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737A -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737A
KR20130025737A KR1020110089236A KR20110089236A KR20130025737A KR 20130025737 A KR20130025737 A KR 20130025737A KR 1020110089236 A KR1020110089236 A KR 1020110089236A KR 20110089236 A KR20110089236 A KR 20110089236A KR 20130025737 A KR20130025737 A KR 2013002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lame retardant
retardant coating
coating liqui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579B1 (ko
Inventor
신용순
Original Assignee
신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순 filed Critical 신용순
Priority to KR102011008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5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2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zig-zag manner over series of gui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섬유직물과, 섬유직물에 코팅되고, 물과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가 포함된 난연코팅액으로 이루어지되, 난연코팅액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직물은, 섬유직물을 난연코팅액에 담가 다수의 롤러를 이용해 상하로 흔들고 구부리며 짜는 과정을 거치면서 직물의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므로 제조된 제품을 매끄럽게 하고, 절단시 발생하는 깔끄러움을 최대한 방지하며, 뻣뻣함을 유지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며, 난연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NONFLAMMABLE FABRIC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직물을 난연수지에 담궈 다수의 롤러를 이용해 상하로 흔들고 구부리며 짜는 과정을 거치면서 직물의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므로 제조된 제품을 매끄럽게 하고, 절단시 발생하는 깔끄러움을 최대한 방지하며, 뻣뻣함을 유지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화재사고 시 인화성이 강한 섬유직물에 의한 피해확산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바, 근래에 들어서는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재(難燃材)가 부가되어 있는 난연직물이 널리 제안되고 있다.
난연직물은 특수 섬유직물뿐만 아니라 일반 섬유직물에 난연성을 갖는 수지를 코팅하여 불에 잘 타지 않도록 만들어주는 것으로서, 주로 유리섬유 직물류, 부직포, 그외에 난연이 필요한 직물 등을 기본 섬유직물로 채택한다.
이러한 난연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아크릴(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섬유사를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섬유사를 별도의 제직기를 통해 통해 위사와 경사로 구분하여 제직함으로써 직물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제직공정을 통해 1차적으로 섬유직물을 완성한다.
이러한 제직공정을 통해 1차적으로 완성된 섬유직물은 후 가공 처리방법으로써, 별도의 코팅기에서 각 위사와 경사가 상호 응집된 상태로 고착되도록 하여 각 난연사의 풀림을 방지하고 직물 이면에 적절한 뻣뻣함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공정 및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켜 고착시키기 위한 코팅액 건조공정을 거쳐 최종 완성된다.
이때, 난연직물은 적절한 뻣뻣함을 부여하기 위해 섬유직물을 난연수지가 수용된 팬에 담가 코팅 및 건조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기존의 난연직물에 대한 발명이 공개특허공보 제2009-004097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난연직물은 섬유직물의 앞면과 뒷면에 코팅액을 코팅하는 방법, 팬에 담가 코팅하는 방법, 섬유직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난연수지에 통과시키므로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난연수지 조성물 코팅액이 섬유직물에 골고루 스며들지 못하여 절단시 커팅면이 거칠고, 유리 섬유직물인 경우 유리섬유의 노출로 인해 따갑거나 분진이 발생하여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난연직물은 난연코팅액이 섬유직물에 골고루 스며들지 못하므로 화재 발생시 난연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난연코팅액의 성분이 부드럽지 못하여 제조된 난연직물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섬유직물을 난연수지 조성물인 난연코팅액에 담가 다수의 롤러를 이용해 상하로 흔들고 구부리며 짜는 과정을 거치면서 직물의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므로 제조된 제품을 매끄럽게 하고, 절단시 발생하는 깔끄러움을 최대한 방지하며, 뻣뻣함을 유지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며, 난연성능이 우수한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은, 섬유직물; 상기 섬유직물에 코팅되고, 물과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가 포함된 난연코팅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코팅액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연코팅액은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직물은 상기 난연코팅액이 담긴 저장조에 담긴 상태로 롤러 이동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인쇄가 이루어지고, 상기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알루미늄박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장치는,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섬유직물을 난연코팅액이 담긴 저장조에서 상하로 반복이동시켜 섬유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상하이동부; 상기 상하이동부를 거쳐 상기 저장조를 벗어난 섬유직물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짜므로 난연코팅액이 스며드는 것을 도와주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섬유직물을 상기 저장조의 난연코팅액으로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진입롤러; 상기 진입롤러에 감겨진 상태에서 섬유직물을 상측으로 이동하여 난연코팅액에서 흔들고 꺾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감이롤러; 및 상기 감이롤러에서 이동한 섬유직물을 감아주어 상측으로 배출 이동시키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입롤러와 상기 배출롤러는 동일한 설치 높이를 가지며, 상기 감이롤러는 상기 진입롤러와 상기 배출롤러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되,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섬유직물의 일면에 접촉되어 이송하는 제1압착롤러; 및 상기 제1압착롤러에 의해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타면에 접촉되어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을 압착하는 제2압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압착부에서 롤러를 거쳐 이송하는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120 ~ 160℃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하는 제1건조함; 및 상기 제1건조실에서 롤러를 거쳐 이송하는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30 ~ 80℃의 온도에서 송풍 건조하는 제2건조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에서 이송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지를 접착하는 알루미늄박지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알루미늄박지 접착부는, 권취된 알루미늄박지를 공급하는 보조공급롤러; 및 상기 알루미늄박지를 압착하여 난연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접착하는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연코팅액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코팅액에는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방법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난연코팅액을 섬유직물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을 120 ~ 160℃의 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및 열풍건조된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30 ~ 80℃의 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송풍 건조하는 송풍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섬유직물을 저장조에 담긴 난연코팅액 내에서 상하이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켜 섬유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제1코팅단계; 및 상기 상하이동부를 거쳐 저장조에서 배출된 섬유직물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난연코팅액이 스며드는 것을 도와주는 제2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건조단계 후에는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지를 접착하는 알루미늄박지 접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연코팅액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코팅액에는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섬유직물을 난연수지 조성물인 난연코팅액에 담가 다수의 롤러를 이용해 상하로 흔들고 구부리며 짜는 과정을 거치면서 직물의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므로 절단시 발생하는 깔끄러움을 최대한 방지하며, 직물의 뻣뻣함을 유지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코팅액이 섬유직물의 올 내에 골고루 스며들므로 난연직물 절단시 절단면 노출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불연성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코팅액에 부드러운 성분을 갖는 멜라민 또는 수성 아크릴을 더 포함하므로 난연직물이 부드럽고 매끄러운 특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은, 섬유직물(10)과, 섬유직물(10)에 코팅되고, 물과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가 포함된 난연코팅액으로 이루어지되, 난연코팅액은 사용시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더 포함된다.
난연코팅액은 난연직물 사용시 추가적으로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Nitrogen), 요소(Urea)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될 수 있다.
표면처리제는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 alchol, PVA)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표면처리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직물(10)은 난연코팅액이 담긴 저장조(30)에 담긴 상태로 롤러 이동하여 코팅된다.
섬유직물(10)은 유리섬유 직물류, 부직포, 그외에 난연이 필요한 직물 등을 기본 직물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섬유직물(10)은 유리섬유 직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유리 섬유직물에는 본 발명의 코팅방법이 난연성을 높이고, 껄끄러움을 없애는 데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
섬유직물(10)은 저장조(30) 내에서 담긴 상하로 반복 배치된 다수의 진입롤러(42), 감이롤러(44), 배출롤러(46)에 의해 상하이동하면서 섬유 올 사이에 난연코팅액이 골고루 스며들게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이어, 저장조(30)에서 배출된 코팅액이 묻은 섬유직물(10)을 한 쌍의 제1,제2롤러(52)(54) 사이로 이동시켜 압착하여 짜주므로 난연코팅액이 더욱더 스며들게 해준다.
이와 같이, 난연코팅액이 골고루 스며든 섬유직물(10)을 건조시켜 제조된 난연직물을 절단할 때, 절단면에서 섬유 올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껄끄러운 것을 줄여줄 수 있다. 특히, 섬유직물(1)이 유리섬유직물인 경우, 유리 노출을 최소화하여 분진 발생과 껄끄러움을 줄여주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난연코팅액에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더 포함되므로 제조된 난연직물이 뻣뻣함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럽고 매끄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1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인쇄가 이루어지므로 미감을 높여 인테리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인쇄는 1도 인쇄, 2도 인쇄, 3도 인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작업은 인쇄건조함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1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알루미늄박지(81)가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알루미늄박지(81)가 접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알루미늄박지(81)가 코팅된 섬유직물(10)에 접착됨으로 인해 단열성과 난연성을 높일 수 있고, 미적 효과, 인테리어 효과와 차광, 차열, 차냉 효과를 지니므로 차단막에 적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장치는, 공급롤러(20)에서 공급되는 섬유직물(10)을 난연코팅액이 담긴 저장조(30)에서 상하로 반복이동시켜 섬유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상하이동부(40)와, 상하이동부(40)를 거쳐 저장조(30)를 벗어난 섬유직물(10)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짜므로 섬유직물에 난연코팅액이 스며드는 것을 도와주는 압착부(50)와, 압착부(50)를 통과한 섬유직물(10)과 난연코팅액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저수조(30)는 상하이동부(40)와 압착부(50)가 각각 마련된 제1저수조(32)와 제2저수조(3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수조(30)의 개수를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저수조(32)와 제2저수조(34)에 각각 저장된 난연코팅액은 배합비율이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제1저수조(32)의 난연코팅액은 난연성을 더 높이고, 제2저수조(34)의 난연코팅액은 매끄러운 특성을 더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이동부(40)는 섬유직물(10)을 저장조(30)의 난연코팅액으로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진입롤러(42)와, 진입롤러(42)에 감겨진 상태에서 섬유직물(10)을 상측으로 이동하여 난연코팅액에서 흔들고 꺾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감이롤러(44)와, 감이롤러(44)에서 이동한 섬유직물(10)을 감아주어 상측으로 배출 이동시키는 배출롤러(46)를 포함한다.
진입롤러(42)와 배출롤러(46)는 동일한 설치 높이를 가지며, 감이롤러(44)는 진입롤러(42)와 배출롤러(46)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되,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압착부(50)는 섬유직물(10)의 일면에 접촉되어 이송하는 제1압착롤러(52)와, 제1압착롤러(52)에 의해 이송하는 섬유직물(10)의 타면에 접촉되어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을 압착하여 짜내는 제2압착롤러(54)를 포함한다.
섬유직물(10)은 진입롤러(42), 감이롤러(44), 배출롤러(46)를 이용해 난연코팅액 내에서 상하로 흔들고 구부리면서 유동을 발생시키고, 제1압착롤러(52)와 제2압착롤러(54)에서 짜는 과정을 거치면서 직물의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므로 직물의 뻣뻣함을 유지하면서도 절단시 발생하는 깔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부(60)는 압착부(50)에서 롤러(66)를 거쳐 이송하는 섬유직물(10)과 난연코팅액을 120 ~ 160℃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하는 제1건조함(62)과, 제1건조실(62)에서 롤러(66)를 거쳐 이송하는 섬유직물(10)과 난연코팅액을 40 ~ 80℃의 온도에서 송풍 건조하는 제2건조함(64)을 포함한다.
제1,제2건조함(62)(64)은 케이스 또는 하우징 형태의 건조실을 의미하며, 열을 발생하는 열 발생장치 및 송풍장치가 내부에 각각 구비된다.
건조부(60)에서 이송되는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1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지(81)를 접착하는 알루미늄박지 접착부(80)가 구비된다.
알루미늄박지 접착부(80)는 권취된 알루미늄박지(81)를 공급하는 보조공급롤러(82)와, 알루미늄박지(81)를 압착하여 섬유직물(1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접착하는 압착롤러(84)를 포함한다.
알루미늄박지 접착부(80)를 거쳐 이송하는 알루미늄박지(81)가 접착된 섬유직물(10)을 구동부(88)에 의해 벨트 구동하는 권취롤러(86)에 감아줌으로써 난연직물을 제조한다.
이때, 알루미늄박지 접착부(80)는 필요에 따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난연코팅액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난연코팅액에는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직물 제조방법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난연코팅액을 섬유직물(10)에 코팅하는 코팅단계(S10)와,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10)을 120 ~ 160℃의 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S20)와, 열풍건조된 섬유직물(10)과 난연코팅액을 30 ~ 80℃의 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송풍 건조하는 송풍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코팅단계(S10)는 섬유직물(10)을 저장조(30)에 담긴 난연코팅액 내에서 상하이동부(40)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켜 섬유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제1코팅단계(S12)와, 상하이동부(10)를 거쳐 저장조(30)에서 배출된 섬유직물(10)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난연코팅액이 스며드는 것을 도와주는 제2코팅단계(S30)를 포함한다.
제1코팅단계(S12)와 제2코팅단계(S30)는 2개 이상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건조단계(S30) 후에는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인쇄하는 인쇄단계(S40)와,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지(81)를 접착하는 알루미늄박지 접착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박지 접착단계(S50)는 필요에 따라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난연코팅액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난연코팅액에는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섬유직물 20 : 공급롤러
30 : 저장조 40 : 상하이동부
42 : 진입롤러 44 : 감이롤러
46 : 배출롤러 50 : 압착부
52 : 제1압착롤러 54 : 제2압착롤러
60 : 건조부 70 : 인쇄부
80 : 알루미늄박지 접착부 82 : 보조공급롤러 :
84 : 압착롤러 86 : 권취롤러

Claims (15)

  1. 섬유직물;
    상기 섬유직물에 코팅되고, 물과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가 포함된 난연코팅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코팅액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코팅액은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직물은 상기 난연코팅액이 담긴 저장조에 담긴 상태로 롤러 이동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인쇄가 이루어지고,
    상기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알루미늄박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5.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섬유직물을 난연코팅액이 담긴 저장조에서 상하로 반복이동시켜 섬유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상하이동부;
    상기 상하이동부를 거쳐 상기 저장조를 벗어난 섬유직물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짜므로 난연코팅액이 스며드는 것을 도와주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섬유직물을 상기 저장조의 난연코팅액으로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진입롤러;
    상기 진입롤러에 감겨진 상태에서 섬유직물을 상측으로 이동하여 난연코팅액에서 흔들고 꺾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감이롤러; 및
    상기 감이롤러에서 이동한 섬유직물을 감아주어 상측으로 배출 이동시키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롤러와 상기 배출롤러는 동일한 설치 높이를 가지며,
    상기 감이롤러는 상기 진입롤러와 상기 배출롤러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되,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섬유직물의 일면에 접촉되어 이송하는 제1압착롤러; 및
    상기 제1압착롤러에 의해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타면에 접촉되어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을 압착하는 제2압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압착부에서 롤러를 거쳐 이송하는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120 ~ 160℃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하는 제1건조함; 및
    상기 제1건조실에서 롤러를 거쳐 이송하는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30 ~ 80℃의 온도에서 송풍 건조하는 제2건조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에서 이송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지를 접착하는 알루미늄박지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알루미늄박지 접착부는,
    권취된 알루미늄박지를 공급하는 보조공급롤러; 및
    상기 알루미늄박지를 압착하여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접착하는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11.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코팅액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코팅액에는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장치.
  12.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난연코팅액을 섬유직물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난연코팅액이 코팅된 섬유직물을 120 ~ 160℃의 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및
    열풍건조된 섬유직물과 난연코팅액을 30 ~ 80℃의 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송풍 건조하는 송풍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섬유직물을 저장조에 담긴 난연코팅액 내에서 상하이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켜 섬유 올 사이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제1코팅단계; 및
    상기 상하이동부를 거쳐 저장조에서 배출된 섬유직물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난연코팅액이 스며드는 것을 도와주는 제2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건조단계 후에는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이송하는 섬유직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지를 접착하는 알루미늄박지 접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방법.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코팅액은 멜라민, 수성 아크릴 중 하나 이상 포함되고,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코팅액에는 난연성을 높이도록 오산화인(P2O5), 질소,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직물 제조방법.
KR1020110089236A 2011-09-02 2011-09-02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236A KR101344579B1 (ko) 2011-09-02 2011-09-02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236A KR101344579B1 (ko) 2011-09-02 2011-09-02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737A true KR20130025737A (ko) 2013-03-12
KR101344579B1 KR101344579B1 (ko) 2013-12-26

Family

ID=4817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236A KR101344579B1 (ko) 2011-09-02 2011-09-02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12B1 (ko) * 2013-10-01 2014-12-05 신용순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017937A (ko) * 2014-08-07 2016-02-17 (주) 엔에스아이코리아 난연성 면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028995A (ko) * 2016-01-22 2018-03-19 강민패브릭(주) 빈티지 직물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빈티지 직물
KR102183631B1 (ko) * 2019-07-02 2020-11-26 국방과학연구소 난연성 그래핀 기반 복합 섬유, 이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48B1 (ko) 2007-09-18 2008-03-12 강수행 난연성 및 통기성을 갖는 환경친화적 패블릭 섬유소재 및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12B1 (ko) * 2013-10-01 2014-12-05 신용순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017937A (ko) * 2014-08-07 2016-02-17 (주) 엔에스아이코리아 난연성 면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028995A (ko) * 2016-01-22 2018-03-19 강민패브릭(주) 빈티지 직물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빈티지 직물
KR102183631B1 (ko) * 2019-07-02 2020-11-26 국방과학연구소 난연성 그래핀 기반 복합 섬유, 이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579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711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318711B2 (en) Production method for fire resistant article
KR101344579B1 (ko)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RU2527367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кожа со сверхтонкими волокнам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4324827A (en) Water-proof, fuse-bonding fabric
KR101515803B1 (ko) 침지방식을 이용한 에어로겔이 함침된 단열원단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13780B1 (ko) 보푸라기 방지용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우븐 바닥장식재
CN107548420B (zh) 新型uhmwpe纤维及生产方法
KR101423398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1469515A (zh) 阻燃皮革及其制造方法
US11015269B2 (en) Velour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velour fabric
CN106256941A (zh) 一种用于涂层织物的基布生产工艺及其应用
CN1646755A (zh) 垫罩及其制备方法,以及垫子
MX2014008200A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on de una cinta adhesiva textil que se puede desgarrar a mano.
JP6074445B2 (ja) 防炎段ボ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0413B1 (ko) 포름알데히드 방출방지를 위한 코팅제가 처리된 가공섬유벽지의 제조방법
KR101246736B1 (ko) 수성발포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0616B1 (ko) 수세 가공 및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5683433B (zh) 基于植物纤维的可绘布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21551Y1 (ko) 싸이징기와 일체로 형성된 원사 표면 수분 공급장치
JP6833889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の織物パッドテープの製造方法
KR101039739B1 (ko) 발포수지가 함침된 재봉사 및 그를 이용한 재봉사 제조방법
KR101937967B1 (ko) 잉크젯 출력용 원단 제조방법
KR101486139B1 (ko)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불연 단열시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