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373A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Google Patents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8373A KR20130028373A KR1020110091882A KR20110091882A KR20130028373A KR 20130028373 A KR20130028373 A KR 20130028373A KR 1020110091882 A KR1020110091882 A KR 1020110091882A KR 20110091882 A KR20110091882 A KR 20110091882A KR 20130028373 A KR20130028373 A KR 20130028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ctopus
- frame
- hiding
- submerged
- biocultur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049 pear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41000238415 Octopodidae Species 0.000 abstract 6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abstract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7852 Mollus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50 natural pear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펄 또는 자갈이 채워져 문어과 생물이 서식하는 프레임 및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문어과 생물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하는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신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저에 설치하면서도 일정 주기로 들어올려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낙지·문어가 먹이 섭취를 포함하는 서식 및 은신을 용이하게 하고, 해저에 설치되므로 강한 파도 또는 태풍에 의해 양식 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자연 상태의 펄이 유입되므로 양질의 유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상태의 최적의 조건에서 낙지·문어를 양식 또는 축양할 수 있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식 장치를 해저에 설치함으로써 자연 상태의 환경 조건에서 문어과에 속하는 문어·낙지를 안정적으로 양식할 수 있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어류는 연체 동물문의 두족강, 신두족아강, 팔완목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150여종이 분포한다. 특히 두족강 문어목에는 주로 낙지, 주꾸미, 문어 등이 있다.
낙지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진흙, 갯벌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수심 100m 전후의 깊이까지 다양한 저질 바닥에서 발견되는, 다리를 포함한 몸통 길이 30cm 전후의 중형 문어류이다. 낙지는 우리나라 서ㅇ남해 연안 지역의 갯벌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수산물로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통발이나 연승 또는 저인망 등에 의해 어획된다. 그러나 최근 무분별한 간척 사업과 환경 오염으로 인해 낙지 자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또한 낙지의 산란 기간이 5~6월이며, 산란한 어미 낙지는 대부분 죽기 때문에 5월부터 8월까지는 낙지의 어획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동 기간 중에는 살아 있는 활 낙지를 쉽게 구할 수 없어 가격도 매우 높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일정 기간 동안 낙지를 자연 상태의 조건으로 양식 및 축양이 가능하면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
낙지는 연체동물 중 가장 발달한 무리 가운데 하나로 연안의 조간대에서 심해까지 분포하지만 주로 내만의 펄 속에 구멍을 파고 서식하면서 발을 이용하여 게류나 새우, 조개류, 등을 잡아먹고 산다.
문어는 연안 저서성 종으로 아조대~50m의 바위 틈이나 구멍에 서식한다. 문어는 바위 틈이나 진흙에 판 굴 속에 있다가 팔을 밖으로 내어 먹이를 잡아먹는다. 문어는 시장성과 식용 가치가 높고 성장이 빠르며 먹이 선택성이 적어 축양 또는 양식 전망이 매우 높은 종이다.
낙지·문어의 축양 또는 양식은 아직까지 시설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모델이 없고 낙지의 경우에는 축양도 시도된 바 없다.
따라서 낙지·문어가 펄 또는 자갈 속에서 은신이 가능하면서 먹이 섭취 또한 용이하고 해저에 설치되어 자연 상태의 환경조건에서 양식 또는 축양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펄 또는 자갈이 채워져 문어과 생물이 서식하는 프레임 및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문어과 생물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하는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신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저에 설치하면서도 일정 주기로 들어올려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낙지·문어가 먹이 섭취를 포함하는 서식 및 은신을 용이하게 하고, 해저에 설치되므로 강한 파도 또는 태풍에 의해 양식 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자연 상태의 펄이 유입되므로 양질의 유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상태의 최적의 조건에서 낙지·문어를 양식 또는 축양할 수 있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가두리 양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에 펄 또는 자갈이 채워져 문어과 생물이 서식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문어과 생물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하는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신처 부재를 포함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침하식 문어과 양식 장치를 해저에 가라앉도록 하는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에는 상기 펄 또는 자갈이 유입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은신처 부재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판부재의 양면에 복수의 분리막이 상기 판부재와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분리막의 상기 판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면의 일부는 막혀 상기 은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은신처 부재는 복수의 파이프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복합체는, 평판을 이루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는 각각 상기 판부재에 부착되지 않은 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절개되는 홈 및 상기 홈 사이의 상기 은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복합체는,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의 상기 홈과 은신 공간은 서로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복합체는, 상기 낙지 또는 문어는 상기 홈 또는 상기 파이프의 양단의 구멍을 통해 상기 은신 공간에 들어가 은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및 측면은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은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및 측면은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펄 및 자갈이 채워지는 저질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을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과 함께 제1 그물감으로 감싸 상기 블록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는 상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제2 그물감으로 감싸 상기 프레임 내부의 상기 문어과 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에 의하면,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펄 또는 자갈이 채워져 문어과 생물이 서식하는 프레임 및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문어과 생물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하는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신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저에 설치하면서도 일정 주기로 들어올려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낙지·문어가 먹이 섭취를 포함하는 서식 및 은신을 용이하게 하고, 해저에 설치되므로 강한 파도 또는 태풍에 의해 양식 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자연 상태의 펄이 유입되므로 양질의 유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상태의 최적의 조건에서 낙지·문어를 양식 또는 축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내부에 은신처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은신처 부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프레임 내부에 블록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은신처 부재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내부에 은신처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은신처 부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프레임 내부에 블록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은신처 부재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를 보여주는 사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해저면에 설치되어 낙지·문어를 포함하는 문어과 생물을 양식 또는 축양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낙지·문어는 연체 동물문의 두족강, 신두족아강, 팔완목에 속하는 생물로, 수족의 접촉성(주촉성)이나 은신 습성이 강하다. 특히 일정한 용적에 일정한 양의 낙지와 문어를 넣어 사육하면 각 개체의 낙지와 문어는 일정한 넓이의 면적을 차지해서 세력권을 형성한다.
낙지와 문어는 개체끼리 세력권 확보를 위해 서로 싸움을 하며 경쟁에서 패하거나 외부로부터 갑작스런 위협을 받았을 때에는 빠르게 유영해서 은신처에 들어간다. 특히 낙지는 구조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그 안팎을 가리지 않고 은신하기 때문에 은신 습성이 매우 강하다.
또한, 주간에는 휴식을 위해 펄 속으로 들어갔던 낙지들은 야간이 되면 먹이를 구하기 위해 펄에서 빠져 나온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낙지·문어를 포함하는 문어과 생물을 양식 또는 축양하기 위해 해저에 설치되어 자연 상태와 최대한 가까운 환경에서 양식 또는 축양이 이루어지고, 주기적으로 해수면 위로 들어올려져 먹이 공급 및 오염물 제거가 이루어지는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내부에 은신처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은신처 부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프레임 내부에 블록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이하, 양식 장치라 함, 100)는 프레임(110) 및 은신처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양식 장치(100)의 전체적인 형태의 고정과 유지를 위한 틀로서 바닥면(111) 및 복수의 측면(113)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닥면(111)과 측면(113)은 펄이 유입되도록 막혀있지 않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상부면을 제외한 바닥면과 네 측면을 복수의 관통구멍(112)이 형성된 판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10)의 형상은 육면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110)의 바닥면(111)에는 펄과 자갈이 채워져 낙지 또는 문어가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데, 양식 장치(100)를 해저로 침하시키기 전에 미리 채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관통구멍(112)은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펄이 외부로 다량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지는 펄에서 서식하는 습성이 있고 문어를 자갈에서 서식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양식 장치(100)에서 낙지를 양식하는 경우 바닥면(111)에는 펄을 채우고 문어를 양식하는 경우 바닥면(111)에는 자갈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펄은 낙지의 서식을 위해서 채워질 수 있으나 낙지와 문어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서도 채워질 수 있다. 즉, 낙지를 양식하는 경우 프레임(110)에는 펄만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고 문어를 양식하는 경우 은식과 먹이 공급을 위해 자갈과 펄을 모두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식 장치(100)의 침하 전에 공급하는 펄 이외에도 침하 후 해저에 가라앉은 후에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112)을 통해서도 펄이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식 장치(100)를 해저로 침하시킬 때 양식 장치(100)의 하단부가 펄 속으로 가라앉으면서 관통구멍(112)을 통해 프레임(110) 내부로 펄이 유입된다. 관통구멍(112)을 통해 유입된 펄은 낙지에게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펄의 유기물은 낙지 또는 문어의 먹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양식 장치(100)는 자갈 또는 펄이 프레임(110) 내부에 채워져 내부에 펄이 유입되므로 자연 상태에서 문어과 생물을 안정적으로 양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은신처 부재(130)는 낙지 또는 문어가 개체끼리 세력권 확보를 위해 싸워 패하거나, 외부로부터 위협을 받았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들어가 은신을 하는 복수의 은신공간(137)을 포함하며, 바닥면(111) 상에 배치되되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신처 부재(130)는 판부재(131)와 분리막(133)으로 구성되는데, 바닥면(111)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판부재(131)의 양면에 판부재(131)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분리막(133)이 설치된다. 이때, 분리막(133)의 판부재(131)에 부착되지 않는 면이 일정 간격으로 막혀 그 안으로 낙지 또는 문어가 들어가 은신하는 은신공간(137)이 된다. 한편 막히지 않은 홈(135)은 은신공간(137)으로 낙지 또는 문어가 들어가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은신처 부재(130)는 판부재(131)(도 3에서 131, 133을 표시하기가 어려워, 도 2도 함께 참조하는 것으로 작성하였습니다.)가 3개가 설치되고, 분리막(133)은 판부재(131)의 양면에 6개씩 설치되고, 홈(135)과 은신공간(137)이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은신공간(137)은 육면체 형상을 갖고, 두 개의 분리막(133)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열에 5~6개의 은신공간(137)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판부재(131), 분리막(133), 홈(135) 및 은신공간(137)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낙지 또는 문어가 이동하고 은신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은신처 부재(130)는 구체적으로 복수의 파이프 복합체(도 5 및 도 6의 130a)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식 장치(100)는 프레임(110)의 바닥면(111)에 복수의 블록(121)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블록(121)은 양식 장치(100)가 해저에 잘 가라앉아 있을 수 있도록 양식 장치(100)를 무겁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블록(121)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물에 잘 가라앉을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류 등에 의해 양식 장치(100)가 이동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111) 및 측면(113)을 통해 유입된 펄이 블록(121)의 구멍(123)에도 유입될 수 있으므로 낙지 또는 문어는 블록(121)에서도 먹이 활동을 포함하는 서식 또는 은신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양식 장치(100) 전체를 해저에 설치함으로써 자연 상태의 환경 조건에서 문어과 생물을 안정적으로 양식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해저의 유기물을 주로 먹고 주기적으로 예컨대 약 1주일에 한번 씩 선박에 설치된 롤러 등으로 양식 장치(100)를 들어 올려 사료를 인위적으로 공급하거나 배설물 등을 제거하고, 유입된 지 오래된 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프레임(110)의 바닥면(111)에 펄 또는 자갈을 채우고 양식 장치(100)를 다시 해저로 내려보내 문어과 생물을 양식 또는 축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은신처 부재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식 장치(100)의 은신처 부재(130)는 복수의 파이프 복합체(130a)로 이루어진다.
파이프 복합체(130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은신처 부재(130)의 분리막(133)의 형상을 변형한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의 파이프(133a)를 복수개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은신공간(137a)을 형성하게 된다.
파이프 복합체(130a)는 판부재(131a)와 복수개의 파이프(133a)로 이루어지는데, 판부재(131a)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갖고, 판부재(131a)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파이프(133a)가 부착된다.
파이프(133a)의 외측면 즉, 판부재(131a)에 부착되지 않은 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개되는데 이를 통해 홈(135a)이 형성되고, 홈(135a) 사이의 공간은 은신공간(137a)이 된다. 홈(135a)은 인접한 파이프(133a)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도록 교차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파이프(133a)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135a)을 형성하면 낙지 또는 문어가 파이프(133a)의 가장자리 구멍 뿐만 아니라 홈(135a)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할 수 있으므로 낙지 또는 문어에게 더 많은 은신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낙지 또는 문어의 은신이 더욱 용이하다.
또한, 판부재(131a)의 상·하단에는 체결구(139a)가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 복합체(130)를 프레임(110)에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110)의 상단에는 측면(113)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에 체결구(139a)를 삽입함으로써 프레임(110)에 파이프 복합체(130a)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복합체(130a)가 3개 설치되는 경우 판부재(131a)가 3개 설치되며, 판부재(131a)의 양면에 파이프(133a)가 부착된다. 판부재(131a)의 양면에는 각각 4개의 파이프(133a)가 부착되므로 총 24개의 파이프(133a)가 부착된다.
하나의 파이프(133a)에 5~6개의 은신공간(137a)이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파이프 복합체(130a)에는 40~44개의 은신공간(137a)이 형성되고, 프레임(110) 전체로는 약 120~132개의 은신공간(137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복합체(130a)는 양면에 각각 4개의 파이프(133a)를 부착되고, 한 파이프(133a)에 5~6개의 은신공간(137a)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름이 큰 파이프(133a)와 작은 파이프(133a)가 교차 배치되었으나 동일한 지름을 갖는 파이프(133a)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파이프 복합체(130a)는 상기와 같이 판부재(131a)에 복수의 파이프(133a)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파이프 복합체(130a)의 전체적인 형상대로 금형틀을 제작하여 내부에 수지를 넣고 냉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양식 장치는 프레임(210)의 구조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프레임(210)의 바닥면(21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관통구멍(212)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지나, 측면(213)은 복수의 파이프(2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215)는 바닥면(21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바닥면(211)과 결합된다. 바닥면(211)에 접하지 않은 파이프(215)의 위쪽 끝부분은 또 다른 파이프(215)와 결합되어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파이프(215)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파이프(215)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면(213)이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 프레임(2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보강 파이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바닥면(211)의 관통구멍(212)과 측면(213)의 파이프(215) 사이로 펄과 해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해수는 빠져나가고 펄이 바닥면(211)에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양식 장치(300)는 프레임(310)의 구조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프레임(310)의 바닥면 및 측면은 복수의 파이프(315)를 연결부재(317)로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프레임(3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보강 파이프(3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양식 장치(300)가 해저로 내려보내지는 경우 바닥면의 복수의 파이프(315) 사이의 간격이 매우 크므로 유입된 펄이 프레임(310) 내부에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양식 장치(300)는 프레임(310)의 바닥면에 저질판(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질판(340)은 바닥에 복수의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을 통해 펄이 유입될 수 있다. 관통구멍은 복수의 파이프(315) 사이의 간격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유입된 펄이 저질판(340) 내부에 남아있게 되어 낙지 또는 문어에게 유기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저질판(340)을 프레임(310)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 프레임(3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보강 파이프(370)를 삽입하기 위해 저질판(340)의 하부에는 별도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321)은 저질판(340) 상에 설치되고 은신처 부재(330)는 체결구(339a)에 의해 프레임(3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블록(321)을 프레임(310)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1 그물감(360)으로 감쌀 수 있다. 제1 그물감(360)의 그물코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블록(321)과 저질판(340)을 프레임(310)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그물감이면 모두 가능하다.
보강 파이프(370)는 프레임(310)의 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310) 상에 순서대로 저질판(340), 블록(321), 은신처 부재(330)를 설치하고 낙지 또는 문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그물감(350)으로 양식 장치(300) 전체를 감싼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낙지 또는 문어는 좁은 틈만 있더라도 탈출을 잘 하기 때문에 제2 그물감(350)은 그물코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그물감(350)은 그물코가 매우 작은 그물감으로 1차 둘러싸고 상대적으로 그물코의 크기가 큰 그물감으로 2차 둘러싸 이중으로 감쌀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 장치(300)를 수면 위로 용이하게 들어 올리기 위해 제2 그물감(350)의 외부를 밧줄(380) 등으로 다시 한번 묶어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들려올려진 양식 장치(300)에 사료를 공급하거나 배설물을 제거하고 유입된 지 오래된 펄을 제거하고 새로운 펄 또는 자갈을 채워넣어 낙지 또는 문어의 양식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펄 또는 자갈이 채워져 문어과 생물이 서식하는 프레임 및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문어과 생물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하는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신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저에 설치하면서도 일정 주기로 들어올려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낙지·문어가 먹이 섭취를 포함하는 서식 및 은신을 용이하게 하고, 해저에 설치되므로 강한 파도 또는 태풍에 의해 양식 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자연 상태의 펄이 유입되므로 양질의 유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상태의 최적의 조건에서 낙지·문어를 양식 또는 축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110 : 프레임 120 : 서식장 부재
130 : 은신처 부재 140 : 저질판
110 : 프레임 120 : 서식장 부재
130 : 은신처 부재 140 : 저질판
Claims (14)
- 바닥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에 펄 또는 자갈이 채워져 문어과 생물이 서식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문어과 생물이 내부로 들어가 은신하는 복수의 은신공간을 포함하는 은신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침하식 문어과 양식 장치를 해저에 가라앉도록 하는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펄 또는 자갈이 유입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신처 부재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판부재의 양면에 복수의 분리막이 상기 판부재와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분리막의 상기 판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면의 일부는 막혀 상기 은신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신처 부재는 복수의 파이프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복합체는,
평판을 이루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는 각각 상기 판부재에 부착되지 않은 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절개되는 홈 및 상기 홈 사이의 상기 은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복합체는,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의 상기 홈과 은신 공간은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복합체는,
상기 낙지 또는 문어는 상기 홈 또는 상기 파이프의 양단의 구멍을 통해 상기 은신 공간에 들어가 은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및 측면은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은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및 측면은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펄 및 자갈이 채워지는 저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과 함께 제1 그물감으로 감싸 상기 블록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제2 그물감으로 감싸 상기 프레임 내부의 상기 문어과 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882A KR101355164B1 (ko) | 2011-09-09 | 2011-09-09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882A KR101355164B1 (ko) | 2011-09-09 | 2011-09-09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8373A true KR20130028373A (ko) | 2013-03-19 |
KR101355164B1 KR101355164B1 (ko) | 2014-01-28 |
Family
ID=4817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1882A KR101355164B1 (ko) | 2011-09-09 | 2011-09-09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51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8630B1 (ko) * | 2020-06-05 | 2021-02-22 | 장철호 | 낙지 양식 장치 |
KR20210057909A (ko) | 2019-11-13 | 2021-05-24 |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 문어 축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양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13427B (zh) * | 2019-07-23 | 2021-07-20 | 湖南文理学院 | 一种用于珍珠培育的生态育珠系统及其使用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32A (ja) * | 1993-06-28 | 1995-01-13 | Shuichi Iwasa | アワビ等の無剥離による栽培方法 |
JP3405688B2 (ja) * | 1998-11-16 | 2003-05-12 | 礼一 岡田 | 貝の養殖方法とこの養殖方法に用いる貝の養殖具 |
KR100424134B1 (ko) * | 2003-08-26 | 2004-03-24 | 대한민국 | 보강판을 구비하는 인공어초 |
KR100999372B1 (ko) * | 2010-04-12 | 2010-12-09 | 주식회사 우미 | 파이프형 인공 어초 |
-
2011
- 2011-09-09 KR KR1020110091882A patent/KR101355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7909A (ko) | 2019-11-13 | 2021-05-24 |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 문어 축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양 방법 |
KR102218630B1 (ko) * | 2020-06-05 | 2021-02-22 | 장철호 | 낙지 양식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5164B1 (ko) | 2014-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llier et al. | Attraction and repulsion of mobile wild organisms to finfish and shellfish aquaculture: a review | |
Dumbauld et al. | The ecological role of bivalve shellfish aquaculture in the estuarine environment: a review with application to oyster and clam culture in West Coast (USA) estuaries | |
Polovina | Fisheries applications and biological impacts of artificial habitats | |
KR100985893B1 (ko) | 육각 콘크리트 어초 | |
Holden et al. | Synergies on the coast: challenges facing shellfish aquaculture development on the central and north coast of British Columbia | |
KR101883836B1 (ko) |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 |
KR101002567B1 (ko) |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 |
KR101868222B1 (ko) | 벤치형 어초 | |
Gili et al. | Zoobenthos | |
KR101642778B1 (ko) | 해상 가두리 양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 |
KR101286078B1 (ko) |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 |
Knaepkens et al. | Spawning habitat enhancement in the European bullhead (Cottus gobio), an endangered freshwater fish in degraded lowland rivers | |
KR101355164B1 (ko)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
KR102068220B1 (ko) | 해삼 은신처용 인공어초 | |
KR101363320B1 (ko) | 침하식 게과 생물 축양 시설 | |
KR101108147B1 (ko) | 인공 어초 | |
KR102202815B1 (ko) | 갑오징어 수정란 부착용 인공조초 | |
KR101352899B1 (ko) | 대게보육어초 | |
Fegley et al. | Enhancing the potential for population recovery: restoration options for bay scallop populations, Argopecten irradians concentricus, in North Carolina | |
KR102200440B1 (ko) |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 |
KR102060864B1 (ko) | 노지양식용 해삼 양식장치 | |
KR101968913B1 (ko) | 해삼 혼합 양식방법 | |
KR101981486B1 (ko) | 전복 해상가두리 중간 육성용 기능성 쉘터 | |
KR102555068B1 (ko) | 갑오징어류 산란 서식장 조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란 서식장 조성방법 | |
CN110663594A (zh) | 一种用于生态循环型渔业的鱼类增养和捕捞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