통신선을 통해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1 기준 전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부의 전원 입력 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경로 전환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전환부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전환부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는, 상기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모드가 운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통신부의 전원 입력 단자에 입력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대기 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상기 제2 통신부의 전원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경로 전환부를 통해 상기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외부 교류 전원이 상기 제2 릴레이를 통해 공급되도록, 상기 제2 릴레이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상기 경로 전환부로 입력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의 전원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기 제2 릴레이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전환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경로 전환부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강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강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강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제2 릴레이가 동작하도록, 상기 전압 강압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전환부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전환부를 통해 상기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정류부 및 상기 전압 강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전환부를 통해 상기 외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00300A 2019-01-02 2019-01-02 공기조화기 KR10229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00A KR102295972B1 (ko) 2019-01-02 2019-01-0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00A KR102295972B1 (ko) 2019-01-02 2019-01-0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92A true KR20200084192A (ko) 2020-07-10
KR102295972B1 KR102295972B1 (ko) 2021-08-30

Family

ID=7160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00A KR102295972B1 (ko) 2019-01-02 2019-01-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9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308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30405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2013137116A (ja) * 2011-12-28 2013-07-11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
KR20140096179A (ko) * 2011-12-28 2014-08-0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
KR101533651B1 (ko) * 2014-05-21 2015-07-03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5148372A (ja) * 2014-02-05 2015-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308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30405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2013137116A (ja) * 2011-12-28 2013-07-11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
KR20140096179A (ko) * 2011-12-28 2014-08-0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
JP2015148372A (ja) * 2014-02-05 2015-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533651B1 (ko) * 2014-05-21 2015-07-03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972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96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10119719B2 (en) Energy saving controller
US10047969B2 (en) Energy saving controller
JP5382105B2 (ja) 空気調和装置
US10174966B2 (en) Energy saving controller
KR10254389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5479785A (en) Electronic defrost controller with fan delay and drip time modes
KR102068181B1 (ko) 공기조화기
KR101667703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4091B1 (ko) 공기조화기
KR10160476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67330B1 (ko) 공기조화기
JP2019100655A (ja) 空気調和機、室内機及び室外機
KR102295972B1 (ko) 공기조화기
KR10167760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04685A (ko) 공기조화기
JP3815463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
KR2011002630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14659B1 (ko) 공기조화기
US10808961B2 (en) Energy saving controller
KR20110026308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EP0935104A1 (en) Air conditioner
KR1021984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0614B1 (ko) 공기조화기
KR10220646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