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822A - Crankshaft milling machine - Google Patents

Crankshaft mill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822A
KR20130029822A KR1020137005872A KR20137005872A KR20130029822A KR 20130029822 A KR20130029822 A KR 20130029822A KR 1020137005872 A KR1020137005872 A KR 1020137005872A KR 20137005872 A KR20137005872 A KR 20137005872A KR 20130029822 A KR20130029822 A KR 2013002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air
clamper
clampers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5105B1 (en
Inventor
다케시 스즈키
후미아키 우라
Original Assignee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6Milling crank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68Whir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Turn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2개의 공작물 레스트, 또는 공작물 레스트와 가공부를 근접 가능하게 한다. 이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한 쌍의 공작물 헤드(3a, 3b)와, 한 쌍의 스윙 헤드(12a, 12b)와 한 쌍의 공작물 레스트(13a, 13b)를 구비하고 있다. 각 공작물 레스트(13a, 13b)는, 대응하는 스윙 헤드(12a, 12b)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 프레임(24)과 한 쌍의 클램퍼(25)와 클램퍼 이동 기구(26)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클램퍼(25)는, 본체 프레임(24)의 스윙 헤드(12a, 12b)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일단이 본체 프레임(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개폐 가능하다. 클램퍼 이동 기구(26)는, 한 쌍의 클램퍼(25)보다 스윙 헤드(12a, 12b) 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클램퍼(25)를 본체 프레임(24)에 대하여 주축을 따라 이동시킨다.Two workpiece rests, or workpiece rests and workpieces are brought into close proximity. This crankshaft mirror is provided with a pair of work heads 3a and 3b, a pair of swing heads 12a and 12b, and a pair of work rests 13a and 13b. Each work rest 13a, 13b has the main body frame 24 which moves with the corresponding swing head 12a, 12b, a pair of clampers 25, and a clamper movement mechanism 26. As shown in FIG. The pair of clampers 25 are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frame 24 opposite to the swing heads 12a and 12b,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frame 24, and the other end thereof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lamper moving mechanism 26 is disposed on the swing heads 12a and 12b side than the pair of clampers 25 and moves the pair of clampers 25 along the main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24.

Description

크랭크샤프트 미러{CRANKSHAFT MILLING MACHINE}Crankshaft mirror {CRANKSHAFT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 미러, 특히, 가공되는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공작물 레스트를 가지는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kshaft mirror, in particular a crankshaft mirror having at least one workpiece rest for gripping a workpiece to be machined.

크랭크샤프트의 메인 저널 및 핀 저널을 절삭 가공하는 장치로서, 크랭크샤프트 미러가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베드 상에 설치된 한 쌍의 공작물 헤드와, 양 공작물 헤드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커터와 각 커터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가공중의 공작물을 파지하는 공작물 레스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공작물 헤드, 커터 및 공작물 레스트는 주축에 따른 방향(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As an apparatus for cutting the main journal and the pin journal of the crankshaft, a crankshaft mirror is provid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The crankshaft mirror has a pair of work heads provided on the bed, a pair of cutters disposed between the two work heads, and a work rest that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cutters and holds the work piece during processing. In addition, these work heads, cutters, and work rests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main ax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여기서, 1조의 커터 및 공작물 레스트는 1개의 새들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새들은 베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즉, 커터 및 공작물 레스트는, 새들의 이동에 따라 베이스 위를 주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Here, a set of cutters and a work rest are fixed on one bird and the birds are movable on the base. In other words, the cutter and the work rest can move along the main axis on the base as the birds move.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크랭크샤프트 미러에서, 커터 및 공작물 레스트는, 새들에 함께 지지되어, 서로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터와 공작물 레스트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가공상의 제약이 있다.In the crankshaft mirror shown in Patent Document 1, the cutter and the work rest are supported together by the saddle,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other is fixed. Thus, when the relative position of a cutter and a work rest is fixed, there exists a restriction on a process.

그래서, 이와 같은 가공상의 제약을 없애기 위해, 커터와 공작물 레스트와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크랭크샤프트 미러가 특허 문헌 2에 나타나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크랭크샤프트 미러에서는, 커터와 공작물 레스트가 각각 별개의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있고, 각 슬라이더를 별개의 구동 수단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커터와 공작물 레스트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such processing limitations, a crankshaft mirror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which makes it possible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cutter and the work rest. In the crankshaft mirror shown in this patent document 2, a cutter and a work rest are each attached to separate sliders, and the distance between a cutter and a work rest can be changed by moving each slider by a separate drive means.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공작물 레스트 전체가 아니고, 한 쌍의 클램퍼만을 이동시키도록 한 크랭크샤프트 미러가 나타나 있다. 이 크랭크샤프트 미러의 공작물 레스트는, 본체 프레임과, 한 쌍의 클램퍼와, 클램퍼 이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클램퍼는, 본체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클램퍼 이동 기구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Also, Patent Document 3 shows a crankshaft mirror in which only a pair of clampers are moved instead of the entire work rest. The workpiece rest of this crankshaft mirror is comprised by a main body frame, a pair of clampers, and a clamper moving mechanism. The pair of clampers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frame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 and the clamper moving mechanism makes it possible to move the main frame along the main axis.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1994―32031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4-320319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1998-7151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8-71518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 제2005-219131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5-219131

상기 특허 문헌 3에 나타낸 크랭크샤프트 미러에서는, 공작물 레스트 전체는 아니고 클램퍼(clamper)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커터와 공작물 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crankshaft mirror shown in Patent Document 3, the distance between the cutter and the work rest can be easily changed by moving only the clamper, not the whole work rest.

여기서,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클램퍼 이동 기구(機構)는, 공작물 레스트의 주면(主面)으로서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구는,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Here, in patent document 3, a clamper movement mechanism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which opposes the other workpiece rest as a main surface of a workpiece rest. And this mechanism is provided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the main body frame to the other workpiece rest side.

이와 같이, 특허 문헌 3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서는, 한쪽의 공작물 레스트의 클램퍼 이동 기구가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와 공작물 레스트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한 쌍의 공작물 레스트끼리를 근접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가공 부위에 따라서는, 한쪽의 공작물 레스트로 밖에 공작물을 협지할 수 없고, 가공중에 공작물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us, in the crankshaft mirror of patent document 3, since the clamper movement mechanism of one workpiece | rest rest is formed protruding to the other workpiece | rest rest side, in order to avoid the interference of the projection part of a clamper movement mechanism and the workpiece | rest rest, Workpiece rests cannot be close to each other. Therefore, depending on the machining site, the workpiece can be held only by one workpiece rest, and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may not be stabilized during processing.

또한, 한쪽 밖에 공작물 레스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특허 문헌 3의 구성을 적용한 경우, 돌출하는 클램프 이동 기구를 위해, 공작물 레스트에 대하여 다른 쪽의 커터를 근접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가공 공정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3 is applied to the crankshaft mirror in which only the work rest is provided, the cutter of the other cannot be approached with respect to the work rest for the clamp moving mechanism which protrud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such as an increase in the processing process.

본 발명의 과제는, 클램퍼만을 이동 가능하게 한 공작물 레스트를 가지는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한쪽의 공작물 레스트에 대하여,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 또는 다른 쪽의 커터를 포함하는 가공부를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kshaft mirror having a work rest that allows only a clamper to move,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ach a work part including the other work rest or the other cutter with respect to one work rest. Is in.

제1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1 공작물 지지부 및 제2 공작물 지지부와, 제1 가공부와, 제1 공작물 레스트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공작물 지지부 및 제2 공작물 지지부는 주축에 따른 공작물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端部)를 지지한다. 제1 가공부는, 2개의 공작물 지지부의 사이에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작물을 가공한다. 제1 공작물 레스트는, 제1 가공부를 사이에 두고 제1 공작물 지지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공작물을 협지한다. 그리고, 제1 공작물 레스트는, 제1 가공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 프레임과, 한 쌍의 클램퍼와,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클램퍼는, 각각 본체 프레임의 제1 가공부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일단이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개폐 가능하다.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한 쌍의 클램퍼보다 제1 가공부 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클램퍼를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주축을 따라 이동시킨다.The crankshaft mirror which concerns on 1st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1st workpiece support part, the 2nd workpiece support part, the 1st process part, and the 1st workpiece rest. The first workpiece support and the second workpiece support suppor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along the main axis. The 1st processing par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movement is possible along a main axis between two workpiece support parts, and processes a workpiece | work. The first work rest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work support portion with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o sandwich the work. The first work rest has a main body frame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first machining portion, a pair of clampers, and a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A pair of clamp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1st process part of a main body frame,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main body frame, and the other end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is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machining portion than the pair of clampers, and moves the pair of clampers along the main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이 장치에서는, 공작물의 양 단부가 제1 공작물 지지부 및 제2 공작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양 공작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공작물은, 제1 공작물 레스트의 한 쌍의 클램퍼에 의해 협지되고, 제1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다. 그리고, 공작물을 협지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에 의해 한 쌍의 클램퍼를 주축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공작물 레스트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한 쌍의 클램퍼가 이동한다. 즉, 한 쌍의 클램퍼만이 이동한다.In this apparatus, both ends of the workpiece are supported by the first workpiece support and the second workpiece support. The workpiece supported by the two workpiece support portions is sandwiched by a pair of clampers of the first workpiece rest and processed by the first machining portion. And when it is going to change the position which clamps a workpiece | work, a pair of clampers are moved along a main axis by a 1st clamper moving mechanism. At this time, a pair of clampers mov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of the first work rest. That is, only a pair of clampers moves.

여기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한 쌍의 클램퍼보다 제1 가공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클램퍼보다 다른 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가 다른 쪽의 가공부나 공작물 레스트에 간섭하는 우려가 없고, 제1 공작물 레스트를, 종래와 비교하여 다른 쪽의 가공부나 공작물 레스트에 의해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작물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가공상의 제약이 적어진다.Here, the 1st clamper moving mechanism is arrange | positioned rather than a pair of clampers on the 1st process part side. That is,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does not protrude to the other side than the clamper. Therefor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interferes with the other machined part or the work rest, and the first work rest can be approached by the other machined part or the work res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refore, the workpiece can be held firmly and the processing constraints are reduced.

제2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1 발명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제1 가공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제1 가공부는, 공작물이 내부를 관통하는 커터 드럼을 가지고, 주축과 평행한 요동축의 주위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는 제1 가공부의 이동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The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is the crankshaft mirror of the firs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h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frame to the first processing part side, and the first processing part has a workpiece inside. It has a cutter drum which penetrates through, and can rock about the rocking shaft parallel to a main shaft, and can move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rocking shaft. And the protrusion part of a 1st clamper moving mechanism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moving area of a 1st process part.

여기서, 크랭크샤프트 미러에서는, 제1 가공부가 요동하면서 이동한다. 즉, 제1 가공부는 소정 범위의 이동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가 제1 가공부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이 돌출부가 이동하는 제1 가공부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Here, in the crankshaft mirror, the first processing part moves while swinging. That is, the 1st processing part has the movement area of a predetermined range. Therefore, when the 1st clamper moving mechanism protrudes to the 1st process part sid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is protrusion may interfere with the 1st process part to which it moves.

여기서 제2 발명에서는,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는, 제1 가공부의 이동 영역의 밖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와 제1 가공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In the second inventio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is disposed outside the moving region of the first machining portion. Therefor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and the first machining portion can be avoided.

제3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2 발명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블록과, 가동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클램퍼는 가동 블록에 지지되어 있다.The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is the crankshaft mirror of the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and the movable block supported by the main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main axis. It has a guide part and the drive part which moves a movable block. Moreover, a pair of clampers are supported by the movable block.

여기서는, 한 쌍의 클램퍼는 가동 블록에 지지되어 있고, 가동 블록은 안내부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그러므로, 한 쌍의 클램퍼는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주축을 따라 이동한다.Here, a pair of clampers are supported by the movable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s guided and moved in a guide part. Therefore, the pair of clampers move along the main axis stably and smoothly.

제4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3 발명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안내부는, 한 쌍의 클램퍼의 회동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된 제1 안내 유닛 및 제2 안내 유닛과, 제1 안내 유닛과 제2 안내 유닛의 사이에서 회동 지지부의 측방에 배치된 제3 안내 유닛을 가지고 있다.The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s the crankshaft mirror of the third invention,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unit and a second guide unit disposed up and down with the rotational support portions of the pair of clampers interposed therebetween; It has the 3rd guide unit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between 1st guide unit and a 2nd guide unit.

여기서는, 가동 블록은, 상하 및 그 사이의 측방의 3개소에 설치된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므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Here, a movable block is guided by the guide unit provided in three plac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between them. Therefore, the movement becomes smoother.

제5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4 발명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의 구동부는, 가동 블록의 일부에 선단이 고정된 1개의 피스톤과, 1개의 피스톤을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가진다.A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is the crankshaft mirror of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wherein the driving portion of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includes: one piston whose tip is fixed to a part of the movable block; Have a cylinder

가동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소의 안내 유닛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여기서, 각 안내 유닛에 구동부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복수의 구동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들을 동기시켜 작용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기가 취해질 수 없는 경우에는, 순조로운 이동을 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lock is guided and moved to three guide units. It is also conceivable to provide a driving unit in each guide unit. Howeve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are provided,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work in synchronization. And if motivation cannot be obtained, smooth movement cannot be performe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동 블록은, 1개의 피스톤에 의해 구동되므로, 동기 제어가 불필요하며, 간단하고도 원활하게 클램퍼를 이동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block is driven by one piston, synchronous control is unnecessary, and the clamper can be moved simply and smoothly.

제6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1 발명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제2 가공부와, 제2 공작물 레스트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2 가공부는, 2개의 공작물 지지부의 사이에 있어서 제1 가공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공작물을 가공한다. 제2 공작물 레스트는, 제2 가공부를 사이에 두고 제2 공작물 지지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공작물을 협지한다. 또한, 제2 공작물 레스트는, 제2 가공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 프레임과, 한 쌍의 클램퍼와, 제2 클램퍼 이동 기구를 가진다. 한 쌍의 클램퍼는, 각각 본체 프레임의 제2 가공부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일단이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개폐 가능하다. 제2 클램퍼 이동 기구는, 한 쌍의 클램퍼보다 제2 가공부 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클램퍼를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주축을 따라 이동시킨다.The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machining portion and a second work rest in the crankshaft mirror of the first invention. The second processing part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processing part between the two work support parts, and is movable along the main axis to process the work. The second workpiece rest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workpiece support portion with the second machin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o sandwich the workpiece. In addition, the second work rest has a main body frame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machining portion, a pair of clampers, and a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A pair of clamp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2nd process part of a main body frame,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main body frame, and the other end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is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than the pair of clampers, and moves the pair of clampers along the main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여기서는, 제1 가공부 및 제1 공작물 레스트에 더하여, 제2 가공부 및 제2 공작물 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가공부 및 제2 공작물 레스트에 대해서도, 제1 발명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 및 제2 클램퍼 이동 기구가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에 간섭할 우려가 없고, 제1 공작물 레스트 및 제2 공작물 레스트를, 종래와 비교하여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에 의해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작물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Here, in addition to the 1st processing part and the 1st work rest, the 2nd processing part and the 2nd work rest are provided. And also about the 2nd process part and the 2nd workpiece rest, it has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invention.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fear that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and the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interfere with the other work rest, and the first work rest and the second work rest are compared with the other work pieces. By rest. Therefore, the workpiece can be held firmly.

제7 발명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제6 발명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있어서, 제2 클램퍼 이동 기구는,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제1 가공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제2 가공부는, 공작물이 내부를 관통하는 커터 드럼을 가지고, 주축과 평행한 요동축의 주위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는 제2 가공부의 이동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The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is the crankshaft mirror of the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wherein the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h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frame to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side, and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has a workpiece inside. It has a cutter drum which penetrates through, and can rock about the rocking shaft parallel to a main shaft, and can move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rocking shaft. And the protrusion part of a 2nd clamper moving mechanism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moving area of a 2nd process part.

이 제7 발명에서는, 제2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1 클램퍼 이동 기구 및 제2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가 가공부의 이동 영역의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In this seventh invention, since the projections of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and the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are arranged outside the moving region of the processing portion, similarly to the second invention, the interference of both can be avoid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쪽의 공작물 레스트에 대하여,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 또는 다른 쪽의 커터를 포함하는 가공부를 근접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상의 제약이 적게 되어, 효율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ing part including the other work rest or the other cutter can be proximate to one work rest. Therefore, processing restrictions are reduced and the workpiece can be processe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크랭크샤프트 미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한쪽의 공작물 레스트를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 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5는 공작물 레스트의 사시 부분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선 단면 부분도이다.
도 7은 스윙 헤드의 이동 범위와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ternal view which looked at one workpiece rest from the other workpiece rest sid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4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FIG. 2.
5 is a perspective partial view of the workpiece rest.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7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range of the swing head and the protrusion of the clamper moving mechanism.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크랭크샤프트 미러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크랭크샤프트 미러(1)는, 베드(2)와, 베드(2) 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공작물 헤드(3a) 및 제2 공작물 헤드(3b)(공작물 지지부)와, 이들의 공작물 헤드(3a, 3b) 사이에 배치된 제1 가공 유닛(4a) 및 제2 가공 유닛(4b)을 구비하고 있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rankshaf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kshaft mirror 1 includes a bed 2, a first work head 3a and a second work head 3b (workpiece support part)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bed 2, and their work pieces. The 1st processing unit 4a and the 2nd processing unit 4b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heads 3a and 3b are provided.

[공작물 헤드][Workpiece head]

제1 공작물 헤드(3a) 및 제2 공작물 헤드(3b)는, 공작물로서의 크랭크샤프트의 양단(兩端)을 지지하는 것이다. 각 공작물 헤드(3a, 3b)의 각각의 단면(대향면)에는, 크랭크샤프트를 클램프하는 척(chuck)(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work head 3a and the second work head 3b support both ends of the crankshaft as a work. Chuck (not shown) which clamps a crankshaft is provided in each end surface (opposing surface) of each work head 3a, 3b.

그리고, 한쪽의 공작물 헤드(3a)에 척을 설치하고, 다른 쪽의 공작물 헤드(3b)에 크랭크샤프트 단면의 센터홀을 지지하는 테일 스톡(tail stock)을 설치해도 된다.The chuck may be provided on one work head 3a and a tail stock supporting the center hole of the crankshaft end fac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work head 3b.

[가공 유닛][Processing Unit]

제1 가공 유닛(4a) 및 제2 가공 유닛(4b)의 각각은, 새들(10a, 10b)과 이 새들(10a, 10b)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11a, 1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가공 유닛(4a) 및 제2 가공 유닛(4b)의 각각은, 슬라이드(11a, 11b)에 설치된 제1 스윙 헤드 및 제2 스윙 헤드(가공부)(12a, 12b)와, 제1 공작물 레스트(13a) 및 제2 공작물 레스트(13b)를 가지고 있다.Each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4a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4b includes saddles 10a and 10b and slides 11a and 11b provided on the saddles 10a and 10b. In addition, each of the 1st processing unit 4a and the 2nd processing unit 4b is the 1st swing head and the 2nd swing head (processing part) 12a, 12b which were provided in the slide 11a, 11b, It has the 1st workpiece rest 13a and the 2nd workpiece rest 13b.

<새들(saddle)><Saddle>

2개의 새들(10a, 10b)은 동일한 구성이며, 각 새들(10a, 10b)은, Z축 이송 기구에 의해, 베드(2)의 길이 방향(주축에 따른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Z축 이송 기구는, 주지의 기구로서, 새들(10a, 10b)에 고정된 너트 부재와, Z축을 따라 연장되고 너트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볼 나사축과, 이 볼 나사축에 연결된 Z축 이송 모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Z축 이송 모터에 의해 볼 나사축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새들(10a, 10b)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two saddles 10a and 10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respective saddles 10a and 10b ar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along the main axis = Z-axis direction) of the bed 2 by the Z-axis feed mechanism. . The Z-axis feed mechanism is a well-known mechanism, comprising a nut member fixed to the saddles 10a and 10b, a ball screw shaft extending along the Z axis and screwed by the nut member, and a Z axis feed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shaft. Have The saddles 10a and 10b can be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shaft by the Z-axis feed motor.

<슬라이드><Slide>

2개의 슬라이드(11a, 11b)는 동일한 구성이며, 각 슬라이드(11a, 11b)는, Y축 이송 기구에 의해, Z축과 직교하는 Y축 방향(베드(2)의 안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들의 슬라이드(11a, 11b)는, Y축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의 지지벽(111)을 가지고 있다. 지지벽(111)의 일단부에는 요동축(15)이 설치되고, 또한 지지벽(111)의 타단부에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角筒)형의 케이스(112)가 설치되어 있다. Y축 이송 기구는, 주지의 기구로서, 슬라이드(11a, 11b)에 고정된 너트 부재와, Y축을 따라 연장되고 너트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볼 나사축과, 이 볼 나사축이 연결된 Y축 이송 모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Y축 이송 모터에 의해 볼 나사축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11a, 11b)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two slides 11a and 11b have the same structure, and each slide 11a and 11b is movable by the Y-axis feed mechanism in the Y-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Z-axis (the depth direction of the bed 2). Do. These slides 11a and 11b have a vertical support wall 111 extending along the Y axis. A swing shaft 15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wall 111, and a case 112 of an angular cylinde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wall 111. The Y-axis feed mechanism is a well-known mechanism, which includes a nut member fixed to the slides 11a and 11b, a ball screw shaft extending along the Y axis and screwed with the nut member, and a Y-axis feed motor to which the ball screw shaft is connected. Have Then, by rotating the ball screw shaft by the Y-axis feed motor, the slides 11a and 11b can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스윙 헤드(가공부)><Swing head (processing department)>

제1 스윙 헤드(12a) 및 제2 스윙 헤드(12b)는, 동일한 구성이며, 각각 대응하는 슬라이드(11a, 11b)에 장착되어 있다. 각 스윙 헤드(12a, 12b)는, 일단부가 요동축(15)에 지지되고, 또한 타단부가 케이스(112) 내의 가이드 부재(16)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1st swing head 12a and the 2nd swing head 12b are the same structure, and ar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slide 11a, 11b, respectively. One end of each swing head 12a, 12b is supported by the oscillation shaft 15, and the other end of the swing head 12a, 12b is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16 in the case 112 in the Y-axis direction.

가이드 부재(16)는 케이스(112)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부재(16)에는 너트 부재(1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너트 부재(17)는, 케이스(112) 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X축을 따라 연장되는 볼 나사축(18)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 나사축(18)은, 케이스(112)의 Z축 방향의 측면에 장착된 X축 스윙 모터(AC 서보 모터)(19)에 연결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16 is movable up and down in the case 112. Specifically, the nut member 17 is fixed to the guide member 16. And the nut member 17 is screwed to the ball screw shaft 18 extended along the X-axis provided in the case 112 in the up-down direction. The ball screw shaft 18 is connected to the X-axis swing motor (AC servo motor) 19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12 in the Z-axis direction.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X축 스윙 모터(19)에 의해 볼 나사축(18)이 정역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 각 스윙 헤드(12a, 12b)는 요동축(15)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X 축 방향)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all screw shaft 18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X-axis swing motor 19, whereby each swing head 12a, 12b is moved up and down about the swing shaft 15. It is made to swing in the (X-axis direction).

각 스윙 헤드(12a, 12b)의 내부에는, 커터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터 드럼(20)의 가공 스테이지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 커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커터 드럼(20)은 커터 드럼 모터(21)에 의해 회전된다.The cutter drum 20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each swing head 12a, 12b. An opening is formed in the machining stage side of the cutter drum 20, and a cutt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is opening. The cutter drum 20 is rotated by the cutter drum motor 21.

<공작물 레스트(work rest)><Work rest>

제1 공작물 레스트(13a) 및 제2 공작물 레스트(13b)는, 예를 들면, 크랭크샤프트의 핀 저널(pin journal)을 가공할 때, 그 가공부에 인접하는 메인 저널(main journal)을 클램핑(clamping)하여, 가공 중에 크랭크샤프트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의 공작물 레스트(13a, 13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공 유닛(4a) 및 제2 가공 유닛(4b)의 새들(10a, 10b)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 스윙 헤드(12a) 및 제2 스윙 헤드(12b)의 상대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새들(10a, 10b)의 이동에 따라, 한쪽의 스윙 헤드(12a) 및 공작물 레스트(13a)가 함께, 또는 다른 쪽의 스윙 헤드(12b) 및 공작물 레스트(13b)가 함께 이동하게 되어 있다.The first work rest 13a and the second work rest 13b clamp the main journal adjacent to the work part when, for example, the pin journal of the crankshaft is machined ( clamping) to support the crankshaft from shaking during machining. These work rests 13a and 13b are, as shown in FIG. 1, in the saddles 10a and 10b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4a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4b, the corresponding first swing heads (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kept the relative position of 12a) and the 2nd swing head 12b constant. Therefore, as each saddle 10a, 10b moves, one swing head 12a and the work rest 13a move together or the other swing head 12b and the work rest 13b move together. have.

제1 공작물 레스트(13a) 및 제2 공작물 레스트(13b)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공작물 레스트(13a)에 대하여, 도 2~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2는 제1 공작물 레스트(13a)를 제2 공작물 레스트(13b)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 부분도, 도 4는 도 2의 확대 부분도, 도 5는 제1 공작물 레스트(13a)를 도 2와는 반대측로부터 본 사시 부분도이다.Since the 1st work rest 13a and the 2nd work rest 13b are the same structure, the 1st work rest 13a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2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1st work rest 13a from the 2nd work rest 13b side, FIG. 3 is sectional drawing of the III-III line of FIG. 2, FIG. 4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partial view of the first work rest 13a as seen from the side opposite to FIG. 2.

제1 공작물 레스트(13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4)과, 한 쌍의 클램퍼(25)와, 클램퍼 이동 기구(26)와, 클램퍼 록 기구(27)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work rest 13a includes a main frame 24, a pair of clampers 25, a clamper moving mechanism 26, and a clamper lock mechanism 27.

- 본체 프레임 -Body Frame

본체 프레임(24)은, 주축에 따른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프레임(24)은 새들(10a)에 고정되어 있고, Z축 이송 기구에 의해 새들(10a)과 함께 주축에 따른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main body frame 2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along the main axis. The main body frame 24 is fixed to the saddle 10a and is movable in the Z-axis direction along the main axis together with the saddle 10a by the Z-axis feed mechanism.

본체 프레임(24)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개구부(24a)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24a)를 크랭크샤프트가 통과 가능하다. 또한, 본체 프레임(24)의 측부에는, 외측을 향해 개방하는 절결부(切缺部)(24b)가 형성되어 있다.The circular opening part 24a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24, and a crankshaft can pass through this opening part 24a. Moreover, the notch part 24b which opens toward an outer side is formed in the side part of the main body frame 24. As shown in FIG.

- 클램퍼 --Clamper-

한 쌍의 클램퍼(25)는, 본체 프레임(24)을 사이에 두고 제1 스윙 헤드(12a)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본체 프레임(24)의 절결부(24b)에 설치된 가동 블록(30)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블록(30)에는 한 쌍의 지지축(31)이 설치되고, 이들의 지지축(31)에 한 쌍의 클램퍼(25)의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측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서는, 폐쇄 상태의 클램퍼(25)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열린 상태의 클램퍼(25)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클램퍼(25)의 다른 쪽의 클램퍼에 대향하는 면의 중앙부에는, 반원형의 절결ㅂ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5a)에, 공작물을 지지하는 레스트 패드(25b)가 설치되어 있다.The pair of clampers 25 are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wing head 12a with the main frame 24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rovided to the movable block 30 provided at the cutout 24b of the main frame 24. It is supported to open and close. The movable block 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shafts 31, one end side of the pair of clampers 2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se support shafts 31, and the other end side is openable. have. In FIG. 2, the clamper 25 in the closed state is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clamper 25 in the open state i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A semi-circular notch 25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rface of the respective clampers 25 that faces the other clamper. The rest pad 25b which supports a workpiece | work is provided in this notch 25a.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클램퍼(25)의 회동부의 각각에는,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32)가 고정되어 있다. 각 클램퍼(25)에 고정된 기어(32)는 서로 치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위쪽)의 클램퍼(25)에는, 회동부의 더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25b)에, 개폐용 유압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가 연결 부재(33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25b)와 연결 부재(33a)와의 사이에는 부싱(bushing)(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용 유압 실린더(33)는, 상단부가 본체 프레임(24)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gear 32 which rotates about the support shaft 31 is being fixed to each rotation part of each clamper 25. As shown in FIG. The gears 32 fixed to each clamper 25 are meshed with each other. 4, the extension part 25b extended to the outer side of the rotating part is formed in the clamper 25 of one side (upper). The piston rod of the opening-closing hydraulic cylinder 33 is connected to this extension part 25b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3a. And a bushing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25b and the connection member 33a. The hydraulic cylinder 33 for opening and closing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frame 24 at the upper end.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개폐용 유압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가 신축하면, 위쪽의 클램퍼(25)가 개폐하고, 또한 한 쌍의 기어(32)에 의해 아래쪽의 클램퍼(25)도 위쪽 클램퍼(25)와 동기(同期)하여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용 유압 실린더(33)는 본체 프레임(24)에 고정되고, 이 개폐용 유압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가 장착된 클램퍼(2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약 20mm 정도 이동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 연결 부재(33a)와 클램퍼(25)의 연장부(25b) 사이에는 부싱이 형성되어 있고, 부싱의 탄성 변형에 의해 클램퍼(25)의 이동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When the piston rod of the opening-closing hydraulic cylinder 33 expands and contracts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lamper 25 opens and closes, and the lower clamper 25 is also the upper clamper by the pair of gears 32. It is opened and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25). The opening and closing hydraulic cylinder 33 is fixed to the main frame 24, and the clamper 25 to which the piston r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hydraulic cylinder 33 is mounted is about 20 mm in the Z axis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Move about. Thus, as described above, a bushing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3a to which the piston rod is connected and the extension portion 25b of the clamper 25, so as to absorb the movement of the clamper 25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bushing. Doing.

- 클램퍼 이동 기구 --Clamper moving mechanism-

클램퍼 이동 기구(26)는, 본체 프레임(24)에 대하여 한 쌍의 클램퍼(25)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며, 전술한 가동 블록(30)과, 안내부(35)와 이동용 유압 실린더(3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VI-VI선 단면 부분도이다.The clamper moving mechanism 26 is a mechanism for moving the pair of clampers 25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24, and the movable block 30, the guide part 35, and the hydraulic pressure for movement are described above. It has a cylinder 36.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도 4 및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블록(3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24b) 내에 있어서, 상하로 간극을 두고, 또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FIG. 5, etc., the movable block 30 is formed in rectangular shape,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it can move to Z-axis direction in the notch 24b.

안내부(35)는, 가동 블록(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며, 가동 블록(30)의 상하 및 클램퍼(25)의 지지축(31)의 측부 외측으로 설치된 3개의 직선 이동 가이드(38)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직선 이동 가이드(38)는, 블록(38a) 및 레일(38b)로 이루어지고, 블록(38a)이 본체 프레임(24)에 설치되고, 레일(38b)이 가동 블록(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측방의 직선 이동 가이드(38)의 블록(38b)은, 본체 프레임(24)에 고정된 장착용 블록(39)에 고정되어 있다.The guide part 35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30, and the three linear movement guides 38 provid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able block 30, and to the side outside of the support shaft 31 of the clamper 25 are provided. Consists of Each linear movement guide 38 consists of a block 38a and a rail 38b, the block 38a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24, and the rail 38b is fixed to the movable block 30. As shown in FIG. . And the block 38b of the side linear movement guide 38 is being fixed to the mounting block 39 fixed to the main body frame 24. As shown in FIG.

이동용 유압 실린더(36)는, 아래쪽에 설치된 직선 이동 가이드(38)의 근방에 배치되고, 장착용 블록(39)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VI-VI선 단면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용 유압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의 선단이 직선 이동 가이드(38)의 레일(38b)에 고정된 부재(38c)에 연결되어 있다.The moving hydraulic cylinder 36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linear movement guide 38 provided below, an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block 39. As shown in FIG. And as shown in FIG. 6 which is sectional drawing of the VI-VI line of FIG. 2, the member 38c in which the front-end | tip of the piston rod 36a of the hydraulic cylinder 36 for movement was fixed to the rail 38b of the linear movement guide 38 is fixed.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용 유압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가 신축하면, 가동 블록(30) 및 이에 장착된 한 쌍의 클램퍼(25)가 3개의 직선 이동 가이드(38)에 안내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iston rod 36a of the moving hydraulic cylinder 36 expands and contracts, the movable block 30 and the pair of clampers 25 attached thereto are guided to the three linear movement guides 38. Move in the Z-axis direction.

- 클램퍼 록 기구 --Clamper Lock Mechanism-

클램퍼 록 기구(27)는, 클램퍼(25)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며, 한 쌍의 클램퍼(25)의 개방단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퍼 록 기구(2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과 클램프 죠(clamp jaw)(44)와, 클램프 실린더(45)를 가지고 있다.The clamper lock mechanism 27 is a mechanism for holding the clamper 25 in the closed state, and is provided on the open end side of the pair of clampers 25. This clamper lock mechanism 27 has a pair of guide rails 43, a clamp jaw 44, and a clamp cylinder 45, as shown in FIG.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죠(44)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에 안내되어 공작물 중심을 향해 접근·이반(離反)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클램프 실린더(45)는, 클램프 죠(4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각(角) 구멍 내에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2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클램프 죠(4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죠(44)의 클램퍼(25) 측의 단부에는 상하 한 쌍의 다리부(44a)가 형성되고, 각각의 다리부(44a)의 내측에는 압압 패드(4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클램퍼(25)의 개방단 측의 외측에는 클램프 패드(47)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The pair of guide rails 43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lamp jaw 44 is guided by a pair of guide rails 43, and an approach and a displacement can move freely toward a workpiece | work center. The clamp cylinder 45 is provided in the angle hole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clamp jaw 44,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frame 24. As shown in FIG. The tip of the piston rod of the clamp cylinder 45 is attached to the clamp jaw 44. In addition, a pair of upper and lower legs 44a ar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lamp jaw 44 on the clamper 25 side, and a pressing pad 46 is mounted inside each leg 44a. Further, clamp pads 47 ar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open end side of the clamper 25, respectively.

이와 같은 클램퍼 록 기구(27)에서는, 클램프 실린더(45)의 신축 작동에 의해 클램프 죠(44)가 공작물 중심을 향해 진퇴(進退)된다. 그리고, 폐쇄 상태의 클램퍼(25)의 클램프 패드(47)가 클램프 죠(44)의 압압 패드(46)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클램퍼(25)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In such a clamper lock mechanism 27, the clamp jaw 44 moves back and forth toward the workpiece center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clamp cylinder 45. Then, the clamp pad 47 of the clamper 25 in the closed state is pressed by the pressing pad 46 of the clamp jaw 44, so that the clamper 25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클램퍼 이동 기구와 스윙 헤드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Clamper Moving Mechanism and Swing Head]

제1 공작물 레스트(13a)의 클램퍼 이동 기구(26)는, 도 3 및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4)으로부터 제2 공작물 레스트(13b) 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없고, 반대로 본체 프레임(24)으로부터 제1 스윙 헤드(12a) 측으로 돌출된 부분 P(이하, 「돌출부」라고 함)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블록(30), 안내 기구(35)의 직선 이동 가이드(38), 피스톤 로드(36a)를 포함하는 이동용 유압 실린더(36), 및 장착 블록(39)은, 클램퍼(25)의 제2 공작물 레스트(13b) 측의 표면 S 보다는 제1 스윙 헤드(12a) 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재는, 클램퍼(25)의 제2 공작물 레스트(13b) 측의 표면 S로부터 제2 공작물 레스트(13b) 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As is apparent from FIGS. 3 and 6, the clamper movement mechanism 26 of the first work rest 13a does not protrude from the body frame 24 to the second work rest 13b side. It has the part P (henceforth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d from the 24 to the 1st swing head 12a side. Specifically, the movable block 30, the linear movement guide 38 of the guide mechanism 35, the moving hydraulic cylinder 36 including the piston rod 36a, and the mounting block 39 are the clampers 25. It is arrange | positioned protruding toward the 1st swing head 12a side rather than the surface S of the 2nd work rest 13b side of the. In addition, each member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S on the side of the second work rest 13b of the clamper 25 to the second work rest 13b side.

한편, 클램퍼 이동 기구(26)의 돌출부 P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윙 헤드(12a)의 이동 영역 M의 밖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영역 M이, 가공 중에 제1 스윙 헤드(12a)가 이동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직선 이동 가이드(38), 이동용 유압 실린더(36), 및 장착 블록(39)의 돌출부는, 이 이동 영역 M의 밖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은 제1 스윙 헤드(12a)의 가동 범위를 제1 공작물 헤드(3a) 측(제1 공작물 레스트(13a)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part P of the clamper movement mechanism 2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movement area M of the 1st swing head 12a. More specifically, the region M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i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swing head 12a moves during processing. And the protrusion part of the linear movement guide 38, the hydraulic cylinder 36 for movement, and the mounting block 39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is movement area | region M. As shown in FIG. 7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movable range of the 1st swing head 12a from the 1st work head 3a side (the opposite side to the 1st work rest 13a).

이상, 제1 공작물 레스트(13a)의 클램퍼 이동 기구(26)와 제1 스윙 헤드(12a)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공작물 레스트(13b)의 클램퍼 이동 기구(26)와 제2 스윙 헤드(12b)의 관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mper movement mechanism 26 of the 1st workpiece | rest rest 13a, and the 1st swing head 12a was demonstrated, the clamper movement mechanism 26 and 2nd swing head of the 2nd workpiece | rest rest 13b were demonstrated. The same applies to the relationship of (12b).

[동작][action]

크랭크샤프트의 가공 동작에 대해서는, 종래의 크랭크샤프트 미러에서의 가공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즉, 제1 공작물 레스트(13a) 및 제2 공작물 레스트(13b)에 의한 크랭크샤프트의 클램프 및 언클램프가 제어되고, 또한 제1 스윙 헤드(12a) 및 제2 스윙 헤드(12b)의 가공 위치가 제어되어, 복수의 메인 저널 및 핀 저널이 절삭된다. 그리고,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의 외주면이 가공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제1 스윙 헤드(12a) 및 제2 스윙 헤드(12b)의 가공 위치는, 새들(10a, 10b)을 Z축 이송 기구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제어된다. 그리고, 각 저널은, Y축 이송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11a, 11b)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X축 이송 기구에 의해 제1 스윙 헤드(12a) 및 제2 스윙 헤드(12b)를 요동시켜 가공된다.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crankshaft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crankshaft mirror. That is, the clamp and unclamp of the crankshaft by the first work rest 13a and the second work rest 13b are controlled, and the machining positions of the first swing head 12a and the second swing head 12b are controlled. Controlled, the plurality of main journals and pin journals are cu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ounterweight may be processed. The machining positions of the first swing head 12a and the second swing head 12b are controlled by moving the saddles 10a and 10b by the Z-axis feed mechanism. Then, each journal swings the first swing head 12a and the second swing head 12b by the X-axis feed mechanism while moving the slides 11a and 11b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Y-axis feed mechanism. Processed.

이상의 가공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퍼 이동 기구(26)에 의해 한 쌍의 클램퍼(25)를 각 스윙 헤드(12a, 12b)와는 독립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종 사양(仕樣)의 크랭크샤프트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above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rankshafts of various specifications by moving the pair of clampers 25 independently of the swing heads 12a and 12b by the respective clamper moving mechanisms 26. It becomes possible.

[특징][Characteristic]

(1) 각각의 클램퍼 이동 기구(26)는,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12a, 12b) 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2개의 공작물 레스트(13a, 13b)를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핀 저널을 가공할 때, 가공되는 핀 저널에 인접하는 2개의 메인 저널을 2개의 공작물 레스트(13a, 13b)로 협지할 수 있고, 크랭크샤프트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가공을 행할 수 있다.(1) Since the respective clamper moving mechanisms 26 do not protrude toward the other work rests 12a and 12b, the two work rests 13a and 13b can be closer to each other than in the prior art. Therefore, for example, when machining a pin journal, the two main journals adjacent to the pin journal to be machined can be sandwiched by two workpiece rests 13a and 13b, and the crankshaft is firmly held to perform the machining. Can be.

(2) 각 공작물 레스트(13a, 13b)의 클램퍼 이동 기구(26)는 대응하는 스윙 헤드(12a, 12b)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P를 가지고 있지만, 이 돌출부 P는, 각 스윙 헤드(12a, 12b)의 이동 영역 M의 범위 밖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스윙 헤드(12a, 12b)를, 대응하는 공작물 레스트(13a, 13b)에 대하여 종래 마찬가지로 근접시킬 수 있고, 가공 시에 제약을 받는 일은 없다.(2) Although the clamper moving mechanism 26 of each work rest 13a, 13b has the protrusion P which protrudes to the corresponding swing head 12a, 12b side, this protrusion P is each swing head 12a, 12b.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out of the range of the moving area M of. Therefore, the swing heads 12a and 12b can be similarly brought close to each other with the corresponding work rests 13a and 13b, and they are not restricted in the processing.

(3) 한 쌍의 클램퍼(25)는 가동 블록(30)에 지지되어 있고, 가동 블록(30)은3개의 직선 이동 가이드(38)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그러므로, 한 쌍의 클램퍼(25)를 Z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3) The pair of clampers 25 are supported by the movable block 30, and the movable block 30 is guided and moved by the three linear movement guides 38.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pair of clampers 25 can be smoothly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4) 가동 블록(30)은, 상하 및 그 사이의 측방의 3개소에 설치된 직선 이동 가이드(38)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므로, 이 가동 블록(30)에 지지된 클램프(25)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4) The movable block 30 is guided by the linear movement guide 38 provided in three places of upper and lower sides and between them.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lamp 25 supported by this movable block 30 becomes smoother.

(5) 가동 블록(30)은 1개의 이동용 유압 실린더(36)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유압 실린더로 구동하는 경우와 같은 유압 실린더의 동기 제어가 불필요해지므로, 클램퍼(25)를 간단하고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5) The movable block 30 is driven by one moving hydraulic cylinder 36. Therefore, the synchronous control of the hydraulic cylinder as in the case of driving with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becomes unnecessary, so that the clamper 25 can be moved simply and smoothly.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스윙 헤드 및 제2 스윙 헤드와, 제1 공작물 레스트 및 제2 공작물 레스트가 설치된 크랭크샤프트 미러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으나, 각각 1개의 스윙 헤드 및 공작물 레스트만이 설치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 미러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a)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rankshaft mirror provided with a first swing head and a second swing head, and a first work rest and a second work rest, but only one swing head and a work rest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crankshaft mirror provided.

(b) 클램퍼 이동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클램퍼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b) The specific structure of a clamper moving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ny structure may be sufficient as it is a mechanism which moves a clamper to a Z-axis direction.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y availability]

이 크랭크샤프트 미러는, 한쪽의 공작물 레스트에 대하여, 다른 쪽의 공작물 레스트 또는 다른 쪽의 커터를 포함하는 가공부를 근접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상의 제약이 적게 되어, 효율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다.This crankshaft mirror can approach the workpiece | work part containing the other workpiece rest or the other cutter with respect to one workpiece | rest rest. Therefore, processing restrictions are reduced and the workpiece can be processed efficiently.

1: 크랭크샤프트 미러(crankshaft miller)
3a, 3b: 제1 공작물 헤드, 제2 공작물 헤드(공작물 지지부)
4a, 4b: 제1 가공 유닛, 제2 가공 유닛
12a, 12b: 제1 스윙 헤드, 제2 스윙 헤드(가공부)
13a, 13b: 제1 공작물 레스트, 제2 공작물 레스트
20: 커터 드럼
24: 본체 프레임
25: 클램퍼
26: 클램퍼 이동 기구
30: 가동 블록
35: 안내부
36: 이동용 유압 실린더
38: 직선 이동 가이드
1: crankshaft miller
3a, 3b: first work head, second work head (workpiece support)
4a, 4b: 1st processing unit, 2nd processing unit
12a, 12b: 1st swing head, 2nd swing head (processing part)
13a, 13b: first workpiece rest, second workpiece rest
20: cutter drum
24: body frame
25: clamper
26: clamper moving mechanism
30: movable block
35: guide
36: hydraulic cylinder for movement
38: linear movement guide

Claims (7)

주축(主軸)을 따른 공작물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端部)를 지지하는 제1 공작물 지지부 및 제2 공작물 지지부와,
2개의 상기 공작물 지지부 사이에 상기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제1 가공부와,
상기 제1 가공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공작물 지지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을 협지하기 위한 제1 공작물 레스트(work rest)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작물 레스트는,
상기 제1 가공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 프레임과,
각각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제1 가공부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일단(一端)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他端)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클램퍼와,
상기 한 쌍의 클램퍼보다 상기 제1 가공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퍼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주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클램퍼 이동 기구
를 구비하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A first workpiece support and a second workpiece support for supporting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along the main axis;
A first machi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wo workpiece supporting portions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main axis,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first work rest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workpiece support with the first workpiece therebetween for clamping the workpiece;
Including,
The first workpiece rest,
A main body frame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processing part;
A pair of clampers each provid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machi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
A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rather than the pair of clampers and moving the pair of clampers along the main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And a crankshaft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가공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가공부는, 상기 공작물이 내부를 관통하는 커터 드럼을 가지고, 상기 주축과 평행한 요동축(搖動軸)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요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는 상기 제1 가공부의 이동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1st clamper moving mechanism has the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said main body frame to the said 1st process part side,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has a cutter drum through which the workpiece penetrates the inside, and can swing around a pivot shaft parallel to the main shaft, and can mov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wing shaft,
A crankshaft mirror, wherei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is disposed outside the moving region of the first machin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퍼 이동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퍼는 상기 가동 블록에 지지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lamper moving mechanism,
A movable block movably supported along the main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Drive unit for moving the movable block
And,
And the pair of clampers are supported by the movable blo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한 쌍의 클램퍼의 회동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된 제1 안내 유닛 및 제2 안내 유닛과, 상기 제1 안내 유닛과 상기 제2 안내 유닛 사이에서 상기 회동 지지부의 측방에 배치된 제3 안내 유닛을 가지고 있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between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second guide unit and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second guide unit disposed up and down with the pivot support portions of the pair of clampers interposed therebetween. A crankshaft mirror having a third guide unit dispo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퍼 이동 기구의 구동부는, 상기 가동 블록의 일부에 선단(先端)이 고정된 1개의 피스톤과, 상기 1개의 피스톤을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가지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ve part of a said 1st clamper movement mechanism is a crankshaft mirror which has one piston whose tip was fixed to a part of the said movable block, and the cylinder for driving the said one pis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공작물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제1 가공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제2 가공부와,
상기 제2 가공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공작물 지지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을 협지하기 위한 제2 공작물 레스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작물 레스트는,
상기 제2 가공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 프레임과,
각각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제2 가공부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클램퍼와,
상기 한 쌍의 클램퍼보다 상기 제2 가공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퍼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주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클램퍼 이동 기구
를 구비하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machi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wo workpiece supporting portions so as to face the first machining portion and movable along the main axis, an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second workpiece rest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workpiece support with the second machin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for holding the workpiece;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workpiece rest,
A main body frame moving together with the second processing unit,
A pair of clampers each provid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which is disposed on the second processing unit side rather than the pair of clampers, and moves the pair of clampers along the main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And a crankshaft mirr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퍼 이동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가공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공작물이 내부를 관통하는 커터 드럼을 가지고, 상기 주축과 평행한 요동축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요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클램퍼 이동 기구의 돌출부는 상기 제2 가공부의 이동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h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frame to the first processing part side,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has a cutter drum through which the workpiece penetrates the inside, and can swing around a pivot shaft parallel to the main shaft, and mov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wing shaft,
A crankshaft mirror, wherein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clamper moving mechanism is disposed outside the moving region of the second machining portion.
KR1020137005872A 2010-10-12 2011-09-29 Crankshaft milling machine KR1012951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9302 2010-10-12
JP2010229302A JP5237345B2 (en) 2010-10-12 2010-10-12 Crankshaft mirror
PCT/JP2011/072358 WO2012049976A1 (en) 2010-10-12 2011-09-29 Crankshaft mill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822A true KR20130029822A (en) 2013-03-25
KR101295105B1 KR101295105B1 (en) 2013-08-09

Family

ID=4593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872A KR101295105B1 (en) 2010-10-12 2011-09-29 Crankshaft milling mach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37345B2 (en)
KR (1) KR101295105B1 (en)
CN (1) CN103153510B (en)
DE (1) DE112011103440B4 (en)
WO (1) WO201204997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6713B2 (en) * 2012-11-29 2017-02-08 コマツNtc株式会社 Crankshaft mirror operation method
CN108927558B (en) * 2018-08-23 2020-11-10 烟台市大建机电设备有限公司 Automatic excircle milling device of crankshaft connecting rod head
CN114875218B (en) * 2022-06-27 2023-07-14 桂林福达阿尔芬大型曲轴有限公司 Clamp capable of actively adapting to quenching deformation of large crankshaf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814B2 (en) 1993-05-19 2002-04-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Crankshaft mirror
JP3599213B2 (en) * 1996-05-30 2004-12-08 コマツ工機株式会社 Processing method of crankshaft
JP3591613B2 (en) 1996-08-30 2004-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rocessing method of crankshaft
JPH1170403A (en) * 1997-08-29 1999-03-16 Komatsu Koki Kk Crank shaft mirror
JP2002337014A (en) * 2001-05-15 2002-11-26 Komatsu Machinery Corp Rest device for crankshaft working machine and its rest method
JP4471674B2 (en) * 2004-02-03 2010-06-02 コマツ工機株式会社 Crankshaft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3510A (en) 2013-06-12
DE112011103440B4 (en) 2015-05-13
KR101295105B1 (en) 2013-08-09
CN103153510B (en) 2013-12-18
JP5237345B2 (en) 2013-07-17
WO2012049976A1 (en) 2012-04-19
DE112011103440T5 (en) 2013-08-14
JP2012081550A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2632B2 (en) Laser processing machine
JP4763938B2 (en) Machine Tools
JP5328782B2 (en) Machine Tools
JP5823534B2 (en) Program-controlled machine tool
US20080178447A1 (en) Machining center
EP1378316B1 (en) Clamping device for movable carriages of a machine tool
JP5026884B2 (en) Machine tool with automatic tool changer
JP5855114B2 (en) Pallet changer for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KR20190031449A (en) Machine tools for working of ...
WO2015037155A1 (en) Machine tool
KR101295105B1 (en) Crankshaft milling machine
JP5435169B1 (en) Machine Tools
JP5171111B2 (en) Pallet changer
JP2001277066A (en) Working device using robot
JP2007160445A (en) Feeding device
JP5436801B2 (en) Multi-processing unit in processing machine
JP3165158U (en) Machine tool with a boring bar magazine
JP2009142971A (en) Machine tool equipped with turnable moving portion
JP6540794B2 (en) Friction stir welding machine
JP2021504167A (en) Machine Tools
JP2019059005A (en) Machine tool
JP6991602B2 (en) Double-headed mill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arts
JP5844678B2 (en) Crankshaft mirror work rest device
JP4234515B2 (en) Machine Tools
JP2022064535A (en) Mach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