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543A -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543A
KR20130026543A KR1020110072353A KR20110072353A KR20130026543A KR 20130026543 A KR20130026543 A KR 20130026543A KR 1020110072353 A KR1020110072353 A KR 1020110072353A KR 20110072353 A KR20110072353 A KR 20110072353A KR 20130026543 A KR20130026543 A KR 2013002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user
content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영
김경수
오병문
주종필
이상윤
김미나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543A/ko
Publication of KR2013002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에서 잠재적 구매자에게 상품에 대한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접속정보를 이용한 구매절차 유도를 통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COMMEND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RECOMMENDATION CONTENTS}
본 발명은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하여 최초 배포자에 해당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해당 상품으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정보를 포함한 코드정보(예 : QR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 추천컨텐츠를 사용자의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 게시 및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한 자동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지인들로 하여금 추천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 지인들의 새로운 지인들로의 열람범위를 자동 확대할 수 있는 환경,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구매 시 최초 배포자에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및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파 방송 서비스 이외에도 케이블 방송 서비스,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고 인터넷 환경이 광범위해지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온라인 정보들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온라인 정보들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온라인 정보들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찾아 온라인 쇼핑몰 등의 온라인 구매 서비스를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온라인 구매 활동을 점점 더 많이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해당 상품을 직접 보고 구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온라인 정보 검색을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 구매자들의 의견 등을 찾아 읽어보고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기존에는, 온라인 구매를 원하는 사람이 온라인에서 불특정의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구매 후기 및 의견 등을 검색하여 이를 참조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개개인의 취향 및 성향이 다르다는 점, 따라서 같은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 및 의견 역시 개개인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불특정한 사용자에 의한 구매 후기 및 의견 등에 대한 신뢰성이 크지는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기존에는 같은 취향 및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구성된 온라인 카페 및 블로그 등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 빌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특정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데 보다 유용한 정보를 검색/확인할 수 있는 환경에 제공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의 정보 및 구매성향을 파악하여 광고주의 검색조건에 맞는 상품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주가 소비자들에게 광고메시지를 제공하는 기술(공개번호: 10-2000-0054476)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 역시 상품 구매에 대한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한계점을 갖는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이용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마트폰 이용 환경을 고려하여 온라인에서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생성한 추천컨텐츠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온라인에서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온라인에서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고,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및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온라인에서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는 추천컨텐츠보유부;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배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추천컨텐츠배포부에 요청하는 배포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하는 보상적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추천컨텐츠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컨텐츠정보는, 상기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와 상기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생성한 추천컨텐츠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는 추천컨텐츠 보유단계;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 배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단계; 및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컨텐츠정보는, 상기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와 상기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하여 최초 배포자에 해당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해당 상품으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정보를 포함한 코드정보(예 : QR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처럼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사용자의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 게시 및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한 자동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지인들로 하여금 추천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더불어 지인들의 새로운 지인들로의 열람범위를 자동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잠재적 구매자에게 상품에 대한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접속정보를 이용한 구매절차 유도를 통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이에 따라 해당 추천컨텐츠를 생성한 최초 배포자에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하여 전술의 추천컨텐츠 생성/배포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들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역시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의 역할을 포함한다면, 단말장치(100)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추천컨텐츠 생성 입력에 따라,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를 통해 상품서비스서버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Quick Response)코드를 상기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코드정보(QR코드)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정보로서 QR코드 대신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이처럼 생성한 추천컨텐츠 등록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전술과 같이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추천컨텐츠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전술의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즉,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하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 여기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서 특정 사용자의 블로그에 특정 게시물(추천컨텐츠)을 게시/등록하는 과정은 기존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장치(500)와,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50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요청한다.
즉, 단말장치(500)는,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 역시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의 역할을 포함한다면, 단말장치(500)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500)는, 사용자에 의한 추천컨텐츠 생성 입력에 따라,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 생성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500)는, 타 상품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 생성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요청할 경우, 타 상품서비스서버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품관련정보 및 사용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를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500)는,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하며 이에 대한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또는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상품관련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를 통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타 상품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 및 사용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를 이용하여,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상기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코드정보(QR코드)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정보로서 QR코드 대신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전술의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면,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5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즉,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하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면,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
또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는 추천컨텐츠보유부(210)와,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배포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배포제어부(230)를 더 포함한다.
추천컨텐츠보유부(210)는, 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보유/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컨텐츠보유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추천컨텐츠게 제공되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등록 요청/제공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추천컨텐츠는, 해당 추천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코드정보로서 포함하고,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코드정보로서 QR코드 대신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보유부(210)는, 등록 요청되는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 별로 즉 추천컨텐츠를 통해 인지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별로 보유/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기본적으로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이 가능할 것이다.
즉,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하여, 제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 여기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서 특정 사용자의 블로그에 특정 게시물(추천컨텐츠)을 게시/등록하는 과정은 기존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배포제어부(230)는,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추천컨텐츠배포부(22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포제어부(230)는, 전술과 같은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단말장치(401, 이하에서는 열람단말장치(401)라 하겠다.)가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배포제어부(230)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자신의 이메일 계정을 통해 접속한 열람단말장치(401)가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여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배포제어부(230)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열람단말장치(401)가 자신에 수신된 MMS를 확인하여 열람하여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배포제어부(230)로 알릴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동 방식을 통해 특정 단말장치 즉 열람단말장치(401)가 추천컨텐츠를 열람하여 추천 선택한 사실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배포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배포제어부(230)는, 이처럼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401)로부터 해당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이에 근거하여 해당 추천컨텐츠를 추천 선택한 열람단말장치(401)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전술의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추천컨텐츠배포부(220)에 요청한다.
즉, 추천 선택을 인지한 배포제어부(230)가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 및 이를 추천 선택한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배포부(220)로 제공하여 이에 대응되는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배포부(220)는, 금번 추천컨텐츠를 추천 선택한 새로운 사용자 즉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조회/인지하고,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를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고,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를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해당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한 지인 즉 추천선택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전달/게시되어 새로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달/전송되어 새로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따르면, 최초의 사용자가 생성/등록한 추천컨텐츠는 지인에 의해 열람되고 해당 지인의 또 다른 지인들로 그 열람범위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추천컨텐츠배포부(220)에 의해 추천컨텐츠가 온라인을 통해 게시 및 전송되는 방식으로 배포되고 있으나, 더 나아가 이미지 형태로 생성된 추천컨텐츠가 인쇄된 인쇄물이 오프라인을 통해 배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보상적용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적용부(240)는,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상적용부(240)는,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의 QR코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QR코드를 촬영/리드할 수 있다.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QR코드를 리드하여 얻은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에서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접속링크정보를 클릭/선택할 수 있다.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접속링크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에 따른 상품페이지에 이동/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상품페이지)를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상품페이지)를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보상적용부(240)는, 구매단말장치(402)가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예 : QR코드, 접속링크정보 등)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해당 상품을 구매하면, 이와 같은 구매사실을 상품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내의 구매관련기능부(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보상적용부(240)는, 특정 구매단말장치(402)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인지하면, 해당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 이때, 보상적용부(240)는, 상품의 금액 및 가중치 등 다양한 책정요소를 적용하여 기 설정된 보상금 제공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는 보상금(예 : 전자화폐,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는 추천컨텐츠보유부(620)와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배포부(6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추천컨텐츠생성부(610)와, 배포제어부(640)와, 보상적용부(650)를 더 포함한다.
추천컨텐츠생성부(610)는, 특정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천컨텐츠생성부(61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또는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상품관련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추천컨텐츠생성부(610)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가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단말장치(500)를 통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생성부(610)는, 타 상품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 및 사용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를 이용하여,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컨텐츠생성부(610)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상기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코드정보(QR코드)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정보로서 QR코드 대신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천컨텐츠보유부(620)는, 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보유/관리할 수 있다. 즉 추천컨텐츠보유부(620)는, 추천컨텐츠생성부(610)에서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 별로 즉 추천컨텐츠를 통해 인지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별로 보유/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추천컨텐츠배포부(630) 및 배포제어부(640) 및 보상적용부(650)는,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배포부(220) 및 배포제어부(230) 및 보상적용부(240)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추천컨텐츠배포부(630) 및 배포제어부(640) 및 보상적용부(6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하여 최초 배포자에 해당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해당 상품으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정보를 포함한 코드정보(예 : QR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처럼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사용자의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 게시 및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한 자동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지인들로 하여금 추천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더불어 지인들의 새로운 지인들로의 열람범위를 자동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잠재적 구매자에게 상품에 대한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접속정보를 이용한 구매절차 유도를 통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이에 따라 해당 추천컨텐츠를 생성한 최초 배포자에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하여 전술의 추천컨텐츠 생성/배포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들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10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S10).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역시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의 역할을 포함한다면, 단말장치(100)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추천컨텐츠 생성 입력에 따라,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0).
즉, 단말장치(100)는,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를 통해 상품서비스서버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Quick Response)코드를 상기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코드정보(QR코드)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이처럼 생성한 추천컨텐츠 등록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S30).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전술의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S40).
즉,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하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50).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S55). 여기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서 특정 사용자의 블로그에 특정 게시물(추천컨텐츠)을 게시/등록하는 과정은 기존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60).
이에,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S65).
이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장치(401, 이하에서는 열람단말장치(401)라 하겠다.)가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S70),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로 알릴 것이다(S75). 물론, 추천 선택 사실을 열람단말장치(401)가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로 알릴 수도 있다.
이처럼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401)로부터 해당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S80),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추천 선택한 열람단말장치(401)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 즉 추천선택 사용자를 인지하고(S85),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전술의 S40단계 내지 S65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한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최초의 사용자가 생성/등록한 추천컨텐츠는 지인에 의해 열람되고 해당 지인의 또 다른 지인들로 그 열람범위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의해 추천컨텐츠가 온라인을 통해 게시 및 전송되는 방식으로 배포되고 있으나, 더 나아가 이미지 형태로 생성된 추천컨텐츠가 인쇄된 인쇄물이 오프라인을 통해 배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
즉,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 또는 추천컨텐츠가 인쇄된 인쇄물을 보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의 QR코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QR코드를 촬영/리드할 수 있다(S90).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QR코드를 리드하여 얻은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S95).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구매단말장치(402)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인지하면, 해당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S100). 이때,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상품의 금액 및 가중치 등 다양한 책정요소를 적용하여 기 설정된 보상금 제공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는 보상금(예 : 전자화폐,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50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500)는,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S110).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 역시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의 역할을 포함한다면, 단말장치(500)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가 포함된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500)는, 사용자에 의한 추천컨텐츠 생성 입력에 따라,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 생성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요청할 수 있다(S120).
한편, 단말장치(500)는, 타 상품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 생성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요청할 경우, 타 상품서비스서버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품관련정보 및 사용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를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제공할 수 있다.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또는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상품관련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130).
즉,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를 통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타 상품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 및 사용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를 이용하여,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상기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코드정보(QR코드)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전술의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픈 마켓플레이스 또는 가격비교 서비스 등과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면,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5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S140).
즉,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하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단말장치(5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150).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S155).
또한,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160).
이에,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S165).
이에,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장치(401, 이하에서는 열람단말장치(401)라 하겠다.)가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이메일(추천컨텐츠를 포함)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S170),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알릴 것이다(S175). 물론, 추천 선택 사실을 열람단말장치(401)가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알릴 수도 있다.
이처럼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401)로부터 해당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S180),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추천 선택한 열람단말장치(401)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 즉 추천선택 사용자를 인지하고(S185),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전술의 S140단계 내지 S165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한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최초의 사용자가 생성/등록한 추천컨텐츠는 지인에 의해 열람되고 해당 지인의 또 다른 지인들로 그 열람범위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의해 추천컨텐츠가 온라인을 통해 게시 및 전송되는 방식으로 배포되고 있으나, 더 나아가 이미지 형태로 생성된 추천컨텐츠가 인쇄된 인쇄물이 오프라인을 통해 배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
즉,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 또는 추천컨텐츠가 인쇄된 인쇄물을 보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의 QR코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QR코드를 촬영/리드할 수 있다(S190).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QR코드를 리드하여 얻은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S195).
이에,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구매단말장치(402)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인지하면, 해당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S200). 이때,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상품의 금액 및 가중치 등 다양한 책정요소를 적용하여 기 설정된 보상금 제공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는 보상금(예 : 전자화폐,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보유/관리할 수 있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추천컨텐츠게 제공되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등록 요청/제공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추천컨텐츠는, 해당 추천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코드정보로서 포함하고,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코드정보로서 QR코드 대신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등록 요청되는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 별로 즉 추천컨텐츠를 통해 인지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별로 보유/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S220).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금번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하여 제1동작을 수행하고, 금번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 또한,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S240).
예를 들면, 특정 단말장치(401, 이하에서는 열람단말장치(401)라 하겠다.)가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자신의 이메일 계정을 통해 접속한 열람단말장치(401)가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여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열람단말장치(401)가 자신에 수신된 MMS를 확인하여 열람하여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로 알릴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동 방식을 통해 특정 단말장치 즉 열람단말장치(401)가 추천컨텐츠를 열람하여 추천 선택한 사실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이처럼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401)로부터 해당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이에 근거하여 해당 추천컨텐츠를 추천 선택한 열람단말장치(401)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전술의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자 S220단계 및 S230단계를 수행한다.
즉, 추천 선택을 인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 및 이를 추천 선택한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의 정보를 인지하고(S245), 이에 대응되는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자 S220단계 및 S23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추천컨텐츠를 추천 선택한 새로운 사용자 즉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조회/인지하고,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를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고,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를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해당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한 지인 즉 추천선택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전달/게시되어 새로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달/전송되어 새로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최초의 사용자가 생성/등록한 추천컨텐츠는 지인에 의해 열람되고 해당 지인의 또 다른 지인들로 그 열람범위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S250),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S26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의 QR코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QR코드를 촬영/리드할 수 있다.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QR코드를 리드하여 얻은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에서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클릭/선택할 수 있다.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접속링크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에 따른 상품페이지에 이동/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는,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상품페이지)를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상품페이지)를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구매단말장치(402)가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예 : QR코드, 접속링크정보 등)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해당 상품을 구매하면, 이와 같은 구매사실을 상품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 내의 구매관련기능부(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구매단말장치(402)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인지하면, 해당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상품의 금액 및 가중치 등 다양한 책정요소를 적용하여 기 설정된 보상금 제공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는 보상금(예 : 전자화폐,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500)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되면(S310),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한다(S32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500)로부터의 추천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또는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상품관련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가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가 현재 방문/열람한 상품페이지의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를 이용하여, 단말장치(500)를 통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접속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타 상품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페이지를 방문/열람한 단말장치(500)로부터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된 경우라면,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상품관련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제조사 등) 및 사용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를 이용하여,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 및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상기 코드정보로서 생성하고, 코드정보(QR코드) 및 해당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예 : 상품이름, 상품가격, 상품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추천컨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정보로서 QR코드 대신 접속링크정보(예 : Hyper Link)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보유/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 별로 즉 추천컨텐츠를 통해 인지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별로 보유/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추천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500)를 이용하는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는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등을 조회할 수 있다(S330).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가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각 사용자 별로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500)로부터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 생성이 요청되면,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하여 기 등록/관리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하여 제1동작을 수행하고,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에 특정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40).
이에,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블로그에 금번 사용자의 게시물로서 추천컨텐츠를 게시/등록할 것이다. 또한,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이메일계정을 발신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지인이메일정보)에 따른 지인이메일주소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금번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대응되는 단말전화번호를 발신인번호로 하여 기 등록된 인맥정보(예 : 주소록정보)에 따른 지인의 단말장치(예 : 401,402 등)로 추천컨텐츠를 포함하는 MMS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5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에 의해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게시되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송되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온라인에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미디어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S350).
예를 들면, 특정 단말장치(401, 이하에서는 열람단말장치(401)라 하겠다.)가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자신의 이메일 계정을 통해 접속한 열람단말장치(401)가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여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인맥관련서비스(예 :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열람단말장치(401)가 자신에 수신된 MMS를 확인하여 열람하여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을 입력하면 해당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서버(320)가 이 사실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알릴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동 방식을 통해 특정 단말장치 즉 열람단말장치(401)가 추천컨텐츠를 열람하여 추천 선택한 사실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이처럼 정보공유서비스 및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401)로부터 해당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이에 근거하여 해당 추천컨텐츠를 추천 선택한 열람단말장치(401)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전술의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자 S330단계 및 S340단계를 수행한다.
즉, 추천 선택을 인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 및 이를 추천 선택한 사용자(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의 정보를 인지하고(S355), 이에 대응되는 제1동작 및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자 S330단계 및 S34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추천컨텐츠를 추천 선택한 새로운 사용자 즉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가입된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 및 가입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조회/인지하고,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를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정보공유서비스서버(310)에 제공하여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하도록 요청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고, 추천 선택된 추천컨텐츠를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회/인지된 인맥관련서비스(예 :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천선택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등록되는 추천컨텐츠는, 해당 추천컨텐츠를 열람하고 추천 선택한 지인 즉 추천선택 사용자의 블로그 서비스 및 트위터 서비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으로 전달/게시되어 새로운 타 가입자들이 열람할 수 있고, MSN 메신저 서비스 및 네이트 메신저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및 MMS 메시징 서비스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인맥정보를 토대로 하는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해 지인에게 자동으로 전달/전송되어 새로운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최초의 사용자가 생성/등록한 추천컨텐츠는 지인에 의해 열람되고 해당 지인의 또 다른 지인들로 그 열람범위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S360),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S37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의 QR코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QR코드를 촬영/리드할 수 있다.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QR코드를 리드하여 얻은 접속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정보공유서비스(예 : 블로그 서비스)에 게시된 추천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장치(402, 이하에서는 구매단말장치(402)라 하겠다.)에서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즉 접속링크정보를 클릭/선택할 수 있다. 이에, 구매단말장치(402)는 접속링크정보(예 : 상품페이지 접속 URL)에 따른 상품페이지에 이동/접속하고, 제공되는 구매절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과 같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는,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상품페이지)를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서버와 연동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 자신이 구매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상품페이지)를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구매단말장치(402)가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예 : QR코드, 접속링크정보 등)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상품페이지에 접속하고 해당 상품을 구매하면, 이와 같은 구매사실을 상품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또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 내의 구매관련기능부(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구매단말장치(402)가 특정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사실을 인지하면, 해당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사용자ID 등)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600)의 동작 방법은, 상품의 금액 및 가중치 등 다양한 책정요소를 적용하여 기 설정된 보상금 제공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는 보상금(예 : 전자화폐,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은, 특정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하여 최초 배포자에 해당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해당 상품으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정보를 포함한 코드정보(예 : QR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처럼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사용자의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 게시 및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한 자동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지인들로 하여금 추천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더불어 지인들의 새로운 지인들로의 열람범위를 자동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잠재적 구매자에게 상품에 대한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더불어 접속정보를 이용한 구매절차 유도를 통해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은,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이에 따라 해당 추천컨텐츠를 생성한 최초 배포자에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하여 전술의 추천컨텐츠 생성/배포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상품 구매 확신을 유도하고 구매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들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특정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하여 최초 배포자에 해당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해당 상품으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정보를 포함한 코드정보(예 : QR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한 추천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처럼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사용자의 정보공유서비스에 자동 게시 및 인맥관련서비스를 통한 자동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지인들로 하여금 추천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더불어 지인들의 새로운 지인들로의 열람범위를 자동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최초 배포자에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하는 환경의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상품 광고 및 구매 증진,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500 : 단말장치 200,600 :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Claims (14)

  1.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추천컨텐츠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2.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3.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는 추천컨텐츠보유부;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배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추천컨텐츠배포부에 요청하는 배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하는 보상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추천컨텐츠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컨텐츠정보는,
    상기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와 상기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
  8.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생성한 추천컨텐츠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등록 요청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
  9. 단말장치가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가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생성된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방법.
  10. 특정 상품에 대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컨텐츠를 보유하는 추천컨텐츠 보유단계;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추천컨텐츠 배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유서비스 및 상기 인맥관련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추천컨텐츠를 열람한 특정 열람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추천컨텐츠에 대한 추천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단계; 및
    추천 선택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를 상기 열람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공유서비스에 게시하는 제1동작 및 상기 추천컨텐츠를 특정 인맥관련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열람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인에게 전송하는 제2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특정 구매단말장치가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접근하여 구매하는 구매사실이 인지되면, 상기 추천컨텐츠의 코드정보 내 추천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광고중개 보상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에 있어서,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접속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특정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추천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컨텐츠정보는,
    상기 추천인 식별정보 및 상기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정보와 상기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10072353A 2011-07-21 2011-07-21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6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53A KR20130026543A (ko) 2011-07-21 2011-07-21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53A KR20130026543A (ko) 2011-07-21 2011-07-21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543A true KR20130026543A (ko) 2013-03-14

Family

ID=4817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353A KR20130026543A (ko) 2011-07-21 2011-07-21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654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98B1 (ko) * 2014-01-27 2015-02-23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선불화폐를 위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50080286A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13221A (ko) * 2014-03-26 2015-10-08 주식회사 브릿지랩 추천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29965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위메프 추천코드를 통한 사용자 보상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098924A1 (ko) * 2014-12-17 2016-06-23 전경령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KR20210043524A (ko) * 2018-08-10 2021-04-21 주식회사 메이크스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이용한 크라우드 펀딩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286A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94198B1 (ko) * 2014-01-27 2015-02-23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선불화폐를 위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50113221A (ko) * 2014-03-26 2015-10-08 주식회사 브릿지랩 추천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29965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위메프 추천코드를 통한 사용자 보상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098924A1 (ko) * 2014-12-17 2016-06-23 전경령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KR20210043524A (ko) * 2018-08-10 2021-04-21 주식회사 메이크스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이용한 크라우드 펀딩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76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e alerts and referrals
JP5186569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ウェブサイト上の社交的広告および他の情報メッセージ、ならびにその広告モデル
JP5186570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ウェブサイトにおいて別のドメインでの行動についての情報を通信すること
AU2011213606B2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social network system about activities from another domain
US20020120507A1 (en) Feature rich advertisments including consumer requests for additional information
US20110196724A1 (en) Consumer-oriented commerce facilitation services, applications, and devices
US20100228776A1 (en) System, mechanisms, methods and services for the creation, interaction and consumption of searchable, context relevant, multimedia collages composited from heterogeneous sources
US20020032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quest based consumer information
US200702447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information relevant to shopping tasks
JP2012505480A (ja) インターネットの広告および宣伝用コンテンツの管理
EP2808837A1 (en) Sales promotion device, sales promotion system, and sales promotion method
US20110313833A1 (en) Reconstructing the online flow of recommendations
KR20130026543A (ko) 추천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74159A1 (en) Consumer targeted advertising through network infrastructure
US10116608B2 (en) Email deal alerter through data scraping
KR20140039101A (ko) 전자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76541B1 (ko) 소셜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상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640120B1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TWI775687B (zh) 資訊通訊系統、及資訊通訊方法
KR102433693B1 (ko) 다양한 컨텐츠 마케팅 제작을 구비한 온라인 마케팅광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2518A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6558A (ko) 개인과 객체의 관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73741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3691A (ko) 소셜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상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6006691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