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117A -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117A
KR20130027117A KR1020110090479A KR20110090479A KR20130027117A KR 20130027117 A KR20130027117 A KR 20130027117A KR 1020110090479 A KR1020110090479 A KR 1020110090479A KR 20110090479 A KR20110090479 A KR 20110090479A KR 20130027117 A KR20130027117 A KR 2013002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acrylate
cosmetic composition
mycelium
mixed herbal
herb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955B1 (ko
Inventor
이근수
배준태
김경범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9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반하, 송악, 비자, 남오미자, 까마중, 싸리, 마가목, 진피, 혈령지 및 작설초로 구성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치마버섯 균사체에 접종하여 배양하여 얻어지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가) 다가 알코올상을 제조하는 단계;
(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분산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다) 다가 알코올상 : 유상을 1~3 : 5~8 중량비로 천천히 혼합하면서 유화하여 P/O형 1차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글리세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상기 P/O형 1차 유화물에 부가하고 교반하여 P1/O/P2형 다중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P1/O/P2형 다중 유화물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휘발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USING MICROCAPSULES CONTAINING FERMENTED HERB MEDICINE EXTRACTS}
본 발명은 마이크로캡슐에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포집하여 우수하고 안정한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는 화장료에 적용되는 식물추출물에 포함되어 잘 알려진 대표적인 식물화학물질(phytochemical)인 항산화 물질로 화장품 분야에서는 피부 주름 개선, 미백, 보습력 강화, 항산화 등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어 다양한 형태로 화장료에 첨가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료에 이러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첨가할 때 경피 흡수 외에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은 안정성과 용해성이라 할 수 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유리상태 또는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여 산소, 빛, 고온 및 높은 pH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환경 및 물을 포함한 화장료 내에 포함된 수많은 구성 성분에 의해 안정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장료는 제조과정 중의 고온 조건, 산소 및 물과의 접촉 등 외부 환경의 급속한 변화가 동반되며, 유통 및 소비자의 제품 사용, 보관 조건이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유효성분의 함량 저하로 인한 활성 저하 및 제품의 성상 변화가 동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피부 흡수를 어렵게 만드는 용해도의 경우, 트리페노이드를 예로 들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화장품에 0.02중량% 이상을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쿼세틴(quercetin) 역시 물에 대한 용해도가 0.0003중량%로 극히 낮아 활성성분의 유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당업계에서는 이러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의 유효성 및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리포좀, 캡슐, 나노베지클, 액정 등으로 유효 성분을 포집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가지고 유효성분의 안정성과 경피흡수, 효능 강화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현재 제약 분야뿐 아니라, 화장품, 식품 분야 등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포좀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제제 내 리포좀 자체의 안정성은 아직 검증되어 있지 않으며, 제제 내에서 리포좀 내부의 유효 물질들이 안정화되지 못하고 모두 연속상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인 예로 지질 또는 지질 혼합물을 사용하여 리포좀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특허등록 제0432461호]이 제안되었으며, 리포좀의 막 구성 물질을 pH 감수성 제제로 사용하여 고분자화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특허등록 제0293572호], 알코올을 사용하여 경피흡수능을 개선시킨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미국특허 제05540934호]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활성물질을 코팅, 캡슐화(encapsulation) 등의 방법으로 포집하여 외부환경과 격리하고 서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1997, vol.28, 25-42; 미국특허 제4,954,298호; 미국특허 제5,788,687호; 미국특허 제5,916,598호] 등이 제안되었으며, 다중 유화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미국특허 제4,954,298호]도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등에 첨가되는 생약 추출물 또는 발효물에 포함되는 난용성 플라보노이드의 효능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형 내에서 안정성과 용해성 저하 등을 극복하는데 마이크로캡슐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을 기제로 하여 유효 성분을 담지하여 안정성과 유효성을 개선하여 효능을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외부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부피막 내에 다중 캡슐이 형성되고, 캡슐 내부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이 포집되어 있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은
(a) 반하, 송악, 비자, 남오미자, 까마중, 싸리, 마가목, 진피, 혈령지 및 작설초를 추출하여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치마버섯 균사체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지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가) 다가 알코올상을 제조하는 단계;
(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분산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다) 다가 알코올상 : 유상을 1~3 : 5~8 중량비로 천천히 혼합하면서 유화하여 P/O형 1차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글리세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상기 P/O형 1차 유화물에 부가하고 교반하여 P1/O/P2형 다중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P1/O/P2형 다중 유화물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휘발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마이크로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1.5 ~ 1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중량% 미만이면 활성이 미미하며, 15.0중량%를 초과하면 다중 마이크로캡슐 내에 봉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은 마이크로캡슐 내에 포집되는 활성 성분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그들의 공중합체,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과 같이 저분자량의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ethyl ether)와 같은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에테르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 설포닉 애시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덱스트란스테아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중 선택된 단일고분자 중합체 및 두 가지 이상의 공중합체 혹은 상기 고분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의 막재로 사용된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는 평균 분자량이 3,000 ~ 100,000(단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 20,000(단위)이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상 P1, 유상 O, 다가 알코올상 P2의 혼합 비율은 마이크로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2~5(P1) : 8~20(O) : 80~90(P2)가 바람직하며, 2(P1) : 10(O) : 88(P2)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배합 비율을 벗어난 경우도 마이크로캡슐은 형성되나 캡슐의 안정성이 떨어져 장기 보관이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 5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0중량% 미만일 때는 활성성분의 함량이 너무 적어 활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50.0중량%를 넘으면 마이크로캡슐 증가에 따른 활성 증가가 미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75 ~ 7.5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반하 추출 발효물, 송악 추출 발효물, 비자 추출 발효물, 남오미자 추출 발효물, 까마중 추출 발효물, 싸리 추출 발효물, 마가목 추출 발효물, 측백나무 진피 추출 발효물, 혈령지 추출 발효물, 작설초 추출 발효물로 구성되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추출시 추출용매로 물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85 ~ 99%(v/v) 함유된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한 추출물을 정제수에 0.01 ~ 30.0중량% 용해하고 pH 5.0 ~ 6.0으로 조정하고 치마버섯 혹은 잎새버섯 균사체를 4.0 ~ 6.0%(v/v) 되도록 접종한 후 온도 22 ~ 32℃, 교반속도 120 ~ 180rpm, 통기량 1.2 ~ 1.8vm 조건에서 5 ~ 7일간 배양하여 얻은 발효물을 감압 농축 여과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감압증류,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을 통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과 마이크로캡슐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가알코올 및 소수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에 반하 추출 발효물, 송악 추출 발효물, 비자 추출 발효물, 남오미자 추출 발효물, 까마중 추출 발효물, 싸리 추출 발효물, 마가목 추출 발효물, 측백나무 진피 추출 발효물, 혈령지 추출 발효물 및 작설초 추출 발효물을 포집한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료로 피부주름개선 효과, 피부보습효과,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보호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a) 반하, 송악, 비자, 남오미자, 까마중, 싸리, 마가목, 진피, 혈령지 및 작설초를 추출하여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치마버섯 균사체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지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가) 다가 알코올상을 제조하는 단계;
(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분산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다) 다가 알코올상 : 유상을 1~3 : 5~8 중량비로 천천히 혼합하면서 유화하여 P/O형 1차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글리세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상기 P/O형 1차 유화물에 부가하고 교반하여 P1/O/P2형 다중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P1/O/P2형 다중 유화물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휘발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에 포함된 생약 추출물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반하(Pinellia ternata Thunb.)는 천남성과에 속하며 다년성 초본식물로 거담, 급성유선염,,구토, 두통, 소화불량, 이뇨작용 등에 효능이 있으며 주요성분으로는 콜린, 트리트르핀 화합물, 아스파르긴산 등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반하의 뿌리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반하추출발효물은 주로 노화방지 효과 및 항염증개선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송악(Hedera rhombea)은 두릅나무과의 상록 덩굴식물이며 생약명으로는 상춘등, 삼각풍, 토풍등, 백각오공 등으로 불리우고 고혈압, 피부 재생 촉진, 진정작용, 피부 진균 억제작용, 배농, 소염 작용 등에 효능이 있으며 주요성분으로는 헤데린, 헤데라제닌 등의 사포닌 등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송악의 전초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송악 추출발효물은 주로 노화방지 효과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다.
비자(Torreya nucifera)는 상록교목(常綠喬木)인 비자나무의 열매로서 살충작용과 몸안의 쌓인 것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주요성분으로는 올레익산, 리놀릭산 등 지방산과 스테로이드 등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비자 열매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비자 추출발효물은 주로 노화방지 효과 및 항염증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남오미자(Kadsura japonica)는 목련과의 상록 덩굴식물로 인체를 따뜻하게 하나 건조시키지 않기 때문에 위로는 폐에 작용하고 아래로는 신장에 작용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남오미자의 열매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남오미자 추출발효물은 주로 노화방지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까마중(Solanum nigrum L.)은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한의학에서는 이 풀을 용규(龍葵)라 하며 아주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라나 중국에서 종기나 심한 상처의 치료나 타박상 등에 사용되어 온 약재로, 본 발명에는 까마중의 열매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까마중 추출발효물은 주로 노화방지 효과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는 콩과 식물로 생약명으로는 아화생, 호지자, 형조 녹명화, 야합초, 과산룡 등으로 불리우고 두통, 고혈압, 양기부족, 무기력증, 동맥경화, 무좀, 습진, 마른버짐, 갖가지 피부병, 폐열로 인한 기침, 부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싸리의 전초 또는 줄기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싸리 추출발효물은 주로 주름개선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은 장미과 낙엽활엽수로 주요성분으로 정유물질과 함께 스테로이드. 쿠마린.플라보 노이드 글리코사이드.강심 배당체. 약간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주로 기침과 가래를 멎게 하며 만성 기관지염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마가목의 수피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마가목 추출발효물은 주로 노화방지 효과 및 항염증개선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진피(Citrus unshiu)는 운향과에 속한 귤의 성숙한 과실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며 습을 제거하는 동시에 담을 삭히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진피의 열매 껍질을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진피 추출발효물은 주로 광노화 개선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혈령지(Arenaria kansuensis Maxim.)는 중심자목 석죽과의 전초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혈령지 추출발효물은 주로 광노화 개선 효과 및 항염증개선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작설초(Arenaria serpyllifolia L.)는 중심자목 석죽과의 전초를 추출하여 잎새버섯의 균사체 혹은 치마버섯의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이다. 작설초 추출발효물은 주로 광노화 개선 효과 및 항염증개선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 :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의 제조
건조된 반하, 송악, 비자, 남오미자, 까마중, 싸리, 마가목, 측백나무 진피, 혈령지, 작설초 각각 100g에 에탄올 70중량% 수용액 1,000㎖을 가하여 실온에서 3일 동안 침출하고 이를 여과한 여과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은 동결건조 처리 전, 상기 10종의 여과물을 각각 10.0중량%의 농도로 혼합 제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10종의 건조 추출물 각각을 0.5중량%로 혼합하여 총 농도 5.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고 pH 5.0 ~ 6.0으로 조정하고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치마버섯 균사체를 4.0 ~ 6.0%(v/v)되도록 접종한 후 온도 22 ~ 32℃, 교반속도 120 ~ 180rpm, 통기량 1.2 ~ 1.8vm 조건에서 5 ~ 7일간 배양하여 얻은 발효물(실시예 2)을 감압 농축 여과 후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물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 조성물은 상온에서 다가 알코올 혼합물상(A)을 제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Arlacel 83) 0.25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8.30중량%로 분산하여 유상을 준비하였다. 다가 알코올상(1) : 유상(5)의 중량비로 천천히 첨가하면서 호모게나이저로 10,000rpm으로 5분간 상온에서 유화한 후 밀봉하여 한 시간경과 후, P/O형 1차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P/O형 1차 유화물에 표 2의 D상을 부가하고 교반하여 P1/O/P2형 다중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은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등을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P1/O/P2형 다중 유화물로부터 휘발성 유기 용매(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중공형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휘발성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용매추출-용매증발법으로 수행된다.
성분명 함량(중량%)
A

글리세린 8.30
부틸렌글리콜 6.70
디에틸렌글리콜 1.70
B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25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8.30
메틸렌클로라이드 74.75
성분명 함량(중량%)
C P/O 에멀젼상(표 1) 12.0
D


글리세린 72.0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15.0
정제수 0.0
폴리비닐알코올 1.0
실시예 4 내지 비교예 5 :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4) 및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을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의 경우 70℃로 가온한 A상에 B상을 70℃로 가온 용해하여 투입, 호모게나이저로 2,500rpm, 10분 유화하고 실온에서 C, D, E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최종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명 실시예 4
(함량, 중량%)
비교예 1
(함량, 중량%)
A 정제수 잔량 잔량
글리세린 2.0 2.0
보존제 적량 적량
카보머 0.1 0.1
B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0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스테아린산 1.0 1.0
세탄올 1.0 1.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호호바오일 5.0 5.0
C 정제수 2.0 2.0
트리에탄올아민 0.1 0.1
D 향료 적량 적량
E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실시예 2) - 3.0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함유 마이크로캡슐(실시예 3) 20.0 -
실험예 1 : 세포 내 활성산소 제거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한 유효물질의 세포 내 활성 산소 제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예 1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유효 성분의 자외선에 의해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소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EGCG(igallocatechin gallate)를 비교 시료로 사용하였고,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세포주는 독일 암연구센터의 퓌세니그 박사(Dr.Fusenig)로부터 분양받은 인간 각질세포 HaCaT 세포주(Human keratinocytes HaCaTcell line)로서 이를 형광측정용 96-웰 블랙 플레이트(well black plate)에 웰당 2x104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Gibco,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후, 0.02%, 0.01%, 0.005% 농도로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각각 처리하였다.
시험시료를 넣고 24시간 배양한 후,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HCSS에 20㎛로 준비된 DCFH-DA(2',7'-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USA)를 100㎕ 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HCSS로 세척하였다. 이후 농도별로 처리된 HCSS를 100㎕ 가한 후, 초기에 활성산소로 산화된DCF(dichlorofluorescein)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판독기(Ex; 485 ㎚, Em; 530㎚)로 측정하였다. 이후 UVB(20mJ/cm2)를 조사하고 혼합 생약 발효 추출물 처리한 후,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판독기(Ex; 485㎚, Em; 530㎚)로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활성산소 소거효과(%)
실시예 1
(혼합 생약 추출물)
실시예 2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0.02 39 58
0.01 23 41
0.005 10 22
EGCG 0.01 43 43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4),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동일한 농도에서 대조군인 EGCG와 유사한 활성 산소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혼합 생약 추출물보다는 높은 활성산소 소거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의 우수한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타입 1 프로콜라겐 생합성 효과 측정
본 실험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한 유효물질의 피부기질 성분인 타입 1 프로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GF-β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프로콜라겐 분석(procollagen assay)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신생아의 포피조직에서 분리한 사람진피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는 Modern Tissue Technology(MTT, Korea)로부터 분양받아 DMEM/F-12(3:1) 배지에 10% 우태아혈청(FBS)을 첨가하여 1×104cell/cm2 농도로 배양하였다. 70 ~ 80% 정도 자라면 1:3의 비율로 분주하여 계대 배양하였고, 3 ~ 4차 계대배양된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프로콜라겐의 양을 측정하는 실험을 위해서 섬유아세포를 48 웰 플레이트에 90% 이상 배양한 후,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0.02%, 0.01%, 0.005% 농도로 가하고, 24시간 후에 배지 중에 유리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타입-1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MK101,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실시예 1
(혼합 생약 추출물)
실시예 2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0.02 22 38
0.01 11 18
0.005 10 11
TGF-β 0.001 36 36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5),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0.02% 처리시 프로콜라겐의 생합성이 38% 촉진되었으며, 이는 세포신호전달물질 TGF-β와 유사한 효과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혼합 생약 추출물보다 우수한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의 피부 개선효과를 추론할 수 있다.
실험예 3 : 화장료의 피부탄력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1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자(20세 ~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4에서 수득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수득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고 4주마다 평가하였다.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Cutometer SEM 575의 △R7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7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 성질을 나타낸다.
사용주수 실시예 4 비교예 1
0 주 0.09 0.08
4 주 0.15 0.14
8 주 0.23 0.15
* n=20, p<0.05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6),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실시예 4의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피부 탄력개선효과가 비교예 1의 크림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실험자(20세 ~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4를,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를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실리콘 재질의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여 지정 부위의 주름의 상태를 화상분석기인 비지오미터(visiometer: SV60, C+K Electronic Co., German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서 나타내었으며, 표 7은 2개월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값에서 2개월 전 파라미터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즉, 값이 음수가 나올수록 주름 개선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제품 R1 R2 R3 R4 R5
실시예 4 -0.23 -0.18 -0.15 -0.07 -0.05
비교예 1 -0.15 -0.06 -0.05 -0.04 -0.02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 주름 등고선의 기선(baseline)에서 각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평균값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7),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실시예 4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가 비교예 1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a) 반하, 송악, 비자, 남오미자, 까마중, 싸리, 마가목, 진피, 혈령지 및 작설초를 추출하여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치마버섯 균사체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지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가) 다가 알코올상을 제조하는 단계;
    (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소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분산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다) 다가 알코올상 : 유상을 1~3 : 5~8 중량비로 천천히 혼합하면서 유화하여 P/O형 1차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 글리세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상기 P/O형 1차 유화물에 부가하고 교반하여 P1/O/P2형 다중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P1/O/P2형 다중 유화물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휘발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마이크로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1.5 ~ 1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그들의 공중합체,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에테르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및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 설포닉 애시드,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덱스트란스테아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중 선택된 단일고분자 중합체, 두 가지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고분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7. 청구항 6의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 50.0중량%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75 ~ 7.5중량%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90479A 2011-09-07 2011-09-07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79A KR101265955B1 (ko) 2011-09-07 2011-09-07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79A KR101265955B1 (ko) 2011-09-07 2011-09-07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117A true KR20130027117A (ko) 2013-03-15
KR101265955B1 KR101265955B1 (ko) 2013-05-22

Family

ID=4817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479A KR101265955B1 (ko) 2011-09-07 2011-09-07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9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34A (ko) *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157A (ko) * 2016-11-09 2018-05-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정공실 추출물 또는 정공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14074A (zh) * 2020-06-03 2020-08-11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亮泽肌肤的组合物及其应用
CN116942544A (zh) * 2023-08-11 2023-10-27 稀物集(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含松茸醇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2477A (en) 1996-05-07 1998-08-11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 Ii Preparation of extended shelf-life biodegradable, biocompatible microparticles containing a biologically active agent
KR100781604B1 (ko) 2006-06-13 2007-12-0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난용성 활성 성분 함유 중공형 다중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34A (ko) *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157A (ko) * 2016-11-09 2018-05-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정공실 추출물 또는 정공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14074A (zh) * 2020-06-03 2020-08-11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亮泽肌肤的组合物及其应用
CN116942544A (zh) * 2023-08-11 2023-10-27 稀物集(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含松茸醇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942544B (zh) * 2023-08-11 2024-03-29 稀物集(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含松茸醇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955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55B1 (ko)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493845B1 (ko)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09966191B (zh) 一种金露梅花提取物及其新应用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US8986758B2 (en)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8306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119288B1 (ko) 송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15491A (ko)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8305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440888B1 (ko) 천연약재 달인 물을 이용한 경피용 영양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9631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9005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40059007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7013754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