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312A -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 Google Patents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312A
KR20130027312A KR1020110090821A KR20110090821A KR20130027312A KR 20130027312 A KR20130027312 A KR 20130027312A KR 1020110090821 A KR1020110090821 A KR 1020110090821A KR 20110090821 A KR20110090821 A KR 20110090821A KR 20130027312 A KR20130027312 A KR 2013002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tunnel structure
underwater
flo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241B1 (ko
Inventor
한상훈
박우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9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2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67Floating tunnels; Submerged bridge-like tunnels, i.e. tunnels supported by piers or the like above the water-b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preconstructed as a whole or continuously made, and moved into place on the water-bed, e.g. into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은,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구조물이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터널 구조물의 횡강성이 보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바다에서의 강한 조류나 홍수 발생시 강물의 흐름에 의한 횡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LATERAL STIFFNESS REINFORCED SUBMERGED FLOATIONG TUNNEL}
본 발명은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중터널이 하천의 유속 증가 또는 조류 등에 의해 발행하는 횡력에 충분한 저항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해양에 터널을 시공하는 공법으로 부유식 또는 부력식 수중교량 시공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부유식 수중교량 공법은 육상에서 제작한 튜브형태의 교량 유닛들을 연속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교량 유닛들이 플로터에 의해서 해저면 위에 떠있고 케이블로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유닛(7)을 에워싸도록 밀도가 낮은 플로터(10)가 배치되어 있어 교량 유닛(7)에 부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저면에 떠있는 상태의 터널 유닛(7)을 고정하기 위하여 인장 케이블(12)이 해저에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인장 케이블(12)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해저에는 파일(15)이 박혀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인장 케이블(12)은 상기 플로터(10)를 에워싸는 상부 교량 덮개(20)를 통과하여 상기 교량 유닛(7)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해중터널의 설치방식은 터널에 작용하는 중력과 부력에만 중점을 두는 설치방식이었기 때문에, 횡력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작아 조류나 홍수시 하천의 유속 증가에 따른 횡력에 취약하였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107333호(공개일 : 2009.10.13)에는 복합식 수중교량 및 그 시공방법이 되어 있다.
복합식 수중교량은, 내부에 차량이 활하중을 부여하는 공간이 형성된 터널(105)과, 터널(105)의 외측에 위치되어 터널(105)에 부력을 제공하는 플로터(110)와, 터널(105)과 플로터(11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터널(105)과 플로터(110)로부터 전달되는 중력과 활하중을 지탱하는 받침부(130)와,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부력에 의해서 상기 터널(105)과 플로터(110)가 받침부(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체화되도록 하는 지지부((160)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터널(105)과 플로터(110)의 부력이 지지부(160)에 의해서 유지되고, 활하중 시에는 터널(105)과 플로터(110)의 중력이 받침부(13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복합식 수중교량도 부력과 중력에만 적응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조류 등에 의한 횡력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107333호(공개일 : 2009.10.13)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 부유 형식을 갖는 해중터널이 하천의 유속 증가로 인한 횡하중 또는 조류로 인한 횡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곡면부를 구비하며,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곡면부를 갖는 이웃 터널 구조물이 상기 터널 구조물에 결합되되,
상기 터널 구조물과 이웃 터널 구조물은 각각의 만곡진 곡면부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조류에 의한 하중을 상호 보완하여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웃 터널 구조물은 상기 터널 구조물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널 구조물의 만곡진 곡면부 영역에는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조류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여 상기 터널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이 시공되되,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양측은 각각 지반에 지지되고, 양측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터널 구조물의 곡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곡면부에 결합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의 일측에는 상기 터널 구조물이 시공된 지역의 조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제공한다.
상기 트러스 구조물은,
양측은 각각 지반에 지지되고, 양측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터널 구조물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되어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구조물이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거나, 터널 구조물의 일측에 트러스 구조물이 구비되거나, 같은 곡률로 형성된 이웃 터널 구조물과 터널 구조물이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터널 구조물의 횡강성이 보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바다에서의 강한 조류나 홍수 발생시 강물의 흐름에 의한 횡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수숭 터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은 부력체를 구비하여 중공의 셀 형태를 갖는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지고 아치형으로 만지게 형성된 터널 구조물(10) 및 이 터널 구조물(10)과 같은 곡률의 아치형 또는 다른 곡률의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터널 구조물(10)과 결합되는 이웃 터널 구조물(10A)과,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20)과, 중력 구조물(20)과 터널 구조물(10) 및 이웃 터널 구조물(10A)을 연결하여 터널 구조물(10)의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기 위한 수중 케이블(30) 또는 수중 지지체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터널 구조물(10,10A)은 수중에서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력체를 구비한 각각의 터널유닛들이 방수구조로 연이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터널 구조물(10,10A)들은 중공의 셀 형태를 갖는다. 또한, 터널유닛들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 타원형 등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터널 구조물(10,10A)들은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일측에 곡면부(12,12A)가 각각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나 강물이 흘러오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조류나 강물이 평행하게 흐르는 것을 감안하여 터널 구조물(10)이 조류나 강물이 흘러오는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볼록하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터널 구조물(10)과 이웃 터널 구조물(10A)이 동일한 곡률의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각 터널 구조물(10,10A)들이 설치되는 해저와 육지의 지형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이와 같이 터널 구조물(10,10A)들이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각 곡면부(12,12A)가 맞닿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각 곡면부(12,12A)가 서로 맞닿게 결합되는 것은, 터널 구조물(1010A)들이 설치되는 지역의 수중 조류나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기 위한 것이다.
즉, 터널 구조물(10)과 이웃 터널 구조물(10A)이 각각 아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볼록한 각 곡면부(12,12A)에 조류나 강물의 흐름으로 인하여 작용하는 하중을 압축응력만으로 지지함으로써 터널 구조물(10,10A)들이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곡면부(12)에 외부 하중이 작용할 때 곡면부의 내부에서 압축력으로 변환시켜 터널 구조물(10)의 양단 지점으로 전달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보(Beam) 구조에서 발생하는 휨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아치형의 터널 구조물(10,10A)은 외부 하중 발생시 그 단면 전부가 일정한 압축응력만을 발생하게 되므로 강성이 높고, 휨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균열(구조가 갈라짐)로 인한 거동도 적다. 특히, 단면효율이 우수하여 조류 등에 의한 큰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 터널 구조물(10,10A)의 곡면부(12,12A) 방향은 어느 한곳에 고정되지 않고, 조류나 강물의 흐르는 방향, 즉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조류나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이 작용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중이 터널 구조물(10) 및 이웃 터널 구조물(10A)의 단면 전부가 일정한 압축응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터널 구조물(10,10A)들은 시공되는 위치나 그 길이에 따라 다양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수중 지지체(20)는 수중 바닥에 다양한 토목공사에 의해 시공되는 것으로, 파일 또는 파일 구조체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중 케이블(30) 및 수중 지지체는 각 터널 구조물(10,10A)과 수중 지지체(20)를 연결하여 터널 구조물(10,10A)에 작용하는 부력이나 중력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수중 케이블(30)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수중 지지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중 케이블(30)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수중 지지체(20) 및 수중 케이블(30), 그리고 터널유닛 등은 이미 공지된 구성들 이므로, 이러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된 터널 구조물(10,10A)들이 서로 곡면부(12,12A)가 맞닿게 결합되고, 지지 케이블(30)에 의해 수중 지지체(20)에 지지되어 부력 및 중력에 저항하도록 시공된다.
이때, 전수한 바와 같이 터널 구조물(10)과 이웃 터널 구조물(10A)은 서로의 곡면부(12,12A)가 맞닿도록 결합되면, 각각의 터널 구조물(10,10A)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상호 보완하여 지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한 쌍의 각 터널 구조물(10,10A)이 각 곡면부(12,12A)가 맞닿도록 결합될 경우, 밀물과 썰물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의 해양에 설치되어 조류에 의해 양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 서로 보완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로 결합된 터널 구조물(10,10A)은 밀물과 썰물이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지역의 해양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치형의 터널 구조물(10,10A)들이 강 또는 바다, 특히 밀물과 썰물로 인한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해양에 시공된 상태에서, 조류가 발생하게 되면 터널 구조물(10,10A)의 곡면부(12,12A)에는 밀물과 썰물로 인한 조류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은 화살표 방향으로 터널 구조물(10,10A)의 곡면부(12,12A)에 작용하게 된다.
터널 구조물(10,10A)의 곡면부(12,12A)에 작용하는 하중은 조류나 강물이 흐르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예를 들면, 밀물시에는 터널 구조물(10)에 하중이 작용하고, 썰물시에는 이웃 터널 구조물(10A)에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터널 구조물(10,10A)에 작용하는 양 방향의 하중은 아치형의 각 곡면부(12,12A) 내부에서 각각 압축력으로 변환되어 각 터널 구조물(10,10A)의 양단의 지지점(14)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치형의 각 터널 구조물(10,10A)의 단면 거의 전부가 일정한 압축응력만을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각 터널 구조물(10,10A)의 횡방향 강성이 높게 된다. 즉, 조류의 흐르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만곡지게 형성된 각 터널 구조물(10,10A)은 서로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서로 횡강성이 보강되어 조류의 흐름에 의한 휨, 균열과 같은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원에 따른 해중터널은 터널 구조물(10)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이웃 터널 구조물(10A)이 각 곡면부(12,12A)가 서로 맞닿도록 대칭을 이루면서 결합됨으로써, 양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조류에 의한 하중을 상호 보완하여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터널 구조물(10,10A)의 각 곡면부(12,12A)가 서로 마주보도록 시공되어 각각 횡방향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해중터널이 바다에 설치되었을 때, 밀물과 썰물의 조류로 인한 하중이 각각 양방향에서 작용하더라도 이를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에 따른 해중 터널을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 예에 따른 해중 터널은 하나의 아치형 터널 구조물(10)로 이루어지고, 만곡진 곡면부(12) 영역에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조류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여 터널 구조물(10)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50)이 시공된 것이다.
즉, 트러스 구조물(50)의 양측은 각각 지반에 지지되고, 양측을 제외한 영역은 터널 구조물(10)의 곡면부(12)를 지지하도록 곡면부(12)에 결합되어 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치형으로 된 터널 구조물(10)의 곡면부(12) 측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구조물(50)이 구비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만곡지게 아치형으로 된 터널 구조물(10)의 횡방향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해중 터널을 도시하고 있다.
제3실시 예에 따른 해중 터널은, 터널 구조물(10)이 직선으로 시공되고, 직선으로 시공된 터널 구조물(10)의 일측에 트러스 구조물(50)이 터널 구조물(10)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시공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2실시 예와 같다. 이때, 트러스 구조물(50)은 터널 구조물(10)의 측면에 결합되어 터널 구조물(10)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널 구조물(10)은 직선으로 시공되고, 터널 구조물(10)의 수평방향 일측에 트러스 구조물(50)이 터널 구조물(10)을 지지하도록 시공됨으로써, 터널 구조물(10)의 횡방향 강성이 보강되어, 터널 구조물(10)이 시공된 지역의 조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0A : 터널 구조물 12,12A : 곡면부
14 : 지지점 20 : 수중 지지체
30 : 수중 케이블 50 : 트러스 구조물

Claims (5)

  1.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곡면부를 구비하며,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곡면부를 갖는 이웃 터널 구조물이 상기 터널 구조물에 결합되되,
    상기 터널 구조물과 이웃 터널 구조물은 각각의 만곡진 곡면부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조류에 의한 하중을 상호 보완하여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터널 구조물은 상기 터널 구조물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3.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조류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조류의 흐름방향 또는 강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아치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널 구조물의 만곡진 곡면부 영역에는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조류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여 상기 터널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이 결합되되,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양측은 각각 지반에 지지되고, 양측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터널 구조물의 곡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곡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4. 부력체를 구비하고, 중공의 셀 형태를 이루어 수중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다수의 터널유닛들로 이루어진 터널 구조물;
    상기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수중영역의 바닥에 시공되는 중력 구조물; 및
    상기 터널 구조물에 작용하는 부력 및 중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을 상기 중력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수중 지지케이블 또는 수중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은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널 구조물의 일측에는 상기 터널 구조물이 시공된 지역의 조류 흐름에 의한 하중 또는 강물의 흐름에 의한 하중에 저항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은,
    양측은 각각 지반에 지지되고, 양측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터널 구조물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터널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KR1020110090821A 2011-09-07 2011-09-07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KR10128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21A KR101284241B1 (ko) 2011-09-07 2011-09-07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21A KR101284241B1 (ko) 2011-09-07 2011-09-07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312A true KR20130027312A (ko) 2013-03-15
KR101284241B1 KR101284241B1 (ko) 2013-07-09

Family

ID=4817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821A KR101284241B1 (ko) 2011-09-07 2011-09-07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2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770A (ko) 2016-11-21 2018-05-31 현대건설주식회사 자체 부력 조절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심해 터널 구조물과 그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N109826116A (zh) * 2019-03-07 2019-05-31 北京市市政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涵洞抗浮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08470A (zh) * 2019-05-28 2019-08-09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物理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20190138955A (ko) * 2018-06-07 2019-12-17 조진택 부유체
CN110725336A (zh) * 2019-11-19 2020-01-24 中国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接岸系统及其悬浮隧道、悬浮隧道施工方法
KR102110426B1 (ko) * 2018-12-28 2020-05-13 조진택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CN115305956A (zh) * 2022-08-26 2022-11-08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锚固系统的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96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KR100971300B1 (ko) 2007-10-29 2010-07-20 박정일 외피튜브로 보호되는 잠수식 부유교량 및 상기 잠수식부유교량의 시공방법
KR20090107333A (ko) * 2008-04-08 2009-10-13 정병영 복합식 수중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059297B1 (ko) 2009-03-27 2011-08-24 김준모 수저 터널의 시공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770A (ko) 2016-11-21 2018-05-31 현대건설주식회사 자체 부력 조절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심해 터널 구조물과 그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190138955A (ko) * 2018-06-07 2019-12-17 조진택 부유체
KR102110426B1 (ko) * 2018-12-28 2020-05-13 조진택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CN109826116A (zh) * 2019-03-07 2019-05-31 北京市市政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涵洞抗浮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08470A (zh) * 2019-05-28 2019-08-09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物理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10108470B (zh) * 2019-05-28 2022-07-01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物理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10725336A (zh) * 2019-11-19 2020-01-24 中国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接岸系统及其悬浮隧道、悬浮隧道施工方法
CN115305956A (zh) * 2022-08-26 2022-11-08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锚固系统的施工方法
CN115305956B (zh) * 2022-08-26 2024-02-0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悬浮隧道锚固系统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241B1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241B1 (ko)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CN204859088U (zh) 连接浮块、装有连接浮块的浮体组件与水上漂浮光伏电站
JP6150426B2 (ja) 浮遊ケーブル
JP6305940B2 (ja) 自己作動する洪水防水壁
CN101265697B (zh) 用于流动水路及各种溪流的阻塞装置
CN204836054U (zh) 浮体、及安装有所述浮体的浮体组件与水上漂浮光伏电站
CN103334404A (zh) 一种可拼装的柔性浮式防波堤单元体
EP3144522B1 (en) Floating body for tidal current power generation and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same
KR100559765B1 (ko) 아치리브로 보강된 스틸거더와 교차 브레이싱을 생략한하부구조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5190186A (ja) 浮上起立式津波防波堤
CN101476306B (zh) 内河浮式护岸结构
KR20130027837A (ko) 조립식구조의 다목적 부유식(浮游式) 소파제(消波提)
JP2013023874A (ja) 防波壁構造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20012888A (ko) 방파제 케이슨 결합방법
JP2011214252A (ja) 盛土の補強構造
JP2013096096A (ja) 橋梁
JP2022178448A (ja) 浮体構造物支持構造、浮体構造物の設置方法
JP6418623B1 (ja) 水流発電用折れ曲がり式水路
KR101187094B1 (ko) 생태유지 기능을 구비하는 래버린스 보
KR101013023B1 (ko) 인터록킹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이용한 케이슨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JP5527824B2 (ja) 水制
KR101122544B1 (ko) 연약지반용 파일 지지식 소파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40004B1 (ko) 교량 시공용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
JP2013185415A (ja) 航路の潜堤護岸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