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36A -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536A
KR20130025536A KR1020110088902A KR20110088902A KR20130025536A KR 20130025536 A KR20130025536 A KR 20130025536A KR 1020110088902 A KR1020110088902 A KR 1020110088902A KR 20110088902 A KR20110088902 A KR 20110088902A KR 20130025536 A KR20130025536 A KR 2013002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transition metal
dioxide powder
doped
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평수
Original Assignee
(주)현대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단조 filed Critical (주)현대단조
Priority to KR102011008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536A/ko
Priority to PCT/KR2012/006956 priority patent/WO2013032253A2/ko
Publication of KR2013002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01G23/08Drying; Calcining ; After treatment of tita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2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4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27Powdering
    • B01J37/0036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4Mix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Ti을 열처리하고 가압하여 루타일상의 이산화티타늄(TiO2)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이산화티타늄분말을 분쇄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전이금속(M)이 0.01~0.1mol%로 포함되도록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과 전이금속(M)을 혼합하여 도핑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전이금속(M)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형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는 0.01≤x≤0.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A Titanium Dioxid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타늄 금속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산화티탄을 만드는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촉매제인 이산화티타늄(TiO2)분말은 인체 또는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물질, 예컨대 유기 할로겐 화합물, 악취 가스, 오일류, 세균류, 균류 및 조류 등을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오폐수, 매립지 침수 등 난분해서 유기물을 포함한 폐수의 수질정화, 배기가스 및 실내 공기정화, 조명기구, 위생도기 등의 항균, 방취 등의 환경제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광촉매제는 고도산화처리방식(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에 사용되는데, 이 때에 광촉매제는 환경오염물을 상온에서 완전히 분해하기 위해 특정 파장대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환경오염물을 분해시키는 보조물로서 작용한다. 또한, 그 처리효율이 높고 반응생성물이 부수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응공정이 간소하여 환경오염물을 신속하게 분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산화티타늄 분말은 그 결정구조에 따라 크게 루타일(rutile)구조와 아나타제(anatase)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아나타제상 이산화티타늄은 비교적 광활성도가 높아 트리클로로에텐을 광분해시키는 시스템과 태양에너지 변화시스템 등에서 광촉매제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광촉매용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방법으로는, 염소법(chloride process), 황산법(sulfate process) 및 졸-겔법(sol-gel process)이 있다. 우선, 황산법은, 티타늄원석인 일메나이트(ilmenite)를 분쇄한 후에 황산에 용해시켜 완전히 녹지 않은 고체상태로부터 액상의 TiO2를 얻고 이를 가수분해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가수분해 후에 수한화물을 하소/분쇄과정을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그 과정에서 많은 불순물들의 혼입으로 인해 최종 제품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염소법은, 일메나이트에 염소가스를 반응시켜 사염화티타늄(TiCl4)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산소가스와 반응시킴으로써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타늄(TiO2)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반응 중에 위험성이 높은 부식성가스(HCl, Cl2)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보호설비가 요구되며, 원료가 풍부하지 못해, 생산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우수한 광촉매제로 알려진 독일 데구사(Degussa)의 P-25는 이러한 염소법으로 제조된 것이나, 광활성화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졸-젤법은 고순도 광촉매용 이산화티타늄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 품질이 정교하고 공정상 물성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출발물질인 티타늄알콕사이드(Ti(OC3H7)4), Ti(OC2H5)4)가 고가이며, 그 독성과 안정성이 문제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광촉매용 이산화티타늄(TiO2)제조공정은 복잡하면서 큰 비용이 소모되거나, 취급물질과 공정이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우수한 광활성도와 광효율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보다 간소한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05396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안전하고 간단하게 티타늄 단조공정에 의한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Ti을 열처리하고 가압하여 루타일상의 이산화티타늄(TiO2)을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이산화티타늄분말을 분쇄하는 제 2단계;
상기 전이금속(M)이 0.01~0.1mol%로 포함되도록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과 전이금속(M)을 혼합하여 도핑하는 제 3단계; 그리고,
상기 전이금속(M)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형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는 0.01≤x≤0.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이금속(M)은 Pt, Pd, Ru, Cr, Ni, Mo, V, Nb, Mn, Si 및 Al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열은 상압로에서 0.1 내지 100℃/min으로 500 내지 1300℃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압은 10 내지 500㎫의 압력으로 100 내지 1000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티타늄 단조공정에 의한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티타늄에 열을 가하는 공정 상에서 직접산화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금속이 도핑된 TiO2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다른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공정의 안정성과 실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진 이산화티탄늄 분말은 전이금속의 도핑효과를 통해 가시광선에서도 작용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광활성화도와 광효율을 갖는 광촉매제로서도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티타늄분말을 X-ray 회절분석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인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티타늄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티타늄분말을 열분석(TG/DSC)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이산화티타늄분말의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i을 열처리하고 가압하여 루타일상의 이산화티타늄(TiO2)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분쇄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전이금속(M)이 0.01~0.1mol%로 포함되도록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과 전이금속(M)을 혼합하여 도핑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전이금속(M)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형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x의 범위는 0.01≤x≤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인 이산화티타늄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티타늄이 마련된다. 상기 티타늄을 열처리하고 가압한다(S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처리는 상기 티타늄을 상압로에서 승온온도 0.1 내지 100℃/min으로 500 내지 1300℃에서 유지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은 상기 예열된 티타늄을 10 내지 500㎫의 압력으로 100 내지 1000초 동안 유지하여 처리한다.
이렇게 하면, 각 조건에서 티타늄이 표면에서 산화반응이 자발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이산화티타늄이 만들어진다(S2).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공기압을 가하여 공기를 불어줄 수 있다. 여기서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분말은 각 조건에 따라서 분말의 결정상, 크기 및 분포, 모양이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분쇄한다(S3). 이때, 제조된 이산화티탄분말을 회수하여 볼밀로 분쇄하여 각 크기별로 분급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된 이산화티타늄을 전이금속과 혼합한다(S4). 이때,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과 전이금속(M)의 혼합물에 기계적 합금법을 적용하여, 전이금속(M)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합금법을 구현하기 위해, 볼밀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밀링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과 볼의 중량비를 13:1~25:1로 하는 조건에서 실시하며, 본 발명에 채용되는 볼밀링 공정은 100~300rpm의 회전속도로 적어도 8시간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볼밀링에 사용되는 볼로는 STS 313 물질로 이루어지고 2~16인치(JIS규격)인 연마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이금속(M)은 Fe, Cr, V, Nb, Sb, Sn, Si 및 A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TiO2분말과 전이금속(M)의 혼합비율은 전체 혼합물에서 전이금속이 0.01 ~ 1mol%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이금속이 0.01mol% 미만일 경우에는 도핑효과가 거의 없으며, 1m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이산화티탄늄 산화물의 결정구조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전이금속 도핑공정을 통해, 전이금속(M)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얻을 수 있다. 전이금속이 도핑되지 않은 통상의 이산화티타늄의 에너지밴드갭은 자외선대역(~380㎚)에만 한정되어 태양광에 대한 반응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전이금속을 도핑하여 TiO2의 에너지밴드갭을 낮춤으로써 가시광선대역의 파장도 흡수할 수 있는 광효율성이 대폭 개선된 새로운 형태의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제공할 수 있다.
완료된 전이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 분말(Ti1-xMxO2)을 수거하여, XRD를 통하여 상분석을 실시하였다.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를 통해 조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ET(Brunauer-Emmett-Teller) 표면적 분석기를 통하여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ICP 조성분석결과, 도핑된 전이금속함량은 6.445wt%로 나타났으며, BET측정결과가 비표면적이 약 160m2/g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도 2는 본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분말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4)

  1. Ti을 열처리하고 가압하여 루타일상의 이산화티타늄(TiO2)을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이산화티타늄분말을 분쇄하는 제 2단계;
    상기 전이금속(M)이 0.01~0.1mol%로 포함되도록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과 전이금속(M)을 혼합하여 도핑하는 제 3단계; 그리고,
    상기 전이금속(M)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1-xMxO2)을 형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는 0.01≤x≤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M)은 Pt, Pd, Ru, Cr, Ni, Mo, V, Nb, Mn, Si 및 Al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열은 상압로에서 0.1 내지 100℃/min으로 500 내지 1300℃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압은 10 내지 500㎫의 압력으로 100 내지 1000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분말 제조방법.
KR1020110088902A 2011-09-02 2011-09-02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KR20130025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02A KR20130025536A (ko) 2011-09-02 2011-09-02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PCT/KR2012/006956 WO2013032253A2 (ko) 2011-09-02 2012-08-30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02A KR20130025536A (ko) 2011-09-02 2011-09-02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36A true KR20130025536A (ko) 2013-03-12

Family

ID=4775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902A KR20130025536A (ko) 2011-09-02 2011-09-02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25536A (ko)
WO (1) WO201303225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49A1 (ko) * 2018-06-19 2019-12-26 주식회사 카리스 질소산화물 제거 가능한 광촉매 및 가드레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911B1 (ko) * 2003-05-20 2011-02-23 하진욱 티타늄 금속판을 산화처리한 이산화티타늄판
KR100539613B1 (ko) * 2003-08-28 2005-12-29 학교법인 한양학원 광촉매제용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분말
CN101065325B (zh) * 2004-10-14 2010-08-11 托库森美国股份有限公司 纳米尺寸二氧化钛颗粒的合成方法
KR100803738B1 (ko) * 2006-08-31 2008-02-15 오한준 티타늄-페르옥시겔을 이용한 산화티타늄 광촉매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49A1 (ko) * 2018-06-19 2019-12-26 주식회사 카리스 질소산화물 제거 가능한 광촉매 및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253A9 (ko) 2013-04-25
WO2013032253A2 (ko) 2013-03-07
WO2013032253A3 (ko)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nasu et al. Solvothermal synthesis of BiOBr photocatalyst with an assistant of PVP for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fluoroquinolone antibiotics
Samsudin et al. Synergetic effects in novel hydrogenated F-doped TiO2 photocatalysts
Fagan et al. Improved high temperature stability of anatase TiO2 photocatalysts by N, F, P co-doping
Yu et al. Fabrication and enhanced visible-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of carbon self-doped TiO 2 sheets with exposed {001} facets
Chakraborty et al. Formation of highly crystallized TiO2 (B) and its photocatalytic behavior
Valencia et al. Sol–gel and low-temperature solvothermal synthesis of photoactive nano-titanium dioxide
Hou et al. Bismuth titanate pyrochlore microspheres: Directed synthesis and their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Elghniji et al. Sol–gel reverse micell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doped TiO2: Efficient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in water under visible light
W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iO2 nanoparticles by two different precipitation methods
Razali et al.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study of transition metal ions doped TiO2 nanotubes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Bubacz et al. Studies on nitrogen modified TiO2 photocatalyst prepared in different conditions
He et al. Prepar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anatase TiO2 nanocrystallites with high thermal stability
Wu et al. A facile approach to synthesize N and B co-doped TiO2 nanomaterials with superior visible-light response
Rajar et al. Degradation of 4-chlorophenol under sunlight using ZnO nanoparticles as catalysts
Zou et al. Visible light photocatalysts (Fe, N): TiO2 from ammonothermally processed, solvothermal self-assembly derived Fe-TiO2 mesoporous microspheres
Yoon et al.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highly transparent and mesoporous molybdenum-doped titania films fabricated by templating cellulose nanocrystals
Jeong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Cr and Fe co-doped TiO2 nanoparticle photocatalyst
Phuruangrat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Ce doped Bi 2 MoO 6 nanoplates
Bian et al. Self-assembly of BixTi1− xO2 visible photocatalyst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enhanced activity
KR20130025536A (ko)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Isleyen et al. V 2 O 5-TiO 2 heterostructural semiconductors: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elimination of organic contaminant
KR100609132B1 (ko) 니켈을 함유하는 복합상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제조방법
Zhang et al.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on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CaSb2O6 nanoparticles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KR100510052B1 (ko) 전이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 분말 및 그 제조방법
Calatayud et al. Mesocrystalline Cr and Sb-codoped anatase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