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461A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461A
KR20130025461A KR1020110088754A KR20110088754A KR20130025461A KR 20130025461 A KR20130025461 A KR 20130025461A KR 1020110088754 A KR1020110088754 A KR 1020110088754A KR 20110088754 A KR20110088754 A KR 20110088754A KR 20130025461 A KR20130025461 A KR 2013002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lip
support
us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철
박웅
Original Assignee
박은철
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철, 박웅 filed Critical 박은철
Priority to KR102011008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461A/ko
Publication of KR2013002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11Lip- or moustache-protecting devices for drinking glasses; Strainers set in a movable or fixed manner in the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고 그 상단부가 개방된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용 용기 내의 음료 등 내용물을 정확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흘리는 일이 없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스톱퍼 역할을 하여 음료용 용기와 이빨 간의 충돌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Drin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를 마련한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나 국그릇 등과 같은 음료용 용기는 내부에 음료나 식품 등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부가 개방된 모든 것을 일컫는다.
예컨대, 컵은 주로 물이나 음료를 수용하여 마실 수 있도록 개방된 상단부가 라운드진 원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컵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통 컵의 상단부를 입에 대고 음료 등을 마시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음료용 용기 사용자들 중에는 아랫입술이 돌출된 구강 구조를 가지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또는 아랫니가 돌출되어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컵이나 국그릇 등과 같은 음료용 용기는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강 구조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보통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를 입에 대고 음료를 마시는 동안 음료가 음료용 용기와 입술 사이로 흘러내려 의복으로 떨어지면서 의복을 오염시키는 경우도 있고, 또는 음료용 용기를 급격하게 입으로 갖다 댈 경우 음료용 용기와 이빨이 충돌되면서 이빨에 손상을 가져오는 위험도 있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음료용 용기에 입술을 대고 음료를 마시는 동작이 미숙할 수 있고, 치매나 노환 증세가 있는 노인이나 지적 장애인 등의 경우도 역시 음료용 용기에 입술을 대고 음료를 마시는 동작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이나 국그릇 등과 같은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용 용기 내의 음료 등 내용물을 정확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흘리는 일이 없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스톱퍼 역할을 하여 음료용 용기와 이빨 간의 충돌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고 그 상단부가 개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의 선단부에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아랫입술의 형상에 대응해서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 테두리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용기는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용 용기 내의 음료 등 내용물을 정확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흘리는 일이 없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스톱퍼 역할을 하여 음료용 용기와 이빨 간의 충돌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 치매나 노환 증세가 있는 노인이나 지적 장애인 등에게는 입술받침부에 아랫입술을 갖다대고 음료를 마시는 동작을 숙달시킴으로써 음료를 흘리지 않고 음료용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를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를 나타낸 제2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를 나타낸 제3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10)는 음료용 용기(10)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20)를 마련한 것이다.
도 2의 사시도 (a)와 평면도 (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1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고 그 상단부가 개방된 음료용 용기(10)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20)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입술받침부(20)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로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아랫입술 형상에 대응해서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의 입술받침부(20)는 사용자가 컵에 입술을 갖다 댈 경우 정확하게 아랫입술이 상기 입술받침부(20)의 상단부에 걸리는 스톱퍼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시도 (a)와 평면도 (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입술받침부(30)는 음료용 용기(1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용 용기(10)의 외주면에 맞닿는 상기 입술받침부(30)의 선단부에는 음료용 용기(1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공기 흡착 방식 또는 접착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시도 (a)와 평면도 (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입술받침부(40)는 음료용 용기(10)의 외주면 테두리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음료용 용기(10)는 그 내부 공간에 음료 등을 수용하여 사용자가 음용하고자 할 경우 음료용 용기(10)의 상단부로 입술을 갖다 대면 상기 입술받침부(20,30,40)가 정확하게 아랫입술을 떠받치면서 이 아랫입술과 음료용 용기(10)의 상단부 간이 정확하게 맞닿게 되어 서로 간의 틈새가 허용되지 않는 상태로 음료를 음용하게 되면서 음용 중에 음료가 입술과 음료용 용기(10) 사이를 통해 흘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착탈 가능한 분리 구조의 입술받침부(30)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게 음료용 용기(10)의 외주면 정확한 위치로 상기 입출받침부(30)를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 형상의 입술받침부(40)를 통해서는 음료용 용기(10)의 어느 방향으로도 음용이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용 용기는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용 용기 내의 음료 등 내용물을 정확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흘리는 일이 없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스톱퍼 역할을 하여 음료용 용기와 이빨 간의 충돌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음료용 용기 20 : 입술받침부
30 : 입술받침부 40 : 입술받침부

Claims (6)

  1.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고 그 상단부가 개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입술받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에 맞닿는 상기 입술받침부의 선단부에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아랫입술의 형상에 대응해서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받침부는 음료용 용기의 외주면 테두리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KR1020110088754A 2011-09-02 2011-09-02 음료용 용기 KR20130025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54A KR20130025461A (ko) 2011-09-02 2011-09-02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54A KR20130025461A (ko) 2011-09-02 2011-09-02 음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461A true KR20130025461A (ko) 2013-03-12

Family

ID=4817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54A KR20130025461A (ko) 2011-09-02 2011-09-02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4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US20100012657A1 (e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raised sanitary platform
US7828170B2 (en) Rim-mounted drinking aid for liquid containers
WO2016038568A1 (en) A disposable lid
KR20150002551U (ko) 환상 돌기가 구비된 물컵
US11071692B1 (en) Suitable container for children and adults at lying and sitting positions
US8322563B2 (en) Infant drinking cup
JP6408769B2 (ja) 練習用コップ蓋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KR20130025461A (ko) 음료용 용기
KR20140056943A (ko) 입술 립스틱 묻힘 방지를 위한 거치식 보호부재
US20190099010A1 (en) Debris catcher devices
JP6291075B2 (ja) 離乳クリップ
KR101725792B1 (ko) 종이컵 장착형 음료용기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US20190175453A1 (en) A lid for a drinking bottle
US20130256255A1 (en) Stackable spill resistant container
JP3201645U (ja) 飲料ボトル
KR20160145932A (ko) 쓰러짐 방지 머그컵
KR20160145930A (ko) 쓰러짐 방지 머그컵
KR20170140746A (ko) 액체 흐름 방지 머그컵
KR101446594B1 (ko)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JPWO2015178395A1 (ja) 食器
TWM582031U (zh) Cup structure with straw
KR20150061525A (ko) 유아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