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100A - 축류팬 - Google Patents

축류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100A
KR20130026100A KR1020110089501A KR20110089501A KR20130026100A KR 20130026100 A KR20130026100 A KR 20130026100A KR 1020110089501 A KR1020110089501 A KR 1020110089501A KR 20110089501 A KR20110089501 A KR 20110089501A KR 20130026100 A KR20130026100 A KR 20130026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an
axial flow
weigh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867B1 (ko
Inventor
유재춘
윤신원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8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축류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축류팬의 블레이드 또는 팬밴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를 가짐으로써, 송풍효율을 유지하면서 중량은 감소할 수 있는 축류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류팬은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원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익근이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원환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각 익단을 연결하는 팬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또는 팬밴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축류팬은 풍량의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기 블레이드 또는 상기 팬밴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가 형성되어, 최적의 송풍효율을 가지도록 연구되어 온 기존의 축류팬의 소재와 두께 및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송풍효율은 유지하면서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류팬 {Axial Flow Fan}
본 발명은 축류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제 구동력이 발생되는 엔진에서는, 화학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에서 많은 열에너지가 발생된다. 이러한 열에너지가 과도하게 발생되면, 엔진 및/또는 엔진 주변의 부품들이 과열됨으로써 손상 또는 파괴되어 큰 고장과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엔진 자체의 효율도 크게 떨어지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엔진의 냉각을 위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냉각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엔진의 주변에 냉각수를 유통시키고 또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radiator)를 구비하여,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한 후 흡수된 열을 라디에이터에서 방출함으로써 엔진의 과열을 막는다. 또한,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쾌적성을 위하여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장치도 함께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냉방을 위한 에어컨의 냉매를 냉각하기 위하여 응축기(condensor)와 같은 열교환기가 사용된다.
차량의 엔진룸 전방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라디에이터나 응축기 등의 열교환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들에서는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의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대해 공기를 강제 송풍할 수 있는 축류팬이 설치된다.
축류팬은 일반적으로 팬 쉬라우드 내에 수용 구비되며, 팬 쉬라우드에 축류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이 고정되고, 또한 팬 쉬라우드가 마운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축류팬, 팬 쉬라우드, 모터 등이 이루는 축류팬 조립체가 열교환기 또는 엔진 룸 바닥에 마운팅되어 열교환기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게 된다. 도 1은 열교환기 및 축류팬 조립체의 배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류팬(100)은 공기 송풍 방향에 대해서 라디에이터(210) 및 콘덴서(220) 등과 같은 열교환기(200)들과 나란하게 병렬 배치되어, 공기의 강제 대류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200)의 코어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 준다.
도 2는 종래의 축류팬의 형상을 나타낸 상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류팬(100)은 허브(Hub, 120);와 상기 허브(120)의 원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10); 및 상기 블레이드(110)의 각 익단(112)을 연결하는 팬밴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류팬(100)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강제 송풍을 일으키기 위한 것인 바, 송풍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차가 생활필수품에 가까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인 바,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더욱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중 하나로 소음 개선 연구를 들 수 있으며, 소음 개선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4184호('축류팬' 이하 선행기술1)에서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의 각 끝단을 연결하는 원환형 밴드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그 중앙선이 익근에서 익단으로 가면서 익근측의 최대 후향각에서 익단측의 최대 전향각까지 점진적으로 방향이 바뀌는 휨각을 가지되, 중간에 그 휨각이 익근측의 후향으로부터 전향으로 반전된 다음 후향으로 반전되어 익단측의 전향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분산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이 개시된다.
선행기술1은 각각의 블레이드가 유동분산영역을 가짐으로써 블레이드의 원심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후연측의 유동분포를 분산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대비 송풍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유가시대가 도래하면서 송풍효율향상과 소음 개선 뿐 아니라 연비개선을 위하여 차량의 경량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종래의 축류팬(100)은 활발한 연구 결과로 송풍효율향상과 소음의 저감 면에서는 요구 성능을 만족하지만, 상기 축류팬(100)의 경량화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상기 축류팬(100)의 경량화를 위해서는 소재변경, 두께변경 및 형상변경과 같은 방법들이 있으나, 상기 축류팬(100)의 소재를 변경할 경우, 상기 축류팬의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축류팬(100) 블레이드(110)의 두께 및 형상을 변경할 경우, 송풍효율에 있어 최적의 효과를 가진 블레이드(110)의 형상에 대한 연구가 다시 진행되어야 하며, 이는 연구개발에 있어 경제적으로 시간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연구되어 최적의 송풍효율을 가지는 상기 블레이드(110)에서 소재변경, 두께변경 및 형상의 변경 없이, 최적의 송풍효율을 유지하면서 경량화 된 축류팬(100)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4184호(특허공개일 2002.12.1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류팬의 블레이드 또는 팬밴드 상에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가 형성되어, 최적의 송풍효율을 유지하면서 경량화 된 축류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허브(120); 상기 허브(120)의 원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익근(111)이 상기 허브(12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10); 및 원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10)의 각 익단(112)을 연결하는 팬밴드(130); 를 포함하는 차량용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류팬(100)은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에서 익단(112)까지의 거리를 블레이드유효길이(A)라 하고,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에서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과 익단(112) 사이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풍량측정길이(B)라 할 때,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의 B/A 값이 0 내지 0.25 사이인 구간 또는 B/A 값이 0.85 내지 1.0 사이인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팬밴드(130) 상의 상기 블레이드(110)와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허브(1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통공으로 형성되거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축류팬은 풍량의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블레이드 또는 팬밴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가 형성되어, 최적의 송풍효율을 가지도록 연구되어 온 기존의 축류팬의 소재와 두께 및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송풍효율은 유지하면서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류팬은 상기 블레이드 또는 상기 팬밴드 상에 통공 또는 홈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감소부의 형성만으로 상기 축류팬의 중량을 감소 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 된 상기 축류팬의 생산이 용이하며, 상기 블레이드 또는 상기 팬밴드의 불균형이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류팬은 상기 블레이드 또는 상기 팬밴드에서 풍량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에 홈 또는 통공을 형성하는 상기 중량감소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또는 상기 팬밴드 상에 홈 또는 통공을 형성하는 만큼의 소재가 절약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 및 축류팬 배치.
도 2는 일반적인 축류팬의 형상을 나타낸 상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축류팬의 블레이드 상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축류팬의 블레이드 표면 위치에 따른 정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인 축류팬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인 축류팬의 블레이드 상에 형성된 중량감소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축류팬의 블레이드 상에 형성된 중량감소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인 축류팬의 블레이드 상에 형성된 중량감소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인 축류팬의 팬밴드 상에 형성된 중량감소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인 축류팬의 팬밴드 상에 형성된 중량감소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축류팬(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축류팬(100)의 기본적인 형상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일반적인 축류팬(100)과 동일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허브(120); 및 상기 허브(120)의 원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익근(111)이 상기 허브(12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10); 및 원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10)의 각 익단(112)을 연결하는 팬밴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10)가 전향각을 갖는 익단(112)으로부터 후향각을 가지는 익근(111)까지의 각도가 점진적으로 변하하는 휨각을 가지되, 익단(112)측의 전향각 영역과 익근(111) 측의 후향각 영역 사이에 상기 휨각의 방향이 교대로 반전되는, 웨이브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축류팬(100)이 웨이브팬으로 도시되었으나, 물론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팬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허브(120)와, 복수 개의 블레이드(110) 및 팬밴드(130)를 포함하는 모든 차량용 축류팬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일반적인 축류팬(100)의 블레이드(110)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일반적인 축류팬(100)의 블레이드(110) 표면 위치에 따른 정압을 측정한 그래프로, 이를 통해 상기 중량감소부(140) 최적의 형성위치를 찾는다.
도 3은 일반적인 축류팬(100)의 블레이드(110) 상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에서 익단(112)까지의 거리를 블레이드유효길이(A)라 하고,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에서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과 익단(112) 사이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풍량측정길이(B)라 한다. 상기 블레이드(110)는 표면의 위치에 따라 정압의 크기가 변화하며, 정압이 높은 부분일수록 양력과 항력이 높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10)는 정압이 높은 부분에서 풍량이 가장 많이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B(풍량측정길이)/A(블레이드유효길이) 값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110) 표면의 정압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풍량측정길이)/A(블레이드유효길이) 값이 0.25 내지 0.85사이에서 정압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 구간에서 풍량이 많이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송풍효율을 유지하면서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량을 감소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블레이드(110)에서 풍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의 B(풍량측정길이)/A(블레이드유효길이) 값이 0 내지 0.25 사이인 구간 또는 B(풍량측정길이)/A(블레이드유효길이) 값이 0.85 내지 1.0 사이인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상기 블레이드(110)에서 풍량을 발생시키는데 비효율적인 부분에 상기 중량감소부(140)를 형성하여 유동의 특성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송풍효율의 변화는 최소화 하면서 이와 동시에 중량은 감소시킬 수 있는 축류팬(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토대로 찾아낸 최적의 상기 중량감소부(140) 형성위치에 일반적인 축류팬(100)의 중량의 3%를 감소하도록 상기 중량감소부(140)를 형성하여 풍량을 측정한 결과, 종래의 축류팬(100)에 비하여 풍량이 0.5%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중량의 감소비율에 비해 풍량의 감소비율은 매우 작은 값임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축류팬(100)은 풍량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의 소재를 제거하여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의 소재를 제거하여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할 수도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 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축류팬(100)을 나타낸 사시도와,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로, 도 5와 도6은 상기 중량감소부(140)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는 중량감소부(140a)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는 중량감소부(140b)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7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통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수가 다르게 형성된 중량감소부(140)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및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서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중량감소부(140a) 일 수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중량감소부(140c)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중량감소부(140a)와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중량감소부(140c)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중량감소부는(140)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통공이 아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7(a)와 같이 상기 중량감소부(140a)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110)의 제작공정이 용이하며 가공이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도 7(b)와 같이 상기 중량감소부(140c)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110)의 내구성이 강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홈 또는 통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량감소부(140)의 통공 또는 홈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통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된 중량감소부(140)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및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서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a)는 상기 중량감소부(140d)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복수 개의 원형통공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와 상기 중량감소부(140d)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8(b)는 상기 중량감소부(140e)가 상기 블레이드(110) 상에 복수 개의 사각형통공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와 상기 중량감소부(140e)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통공, 사각형통공 이외에도 선형, 물결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이 아닌 다양한 형상의 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류팬(100)에서 상기 팬밴드(130)는 풍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이므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팬밴드(130)의 균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팬밴드(130) 상에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축류팬(100)을 나타낸 사시도와, 상기 중량감소부(140)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로, 도 9와 도10은 상기 중량감소부(140)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복수 개의 선형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는 중량감소부(140f)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10은 상기 팬밴드(130) 상에 복수 개의 선형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는 중량감소부(140g)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의 블레이드(110)와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허브(1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축류팬(100)은 상기 팬밴드(130)의 상기 블레이드(110)를 지지하는 지지력과 내구성이 약화되지 않으면서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은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선형통공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원형, 사각형, 물결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통공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축류팬 110 : 블레이드
111 : 익근 112 : 익단
120 : 허브 130 : 팬밴드
140 : 중량감소부 200 : 열교환기
210 : 라디에이터 220 : 콘덴서

Claims (5)

  1.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허브(120);
    상기 허브(120)의 원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익근(111)이 상기 허브(12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10);
    원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10)의 각 익단(112)을 연결하는 팬밴드(130); 를 포함하는 차량용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100)의 중량을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감소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100)은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에서 익단(112)까지의 거리를 블레이드유효길이(A)라 하고,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에서 상기 블레이드(110)의 익근(111)과 익단(112) 사이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풍량측정길이(B)라 할 때,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의 B/A 값이 0 내지 0.25 사이인 구간 또는 B/A 값이 0.85 내지 1.0 사이인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팬밴드(130) 상의 상기 블레이드(110)와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허브(1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소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팬밴드(130) 상에 통공으로 형성되거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KR1020110089501A 2011-09-05 2011-09-05 축류팬 KR10178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501A KR101784867B1 (ko) 2011-09-05 2011-09-05 축류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501A KR101784867B1 (ko) 2011-09-05 2011-09-05 축류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00A true KR20130026100A (ko) 2013-03-13
KR101784867B1 KR101784867B1 (ko) 2017-10-13

Family

ID=4817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501A KR101784867B1 (ko) 2011-09-05 2011-09-05 축류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8249A (zh) * 2017-08-01 2017-09-29 曹建礼 风扇轮加强箍
WO2022169204A1 (ko) * 2021-02-04 2022-08-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팬 쉬라우드 조립체
US11982287B2 (en) 2021-02-04 2024-05-14 Hanon Systems Fan shrou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378A (ja) 2005-05-19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羽根車
JP2008184999A (ja) * 2007-01-31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羽根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8249A (zh) * 2017-08-01 2017-09-29 曹建礼 风扇轮加强箍
WO2022169204A1 (ko) * 2021-02-04 2022-08-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팬 쉬라우드 조립체
US11982287B2 (en) 2021-02-04 2024-05-14 Hanon Systems Fan shrou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867B1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326B1 (ko) 축류팬
EP2492514B1 (en) Heat exchange module for vehicle
JP5929522B2 (ja) 軸流送風機
US10052931B2 (en) Outdoor cooling unit in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2120183B1 (ko) 팬쉬라우드 조립체
JP2005520969A (ja) オーバーラップするファンを備えたエンジン冷却ファンアセンブリ
JP201604458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111911457A (zh) 轴流风扇
KR20130026100A (ko) 축류팬
CN107906046B (zh) 一种风扇叶轮
KR101379542B1 (ko) 차량용 축류팬
KR101408917B1 (ko) 축류팬
JP2011179331A (ja) 送風機とその送風機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937331B2 (ja) 送風機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KR102351938B1 (ko) 축류팬
KR102020459B1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KR20080092034A (ko) 팬 및 쉬라우드의 조립체
KR101218536B1 (ko) 축류팬
JP4802694B2 (ja) 送風機羽根車及び空気調和機
KR20100041127A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KR101658131B1 (ko) 팬 슈라우드 구조
KR20080087463A (ko) 팬 및 쉬라우드의 조립체
KR101263649B1 (ko) 축류팬
KR20090041557A (ko) 유체마찰 저감형 냉각팬
KR101681772B1 (ko) 차량용 축류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