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283A -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 Google Patents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283A
KR20130028283A KR1020110091721A KR20110091721A KR20130028283A KR 20130028283 A KR20130028283 A KR 20130028283A KR 1020110091721 A KR1020110091721 A KR 1020110091721A KR 20110091721 A KR20110091721 A KR 20110091721A KR 20130028283 A KR20130028283 A KR 2013002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rotective tube
pad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449B1 (ko
Inventor
임만승
김하윤
전봉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4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0Enclosure elements, e.g.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절개부가 배제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코일스프링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는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되어 코일스프링을 보호하는 보호튜브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는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재를 완전히 에워싸는 폐곡선의 구조를 갖도록 링-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되, 상기 코일스프링과의 끼움이 시작되는 입구측 내경은 출구측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Tube for protecting coil spring}
본 발명은 자동차 현자장치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의 보호를 위해 코일스프링에 결합되는 보호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스프링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절개부가 배제된 구조로 구성되어 끼움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코일스프링과 보호튜브의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로써,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10)에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 사이에 코일스프링(20)이 설치되며, 상기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의 안쪽면에 고무재질로 된 스프링 패드(3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20)과 어프패드(11) 및 로어패드(12)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패드(30)는 코일스프링과 어퍼패드 및 로어패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충격이나 소음을 줄이고, 코일스프링의 도장 손상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된 스프링 패드는 약한 충격에도 쉽게 압축되고 찢겨져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이 어퍼패드나 로어패드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충격이 어퍼패드나 로어패드에 그대로 전달되어 어퍼패드나 로어패드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별도의 보호튜브를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보호튜브(40)는 코일스프링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링 모양의 부재로써, 코일스프링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외측에는 보호튜브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구조를 갖는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절개부를 벌려 코일스프링이 끼워질 공간을 확보한 뒤, 확보된 공간을 통해 코일스프링의 좌권부가 삽입되게 함으로써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설치하게 된다.
이처럼 코일스프링에 결합된 보호튜브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감싸 코일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코일스프링과 어퍼패드 및 로어패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충격이나 소음을 완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절개부를 갖는 종래의 보호튜브는 절개부를 통해 보호튜브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며, 이처럼 보호튜브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코일스프링의 신장과 압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보호튜브와 코일스프링의 사이로 확산되며, 특히 코일스프링의 압축 시 높은 압력으로 코일스프링이나 보호튜브로 파고들게 되므로, 코일스프링의 도장을 손상시켜 부식을 유발하거나, 보호튜브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부가 배제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코일스프링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스프링과의 끼움 결합시 보호튜브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보강살을 이용하여 보호튜브가 스프링 패드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현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는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되어 코일스프링을 보호하는 보호튜브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는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재를 완전히 에워싸는 폐곡선의 구조를 갖도록 링-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되, 상기 코일스프링과의 끼움이 시작되는 입구측 내경은 출구측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호튜브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단면 두께가 좌우측면부의 단면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튜브는 열융착공정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보호튜브가 폐곡선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는 스프링 패드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보호튜브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튜브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보호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보호튜브의 끼움 결합시 보호튜브의 휨을 방지하는 보강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살은 보호튜브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며 보호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에 밀착되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살은 코일스프링의 거동에 상관없이 로어패드 또는 어퍼패드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스프링과의 결합을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과 보호튜브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에 의한 코일스프링이나 보호튜브의 손상을 방지하여 코일스프링 및 보호튜브의 내구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튜브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살이 보호튜브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에 접촉함으로써 보호튜브가 스프링 패드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여 현가장치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종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튜브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튜브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살을 구비하는 보호튜브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보강살을 구비하는 보호튜브의 단면도,
도 7 은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살을 갖는 보호튜브가 코일스프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튜브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튜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튜브(110)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된 보호튜브(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일스프링 및 보호튜브(110)의 내구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끼움방식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튜브(110)는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재를 완전히 에워싸는 폐곡선의 구조를 갖도록 링-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따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튜브(110)는 절개부가 배제된 구조로 인하여 절개부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끼움방식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된 보호튜브(1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호튜브(110)가 억지끼움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억지끼움에 의해 보호튜브(110)를 코일스프링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튜브(110)는 코일스프링과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불어 보호튜브(11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과의 끼움이 시작되는 보호튜브(110)의 입구측 내경(D1)은 코일스프링 선재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출구측 내경(D2)은 코일스프링 선재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선재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설치된 보호튜브(110)의 경우, 코일스프링의 압축과 신장이 반복됨에 따라 상단부 및 하단부가 좌우측면부에 비해 쉽게 손상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단부 및 하단부의 단면 두께(t1)가 좌우측면부의 두께(t2)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조의 보호튜브(110)는 제조상의 문제로 인해 절개부를 갖는 보호튜브(110)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며, 이때 보호튜브(110)에는 절개부에는 열융착공정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절개부를 폐쇄함으로써 보호튜브(110)가 폐곡선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하는 결합부(111)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11)는 보호튜브(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특성 상 스프링 패드와 간섭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스프링 패드와의 간섭 방지를 위하여 보호튜브(11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살을 구비하는 보호튜브의 단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보강살을 구비하는 보호튜브의 단면도를, 도 7은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살을 갖는 보호튜브가 코일스프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튜브(110)는 코일스프링과의 끼움 작업시 보호튜브(110)의 휨을 방지하는 보강살(1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살(112)은 보호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보강살(112)의 내부에 삽입된 강선(112a)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보호튜브(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보호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112b)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후자와 같이 보호튜브(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바(112b)를 이용하여 보강살(112)을 구성할 경우, 상기 보강살(112)이 보호튜브(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게 되면,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된 보호튜브(110)의 보강살(112)이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에 접촉하여 스프링 패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가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튜브(1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살(112)을 코일스프링(100)의 피치각(α)을 고려하여 일측단과 타측단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보호튜브(110)는 코일스프링의 거동에 상관없이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호튜브(110)와 어퍼패드(또는 로어패드)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보호튜브(110)나 어퍼패드(또는 로어패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튜브(110)가 갖는 작용 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튜브(110)는 절개부 없는 구조이므로, 보호튜브(110)의 내부로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끼워 넣는 방식에 의해 보호튜브(110)와 코일스프링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보호튜브(110)의 입구측 내경(D1)은 출구측 내경(D2)에 비해 크게 형성되므로, 보호튜브(110)의 끼움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튜브(110)는 억지끼움에 의해 코일스프링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보호튜브(11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끼움 작업 시, 보강살(112)은 보호튜브(110)의 휨을 억제하여 줌으로써 작업자는 보다 원활하게 보호튜브(110)의 설치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된 보호튜브(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살(112)이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에 접촉하여 코일스프링이나 보호튜브(110)가 어퍼패드나 로어패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패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현가장치의 구성 시 스프링 패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가장치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코일스프링
(110) : 보호튜브
(111) : 결합부
(112) : 보강살

Claims (6)

  1.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에 결합되어 코일스프링을 보호하는 보호튜브(110)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110)는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재를 완전히 에워싸는 폐곡선의 구조를 갖도록 링-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되,
    상기 코일스프링과의 끼움이 시작되는 입구측 내경(D1)은 출구측 내경(D2)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110)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단면 두께(t1)가 좌우측면부의 단면 두께(t2)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110)는 열융착공정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보호튜브(110)가 폐곡선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하는 결합부(111)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111)는 스프링 패드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보호튜브(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보호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보호튜브(110)의 끼움 결합시 보호튜브(110)의 휨을 방지하는 보강살(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살(112)은 보호튜브(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며 보호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에 밀착되는 코일스프링의 좌권부를 어퍼패드 또는 로어패드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살(112)은 코일스프링의 거동에 상관없이 로어패드 또는 어퍼패드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KR1020110091721A 2011-09-09 2011-09-09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KR10128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721A KR101284449B1 (ko) 2011-09-09 2011-09-09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721A KR101284449B1 (ko) 2011-09-09 2011-09-09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283A true KR20130028283A (ko) 2013-03-19
KR101284449B1 KR101284449B1 (ko) 2013-07-09

Family

ID=4817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721A KR101284449B1 (ko) 2011-09-09 2011-09-09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7058B2 (en) * 2020-09-25 2023-11-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uspension and coil spring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7323B2 (ja) * 2014-03-28 2018-04-04 日本発條株式会社 懸架用コイルばね
CN106286678A (zh) * 2015-05-28 2017-01-04 安顺市晶英科技研发有限责任公司 一种增强型汽车避震器弹簧结构
KR101860005B1 (ko) * 2016-06-21 2018-05-23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용 튜브 일체형 상부 패드
KR101986328B1 (ko) 2018-04-11 2019-06-05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용 튜브 일체형 가변높이 상부패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151Y2 (ko) * 1976-04-02 1980-09-12
JPS5740744U (ko) * 1980-08-20 1982-03-05
JPS59172846U (ja) * 1983-05-06 1984-11-1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イルばねの支持構造
US20100252971A1 (en) * 2009-04-02 2010-10-07 Dong Yang Physical & Chemical Protective tube for coil spring of vehicle suspens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7058B2 (en) * 2020-09-25 2023-11-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uspension and coil spring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449B1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449B1 (ko) 끼움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JP2009101866A (ja) 高圧タンク搭載車両とタンクアッセンブリ
JP5313210B2 (ja) コイルばね
JP5758357B2 (ja) コイルばね
JP5029283B2 (ja) 高圧タンク搭載車両とタンクアッセンブリ
TWI593585B (zh) buffer
US9027946B2 (en) Suspension device
KR20130052057A (ko) 열수축형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CN209397490U (zh) 一种应用于桥梁的伸缩缝结构
KR20110000639U (ko) 고압가스용기용 진동저감 고정장치
CN106151351B (zh) 液压单元及其防护罩
KR101563122B1 (ko) 쇽업소버
KR101815598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KR102534529B1 (ko) 림 프로텍터가 구비된 공기입 타이어
KR10200734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자 제어 댐퍼의 횡압 저감 장치
KR200472100Y1 (ko) 군용차량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스프링 결합구조
KR20150012687A (ko) 가변 사이드로드 코일스프링
JP7099015B2 (ja) ゴムクローラ
KR100819423B1 (ko) 쇽업소버
KR102406074B1 (ko) 인서트형 스프링 시트
KR101662225B1 (ko) 쇽업소버
KR102545849B1 (ko) 쇽업소버의 스프링시트 유닛
JP6254832B2 (ja) 衝撃吸収構造体
KR101299106B1 (ko) 쇽업소버의 아이용 보호구
KR101194985B1 (ko) 리바운드 코일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및 쇽업소버의리바운드 코일스프링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