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849A - 간이 소형 승강 장치, 및,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 - Google Patents

간이 소형 승강 장치, 및,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849A
KR20130028849A KR1020120058338A KR20120058338A KR20130028849A KR 20130028849 A KR20130028849 A KR 20130028849A KR 1020120058338 A KR1020120058338 A KR 1020120058338A KR 20120058338 A KR20120058338 A KR 20120058338A KR 20130028849 A KR20130028849 A KR 2013002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ever
base
cook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토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더 콜맨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콜맨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 콜맨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안전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테이블의 천장판 등이나, 풍로의 철판이나 철망 등의 적재면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간이 소형의 승강 장치, 및, 이러한 간이 소형의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적재면의 좌우 양단부의 하방에 1쌍의 승강 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의 각각은,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기부와, 텔레스코프 형상으로 신축 가능한 2이상의 끼워 맞춤체로 구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적재면에 하단부가 상기 기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승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신장하고, 상단부가 상기 끼워 맞춤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레버의 지지점과,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체에 대하여 하향의 힘을 부여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면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이 소형 승강 장치, 및,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A SIMPLIFIED SMALL ELEVATOR AND A COOKING STOVE USING THE SIMPLIFIED SMALL ELEVATOR}
본 발명은,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적재면을 구비하는 조리 기구류, 테이블 등의 가구류, 특히, 야외에서 사용되는 조리용 풍로, 및 그 구성 부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에 들이는 여가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여, 아웃 도어 레저를 즐길 때의 캠프 용품으로서, 보다 고기능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오고 있다. 캠프 용품 중, 조리용의 연소 기기에는, 주로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조리용 풍로와 기체 연료를 사용하는 조리용 스토브가 존재한다. 이 중, 조리용 풍로에 대해서는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 기체 연료용 기구와 달리,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 부품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화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고형 연료의 양을 미리 조정하는 것 외에는, 경시적인 화력의 변화나 조리 내용에 따라, 조리용 풍로 위 또는 상방에 놓인 철판 또는 철망 등의 조리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중앙부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정함으로써, 풍로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아암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 아암 레버의 정상부에 적재된 철판 등의 조리면과 가열원의 거리를 조정하고, 이에 의해 화력의 조정을 도모하는 조리용 풍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의 경우, 철판 등의 조리면은, 지지 아암 레버 상에 단순히 적재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상하 이동 시에, 그 위치가 어긋나거나, 지지 아암 레버 상에서의 밸런스가 깨지거나 해서, 요리째 뒤집힐 우려가 있다. 또한, 이들 지지 아암 레버는, 가늘고 긴 금속 봉을 굴곡해서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열의 영향이나 적재하는 것의 중량 등의 영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구조적으로 조작부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커, 철판 등의 조리면을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큰 힘이 필요해진다. 한편, 특허 문헌 2에서는, 동작부가 핸들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핸들의 회전에 따라 풍로 본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로 인해, 어느 경우도, 조정 시에 풍로 본체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 문헌 3 내지 6에는, 철판 등의 조리면과 풍로 본체의 양단부를 가이드 레버로 삽입 관통함으로써, 상하 조정 시에 철판 등의 조리면의 어긋남 등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 아암 레버의 변형이나 조작 시에 있어서의 풍로 본체의 자세가 불안정해진다고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허 문헌 7에는, 조리면을, 풍로 본체의 양쪽 내측 면에 설치된 경사 지지 다리 상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하 조정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조리면의 안정성이나 열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는 개선되어 있다. 그러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일단, 작업자가 조리면을 들어 올리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상방의 위치에서는, 철판 등의 조리면의 일부는 풍로 본체의 외측으로 어긋나게 되기 때문에, 조리면 내에 온도의 불균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풍로 본체가 불안정하게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6-5273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94486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7-22302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7-22301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등록 30213l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4299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177호 공보
본 발명은, 특히, 야외에서 사용되는 조리용 풍로의 화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안전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테이블의 천장판 등이나, 조리용 풍로의 철판이나 철망 등의 적재면(조리면)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간이 소형의 승강 장치, 및, 이러한 간이 소형의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재면을 구비하는 대상물에 적용되어, 상기 적재면을 승강시키기 위한 간이 소형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대상물로서는, 특히, 야외에서 사용되고,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조리용 풍로를 들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병원에서 식사를 할 때에, 간병인의 신체의 크기에 따라, 천장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 테이블 등,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면을 상하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소형의 조리용 기구, 주방 설비 용품, 가구 등에, 본 발명의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 장치는, 상기 적재면의 좌우 양단부의 하방에 1쌍의 승강 기구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기구의 각각은,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기부와,
텔레스코프 형상으로 신축 가능한 2 이상의 끼워 맞춤체로 구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적재면에 하단부가 상기 기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승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신장하고, 상단부가 상기 끼워 맞춤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레버의 지지점과,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체에 대하여 하향의 힘을 부여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면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대상물에, 상기 레버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체로부터 상기 지지점을 초과해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위치를 소정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2 이상의 결합 홈을 갖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대상물이 조리용 풍로일 경우에 특히 적절하게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의 조리용 풍로는,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풍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면이 상기 본체와 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승강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기구의 각각의 기부가, 상기 풍로 본체의 좌우 양단부의 프레임 구조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풍로 본체의 전방면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적재면을, 상기 풍로 본체에 대하여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조리용 풍로의 그릴이나 테이블의 천장판 등의 적재면을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간이하고 소형의 승강 장치가 제공된다.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는, 특히 옥외에서 사용된다, 아웃 도어용의 조리용 풍로에 적용되며, 사용시에, 연소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리면을 상하 이동시켜, 조리 시의 화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체 구조는, 연소부의 근방에 배치되어도,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제 재료로 모두를 구성할 수 있고, 빈번한 사용이 이루어져도, 내구성이 우수한, 화력 조정 가능한 조리용 풍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 장치의 승강 기구에 대해서, (a) 상단부가 최하 위치에 있는 상태와, (b) 상단부가 최상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승강 장치가 최하 위치에 있는 상태를, 철망을 생략하고 도시하는 본 발명의 조리용 풍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승강 장치가 최상 위치에 있는 상태를, 철망을 생략하여 도시하는 본 발명의 조리용 풍로의 개략 사시도이다.
처음에, 본 발명의 간이 소형 승강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 1의 (a) 및 (b)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 장치에서는, 적용되는 대상물(조리용 풍로, 테이블 등)에 따라, 그 형상, 크기, 재질에 대해서 적절하게 선택되기 때문에, 이들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 적재면의 길이(좌우 방향)가 450 내지 800㎜정도, 폭(전후 방향)이 300 내지 400㎜, 높이가 120 내지 200㎜ 정도의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풍로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승강 장치(1)는, 대상물인 조리용 풍로의 구성물품이며, 풍로 본체와는 별체의 그릴이나 철망의 적재면의 좌우 양단부의 하방에, 1쌍의 승강 기구(2)를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승강 기구(2)는, 모두 금속제인, 기부(3)와, 승강체(4)와, 지지체(5)와, 레버(6)와, 지지점(7)과, 탄성 지지체(8)를 구비한다.
기부(3)는, 풍로 본체의 직사각 형상 프레임의 양단부에, 승강체(4)가 이 단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승강체(4)는, 테레스코프 형상으로 신축 가능한 끼워 맞춤체(9a 내지 9c)로 구성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적재면에, 하단부가 상기 기부(3)에 고정된다. 이 끼워 맞춤체(9a 내지 9c)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이프 형상, 단면 대략 C자 형상의 판 형상체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별체의 레일 구조 내에 수용되는 평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는 것이다. 평판을 사용할 경우를 제외하고, 본예와 같이 각통 형상의 케이스체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등에는, 그 외폭 및 외측 두께는, 9a부터 9c에 걸쳐서 순차 작아지도록 한다. 또한, 승강체(4)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체(5)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끼워 맞춤체(9c)의 내폭을 지지체(5)의 폭의 2 내지 3배로 하고, 내측 두께를 지지체(5)의 두께보다도 1 내지 2㎜정도 두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워 맞춤체(9c)의 상단부의 양단부에는, 적재면과의 고정, 및, 탄성 지지체(8)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끼워 맞춤체(9c)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는, 3개의 끼워 맞춤체(9a 내지 9c)가 높이 방향으로 끼워 맞춰진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 끼워 맞춤체(9)의 수는, 승강 장치(1)의 크기나, 목적으로 하는 상하 이동의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끼워 맞춤체(9c)의 상승에 따라, 끼워 맞춤체(9c)의 길이 방향 중간부와 끼워 맞춤체(9b)의 상단부가 결합하여, 끼워 맞춤체(9b)를 끌어 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지체(5)는, 승강체(4)의 승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신장한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체이며, 승강체(4)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체(5)는, 승강체(4)의 내부를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양단부가 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5)의 상단부는, 끼워 맞춤체(9c)의 상단부에 회전축(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5)의 형상도 판형상체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부를 대상물의 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재면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하단부를 대상물의 본체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막대 형상체 등 그 밖의 형상도 채용할 수 있다.
레버(6)는, 지지체(5)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서, 지지체(5)의 하단부에, 기단부가 회전축(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6)로서는, 금속제의 환봉 또는 각봉을 가공한 것이 사용되지만, 그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단, 금속제의 환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기단부를 대략 90° 굴곡시킴으로써 회전축(12)을 별도 준비하지 않아도, 지지체(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6)는, 그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지제 등의 핸들(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조리용 풍로 등과 같이, 대상물이 고온으로 되는 경우에는, 내열성 및 단열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핸들(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6)를 상하 이동시킬 때의 지지점(7)은, 레버(6)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승강체(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본 예에서는, 지지점(7)은, 기부(3)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전축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레버(6)를 지지점으로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른 형상의 것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 장치(1)는, 이 지지점(7)을 중심으로 해서 레버(6)를 상하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지지체(5)를 통해서 승강체(4)를 상하 방향으로 텔레스코프 형상으로 신축시키게 된다. 이때, 레버(6)에 가하는 힘은, 레버(6)의 기단부와 지지점(7)까지의 거리 L1과, 지지점(7)으로부터 레버(6)의 후단부까지의 거리 L2에 의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L2/Ll>1이라고 하는 관계로 되도록 레버(6)의 전체 길이 및 지지점(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작 시에 레버(6)에 가하는 힘를 작게 할 수 있다.
탄성 지지체(8)는, 승강체(4)의 상단부와 기부(3)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승강체(4)에 대하여 하향의 힘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승강체(4)의 덜걱거림을 저감시키고, 승강 장치(1)의 자세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체(8)로서는, 헬리컬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예와 같이 조리용 풍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및 내구성의 관점으로부터 금속제의 헬리컬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지지체(8)를 설치하는 위치는, 레버(6) 등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레버(6)가 신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도 1의 좌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 위치를 다단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스토퍼(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이 스토퍼(14)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의 일단부에, 이 판재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로(15)와, 통로(15)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신장하고, 레버(6)와 결합 가능한 결합 홈(16)을, 이 통로(15)의 신장 방향을 따라, 2이상 병설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승강 장치(1)는, 상술한 구성의 1쌍의 승강 기구(2)를 구비함으로써, 양쪽의 승강 기구(2)의 레버(6)의 위치를 내렸을 경우에, 각각의 지지체(5)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각각의 승강체(4)가 텔레스코프 형상으로 신장한다. 이때 탄성 지지체(8)의 작용에 의해, 레버(6)의 지지점(14)보다도 우측의 부분에는 상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레버(6)를 결합 홈(16)에 결합시킨 경우에, 레버(6)가 결합 홈(16)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체(4)를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승강 장치(1)를 적용한 조리용 풍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리용 풍로의 전방측을 전방면, 안측을 배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조리용 풍로(17)는, 상술한 승강 장치(l)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기본적인 구조는 일반적인 조리용 풍로와 동일하며,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8)와, 상기 본체부(18)에 내부 끼움되어, 풍로(17)의 전방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탄적재부(19)와, 본체부(l8)의 저면의 각각의 코너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다리부(20)를 구비하고, 적재면(21)이 본체부(18)와 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리용 풍로의 구조는 공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적재면(21)은, 평면 직사각 형상의 단면 L자형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 구조의 내측 평면에 그릴용 철판이나 철망 등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프레임 구조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단면을 대략 L자형의 프레임 구조로 함으로써, 적재면(21) 상에 철망 등을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은 가늘고 긴 금속 봉을 굴곡해서 형성한 지지 아암 레버 구조 상에 철망 등을 적재하는 경우에 비해, 상하 이동할 때에, 철망 등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지지 아암 레버 상에서의 밸런스가 무너져서 요리가 뒤엎어지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적재면(21)은, 테이블 등의 경우에는, 일체적인 천장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조리용 풍로(17)에 본 발명의 승강 장치(1)를 내장하는 경우에는, 승강 장치(1)의 각각의 기부(3)가, 본체부(18)의 좌우 양단부의 프레임 구조의 내측에 고정된다, 본체부(l8)의 전방 면의 양단부에 스토퍼(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토퍼(14)의 통로(15)로부터 레버(6)가 돌출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스토퍼(14)는, 종방향으로 3개의 결합 홈(16)을 병설시켜, 그 최하 위치(도 2 참조)와 최상 위치(도 3 참조)에서는 화력이 약 절반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그 풍로의 크기나 사용의 목적에 따라, 시험 등을 행한 후에 적정하게 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가능하다.
도 2 및 3의 조리용 풍로(17)에서는, 승강 기구(2)는、가열원이 되는 탄적재부(19)의 양단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지지 아암 레버 구조에 비해 강성이 높고, 내하중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리용 풍로(l7)에 있어서, 상하 이동 조작은, 본체부(18)의 좌우 양단부에 있는 레버(6)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또한,이 상하 조작 시에, 탄성 지지체(8)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풍로(17)에 대하여, 항상 하향의 힘를 가하면서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조리용 풍로(17)는, 종래의 핸들 식의 것이나, 중앙 부분에만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풍로(17)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힘이 작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조작 시에 있어서의 자세 안정성이 지극히 높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2)으로부터 지지축(14)의 거리 L1과 지지축(12)으로부터 레버 후단부까지의 거리 L2를, L2/L1>1이 되는 관계로 함으로써, 상하 이동 시에 레버(6)에 작용시키는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승강 장치는,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지극히 간이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조리용 풍로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영향(각 부재의 열팽창)이나 이물질의 부착에 의해, 그 가동성이 방해되는 경우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화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조작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로의 내하중성이나 내구성 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 장치는, 간호용의 식사대나 소형의 조리 기구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승강 장치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의 외에, 보다 경량의 플라스틱 등의 공지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중량이 있는 것을 승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재면의 양단부의 하방에, 각각 2개 이상의 승강 기구를 배치하고, 각 단부에 배치되는 승강 기구를 각각 1개의 레버로 연결해서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테이블에 적용하는 경우로서는, 양측에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둥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다리 구조의 위에, 테이블 천장판이 배치되는 구조에서, 이들의 다리 구조와 테이블 천장판을, 본 발명의 승강 장치를 사용하여, 기부를 다리 구조에 고정하고, 승강체의 상단부를 테이블 천장판의 하면에 고정하면 된다. 이 경우, 적재면, 승강체, 기부, 지지점, 스토퍼의 위치 관계 등은, 상술한 조리용 풍로에 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적재면을 적절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한 한, 다른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승강 장치
2 : 승강 기구
3 : 기부
4 : 승강체
5 : 지지체
6 : 레버
7 : 지지점
8 : 탄성 지지체
9, 9a 내지 9c : 끼워 맞춤체
10 : 돌기부
11 : 회전축
12 : 회전축
13 : 핸들
14 : 스토퍼
15 : 통로
16 : 결합 홈
17 : 조리용 풍로
18 : 본체부
19 : 탄적재부
20 : 다리부
21 : 적재면

Claims (3)

  1. 적재면을 구비하는 대상물에 적용되고, 상기 적재면을 승강시키기 위한 간이 소형 승강 장치이며,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적재면의 좌우 양단부의 하방에 1대의 승강 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의 각각은,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기부와,
    텔레스코프 형상으로 신축 가능한 2이상의 끼워 맞춤체로 구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적재면에 하단부가 상기 기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승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신장하고, 상단부가 상기 끼워 맞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를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레버의 지지점과,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체에 대하여 하향의 힘을 부여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를 상하 이동함으로써, 적재면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소형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상기 레버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체로부터 상기 지지점을 초과해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위치를 소정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2이상의 결합 홈을 갖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간이 소형 승강 장치.
  3. 상기 대상물이 제2항에 기재된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사용한 조리용 풍로이며,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풍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면이 상기 본체와 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 기구의 각각의 기부가, 상기 풍로 본체의 좌우 양단부의 프레임 구조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풍로 본체의 전방 면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본체부의 전방 면에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적재면을, 상기 풍로 본체에 대하여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사용한 조리용 풍로.
KR1020120058338A 2011-09-12 2012-05-31 간이 소형 승강 장치, 및,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 KR20130028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8288A JP5782344B2 (ja) 2011-09-12 2011-09-12 簡易小型昇降装置、および、この簡易小型昇降装置を利用した調理用コンロ
JPJP-P-2011-198288 2011-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849A true KR20130028849A (ko) 2013-03-20

Family

ID=4792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338A KR20130028849A (ko) 2011-09-12 2012-05-31 간이 소형 승강 장치, 및,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2344B2 (ko)
KR (1) KR20130028849A (ko)
CN (1) CN10299222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7723A (zh) * 2016-04-08 2016-07-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郓城县供电公司 一种电力系统用野外炊具
KR102174897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857A (zh) * 2016-02-18 2016-05-25 林力苹 新型太阳能烧烤架
CN105865218A (zh) * 2016-04-11 2016-08-17 谢博 一种预烘炉姿态调节器
CN107084412A (zh) * 2017-06-19 2017-08-22 孙时泽 一种防风型灶具支架
CN107788865B (zh) * 2017-12-01 2019-08-20 宁波大学 一种烧烤架
CN108991947B (zh) * 2018-09-30 2021-08-20 钟佩英 一种折叠户外野炊烧烤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413A (en) * 1977-06-08 1979-09-04 Albert Meszaros Barbecue
JPH043634U (ko) * 1990-04-20 1992-01-14
JPH063234U (ja) * 1992-06-23 1994-01-18 川嶋工業株式会社 屋外用グリル
JP2532832Y2 (ja) * 1992-06-26 1997-04-16 リンナイ株式会社 焼物調理器の支持台昇降装置
DE29909614U1 (de) * 1999-06-03 1999-10-07 Landmann Gmbh & Co Kg Grill mit höhenvertellbarem Grillrost
CN201001646Y (zh) * 2007-01-24 2008-01-09 夏宝兴 自助餐炉分离式自动升降加热装置
JP3131659U (ja) * 2007-02-27 2007-05-17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コンロ装置
CN201523782U (zh) * 2009-08-25 2010-07-14 王志刚 多功能便携式组合炊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7723A (zh) * 2016-04-08 2016-07-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郓城县供电公司 一种电力系统用野外炊具
KR102174897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5A1 (ko) *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92226B (zh) 2016-01-20
JP2013059386A (ja) 2013-04-04
CN102992226A (zh) 2013-03-27
JP5782344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849A (ko) 간이 소형 승강 장치, 및, 이 간이 소형 승강 장치를 이용한 조리용 풍로
US10555603B2 (en) Height adjustable workstation
CN107105893B (zh) 家具或家用器具的架体的滑动枢转机构、家具和家用器具
US8936306B2 (en) Composite chair
US9131801B2 (en) Barbecue grill apparatus
WO2010054588A1 (zh) 一种煎烤器升降机构及煎烤锅
KR20100011008U (ko) 사각 화로대
KR102200042B1 (ko) 아웃도어용 구이장치
KR101179742B1 (ko) 그릴 높이조절가능한 구이기
KR200484407Y1 (ko)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101925390B1 (ko) 가변형 식탁
CN107854002A (zh) 一种太阳能钢管烧烤炉
CN203885346U (zh) 升降烧烤装置
CN208909901U (zh) 烹饪设备
JP6073049B2 (ja) 組立式テーブル
KR101790170B1 (ko) 주방용기 받침대
JP2016131629A (ja) ベッド
CN201081271Y (zh) 伸缩式烧烤炉
JP3191607U (ja) バーベキュー用コンロ
KR940007599Y1 (ko) 고기구이용 석쇠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13963037U (zh) 一种可调节烤盘间距的烤箱
KR10149323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N215838502U (zh) 一种能够防止使用时炸篮滑出的空气炸锅
CN210076919U (zh) 一种具有双气弹簧的桌子
RU165340U1 (ru) Стол-трансформ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