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24A - 철근고정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철근고정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524A
KR20130025524A KR1020110088882A KR20110088882A KR20130025524A KR 20130025524 A KR20130025524 A KR 20130025524A KR 1020110088882 A KR1020110088882 A KR 1020110088882A KR 20110088882 A KR20110088882 A KR 20110088882A KR 20130025524 A KR20130025524 A KR 2013002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einforcing bar
sleeve
reba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078B1 (ko
Inventor
윤현기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11008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고정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을 철골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철골에 용접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볼트 결합부와, 상기 철근과 나사 결합하는 철근 결합부를 구비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근고정용 슬리브{SLEEVE USDE FOR FIXING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철근고정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형봉강, 원형봉강과 같은 철근을 H빔, I빔, 강관 등의 철골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 등이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조성물이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비교적 높으나 그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에는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구조가 건물의 축조에 사용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거푸집 내에 이형봉강 또는 원형봉강과 같은 철근이 설치된 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주입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우수한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를 보유하기 때문에 건축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이러한 장점 외에 단점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넓은 단면적과 큰 중량을 갖는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구조가 건물의 기둥에 사용되면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상기 기둥이 굵어지고, 이로써 건물의 실사용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휘어지는 성질을 갖지 않기 때문에 고층 건물에 부적합하다.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콘트리트구조와 철골구조를 혼합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결점 및 철골구조의 결점을 보완한다. 한편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철골구조의 혼합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상기 혼합은 건물의 하층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가 사용되고 상층에는 철골구조가 사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기둥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고 보를 철골구조로 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는 이형봉강, 원형봉강과 같은 철근이 H빔, I빔, 강관 등의 철골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하, 철근을 철골에 고정하는 종래의 슬리브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철근(20)을 철골(30)에 고정하는 종래의 슬리브(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2)을 구비한다. 상기 중공(12)의 양단은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중공(12)을 형성하는 슬리브(10)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철근(20)을 철골(3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슬리브(10)가 철골(30)의 외면에 용접된다. 그리고 용접이 완료되면 철근(20)을 회전시킴으로써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철근(20)의 삽입부를 상기 중공(12)에 삽입시킨다. 철근(20)의 삽입부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30)의 외면과 맞닿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리브(10)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철근(20)의 삽입부와 철골(30)의 외면이 맞닿은 후에도 소정의 회전력을 철근(20)에 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철근(20)이 철골(30)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철골(30)과 슬리브(10) 간에는 척력이 계속하여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에 따르면, 슬리브(10)를 철골(30)에 용접할 때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슬리브(10)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이 슬리브를 통해 철골에 고정되었을 때 슬리브와 철골 간에 척력이 계속하여 작용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슬리브와 철골 간 용접 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슬리브에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철근고정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근을 철골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철골에 용접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볼트 결합부와, 상기 철근과 나사 결합하는 철근 결합부를 구비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볼트는 철근에 비해 무른 성질을 갖기 때문에 볼트의 나사산부는 충분한 강도를 위해 철근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에 상기 볼트 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철근 결합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볼트는, 상기 철골에 용접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나사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직경은 상기 나사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볼트의 나사산부가 상기 너트의 볼트 결합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너트는 볼트의 헤드부만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철골과 볼트 간에 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너트의 길이는 상기 철근의 부위 중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부위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철근의 고정이 상기 너트의 회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이 철골에 고정되었을 때 슬리브와 철골 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가 철골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시 발생하는 응력으로 인해 너트가 변형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철근고정용 슬리브를 사용하여 철근을 철골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용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용 슬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용 슬리브(100)는 이형봉강, 원형봉강과 같은 철근(20)을 H빔, I빔, 강관 등의 철골(30)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10)와 결합 너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110)는 헤드부(112)와 나사산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12)는 철골(30)에 용접된다. 나사산부(114)는 헤드부(112)로부터 연장하고, 헤드부(112)와 일체를 이루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 너트(120)는 볼트 결합부(122)와 철근 결합부(124)를 포함한다. 볼트 결합부(122)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110)의 나사산부(114)와 나사 결합한다. 철근 결합부(124)는 중공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철근(20)의 부위와 나사 결합한다. 볼트 결합부(122)의 중공과 철근 결합부(124)의 중공은 서로 연통한다.
용접에 사용되는 철은 그렇지 않은 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당량값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볼트(110)는 철근(20)에 비해 무른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볼트(110)의 나사산부(114)는 충분한 강도를 갖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철근(20)의 부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볼트 결합부(122)의 내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결합부(12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100)를 이용할 경우, 철근(20)은 철근(20)의 회전 또는 결합 너트(120)의 회전을 통해 철골(30)에 고정될 수 있다.
철근(20)의 회전을 통해 철근(20)을 고정할 경우에는, 결합 너트(120)의 볼트 결합부(122)를 볼트(110)에 먼저 체결한 후 철근(20)을 회전하여 결합 너트(120)의 철근 결합부(124)에 체결한다.
반면 결합 너트(120)의 회전을 통해 철근(20)을 고정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10)의 나사산부(114)와 철근(20)을 접촉시킨 후 결합 너트(120)를 회전하여 결합 너트(120)의 볼트 결합부(122)를 볼트(110)의 나사산부(114)에 체결한다.
결합 너트(120)의 길이(L2)가 철근(20)의 부위 중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부위의 길이(L1)보다 길면 철근(20)의 단부가 너트(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철근(20)에 미리 체결되어 있는 결합 너트(120)를 회전하여 볼트 결합부(122)와 볼트(110)의 나사산부(114)를 체결시킨 후 철근(20)을 회전하여야 상기 나사산부(114)와 철근(20)이 맞닿게 된다. 즉, 철근(20)의 고정이 결합 너트(120)의 회전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결합 너트(120)의 길이(L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20)의 부위 중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부위의 길이(L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철근(20)의 고정 시 사용될 수 있는 위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하더라도 결합 너트(120)의 회전은 이루어진다. 그리고 결합 너트(120)와 철골(30)이 맞닿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합 너트(120)에 회전력을 가하면 철골(30)과 볼트(110) 간에 척력이 계속하여 작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볼트(110)의 헤드부(112)는 나사산부(11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볼트(110)의 나사산부(114)가 결합 너트(120)의 볼트 결합부(12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합 너트(120)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결합 너트(120)는 볼트(110)의 헤드부(112)만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철골(30)과 볼트(110) 간에 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미설명 도면 부호 40은 잠금 너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0 : 철근 30 : 철골
100 : 슬리브 110 : 볼트
112 : 헤드부 114 : 나사산부
120 : 결합 너트 122 : 볼트 결합부
124 : 철근 결합부

Claims (4)

  1. 철근을 철골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로서,
    상기 철골에 용접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볼트 결합부와, 상기 철근과 나사 결합하는 철근 결합부를 구비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철근 결합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철골에 용접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직경은 상기 나사산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길이는 상기 철근의 부위 중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부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고정용 슬리브.
KR1020110088882A 2011-09-02 2011-09-02 철근고정용 슬리브 KR10132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82A KR101328078B1 (ko) 2011-09-02 2011-09-02 철근고정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82A KR101328078B1 (ko) 2011-09-02 2011-09-02 철근고정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24A true KR20130025524A (ko) 2013-03-12
KR101328078B1 KR101328078B1 (ko) 2013-11-13

Family

ID=4817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882A KR101328078B1 (ko) 2011-09-02 2011-09-02 철근고정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3112A1 (de) 2013-03-11 2014-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abgebende Dioden-(LED)-Beleu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KR101509480B1 (ko) * 2013-09-09 2015-04-10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연결용 커플러 고정 및 유동 방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시공법
CN104594565A (zh) * 2015-01-28 2015-05-06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梁纵向钢筋与铸钢节点连接装置及连接方法
KR20160039841A (ko) * 2014-10-02 2016-04-12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나선철근용 철근정착장치
CN109296139A (zh) * 2018-11-20 2019-02-01 深圳海龙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连接的连接结构
CN114517562A (zh) * 2020-11-20 2022-05-20 林恕如 钢筋锚定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906A (ja) * 1998-09-07 2000-05-26 Sumitomo Metal Ind Ltd Cft構造の柱とsrc構造のはりとの柱・はり接合部およびはり主筋定着金具
JP2002138579A (ja) * 2000-11-07 2002-05-14 Tokyo Tekko Co Ltd 鋼管柱又は鉄骨柱と梁鉄筋の接合方式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3112A1 (de) 2013-03-11 2014-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abgebende Dioden-(LED)-Beleu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KR101509480B1 (ko) * 2013-09-09 2015-04-10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연결용 커플러 고정 및 유동 방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시공법
KR20160039841A (ko) * 2014-10-02 2016-04-12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나선철근용 철근정착장치
CN104594565A (zh) * 2015-01-28 2015-05-06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梁纵向钢筋与铸钢节点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09296139A (zh) * 2018-11-20 2019-02-01 深圳海龙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连接的连接结构
CN114517562A (zh) * 2020-11-20 2022-05-20 林恕如 钢筋锚定系统及方法
US11414867B2 (en) * 2020-11-20 2022-08-16 Su-I Lim Rebar 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20220341169A1 (en) * 2020-11-20 2022-10-27 Su-I Lim Rebar 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11718990B2 (en) * 2020-11-20 2023-08-08 Su-I Lim Rebar ancho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078B1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8B1 (ko) 철근고정용 슬리브
US8069624B1 (en) Pocketformer assembly for a post-tension anchor system
WO2018233440A1 (zh) 预应力装配式混凝土框架节点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00076576A (ko) 횡구속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CN104878948A (zh) 一种钢筋混凝土框架梁负弯矩区的加固方法及加固装置
US11718990B2 (en) Rebar anchoring method
CN110700082A (zh) 一种sma-ecc自复位圆钢管约束钢筋混凝土桥墩的柱脚节点
JP2005023726A (ja) 桁と床版の接合構造及び桁と床版の接合方法
CN108396955A (zh) 工具式连墙件及其施工工艺
KR20130074281A (ko) 목재 충전 강관
CN1987013A (zh) 钢管约束钢筋高强混凝土柱
CN201649686U (zh) 抗震加固新型构造柱
CN111236541A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连接用全灌浆套筒组件及其施工方法
JPH10197427A (ja) アンカーとコンクリートとの剪断方向支持能力検定機
JP2006342497A (ja) 鉄骨柱脚の基礎構造
CN210622270U (zh) 一种适用于剪力墙的脚手架
CN103195235A (zh) 装卸式钢板型钢夹具的设计与计算
KR20080002694U (ko) 철근트러스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의 연결구
JP2006299628A (ja) インサート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荷重物の支持工法
CN111255162A (zh) 一种装配式建筑用半灌浆套筒组件及其施工方法
JP2004270416A (ja) 大径支圧板付の杭およびその杭頭接合構造
JP2001254317A (ja) 吊形式橋梁における吊材の橋桁材への定着構造
KR101249129B1 (ko) 나사산 철근을 이용한 기초 앵커 볼트
CN201007058Y (zh) 精轧螺纹钢筋锚锭物
KR20130025523A (ko) 철근고정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