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058A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058A
KR20130026058A KR1020110089413A KR20110089413A KR20130026058A KR 20130026058 A KR20130026058 A KR 20130026058A KR 1020110089413 A KR1020110089413 A KR 1020110089413A KR 20110089413 A KR20110089413 A KR 20110089413A KR 20130026058 A KR20130026058 A KR 20130026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nal gear
input shaft
power transmission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진
Original Assignee
전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수진 filed Critical 전수진
Priority to KR102011008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058A/ko
Publication of KR2013002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balan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고감속비를 작은 외형으로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 잇수가 다른 하우징의 제1내치기어부 및 회전체의 제2내치기어부에 동력전달기어를 동시에 내접시키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고감속비를 작은 외형으로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밸런스 기어가 균형을 맞추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감속기{A decelerator}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고감속비를 작은 외형으로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속도를 줄이는 기구로서, 대표적으로 외접식 감속기와 유성기어 감속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감속비가 커야할 경우 다수의 기어들이 다단 형태로 적층되어야 되므로 기기의 외형이 크고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에는 선기어를 중심으로 유성기어와 링기어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외접식 감속기에 비해 동력 효율이 적고, 백래쉬가 작은 장점이 있어 근래에 들어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2003-0067085호에 유성기어 감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로 하면, 태양치차, 유성치차, 링치차, 유성캐리어, 기어박스 등으로 구성되어져 백래쉬를 조절할 수 있어 동력 효율이 적고 백래쉬 발생이 작은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기어들로 인해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단점이 있고, 감속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원주상의 지름을 확대하여야 가능하므로 고감속비를 얻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번호 제2003-00670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구조로 인해 고감속비를 작은 외형으로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하면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벽 하측에는 제1내치기어부가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안치턱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바디 내부로 결합되어 상기 안치턱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내벽에는 제2내치기어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출력축이 구비된 회전체; 상기 바디의 관통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끼움홈이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편심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매개로 편심 결합되어 상기 바디 내부에서 제1내치기어부 하측에 내접되는 밸런스(Balance) 기어; 및 상기 입력축에 편심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매개로 편심 결합되어 상기 밸런스 기어 상단에 위치되면서 상기 바디의 제1내치기어부와 상기 회전체의 제2내치기어부에 동시 내접되되 상기 밸런스 기어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내접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내치기어부의 PCD(피치원지름)와 상기 제2내치기어부의 PCD는 동일하되 기어 잇수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런스 기어와 동력전달기어의 상측에는 내접되는 위치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무게를 분산할 수 있는 중량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내치기어부의 PCD 및 기어 잇수가 동일하면, 상기 동력전달기어를 2단으로 구성하여 그 기어 잇수를 서로 차이가 나도록 형성하여 1단은 상기 제1내치기어부, 2단은 제2내치기어부에 각각 내접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 잇수가 다른 하우징의 제1내치기어부 및 회전체의 제2내치기어부에 동력전달기어를 동시에 내접시키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고감속비를 작은 외형으로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밸런스 기어가 균형을 맞추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2내치기어부 및 동력전달기어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2내치기어부 및 동력전달기어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의 사시도.
도 7의 "가" 및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작동관계를 보인 A-A선 단면도 및 개략적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감속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감속기(100)는 크게 하우징(110), 회전체(140), 입력축(150), 밸런스 기어(160) 및 동력전달기어(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바디(120) 및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120)는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하면 중앙부에는 관통공(126)이 형성되고 내벽 하측에는 제1내치기어부(122)가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안치턱(124)이 형성되어 감속을 필요로 하는 장치 등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30)는 상기 바디(120)의 상측에 미도시 하였으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120)의 개방된 상측을 막음하여 내부에 설치될 상기 회전체(140), 밸런스 기어(160) 및 동력전달기어(17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130)의 중앙부에는 미부호 설명이나 돌출공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회전체(140)의 출력축이 외부로 돌출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140)는 상기 바디(120) 내부로 결합되어 상기 안치턱(124)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내벽에는 제2내치기어부(142)가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는 끼움홈(14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출력축(146)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축(150)은 상기 바디(120)의 관통공(126)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140)의 끼움홈(144)에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파선으로 도시된 회전수단(200)과 연결되어 회전 작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런스(Balance) 기어(160)는 편심공(164)이 형성된 베어링판(162)이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입력축(150) 상에 편심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기어(170)는 역시 편심공(174)이 형성된 베어링판(172)이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입력축(150) 상에 편심 결합되는데, 후술하겠지만 설치시 상기 밸런스 기어(160)와 수직선상에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밸런스 기어(160)는 밸런스를 맞출 수 있도록 동력전달기어(170)와 동일한 PCD를 갖고, 무게,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하게 됨은 당연하며, 감속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의 내경 크기를 동력전달기어(170)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밸런스 기어(160) 및 동력전달기어(170)의 상측에는 편심 결합되는 위치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무게를 분산할 수 있는 중량부재(18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편심 결합됨에 따라 한 쪽으로 치중되는 무게를 분산하여 마모를 방지하는 등의 무게 밸런스를 잡아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고감속이 요구되거나 부하가 발생될 경우 사용하게 되면 무게 분산을 통해 안정적인 회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재는 미도시 하였으나 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풀리 감속을 할 경우, 부하가 많을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감속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즉, 하우징(110)의 바디(120)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26)으로 입력축(150)이 삽입되며, 상기 입력축(150)으로 밸런스 기어(160) 및 동력전달기어(17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20) 내부에 위치되며, 회전체(140)가 상기 바디(120) 내부로 결합되어 안치턱(124)에 안치되고, 마지막으로 덮개(130)가 바디(120)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된 회전체(140), 밸런스 기어(160) 및 동력전달기어(17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입력축(150)의 상단은 상기 회전체(14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홈(144)으로 삽입되어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44)에는 미부호 설명이지만 베어링을 구비하여 입력축(150)의 회전 동작시 안정적으로 지지는 하되 회전체(140)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밸런스 기어(160)는 편심공(164)이 형성된 베어링판(162)을 매개로 입력축(150) 상에 결합되므로 편심되어져 상기 바디(120)의 제1내치기어부(122)의 일측에 내접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170) 또한 편심공(174)이 형성된 베어링판(172)을 매개로 입력축(150) 상에 결합되므로 편심되어지되, 상기 바디(120)의 제1내치기어부(122) 및 회전체(140)의 제2내치기어부(142)에 동시 내접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기어(170)는 상기 밸런스 기어(160) 상단에 위치되면서 하측은 상기 제1내치기어부(122)에 내접되고, 상측은 제2내치기어부(142)에 내접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 기어(160)와 동력전달기어(170)는 수직선상에서 대칭되는 방향에 내접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 바디(120)의 제1내치기어부(122), 회전체(140)의 제2내치기어부(142) 및 동력전달기어(170)의 상세한 구성과 이들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2내치기어부 및 동력전달기어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2내치기어부 및 동력전달기어의 결합관계에 보인 일부 확대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의 "가"는 바디(120)의 제1내치기어부(122)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나"는 회전체(140)의 제2내치기어부(142)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며, "다"는 동력전달기어(170)를 도시한 사시도인데, 상기 제1내치기어부(122)의 PCD(피치원지름)과 제2내치기어부(142)의 PCD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기어 잇수를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하나의 내치기어부에 형성된 기어 이에 대해 전위를 주면서 기어 잇수를 틀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내치기어부(122)의 기어 잇수를 57개로 형성하면, 제2내치기어부(142)는 동일한 PCD를 가지나 기어 잇수가 한 개 작은 56개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동일한 PCD 상에서 기어 잇수를 틀리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제1, 2내치기어부(122,142) 중 어느 하나의 기어부 기어 이에 전위를 주면서 기어 이의 크기 혹은 기어 이 사이 간격을 틀리게 하면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이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미세하게 벗어나게 위치하게 되고, 동력전달기어(170)가 일측에서 내접(맞물림)되는데, 상기 내치기어부 중 고정 설치되는 바디(120)에 형성되는 제1내치기어부(122)를 기준으로 그 상측에 구비되는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이가 약간씩 어긋나면서 동력전달기어(170)에 맞물리게 되므로 그 구조적으로 우선 백래쉬가 현저히 줄어들게 됨은 당연하다.
이 상태에서 동력전달기어(170)가 제1내치기어부(122)에 내접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기어 이가 어긋나면서 맞물려 있는 제2내치기어부(142)는 동력전달기어(170)와 지속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중심부 즉, 여기서는 미도시된 입력축을 중심으로 위치 보정 다시 말하면 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는 곧 제2내치기어부(142)가 형성된 회전체(140)의 감속 회전을 말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제1,2내치기어부(122,142)의 기어 잇수를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하게 하지 않고 동일하게 형성한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기어(170')의 구성을 변경하여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기어(170')는 한 몸이나 2단으로 구성하고 그 2단의 PCD는 동일하게 하는 대신 기어 잇수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1단은 제1내치기어부(122)에 내접되도록 하고 2단은 제2내치기어부(142)에 내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PCD는 기어 잇수가 적은 기어가 기준이 되며, 무게, 크기를 같게 한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1, 2단의 기어 이가 동일 수직선상에서 미세하게 벗어나게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전달기어(170)가 제1,2내치기어부(122,142)에 맞물리게 되면 비록 제1,2내치기어부(122,142)는 동일한 기어 잇수를 가지나 2단으로 구성된 동력전달기어(170)의 내접으로 인해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내치기어부(122)의 기어 이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로 결합될 것은 당연하다. 결국, 이 또한 동력전달기어(170)가 회전하게 되면 제2내치기어부(142)는 위치가 보정되고 곧 감속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의 PCD는 물론이고 기어 잇수까지 동일하게 형성하고, 동력전달기어(170)를 2단으로 구성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동력전달기어(170)를 회전시키게 되면 백래쉬가 크게 발생됨은 물론이고 제2내치기어부(142)의 위치 보정이 일어나지 않아 동력전달기어(170)만 제1내치기어부(122)를 따라 헛도는 현상이 발생됨을 인지해야 된다.
이상에서는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잇수가 서로 다를 경우,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잇수는 동일하나 동력전달기어(170)를 2단으로 구성한 경우를 살펴보았는데,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잇수도 다르고, 동력전달기어(170)도 기어 잇수가 다른 2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경우에는 보다 큰 감속이 요구될 때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감속기(100)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의 "가" 및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작동관계를 보인 A-A선 단면도 및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입력축(150)이 여기서는 미도시된 회전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면 이 축에 편심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기어(170)가 "나" 및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20)의 제1내치기어부(122)를 따라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2내치기어부(142)를 매개로 맞물려 있는 회전체(140)를 회전시키면서 감속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력축(150) 상에 결합되어 있되 상기 동력전달기어(170)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밸런스 기어(160) 또한 제1내치기어부(122)를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데, 이 밸런스 기어(160)는 동력전달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전체적인 밸런스를 맞춰 동력전달기어(170)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이고 소음 발생을 크게 줄이게 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내치기어부(122)와 제2내치기어부(142)는 동일한 PCD를 가지나 기어 잇수가 차이가 나므로 기어 이의 위치가 동일 수직선상에서 어긋나 있게 되는데, 상기 바디(120)에 형성된 제1내치기어부(122)를 따라 동력전달기어(170)가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체(140)에 형성된 제2내치기어부(142)가 지속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회전되면서 감속이 일어나는 것이며, 곧 출력축(146)을 통해 미도시된 기기장치로 감속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기어(170) 및 밸런스 기어(160)의 상측에는 무게를 분산하기 위한 중량부재(180)가 구비되어 같이 회전 작동되므로 고감속이 요구되거나 부하가 걸릴 때 보다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이다.
이때, 바디(120)에 형성된 제1내치기어부(122)의 기어 잇수를 57개, 회전체(140)의 제2내치기어부(142)의 기어 잇수를 56개 및 동력전달기어(170)의 기어 잇수를 47개로 형성하여 동작시키게 되면 56 : 1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동력전달기어(170)를 제1,2내치기어부(122,142)에 내접시킴과 동시에 제1,2내치기어부(122,142)의 기어 잇수를 다르게 하여 제2내치기어부(142)의 위치 보정에 따른 감속 회전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어 잇수가 다른 하우징(110)의 제1내치기어부(122) 및 회전체(140)의 제2내치기어부(142)에 동력전달기어(170)를 동시에 내접시키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고감속비를 작은 외형으로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밸런스 기어(160)가 균형을 맞추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본 발명의 감속기 110 : 하우징
120 : 바디 122 : 제1내치기어부
124 : 안치턱 126 : 관통공
130 : 덮개 140 : 회전체
142 : 제2내치기어부 144 : 끼움홈
146 : 출력축 150 : 입력축
160 : 밸런스 기어 162 : 베어링판
164 : 편심공 170 : 동력전달기어
172 : 베어링판 174 : 편심공
180 : 중량부재 200 : 회전수단

Claims (3)

  1.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하면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벽 하측에는 제1내치기어부가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안치턱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바디 내부로 결합되어 상기 안치턱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내벽에는 제2내치기어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출력축이 구비된 회전체;
    상기 바디의 관통공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끼움홈이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편심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매개로 편심 결합되어 상기 바디 내부에서 제1내치기어부 하측에 내접되는 밸런스(Balance) 기어; 및
    상기 입력축에 편심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매개로 편심 결합되어 상기 밸런스 기어 상단에 위치되면서 상기 바디의 제1내치기어부와 상기 회전체의 제2내치기어부에 동시 내접되되 상기 밸런스 기어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내접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내치기어부의 PCD(피치원지름)와 상기 제2내치기어부의 PCD는 동일하되 기어 잇수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기어와 동력전달기어의 상측에는 내접되는 위치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무게를 분산할 수 있는 중량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내치기어부의 PCD 및 기어 잇수가 동일하면, 상기 동력전달기어를 2단으로 구성하여 그 기어 잇수를 서로 차이가 나도록 형성하여 1단은 상기 제1내치기어부, 2단은 제2내치기어부에 각각 내접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KR1020110089413A 2011-09-05 2011-09-05 감속기 KR20130026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413A KR20130026058A (ko) 2011-09-05 2011-09-05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413A KR20130026058A (ko) 2011-09-05 2011-09-05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58A true KR20130026058A (ko) 2013-03-13

Family

ID=4817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413A KR20130026058A (ko) 2011-09-05 2011-09-05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60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87B1 (ko) 2019-12-04 2020-09-10 주식회사 디알드라이브 이중 편심 구조의 감속기
KR102336717B1 (ko) 2020-06-29 2021-12-08 주식회사 디알드라이브 이중 편심 구조의 감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87B1 (ko) 2019-12-04 2020-09-10 주식회사 디알드라이브 이중 편심 구조의 감속기
KR102336717B1 (ko) 2020-06-29 2021-12-08 주식회사 디알드라이브 이중 편심 구조의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180B2 (en) Epicyclic gear transmission for rotary wing aircraft
JP5840614B2 (ja) 遊星歯車減速機
CN104121335A (zh) 双星轮行星减速机
WO2012029756A1 (ja) 多段減速機
US20150111692A1 (en) Planetary gear train for use with extended length sun in high torque applications
JP2017201207A (ja) 複合型減速機
KR20130026058A (ko) 감속기
CN109723773B (zh) 无级变速器
CN102705452A (zh) 两级锥形内摆线传动装置
CN204553712U (zh) 一种用于海洋平台升降装置的减速器
KR101156176B1 (ko) 전기자동차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TWM553382U (zh) 行星齒輪減速機構
WO2015091405A1 (en) Planetary gear, wind generator having a planetary gear and use of a planetary gear
JP5540442B1 (ja) 増減速機のシリーズと増減速機
CN207921245U (zh) 一种转角行星减速电机
CN107489738B (zh) 一种二级行星齿轮差速减速箱结构
CN104989791B (zh) 行星机构及行星减速器
WO2009110023A1 (ja) 偏心型減速機
CN205534054U (zh) 复合式齿圈行星齿轮变速器
CN101404429A (zh) 多功能模块化组合减速电机
TWM547618U (zh) 一種微型差動諧波減速機
KR100294461B1 (ko) 유성기어와차동기어세트로구성된감속장치
CN208767916U (zh) 一种行星齿轮减速电机
CN107701667B (zh) 一种复合减速器
CN105805243A (zh) 复合式齿圈行星齿轮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