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150A -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150A
KR20130028150A KR1020137004101A KR20137004101A KR20130028150A KR 20130028150 A KR20130028150 A KR 20130028150A KR 1020137004101 A KR1020137004101 A KR 1020137004101A KR 20137004101 A KR20137004101 A KR 20137004101A KR 20130028150 A KR20130028150 A KR 2013002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result
identification information
query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105B1 (ko
Inventor
게이스께 마쯔오
Original Assignee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정보 제공 장치(12)는, 기존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서, 보다 적절한 검색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기억부(206)에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마다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식별 정보를 유저가 과거에 검색 완료인지, 선택 완료인지가 기억된다. 취득부(202)는,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한다. 수정부(203)는, 합치 정보에 대해서, 그 식별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이 쿼리에 포함되는지 등에 의해, 검색 결과를 수정한다. 제시부(204)는, 수정 완료된 검색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선택 접수부(207)는, 합치 정보를 선택하는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록 매체{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PROGRAMM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서, 보다 적절한 검색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유저가 흥미를 갖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대비하기 쉽게 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트워크란, 각종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것이며, 컴퓨터 통신망이라고도 불리고,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유저가 입력한, 그 유저가 흥미를 갖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키워드를 접수한다.
한편, 정보 제공 장치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문이나 선전문 등의 데이터가, 미리 보유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에 대해서 입력된 키워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에 전달된다. 정보 제공 장치에서 미리 준비된 데이터에 대해서, 전달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쿼리에 의한 검색이 실행된다.
검색 시에는, 쿼리에 따른 키워드가, 상품이나 서비스의 설명문이나 선전문에 출현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쿼리에 의해 표현되는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데이터가 취득된다.
그러면, 정보 제공 장치는, 취득된 데이터를, 합치의 정도나 데이터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스코어의 순서대로 배열한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에 전달한다.
단말 장치는, 그 화면에 검색 결과를 표시하여, 유저의 요망을 따른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시한다. 검색 결과에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설명문이나 선전문, 혹은, 그 요약, 개요를 나타내는 스니펫(snippet) 등이 포함된다.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검색 결과를 제시받은 유저는, 검색 대상인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상세 정보의 열람, 구입, 예약 등의 행동을 재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선전문이나 그 요약 등이 유저에게 제시되므로, 정보 제공 시스템은 광고 기능을 완수한다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유저에게 한번에 제시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수나 스니펫의 수에 상한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계산이나 통신의 부하를 저감하거나, 화면의 레이아웃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유저가 대비를 하기 쉽게 하기도 한다.
현재에서는, 네트워크로서, 인터넷이 이용되고, 단말 장치로서, 웹 브라우저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이 이용되고, 정보 제공 장치로서, 데이터의 축적이나 검색을 담당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과 웹 브라우저의 교환을 담당하는 웹 서버 기능을 실현하는 서버용의 컴퓨터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우선, 특허 문헌 1에서는,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유저가 과거에 검색한 데이터를 간이한 조작으로 우선적으로 열람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유저의 속성에 적합한 광고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검색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검색 기술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속성이 미리 부여되어 있고, 유저는, 원하는 속성을 적절히 선택해서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5066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26456호 공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날마다 등장하고, 유행의 변천이 심한 오늘날에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설명문이나 선전문은, 상품의 판매자나 서비스의 제공자 자신에 의해 작성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유저에게 제시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는, 다수의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된다.
그런데, 일부의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제시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여, 적절하지 않은 표현을 포함하는 설명문이나 선전문을 작성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문이나 선전문이 검색 결과의 상위의 순위로 나타나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표시된 검색 결과의 상위의 데이터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이유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 전체의 신용이 훼손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내용에 대한 설명문이나 선전문이 적절하지 않은 표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 있어서의 그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기존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서, 보다 적절한 검색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하기 위해 적절한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부와,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부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부
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또한,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고,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충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쿼리에 기초하여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에 검색 대상을 검색시켜, 상기 검색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쿼리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을 검색하는 검색부
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치 정보에는, 상기 검색된 검색 대상의 순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수정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의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그 검색 결과를 수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정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좁혀나감으로써, 그 검색 결과를 수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그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 혹은 선택 완료로서 기억되는 기인이 된 쿼리가 유저마다 또한 기억되고,
상기 쿼리와 상기 식별 정보마다, 그 쿼리를 기인으로서 그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수와, 그 쿼리를 기인으로서 그 식별 정보가 각 유저에 대해서 선택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수가, 소정의 설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그 쿼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그 식별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치 정보는, 상기 검색 대상의 스니펫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그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스니펫의 문자열로부터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문자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결과를 또한 수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쿼리 접수부, 기억부, 취득부, 수정부, 제시부, 선택 접수부를 갖는 정보 제공 장치가 실행되고,
상기 기억부에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상기 쿼리 접수부가,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 공정과,
상기 취득부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수정부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 공정과,
상기 제시부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공정과,
상기 선택 접수부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부와,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부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도록 기능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정보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부와,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부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도록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팩트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와는 독립적으로,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배포ㆍ판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컴퓨터와는 독립적으로 배포ㆍ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서, 보다 적절한 검색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하기 위해 적절한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정보 제공 처리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유저에게,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유저에게,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유저에게,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를 제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이면 이들의 각 요소 혹은 전체 요소를 이것과 균등한 것으로 치환한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정보 제공 시스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제공 시스템(11)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2)와 단말 장치(14)가, 인터넷(16)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검색 장치(18)가, 정보 제공 장치(12)와 인터넷(16)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정보 제공 장치(12), 단말 장치(14), 정보 검색 장치(18)는, 각각,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컴퓨터 위에서, 그 용도용의 기능을 완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서, 정보 제공 장치(12)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등을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과, 단말 장치(14)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웹 서버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의 통신 판매나 서비스의 예약 등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상거래 기능을 실현한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여러 가지 조사하고자 희망하는 유저는, 자신의 단말 장치(14)를 사용하여, 정보 제공 장치(12)로부터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받는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1)에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의 판매자나 서비스의 제공자도, 자신의 단말 장치(14)를 이용한다. 상품의 판매자나 서비스의 제공자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설명문, 선전문 등, 각종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14)를 사용하여, 정보 제공 장치(12)에 등록한다.
또한, 정보 검색 장치(18)는, 정보 제공 장치(12)에 등록된 데이터를 검색용으로 보유하여 인덱싱 등의 전처리를 행하고, 쿼리에 기초하는 고속인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인 검색 엔진은, 인터넷 내에서 공개되어 있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검색 엔진의 기능을 정보 제공 장치(12)에 등록된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정보 검색 장치(18)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2)에 등록된 데이터에 특화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 장치(18)를 실현해도 좋다.
이 밖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2)와 정보 검색 장치(18)를 별도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고 있지만, 정보 제공 장치(12)와 정보 검색 장치(18)를 일체의 컴퓨터 위에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유저나, 상품의 판매자, 서비스의 제공자는,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장치(12)와의 교환을 행한다.
우선, 상품의 판매자나 서비스의 제공자로부터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의 등록이 정보 제공 장치(12)에 대해서 이루어지면, 정보 제공 장치(12)는 등록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식별 정보를 할당한다. 그리고, 그 식별 정보와, 설명 정보를 대응지어, 정보 검색 장치(18)에 전처리를 실행시킨다.
정보 검색 장치(18)에서는, 전처리에 있어서, 고속인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덱싱을 행한다. 이 밖에,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품이나 서비스의 설명 정보의 개요 또는 요약을 나타내는 스니펫을, 미리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스니펫의 생성은, 검색을 실행할 때에, 주어진 쿼리에 따라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는, 단말 장치(14)를 통해,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키워드를 지정한 쿼리를 정보 제공 장치(12)에 보낸다.
계속해서, 정보 제공 장치(12)는, 후술하는 처리를 적절하게 행하여 취득한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14)에 보낸다.
검색 결과에는, 검색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마다 대응하는 합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각 합치 정보에는, 이하의 정보가 포함된다.
(a)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
(b)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스니펫.
(c) 상품이나 서비스의 순위 혹은 스코어.
쿼리에 합치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복수인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도 복수로 된다. 한편, 쿼리에 합치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는 합치 정보는 포함되지 않게 된다.
또한, 순위 혹은 스코어는, 명시한 정보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결과에 있어서 합치 정보가 배열되어 있는 순번에 의해 표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검색 결과로서 배열된 합치 정보 중, 1번째의 합치 정보는 스코어가 최대이고 순위 1위이며, 2번째의 합치 정보는 스코어가 2번째로 크고 순위 2위이다.
우선, 단말 장치(14)의 화면에 표시된 검색 결과로부터, 유저가 어느 하나의 합치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합치 정보가, 정보 제공 장치(12)에 송신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택이란, 그 상품이나 서비스의 더 상세한 정보의 열람, 그 상품의 구입이나 서비스의 예약의 신청 등을 말한다.
정보 제공 장치(12)는, 각 유저가 과거에 실행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검색 이력, 선택 이력 등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즉, 정보 제공 장치(12)는, 그 유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나, 그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축적하고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2)에서는, 미리 유저가 등록한 다양한 개인 정보(예를 들면, 성명, 성별, 연령,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거주 지역, 가족의 인원수 등)나, 미리 유저에게 부여된 유저 식별 정보 등을 관리하고 있다. 이들의 정보는, 유저 정보라고 불린다.
또한, 상품의 판매자나 서비스의 제공자는, 자신이 취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적합한 정보(예를 들면, 연령, 성별, 독신자용 / 커플용 / 패밀리용 등)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정보는, 속성 정보라고 불린다.
종래의 정보 제공 장치(12)는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검색 결과의 표시 순위의 상태로, 유저의 단말 장치(14)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검색 장치(18)에 의한 검색 결과로, 정보 제공 장치(12)에 있어서 수정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정보 검색 장치(18)는 그대로 이용하면서, 유저에게 있어서 보다 한층 적절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정보 제공 장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는, 서버용의 컴퓨터에 있어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2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컴퓨터(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2)가, 하드 디스크(1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104)에 읽어내어 실행하고, NIC(Network Interface Card)(105)를 제어함으로써, 정보 제공 장치(12)를 실현한다.
즉, CPU(102)는 컴퓨터(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 요소와 접속되어,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교환한다.
하드 디스크(103)는 대용량 외부 기억 장치이며, CPU(10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의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를 비일시적으로 기록한다.
RAM(104)은, CPU(102)의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그 처리 동안 기억시켜, 가공이나 실행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NIC(105)는, 컴퓨터(101)를 인터넷(16)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16)으로부터는, 각종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전송하는 신호 매체를 통해, CPU(102)의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 컴퓨터(101)에는,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가 각종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입력 장치(106), 그 관리자에 대하여, 정보 제공 장치(12)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107)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본 도면에 도시하는 컴퓨터(101)의 각 부의 성능은,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지만, CPU(102)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각종의 기기로서 실현한다고 하는 동작 원리에 변함이 없다. 예를 들면, 컴퓨터(101)에 있어서,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단말 장치(14)가 실현되고, 정보 검색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정보 검색 장치(18)가 실현된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2)용의 프로그램과, 정보 검색 장치(18)용의 프로그램을, 병렬로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컴퓨터(101)의 1대로, 정보 제공 장치(12)용과 정보 검색 장치(18)용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종의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PDA(Personal Data Assintant)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하드 디스크(103) 대신에 플래시 메모리 등을 채용하거나, NIC(105) 대신에 휴대 전화망으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는 있지만, 그 기능한 구성은 컴퓨터(101)와 마찬가지이다.
도 3,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2)는 쿼리 접수부(201), 취득부(202), 수정부(203), 제시부(204)를 구비한다.
양태에 따라서는, 기억부(206), 선택 접수부(207)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3, 도 4에서는, 이들의 요소를 구비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검색부(20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 도시되고, 도 4에 있어서는, 검색부(205)를 구비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쿼리 접수부(201)는, 유저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14)로부터 송신된 쿼리의 입력을 접수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컴퓨터(101)의 CPU(102)의 제어 하에, NIC(105) 등이, 쿼리 접수부(201)로서 기능한다.
한편, 취득부(202)는,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 및 스니펫을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컴퓨터(101)의 NIC(105) 등이, CPU(102)의 제어 하에, 취득부(202)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취득부(202)는 접수된 쿼리를,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에 송신하고,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에 검색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취득부(202)는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로부터,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2)가 구비하는 검색부(205)가,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검색부(205)는, 상기 쿼리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장치(12)의 내부에서 검색을 행한다.
이 경우, 컴퓨터(101)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등이 기억되는 하드 디스크(103)에 CPU(102)가 액세스하고, 처리 시의 일시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영역으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104)이나 하드 디스크(103) 등을 이용함으로써, 검색부(205)가 실현된다.
취득부(202)에 의해 취득된 검색 결과는, 일시적으로 RAM(104) 내에 보유된다.
계속해서, 수정부(203)는, 검색 결과를 수정한다.
검색 결과의 수정 방법으로서는, 유저의 눈에 가능한 한 띄지 않게 하는 쪽이 좋은 적절하지 않은 합치 정보를, 검색 결과로부터 제거하여 추출을 행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합치 정보의 순위를 내리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101)에 있어서, CPU(102)가 RAM(104)이나 하드 디스크(103) 등과 협동함으로써, 수정부(203)가 실현된다.
계속해서, 제시부(204)는,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2)가 수정된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14)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14)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는, 단말 장치(14)의 화면에 제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102)의 제어 하에, NIC(105)가 단말 장치(14)와 통신함으로써, 제시부(204)로서 기능한다.
또한, 선택 접수부(207)는,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즉, 선택 접수부(207)는, 검색 결과의 제시를 받은 유저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세 정보의 열람 요구, 혹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 요구나 예약 요구를 접수하는 것이다. 선택의 지시를 접수한 후에는, 통상적인 통신 판매 등의 처리가 기동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102)의 제어 하에, NIC(105)가 단말 장치(14)와 통신함으로써, 선택 접수부(207)로서 기능한다.
이 밖에, 기억부(206)에는, 이하의 정보가 기억된다.
(a)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금기 문자열. 소위 NG(No Good) 워드이다.
(b) 상품이나 서비스의 카테고리 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
(c) 유저의 카테고리 등을 나타내는 유저 정보.
이들의 정보는, 빈번하게 갱신되는 일이 별로 없는 정보이다.
상기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중, 속성 정보 및 유저 정보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 유저 자신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금기 문자열에 대해서는,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가 설정한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ystem)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금기 문자열을, 유저에게 의식시키지 않고 설정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기억부(206)에는, 이하의 정보도 보존된다.
(d) 유저의 쿼리에 대한[수정부(203)에 의한 수정 전의] 검색 결과에 포함되어 있었던 합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그 유저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보존된다. 또한, 검색 결과가 방대한 수이었던 경우에는, 그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모든 합치 정보가 유저에게 제시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그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의 내, 미리 설정된 순위까지, 예를 들면 상위 100위까지의 합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만, 그 유저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보존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e) 유저의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상기 유저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보존된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세 정보의 열람 요구, 구입 요구, 예약 요구가 이루어지면, 그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로 된다.
이들의 정보는, 유저의 행동에 의해서 빈번하게 변화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컴퓨터(101)에 있어서, CPU(102)의 제어 하에, 하드 디스크(103) 등이 상품ㆍ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나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함으로써, 기억부(206)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 (a) (b) (c)의 정보와, 상기 (d) (e)의 정보는, 기억되는 계기나 설정의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그 복수의 데이터베이스가, 전체적으로 기억부(206)를 실현하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에서 실행되는 정보 제공 처리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정보 제공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제공 장치(12)는 단말 장치(14)로부터 송신된 쿼리를 수신한다(스텝 S301). 그 쿼리의 수신에 의해, 쿼리 접수부(201)에 의한 쿼리의 입력의 접수가 실행되게 된다.
쿼리가 접수되면, 취득부(202)는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에, 그 쿼리를 송신한다(스텝 S302).
계속해서, 정보 제공 장치(12)는, 상기 정보 검색 장치(18)로부터 송신된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스텝 S303). 그 검색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취득부(202)에 의한 검색 결과의 취득이 실행되게 된다.
계속해서, 수정부(203)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S304).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양태를 후술한다.
계속해서, 합치 정보가 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304; '예')는, 그대로 스텝 S307로 진행한다.
한편, 합치 정보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304; '아니오')는, 그 합치 정보가 포함되는 검색 결과를 수정하여(스텝 S305), 스텝 S307로 진행한다.
검색 결과의 수정 방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a) 그 합치 정보를, 검색 결과로부터 삭제한다.
(b) 그 합치 정보의 순위가 내려가도록, 검색 결과 내에서의 순위를 변경한다.
(c) 그 합치 정보의 순위가 내려가도록, 합치 정보의 스코어를 내린다.
또한, 여기서는, 판정 결과로서, 적절한지 여부 중 어느 하나가 얻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정도」를 계산하고, 이 정도에 따라서, 합치 정보의 스코어나 순위를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검색 결과 내에 합치 정보가 배열되는 순번에 의해서, 합치 정보의 순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검색 결과 내에 있어서 합치 정보가 배열되는 순번을 변경함으로써, 순위를 변경하는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대상의 합치 정보의 적절한 정도가 낮을수록, 즉, 적절하지 않은 정도가 높을수록, 그 합치 정보의 순위가 내려가도록, 순위나 스코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합치 정보에 대해서, 그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7). 종료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307; '예')는, 스텝 S307로 진행하고,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307; '아니오')에는, 스텝 S304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합치 정보에 대해서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적절하지 않은 표현을 포함하는 합치 정보에 대한 수정을 행한, 유저에게 제시되어야 할 검색 결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검색 결과에 있어서는, 유저의 눈에 가능한 한 띄지 않게 하는 쪽이 좋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가 삭제되거나, 혹은, 표시 순위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유저의 정보 제공 시스템(11)에 대한 신뢰는 손상되지 않고 완료된다.
또한, 스텝 S304 내지 스텝 S307에서는, 합치 정보마다 검색 결과의 수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검색 결과의 수정을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든 합치 정보에 대해서 스코어를 변경한 후, 그 스코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로부터 합치 정보를 삭제하거나, 검색 결과에 있어서의 합치 정보의 순위를 변경하는 등이다.
계속해서, 검색 결과가 얻어지면, 기억부(206)는, 그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그 쿼리를 송신한 유저가 검색 완료된 것으로서, 보존한다(스텝 S308).
즉, 유저가 검색한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 이력으로서, 그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보존한다.
계속해서, 제시부(204)는 수정 완료된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14)에 송신한다(스텝 S309).
상기 수정 완료된 검색 결과를 수신한 단말 장치(14)는, 그 단말 장치의 표시 수단, 예를 들면, 브라우저에, 수정된 순위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수정 완료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에는 링크 정보[예를 들면,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등)]가 포함되어 있다. 그 링크 정보에 대한 유저 조작(예를 들면, 마우스의 클릭이나 터치 패널의 탭 등)에 기초하여, 그 합치 정보에 대한 유저의 선택 지시가, 단말 장치(14)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2)에 대해서 송신된다.
한편, 정보 제공 장치(12)는 단말 장치(14)로부터 송신된 유저로부터의 선택 지시를 수신한다(스텝 S310). 상기 선택 지시를 수신함으로써, 선택 접수부(207)에 의한 선택 지시의 접수가 실행되게 된다.
선택 지시가 접수되면, 기억부(206)는, 그 선택된 합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그 선택 지시를 송신한 유저가 선택 완료된 것으로서, 보존한다(스텝 S311).
즉, 유저에 의한 상세 정보의 열람 요구, 구입 요구, 예약 요구에 관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선택 이력으로서, 그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보존한다.
계속해서, 정보 제공 장치(12)는, 유저로부터의 선택 지시에 지정되는 식별 정보에 관한 열람 요구, 구입 요구, 예약 요구에 대응하는 응답 처리를, 웹 서버 기능, 전자 상거래 기능에 의해 실행하고(스텝 S312), 스텝 S301로 되돌아간다.
스텝 S312에서 기동되는 응답 처리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세 정보의 제공이나, 구입, 예약 등의 신청 처리가 실행되지만, 이들의 상세 내용은, 기존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네트 통신 판매나 네트 예약에 관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06)가 검색 이력과 선택 이력을 포함하는 유저의 행동 이력을 보존하도록 구성하였지만, 후술하는 판정에 있어서, 유저의 행동 이력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기억부(206) 및 이력의 보존 처리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06)에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자나 제공자의 속성이나, 유저의 속성이 기억되도록 구성하였지만, 후술하는 판정에 있어서,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자나 제공자의 속성이나, 유저의 속성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기억부(206) 및 속성의 기억 처리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말 장치(14)가 유저에게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4)가 유저에게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의한 표시예는, 컴퓨터(101)에 있어서, CPU(102)가, 하드 디스크(103)에 기록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RAM(104)에 읽어내어 실행하고,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입력 장치(106)를 통해 접수하고, NIC(105)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12)에 각종의 정보를 요구하고, 얻어진 정보를 표시 장치(107)에 표시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표시 장치(107)의 화면(601)에 표시되는 브라우저에 대한 조작과, 그 조작에 의해,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색 결과가 표시될 때까지를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URL 입력란(602)에, 정보 제공 장치(12)의 URL을 입력하면, 정보 제공 장치(12)로부터 단말 장치(14)에 대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가 송신된다.
HTML 문서는, 그 HTML 문서 내에서 지정되는 스타일 시트 정보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정형되고, 브라우저의 화면(601) 내의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 표시된다.
정보 제공 장치(12)로부터 송신되는 HTML 문서에는, 쿼리 입력란(604)을 형성하기 위한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유저가,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키워드를 쿼리 입력란(604)에 입력하면, 단말 장치(14)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2)에 대해서, 그 쿼리가 송신된다.
이 밖에, 도 7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라우저의 애드온 혹은 플러그 인으로서 준비된 검색 툴바(605)가 준비되어 있다. 검색 툴바(605) 내에도 쿼리 입력란(606)이 준비되어 있다. 유저는, 정보 제공 장치(12)의 URL을 입력하여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 쿼리 입력란(604)이 표시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아도, 검색 툴바(605) 내의 쿼리 입력란(606)에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면, 단말 장치(14)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2)에 대해서, 그 쿼리가 송신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는, 유저는 포인트 부여의 비율이 50배가 되는 캠페인의 대상으로 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흥미가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고, 쿼리 입력란(606)에는 「50배」 라고 하는 키워드가 입력되어 있다.
그러면, 정보 제공 장치(12)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정보 제공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는, 수정 완료된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HTML 문서를 단말 장치(14)에 송신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검색 장치(18)나 내부의 검색부(205)로부터 취득한 검색 결과를 수정하지 않고, HTML 문서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4)에 송신한다.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HTML 문서에는, 검색 결과 표시란(607)을 형성하기 위한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도 6, 도 7 모두, 검색 결과 표시란(607)에는, 복수의 합치 정보(608)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가 키워드 「50배」를 입력하고 있으므로, 합치 정보(608)에는 설명문이나 선전문 등의 설명 정보에 키워드 「50배」를 포함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609)와 스니펫(610)이 포함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개개의 합치 정보(608) 및 그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609)나 스니펫을 식별하기 위해, 부호에 영소문자의 첨자를 붙였다.
도 6, 도 7에 있어서는, 식별 정보(609)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세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링크에 의해 표현되어 있고, 선택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하부선이 첨부되어 있다. 유저가 그 링크를 마우스나 키보드로 선택하면, 단말 장치(14)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2)로, 선택 지시가 송신되게 된다.
또한, 각 스니펫(610)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50배」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도 6, 도 7에 도시되는 검색 결과 표시란(607)을 대비하면, 표시되어 있는 합치 정보(608)가 조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치 정보(608a), 합치 정보(608b), 합치 정보(608c), 합치 정보(608d)는, 각각, 상품 A, 상품 B, 상품 C, 상품 D에 관한 합치 정보이다.
합치 정보(608a)에서는, 스니펫(610a)의 대부분을 「50배」가 차지할 정도로 중복해서 이용되고 있지만, 합치 정보(608b)의 스니펫(610b), 합치 정보(608c)의 스니펫(610c), 합치 정보(608d)의 스니펫(610d)에서는, 「50배」는 1회 내지 3회 이용되고 있다. 본 표시예에서는, 스니펫에 있어서의 키워드의 출현 횟수가 많은 것일수록 높은 순위가 되는 검색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있어서는, 합치 정보(608b), 합치 정보(608c), 합치 정보(608d)는 표시되어 있지만, 합치 정보(608a)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후술하는 판정 방법 1에 의한 것으로, 스니펫(610a)에, 유저에게 있어서 미지의 정보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합치 정보(608a)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되어, 검색 결과로부터 삭제된 이유이다.
또한, 합치 정보(608b)의 스니펫(610b), 합치 정보(608c)의 스니펫(610c), 합치 정보(608d)의 스니펫(610d)도, 도 6과는 달리, 「50배」는 1회만 처음 이용하는 장소에만 표시되어 있고, 그 이후는, 생략 기호로 치환하는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쿼리를 입력한 유저에게 있어서 유용한, 적절한 합치 정보가 우선 제시된다.
이하,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 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양태를 설명한다.
(3. 판정 방법 1)
제1 판정 방법은, 유저가 입력한 쿼리의 문자열을 활용하는 것이다.
유저가 원하는 키워드를 지정하여 일반적인 검색 엔진을 이용하면, 유저에게는, 검색 결과로서, 그 키워드가 출현하는 문서의 URL 외에, 그 문서의 요약, 개요를 나타내는 스니펫이 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설명문 또는 선전문의 요약 등을 나타내는 스니펫이 정보 검색 장치(18)에 있어서 생성되는 양태에서는, 합치 정보마다 대응지어져, 정보 제공 장치(12)에 송신된다.
한편, 정보 제공 장치(12)가 스니펫 그 자체를 관리하는 양태에서는, 정보 검색 장치(18)로부터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식별 정보가 정보 제공 장치(12)에 송신되고, 정보 제공 장치(12)가, 식별 정보와 스니펫을 대응지어 합치 정보를 구성한다.
이 스니펫은, 유저가 합치 정보를 대비 검토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스니펫 내에는, 유저가 지정한 쿼리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 문자열이 출현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상기 키워드 문자열은 유저가 지정한 것이므로, 유저에게 있어서는 이미 알려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니펫으로부터 키워드 문자열을 제거한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유저에게 있어서 미지의, 새로운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판정 방법에서는, 스니펫으로부터 쿼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제거한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 즉, 스니펫으로부터 쿼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제거한 얻어진 문자열을 이용하여,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에 있어서의 정보량이 많은 합치 정보의 쪽이, 상기 정보량이 적은 합치 정보에 비교하여, 유저에게 있어서 보다 유용하고, 적절하다고 생각되고,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에 있어서의 정보량이 극단적으로 적으면, 그 합치 정보는 유저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아,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 시에, 포인트가 축적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본 실시 형태가 적용된 경우를 생각한다. 포인트 부여의 비율을 50배로 한 캠페인에 관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검색하고자 하는 유저가 키워드로서 「50배」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한편, 상품의 판매자나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캠페인의 대상으로 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선전문으로서,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등과 같이, 「50배」를 중복해서 이용하는 선전문을 작성해 버린 것으로 한다.
그러면, 상기 선전문으로부터 생성되는 스니펫에 있어서도,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등과 같이, 「50배」가 중복해서 이용되게 된다.
정보 검색 장치(18)는, 선전문에 「50배」 라고 하는 키워드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품이나 상기 서비스를 검색 결과의 상위에 배치한다. 그런데, 제시되는 스니펫은 특정한 키워드가 배열되어 있는 것뿐이고, 유저에게 있어서 유익한 정보는 적다.
본 예에서는, 스니펫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 50배!」로부터 키워드 「50배」를 제거한다. 그러면, 가공 후의 스니펫은 「!」의 1문자만이 된다.
본 예에서는, 가공 후의 스니펫 「!」에 의해서, 상기 상품이나 상기 서비스에 관한 유익한 정보의 정보량을 어림잡게 된다.
정보량의 견적 방법이지만, 가장 단순하게는,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짧을수록, 「적절하지 않은 정도」가 높다고 판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유저가 검색에 이용할 것 같은 키워드를 중복해서 이용하는 것만의 설명문이나 선전문이 작성된 경우에는, 스니펫에도 그 키워드가 반복 등장하는 것뿐이지만, 쿼리에 그 키워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가공 처리의 결과, 유저가 지정한 쿼리에 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은 매우 짧아진다.
이 때문에, 키워드 중복 이용형의 설명문이나 선전문을 이용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합치 정보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되어, 그 합치 정보의 표시 순위가 변경되므로, 유저의 눈에 띌 기회가 적어진다.
또한,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정보량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고,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적당한 압축 알고리즘, 예를 들면, 슬라이딩 사전법이나 산술 부호 압축법 등에 의해,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압축하는 방법이 있다.
본 판정 방법에서는, 가공 후의 스니펫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압축한 결과의 비트수가 많을수록, 상기 스니펫에 대응하는 합치 정보가 적절한 정도가 높고, 그 비트수가 적을수록, 적절한 정도가 낮다고 판정할 수 있다.
본 판정 방법에서는, 적절도가 수치에 의해서 얻어지므로, 합치 정보마다 스코어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의 수치에 의해서 스코어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부(203)는, 수정된 스코어에 의해서, 합치 정보의 순위를 수정함으로써, 수정된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한편, 얻어진 적절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그 적절도에 대응하는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유저가 쿼리로서 입력하는 문자열은,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가 예상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판정 방법에서는, 소위 NG 워드 등을 정보 제공 장치(12)에서 일체 관리하지 않아도, 적절하지 않은 합치 정보를 제거하거나 순위를 변경하거나 할 수 있는 점에, 하나의 특징이 있다.
또한, 유저에게 합치 정보를 제시할 때에는, 가공 전의 스니펫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가공 후의 스니펫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적절도를 판정하기 위한 가공과는 별도로, 가공 전의 스니펫에 있어서, 유저가 지정한 키워드가 처음 출현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삭제하지 않고, 2번째 이후의 출현은 전부 삭제 혹은 소정의 생략 문자 등으로 치환하는 변경을 실시한 후에, 그 변경 후의 스니펫을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4. 판정 방법 2)
본 판정 방법은, 유저의 행동 이력과, 상품이나 서비스,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에게 할당된 금기 문자열을 이용하여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는, 유저를 늘리고자 하는 나머지, 본래라면 적합하지 않은 문자열을 상품이나 서비스의 설명문 또는 선전문에 설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번화가 내에 있는 호텔의 숙박 서비스에 대해서는, 「한적한」 이라고 하는 문자열은, 설명문으로서 적절하지 않다. 한편, 외딴 펜션의 숙박 서비스에 대해서는, 「한적한」 이라고 하는 문자열은, 설명문으로서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유저로부터의 피드백이나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에 의한 체크에 의해서, 이와 같은 적절하지 않은 문자열을, 상품이나 서비스마다, 혹은,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마다 기억부(206)에 설정한다. 이 문자열을, 금기 문자열이라고 부른다.
외설, 음란한 단어나 공서양속에 반하는 단어가 검색 엔진에 있어서의 NG 워드로서 채용되는 경우는 많다.
그러나, 본 판정 방법에서는, 단어 단독으로는, 외설, 음란도 아니며, 공서양속에 반하는 일도 없고,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는 적절하지만, 그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은, 양의적인 키워드를, 금기 문자열로서 채용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우선, 판정 방법으로서 가장 단순한 실시 형태는,
조건 (a) 「합치 정보에 지정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부(206)에 기억되는 금기 문자열이 쿼리에 포함된다」
가 충족되는 경우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하는 형태이다. 이 방법은, NG 워드의 기술을, 상품이나 서비스 단위로 한층 세밀하게 적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조건을 추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조건 (a)에,
조건 (b) 「합치 정보에 지정되는 식별 정보가, 유저가 검색 완료된 것으로서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다」 및
조건 (c) 「합치 정보에 지정되는 식별 정보가, 유저가 선택 완료된 것으로서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
를 맞춘, 3개의 조건 (a) (b) (c)가 모두 충족되는 경우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다.
조건 (b) (c)는, 유저에게 과거에 제시는 된 것이지만, 유저가 흥미를 나타내지 않았던 합치 정보에 대해서 성립하는 조건이다.
이와 같은 합치 정보이며, 게다가 적절하지 않은 키워드를 설명문 등에 포함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는, 표시 순위나 표시 자체를 제어한 쪽이, 유저에게 있어서 유용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판정 방법은, 적절하지 않은 키워드로 검색했다고 해도, 그 상품이나 서비스가 검색 결과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가, 금기 문자열을 설명문이나 선전문으로부터 삭제한 경우라도,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는,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금기 문자열을 삭제한 경우에는, 금기 문자열이 포함되는 쿼리에 대해서도 그 상품이나 서비스가 검색 결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또한, 과거의 모든 유저에 대한 검색에 있어서, 쿼리에 포함되는 키워드마다, 각 합치 정보에 대해서, 조건 (b) (c)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통계 정보로서 축적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어떤 키워드로 검색된 어느 합치 정보에 대해서, 조건 (b)가 성립하는 유저수 B와, 조건 (c)가 성립하는 유저수 C를 추적한다.
다수의 유저에 의해 검색이 행해져, B가 소정의 샘플수 이상이 되고, 충분히 큰 값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B에 대한 C의 비율이 소정의 매우 작은 임계값 이하이면, 그 키워드는, 그 합치 정보에 대해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소정의 샘플수나 그 매우 작은 임계값은, 적용 대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소정의 샘플수로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검색 횟수의 상수(예를 들면, 100이나 500, 1000 등)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1개월마다 등, 정기적으로 키워드가 적절한지 여부의 추정을 하여 금기 문자열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간마다, 기억부(206)에 기억되는 식별 정보에 대해서, 조건 (b)를 충족시키는 유저수와 집계하여, 기간마다의 조건 (b)를 충족시키는 유저수의 평균을 취하고, 이 평균적으로 1미만의 플러스 상수(예를 들면, 0.1, 0.3, 0.5등)를 곱한 값을 다음의 기간에 있어서의 B로서 채용해도 좋다. 이 밖에, 이들의 평균이나 이들 중 작은 측의 수치를, 다음의 기간에 있어서의 B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매우 작은 임계값으로서는, 1미만의 플러스 상수(예를 들면, 0.001, 0.0001, 0.00001, 혹은, 0 등)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정기적으로 키워드가 적절한지 여부의 추정을 하여 금기 문자열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즉, 기간마다, 기억부(206)에 기억되는 식별 정보에 대해서, 조건 (c)를 충족시키는 유저수를 집계하여, 기간마다 이들의 평균을 취한다. 이 평균적으로 1미만의 플러스 상수(예를 들면, 0.1, 0.01, 0.001, 혹은, 0 등)를 곱한 값을 다음의 기간에 있어서의 C로서 채용한다. 이 밖에, 상기의 방법의 평균이나, 이들 중 작은 측의 수치를, 다음의 기간에 있어서의 C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추정 결과를 이용하면, 유저의 행동 이력에 기초하여, 기억부(206)에 있어서의 금기 문자열의 정보를 적절하게 갱신할 수 있다.
(5. 판정 방법 3)
상품 판매자나 서비스 제공자는, 유저를 늘리고자 하는 나머지, 본래라면 적합하지 않은 속성 정보를, 상품이나 서비스에 설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싱글 방밖에 없는 호텔의 숙박 서비스에 대해서는, 「패밀리용」의 속성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판정 방법 3에서는, 상기 판정 방법 2의 조건 (b) (c) 대신에, 조건 (d) 「합치 정보에 지정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부(206)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속성 정보와, 유저에게 대응지어 기억부(206)에 기억되는 유저의 속성 정보가 매치하지 않는다」
를 채용한다.
조건 (d)를 채용하면, 예를 들면, 독신자에게, 패밀리용의 호텔을 소개하게 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관한 유저의 속성 정보와,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속성 정보의 매치의 판정에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기술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6. 판정 방법 4)
상기의 판정 방법 1 내지 3은,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판정 방법 1 내지 3의 전부를 적용하여, 이들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는 경우에, 합치 정보의 순위를 내리거나 제시를 그만두거나 하는 등이다.
또한, 판정 방법 2와 판정 방법 3에서는, 조건 (a)의 판정이 공통되기 때문에, 이 판정 결과를 재이용함으로써, 계산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게 된다.
(7. 그 밖의 양태)
상기 양태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이나 서비스라고 하는 검색 대상을 검색할 때에, 그 상품이나 서비스의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 정보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상품이나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시할 때의 표시 순위나 표시의 가부를 제어하는 것이었다.
본 실시 형태는, 특히 상기의 판정 방법 1을, 보다 넓은 검색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며, 단말 장치(14)가, 정보 제공 장치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검색 대상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가 아니라, 인터넷(16) 내에서 공개되어 있는 전자 문서이다.
정보 검색 장치(18)는, 소위 검색 엔진으로서 기능한다. 즉, 정보 검색 장치(18)는, 정기적으로 인터넷(16) 내에서 공개되어 있는 문서를 크롤하고, 그 문서에 포함되는 키워드, 그 문서의 URL, 그 문서의 캐쉬 등, 각종의 문서 데이터를 보유한다.
유저가, 단말 장치(14)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 장치(18)에 대한 쿼리 입력란(604), 혹은, 쿼리 입력란(606)으로부터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그 키워드가 인터넷(16)을 통해 정보 검색 장치(18)에 전달된다.
정보 검색 장치(18)는 단말 장치(14)로부터 전달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를, 자신이 보유한 문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검색의 결과 얻어진 문서의 캐쉬로부터 그 키워드가 출현하는 개소 및 그 전후의 문장을 추출한 스니펫을 생성한다. 또한, 검색 시에는, 문서에 순위가 붙여진다.
그리고, 정보 검색 장치(18)는, 문서의 URL과 문서의 스니펫을 조(組)로 하여, 문서의 순위의 순서대로 그 조를 배열한 HTML 문서를 작성한다. HTML 문서는, 구조화 문서라고 불리는 것이며, 각종의 태그에 의해서, 문서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구조화가 이루어져 있다.
HTML 문서 내에서는, 문서의 URL 및 스니펫을 소정의 태그로 둘러쌈으로써, 이들이 1개의 문서에 관한 정보인 것을 명시하고, 태그로 둘러싸여진 정보를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문서의 순위를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 생성된 HTML 문서가, 검색 결과에 상당한다. 또한, 그 HTML 문서 내의, 태그로 둘러싸여진 문서의 URL 및 스니펫의 정보가, 합치 정보에 상당한다.
이 후, 정보 검색 장치(18)는, 생성한 HTML 문서를 단말 장치(14)에 송신한다.
HTML 문서를 수신한 단말 장치(14)는, 브라우저의 표시 화면에 그 HTML 문서를 정형하여 표시한다.
종래,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는, 정보 검색 장치(18)로부터 송신된 HTML 문서를, 그대로 정형하여 브라우저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에 있어서, 정보 검색 장치(18)로부터 얻어진 HTML 문서에 대하여, 처리를 더 추가한다.
즉,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는, 검색 결과의 HTML 문서를 얻으면, 그 구조를 해석하여, 소정의 태그로 둘러싸여진 문서의 URL 및 스니펫으로 이루어지는 합치 정보를 순서대로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된 합치 정보마다, 스니펫으로부터 검색 시에 사용한 키워드를 제거한 얻어진 문자열을 요구하고, 그 얻어진 문자열의 길이나 그 얻어진 문자열을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으로 압축하였을 때의 압축율로부터, 그 합치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합치 정보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HTML 문서로부터, 그 적절하지 않은 합치 정보에 관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혹은, 그 HTML 문서 내에 있어서의 그 적절하지 않은 합치 정보에 관한 부분을 문서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즉,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에 있어서 HTML 문서가 동적으로 수정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HTML 문서의 수정이 종료되면,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의 표시 화면에는, 수정 완료된 HTML 문서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HTML 문서에 대한 수정은, 단말 장치(14)에 있어서의 브라우저의 표시 화면에, 그 HTML 문서를 표시하면서 병행되어 가도 좋고, HTML 문서의 수정이 전부 완료된 후에, 표시 화면에 그 HTML 문서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18)에 의해 실현되는 기존의 검색 엔진으로부터 얻어진 검색 결과가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에 의해 동적으로 수정된다.
기존의 브라우저에 대해서는, 플러그 인이나 애드온으로서 이와 같은 동적인 수정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플러그 인이나 애드온의 프로그램은,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스크립트 언어에 의해 기술되고, DOM(Document Object Model)에 기초한 HTML 문서의 동적인 수정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의 처리를 실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14)의 브라우저로부터 기존의 검색 엔진을 이용할 때에, 예를 들면 특정한 키워드가 중복 이용되고 있는, 유저에게 있어서 가치가 낮다고 생각되는 문서의 검색 결과에 있어서의 표시의 가부나 표시 순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8. 금기 문자열의 자동 설정)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가 금기 문자열을 설정하고 있었지만,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 결과를 얻은 유저가, 그 후에 취한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금기 문자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색 결과에는, 상기 키워드가 출현하는 문서의 URL 등의 링크 정보가 포함된다.
유저가,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마우스의 클릭이나 터치 패널의 탭 등의 유저 조작에 의해, 그 링크 정보를 선택하면, 그 선택 지시가, 단말 장치(14)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12)에 대해서 송신되고, 그 결과로서, 그 링크 정보에 대응지어지는 콘텐츠가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 표시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의 하나를 유저가 선택한 후에, 단말 장치(14)가 유저에게, 그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를 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601)의 URL 입력란(602)에는 유저가 선택한 링크 정보에 대한 URL이 표시된다. 또한,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는, 그 링크 정보의 URL에 의해 지정되는 콘텐츠가 표시된다.
본 표시예에서는, 상품을 소개하기 위한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그 콘텐츠 내에는, 상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상품 화상(801)이나, 그 상품의 소개를 하기 위한 소개문(802), 그 상품을 전자적인 카트에 넣어서 구입의 대상으로 하기 위한 구입 버튼(803),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있었던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되돌아감」 링크(804)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스니펫(610)은, 소개문(802)의 일부를 생략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밖에, 유저는, 브라우저의 「되돌아감」 버튼(611)이나 「진행함」 버튼(612)을 조작함으로써, 열람 이력 중을 되돌아가거나 진행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와 상기 링크 정보의 조합이 유저에게 있어서 유용한 경우에는, 유저는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 표시된 콘텐츠를 그대로 열람할 것이고, 유저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면, 단시간 내에, 그 콘텐츠의 열람을 중지하고, 브라우저의 「되돌아감」 버튼(611)이나 「되돌아감」 링크(804) 등을 조작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검색 결과를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 재표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밖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정보가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콘텐츠를 참조하는 것이며, 그 링크 정보에 대응지어지는 상품 소개 콘텐츠가 콘텐츠 표시 영역(603)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유저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와 그 링크 정보의 조합은 유용하다고 생각되고, 유저가 검색 결과의 표시로 되돌아가기 위한 링크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와 그 링크 정보의 조합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애드온이나 플러그 인이 단말 장치(14)에 의해 실행되면,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를 유저가 선택하고,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가 표시된 후에, 유저의 행동을 판별하도록 구성한다.
유저의 행동 중, 제1종의 행동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상기 키워드와 상기 링크 정보의 조합이 부적절하다고 추측되는 행동이다.
(a) 상기 콘텐츠가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 예를 들면, 수초 이내에, 브라우저의 「되돌아감」 버튼(611)이 조작되었다.
(b)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후에, 그 콘텐츠 내에 배치되어 있는 링크 정보의 선택 등이 일체되지 않은 상태로, 브라우저의 「되돌아감」 버튼(611)이 조작되었다.
(c)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후에, 그 콘텐츠 내에 배치되어 있는 링크 정보 중, 검색 결과로 되돌아가기 위한 「되돌아감」 링크(804) 등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다.
유저의 행동 중, 제2종의 행동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상기 키워드와 상기 링크 정보의 조합이 적절하다고 추측되는 행동이다.
(p) 상기 콘텐츠가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열람되었다. 유저가 그 콘텐츠의 내용을 잘 읽었다고 추측되기 때문이다.
(q)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후에, 그 콘텐츠 내에 배치되어 있는 링크 정보 중, 그 콘텐츠에 관한 상품의 구입 버튼(803) 등, 유저가 그 콘텐츠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고 예상되는 링크 정보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다.
이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제1종의 행동을 「기피 행동」과, 제2종의 행동을 「유인 행동」으로, 각각 부르는 것으로 한다.
게다가, 단말 장치(14)는, 판별한 행동을, 정보 제공 장치(12)에 통지한다.
이 밖에, 정보 제공 장치(12)가, 상품 소개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로서도 기능하는 경우에는, 상기 (c) (q)의 행동은, 단말 장치(14)로부터의 콘텐츠 요구의 종류를 분석함으로써도 준별 가능하다.
또한, 기피 행동 및 유인 행동은, 상기 (a) 내지 (c)의 행동 및 상기 (p) (q)의 행동 중 어느 하나를 적절히 선택해도 좋고, 그 밖의 행동을 적절히 추가해도 좋다.
그리고, 기피 행동의 횟수나 유인 행동의 횟수를 참조하면서, 상기 키워드를,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 해야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금기 문자열로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그 키워드는, 그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서는 설정하지 않는다.
상기 키워드가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 설정되는 경우로서는, 이하와 같은 상황을 채용할 수 있다.
(a) 상기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의 직근의 소정 횟수의 열람 중, 기피 행동이 취해진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b) 상기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의 직근의 소정 횟수의 열람 중, 기피 행동의 횟수로부터 유인 행동의 횟수를 감산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c) 상기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의 직근의 소정 횟수의 열람 중, 기피 행동의 횟수의 유인 행동의 횟수에 대한 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d) 상기 (a) (b) (c)에 있어서, 「콘텐츠의 직근의 소정 횟수의 열람」 대신에, 「콘텐츠가 공개 혹은 갱신된 후의 소정 횟수의 열람」으로 한다. 즉, 콘텐츠가 공개 혹은 갱신된 직후는,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의 설정을 모두 해제하고, 공개ㆍ갱신 후에 유저가 어떠한 행동을 취했는지에 의해서, 그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들은, 어느 하나를 채용해도 좋고, 임의로 조합하여 채용해도 좋다.
이 밖에, 유저의 행동을 축차 검지함으로써, 각 키워드와 각 링크 정보의 조합에 대하여, 금기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금기 파라미터가 어느 조건을 충족시켰는지 여부에 의해, 그 키워드를 금기 문자열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금기 파라미터 p에, 적당한 플러스 상수를 초기값 Q로서 부여하고, 0<A<1<B 및 0<K<1을 충족시키는 상수 A, B, K를 이용하여, 이 금기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갱신의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상기 키워드에 의한 검색이 행해질 때마다, 이하와 같이, 초기값 Q와 금기 파라미터 p의 가중치 부여 평균을 취하여, 그 결과로 금기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p ← K×p+(1-K)×Q
여기서, 「←」는 대입을 의미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기피 파라미터 p는, 초기값 Q에 접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검색 후에 기피 행동이 검지되면, 금기 파라미터는, B배가 된다.
p ← B×p
이 처리에 의해서, 기피 파라미터 p는, 증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검색 후에 유인 행동이 검지되면, 금기 파라미터는 A배가 된다.
p ← A×p
이 처리에 의해서, 기피 파라미터 p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금기 파라미터가 소정의 초기값 Q보다 큰 상수 R을 초과하는 동안은, 상기 키워드를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 한다. 그렇지 않게 되면, 그 키워드의 그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에 의한 설정을 해제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A=0.5, B=1.2, K=0.7, Q=1.0, R=1.1의 수치예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기피 파라미터 p의 초기값은,
p ← 1.0
이다.
이 후, 유저가 상기 키워드에 의한 검색 후에 기피 행동을 취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우선, 기피 파라미터 p의 현재의 값 1.0과, 초기값 Q=1.0의 가중치 부여 평균이 계산된다.
p ← 0.7×1.0+0.3×1.0=1.0
또한, 기피 파라미터 p는 B=1.2배가 된다.
p ← 1.2×1.0=1.2
그러면, 기피 파라미터 p는, 상수 R=1.1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이 된다. 이 후는, 그 키워드를 검색해도, 검색 결과로부터, 그 링크 정보가 제거되거나, 혹은, 그 링크 정보의 순위가 내려간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그 링크 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행동은, 기피 행동도 유인 행동도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이 후, 상기 키워드가 반복 검색되는 것만으로, 기피 파라미터 p는,
p ← 0.7×1.2+0.3×1.0=1.14;
p ← 0.7×1.14+0.3×1.0=1.098
과 같이 변화된다.
이와 같이, 기피 문자열의 설정이 행해진 후에도, 상기 키워드가 검색될 때마다, 기피 파라미터 p는, 차례로 1에 근접하기 때문에, 유저가 상기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에 대하여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기피 파라미터 p는, 언젠가는 상수 R 이하가 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상기 키워드의 기피 문자열의 설정은 해제된다. 이 후는, 그 키워드를 검색하면, 검색 결과에 그 링크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상기의 검색 후에, 유저가 유인 행동을 취한 경우에는, 기피 파라미터 p는 A=0.5배가 된다.
p ← 0.5×1.098=0.549
이것은, 상수 R보다도 작기 때문에, 그 키워드는, 상기 링크 정보에 대한 기피 문자열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검색이 되어 유저가 유인 행동을 취한 경우에는, 기피 파라미터는
p ← 0.7×0.549+0.3×1.0=0.6843;
p ← 0.5×0.6843=0.34215
가 되고, 상수 R 및 초기값 Q보다도 작아진다.
이 후, 또한, 검색이 되어, 유저가 기피 행동을 취한 경우에는,
p ← 0.7×0.34215+0.3×1.0=0.539505;
p ← 1.2×0.539505=0.647406
이 되고, 기피 파라미터 p는, 증대한다.
이 후, 또한 검색과 기피 행동이 반복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차 기피 파라미터 p는 증대하여, 어느덧 상수 R을 초과하고, 상기 키워드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금기 문자열이 된다.
그 후 몇 번이나 검색이 행해지면, 기피 파라미터 p는 점차 초기값 Q에 근접하여, 상수 R보다도 작아져, 금기 문자열의 설정은 해제된다.
또한, 검색과 유인 행동이 반복되면, 기피 파라미터 p는 계속해서 감소하므로, 만일 유저의 오류 조작 등으로 검색과 기피 행동이 행해졌다고 해도, 즉시 기피 파라미터 p가 상수 R을 초과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유저의 행동에 기초하여, 기피 파라미터 p를 변화시킴으로써, 키워드를 금기 문자열로 설정하거나, 그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밖에, 유저의 행동에 상관없이, 콘텐츠의 내용에 기초하여, 금기 문자열을 설정하는 방법도 있다.
제1 방법은, 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어구로부터, 반대의 의미를 갖는 어구를 추출하고, 그 출현 횟수를 대비하고, 출현 횟수가 적은 쪽을 금기 문자열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검소」가 1회, 「호화」가 10회 등장하는 상품 소개 콘텐츠에서는, 「검소」를 금기 문자열로서 설정한다.
상기 콘텐츠를 기술하고 있는 언어의 시소러스 등을 참조함으로써, 정보 제공 장치(12)는, 반대의 의미를 갖는 어구를 자동적으로 추출하여, 출현 횟수를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방법에서는, 상기 링크 정보에 관한 콘텐츠에 있어서, 이미 관리자 혹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금지 문자열과, 소정의 단락 문자[예를 들면, 콤마, 독점(쉼표), 괄호 등의 기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어구를 금기 문자열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검소, 수수」와 「호화, 화려」가 출현하는 콘텐츠에 있어서, 「검소」가 이미 금기 문자열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수」도 금기 문자열로서 설정한다.
이들의 방법에서는, 금기 문자열을 적절하게 자동 설정함으로써, 정보 제공 장치(12)의 관리자의 관리의 부담을 크게 줄여, 적절하게 금기 문자열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2010년 8월 20일에 일본 특허청에 대한 특허 출원 일본 특원 제2010-185371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또한, 지정국의 국내 법령이 허용하는 한, 본원에 상기 기초 출원의 내용을 전부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서, 보다 적절한 검색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하기 위해 적절한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11 : 정보 제공 시스템
12 : 정보 제공 장치
14 : 단말 장치
16 : 인터넷
18 : 정보 검색 장치
101 : 컴퓨터
102 : CPU
103 : 하드 디스크
104 : RAM
105 : NIC
106 : 입력 장치
107 : 표시 장치
201 : 쿼리 접수부
202 : 취득부
203 : 수정부
204 : 제시부
205 : 검색부
206 : 기억부
207 : 선택 접수부
601 : 화면
602 : URL 입력란
603 : 콘텐츠 표시 영역
604 : 쿼리 입력란
605 : 검색 툴바
606 : 쿼리 입력란
607 : 검색 결과 표시란
608 : 합치 정보
609 : 식별 정보
610 : 스니펫
801 : 상품 화상
802 : 소개문
803 : 구입 버튼

Claims (11)

  1.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부와,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부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부
    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또한,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고,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쿼리에 기초하여 외부의 정보 검색 장치에 검색 대상을 검색시켜, 상기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을 검색하는 검색부
    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치 정보에는, 상기 검색된 검색 대상의 순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수정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의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그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좁혀나감으로써, 그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그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 혹은 선택 완료로서 기억되는 기인이 된 쿼리가 유저마다 더 기억되고,
    상기 쿼리와 상기 식별 정보마다, 그 쿼리를 기인으로서 그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수와, 그 쿼리를 기인으로서 그 식별 정보가 각 유저에 대해서 선택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수가, 소정의 설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그 쿼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그 식별 정보에 대한 금기 문자열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치 정보는, 상기 검색 대상의 스니펫(snipp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그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스니펫의 문자열로부터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문자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결과를 더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9. 쿼리 접수부, 기억부, 취득부, 수정부, 제시부, 선택 접수부를 갖는 정보 제공 장치가 실행하는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기억부에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상기 쿼리 접수부가,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 공정과,
    상기 취득부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수정부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 공정과,
    상기 제시부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공정과,
    상기 선택 접수부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컴퓨터를,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부와,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부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도록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1. 컴퓨터를,
    쿼리의 입력을 접수하는 쿼리 접수부와,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검색 대상 중, 상기 쿼리를 충족시키는 검색 대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합치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를 수정하는 수정부와,
    상기 수정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합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합치 정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접수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취득된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검색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된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선택 완료된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합치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에 금기 문자열이 기억되고, 그 기억된 금기 문자열이 상기 쿼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충족되도록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정보 기록 매체.
KR1020137004101A 2010-08-20 2011-08-15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KR10130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5371 2010-08-20
JPJP-P-2010-185371 2010-08-20
PCT/JP2011/068525 WO2012023541A1 (ja) 2010-08-20 2011-08-15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50A true KR20130028150A (ko) 2013-03-18
KR101307105B1 KR101307105B1 (ko) 2013-09-11

Family

ID=4560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101A KR101307105B1 (ko) 2010-08-20 2011-08-15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64014B2 (ko)
EP (1) EP2608065A4 (ko)
JP (1) JP4955841B2 (ko)
KR (1) KR101307105B1 (ko)
CN (1) CN103069418B (ko)
BR (1) BR112013003990A2 (ko)
CA (1) CA2805872C (ko)
TW (1) TWI399657B (ko)
WO (1) WO2012023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4706A (zh) * 2012-02-28 2013-09-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式终端中的文本搜索方法和装置
US9443033B2 (en) * 2012-05-05 2016-09-13 Blackbaud,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ata integration and data mapping
US10409824B2 (en) * 2016-06-29 2019-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gnitive proximates
CN107918622B (zh) * 2016-10-10 2022-06-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内容推荐、展示方法、客户端、服务器和系统
JP7180146B2 (ja) * 2018-07-02 2022-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者選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者選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8507B2 (ja) * 1995-07-31 2004-11-10 株式会社東芝 情報フィルタリング装置
US7072888B1 (en) * 1999-06-16 2006-07-04 Triogo, Inc. Process for improving search engine efficiency using feedback
AU7111700A (en) * 1999-08-31 2001-03-26 Mindcrossing,Inc An internet search system for tracking and ranking selected records from a previous search
GB0026353D0 (en) 2000-10-27 2000-12-13 Canon Kk Apparatus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searching
JP4071805B2 (ja) 2000-12-27 2008-04-02 楽天株式会社 広告送信サーバ、広告送信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検索方法
US6944609B2 (en) * 2001-10-18 2005-09-13 Lycos, Inc. Search results using editor feedback
AU2003252125A1 (en) * 2002-07-24 2004-02-09 Involve Technology, Inc. A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utilizing user opinions
AU2003259921A1 (en) * 2002-08-19 2004-03-03 Bloomberg Lp Complementary trading of interests
US6983280B2 (en) * 2002-09-13 2006-01-03 Overture Services Inc. Automated processing of appropriateness determination of content for search listings in wide area network searches
JP5108227B2 (ja) * 2002-12-14 2012-12-26 エヌエイチエヌ ビジネス プラットフォーム コーポレーション 検索結果リストの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US7885963B2 (en) * 2003-03-24 2011-02-08 Microsoft Corporation Free text and attribute searching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data
JP2004310561A (ja) * 2003-04-09 2004-11-04 Hitachi Ltd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サーバ
US20050065928A1 (en) * 2003-05-02 2005-03-24 Kurt Mortensen Content performance assessment optimization for search listings in wide area network searches
US20050058972A1 (en) * 2003-08-27 2005-03-17 Mcdole Michael E. Method for censorship
US7296013B2 (en) * 2004-01-08 2007-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lacing an unavailable element in a query
US7444327B2 (en) * 2004-01-09 2008-10-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optimization of search result relevance
DE102004031931A1 (de) * 2004-06-23 2006-01-12 Basf Ag Verfahren und System zum computerimplementierten Verarbeiten von Datensätzen
US7293017B2 (en) * 2004-07-01 2007-11-06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ation-level content filtering for a search result
US7549119B2 (en) * 2004-11-18 2009-06-16 Neopets, Inc.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website content
JP2008537225A (ja) * 2005-04-11 2008-09-11 テキストディガ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エリについての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GB2427043A (en) * 2005-05-26 2006-12-13 Moneyexpert Ltd Online system offering aggregate product and services data with corresponding propensity analysis
US8380682B2 (en) * 2005-08-10 2013-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dexing and searching of electronic message transmission thread sets
US7752220B2 (en) * 2005-08-10 2010-07-06 Yahoo! Inc. Alternative search query processing in a term bidding system
US7752209B2 (en) * 2005-09-14 2010-07-06 Jumptap, Inc. Presenting sponsored cont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WO2007048432A1 (en) * 2005-10-28 2007-05-03 Telecom Italia S.P.A. Method of providing selected content items to a user
KR100697536B1 (ko) * 2005-11-08 2007-03-20 전자부품연구원 TV-Anytime 서비스에서 get_Data 오퍼레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정보 기초 검색 방법
US20080235209A1 (en) * 2007-03-20 200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 result snippet analysis for query expansion and result filtering
US20070244866A1 (en) * 2006-04-18 2007-10-18 Mainstream Adverti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 search request
CN101206659B (zh) * 2006-12-15 2013-09-18 谷歌股份有限公司 自动搜索查询校正
JP4963620B2 (ja) 2007-03-30 2012-06-27 楽天株式会社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装置、検索結果画面情報生成方法及び検索結果画面情報生成処理プログラム
US8849855B2 (en) * 2007-05-16 2014-09-30 Yahoo! Inc. Context-directed search
CN100565526C (zh) * 2007-07-25 2009-12-0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针对网页作弊的反作弊方法及系统
JP4859779B2 (ja) 2007-08-01 2012-01-25 ヤフー株式会社 有害コンテンツの評価付与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8032527B2 (en) * 2007-08-29 2011-10-04 Google Inc. Search filtering
US9514228B2 (en) * 2007-11-27 2016-12-06 Red Hat, Inc. Banning tags
US8171107B2 (en) * 2008-03-03 2012-05-01 Kidzu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filtering, ranking, and approving content
US20100005424A1 (en) * 2008-03-05 2010-01-07 Neelakantan Sundaresan Virtual world system supporting a consumer experience
JP2010003015A (ja) * 2008-06-18 2010-01-07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文書検索システム
US8990106B2 (en) * 2008-08-22 2015-03-24 Realwire Limited Information categorisation systems, modules, and methods
US20100082432A1 (en) * 2008-09-30 2010-04-01 Yah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straint-based advertising
TWI419065B (zh) * 2008-10-01 2013-12-11 Silver Spring Networks Inc 應用環境誘因之方法及系統
US20100088148A1 (en) * 2008-10-02 2010-04-08 Presswala Irfan System and methodology for recommending purchases for a shopping intent
JP2010128928A (ja) * 2008-11-28 2010-06-10 Ntt Docomo Inc 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方法
US8055638B2 (en) * 2008-12-11 2011-11-08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recent history with search results
CN101777053A (zh) * 2009-01-08 2010-07-1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识别作弊网页的方法及系统
JP2010185371A (ja)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触媒劣化診断装置
AU2010101543A4 (en) * 2009-06-15 2016-11-03 Proscale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contextual advertis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9657B (zh) 2013-06-21
CA2805872A1 (en) 2012-02-23
US20130185295A1 (en) 2013-07-18
CN103069418A (zh) 2013-04-24
KR101307105B1 (ko) 2013-09-11
EP2608065A1 (en) 2013-06-26
CA2805872C (en) 2014-04-15
US9064014B2 (en) 2015-06-23
BR112013003990A2 (pt) 2018-11-06
EP2608065A4 (en) 2014-02-26
TW201211804A (en) 2012-03-16
CN103069418B (zh) 2016-03-02
JP4955841B2 (ja) 2012-06-20
WO2012023541A1 (ja) 2012-02-23
JPWO2012023541A1 (ja)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5185B2 (en) Infinite browse
US82808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ying visibility within search engines
US93489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a keyword of a web page with video content
US9152722B2 (en) Augmenting online content with additional content relevant to user interest
US10198520B2 (en) Search with more like this refinements
KR101324460B1 (ko)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US20080082486A1 (en) Platform for user discovery experience
US201300543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services for images
JP2008538149A (ja) 格付け方法、検索結果組織化方法、格付けシステム及び検索結果組織化システム
EP2350885A2 (en) Providing search results
JP2008507041A (ja) 検索結果内におけるプレーストコンテンツの順序付けのパーソナライズ
US20090019033A1 (en)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method and recorded medium
KR101307105B1 (ko)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US200903278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web document layout and presentation to improve user experience in web search
JP2012043290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2013178831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859891B2 (ja) コンテンツに関連する情報を提供するサーバ、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