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594B1 -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594B1
KR101446594B1 KR1020130052554A KR20130052554A KR101446594B1 KR 101446594 B1 KR101446594 B1 KR 101446594B1 KR 1020130052554 A KR1020130052554 A KR 1020130052554A KR 20130052554 A KR20130052554 A KR 20130052554A KR 101446594 B1 KR101446594 B1 KR 10144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inner skin
foo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운
신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피
Priority to KR102013005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double walls, e.g. double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는, 용기의 골격을 이루며 입구인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몸체(10); 및 용기몸체(10)의 내면에 합치되도록 용기몸체(10)의 입구를 통하여 위에서 밑으로 용기몸체(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윗부분은 개방되고 밑부분은 막혀서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피(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몸체(10)의 측면 밑단부에 내피(20)의 저면을 받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20)의 저면 밑에 바닥에 닿는 받침대(22)가 형성되고, 절곡부(11)가 합치되어 끼어들어가도록 받침대(22)의 측부위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20)의 윗단에 용기몸체(10)의 입구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침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23)는 바깥쪽으로 향한 후 용기몸체(10)의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밑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용기몸체(10)의 측벽에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문양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Container for storing food and drink}
본 발명은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골격을 이루는 용기몸체의 내부에 음식물 수용을 위한 내피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은 금속, 유리,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뜨거운 물을 수용할 경우에 컵의 외면이 손으로 잡지 못할 정도로 뜨거워서는 안 되기 때문에 컵의 벽을 어느 정도 두껍게 해야 하는 제약을 갖으며, 따라서 재료비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유아나 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컵은 무게가 나가거나 깨지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지면 다칠 우려가 많기 때문에 얇고 가벼우면서 잘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특히 이러한 열 차단 문제가 관건이 된다.
둘째, 현재까지는 컵에 문양을 넣을 때에 컵의 외벽에 그림을 그리던지 아니면 양각으로 모양을 새기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한번 선택된 문양은 바뀔 수가 없어 사용자가 문양에 싫증나더라도 특별한 해결방안이 없다. 특히 사용자가 아이나 유아인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셋째, 컵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컵 내부 구석진 곳을 깨끗이 씻어내는데 어려움이 많다. 특히 컵이 깊을수록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하다.
넷째, 컵의 내벽은 자극적인 성분에 대해서 내식성이 있고 유해 성분을 내뿜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컵 전체를 이와 같은 고급 재질로 할 경우에 재료비가 많이 든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비단 컵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그릇이나 식판 등과 같은 일반 음식물 수납 용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96492호(2005.09.23.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5946호(2012.08.23.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격을 이루는 용기몸체의 내부에 음식물 수용을 위한 내피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는,
용기의 골격을 이루며 입구인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몸체; 및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에 합치되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입구를 통하여 위에서 밑으로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윗부분은 개방되고 밑부분은 막혀서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몸체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 밑단부에 상기 내피의 저면을 받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내피의 저면 밑에 바닥에 닿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높이는 상기 절곡부의 두께보다 적어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가 합치되어 끼어들어가도록 상기 받침대의 측부위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의 저면에 받침대가 상기 내피의 옆으로 삐져나오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이 상기 내피의 옆으로 삐져나온 받침대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피의 윗단에 상기 용기몸체의 입구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침부는 바깥쪽으로 향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밑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에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문양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내피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몸체와 내피에 의해 물리적인 이종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벽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열차단 효율이 뛰어나며, 따라서 용기몸체를 경량화 시킬 수 있게 되어 특히 유아나 어린이용으로 유용하다.
그리고 내피만을 따로 떼어내어 뒤집거나 뒤틀므로써 면과 면이 만나는 구석진 곳을 손쉽게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몸체와 내피의 색깔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문양 및 색채 조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에도 사용자가 싫증을 덜 내게 되며 항상 새로운 용기를 사용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리고 내식성, 내열성, 무독성의 내피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상에 있어서도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몸체가 아닌 내피의 받침대가 지면에 닿으므로 용기에 뜨거운 음식이 담기는 경우 등 기타 다양한 상황에서 용기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의 예로서 컵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걸침부(23)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받침대(22)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의 예로서 그릇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의 예로서 식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컵을 예로 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몸체(10)는 입구인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내피(20)는 용기몸체(10)의 내면에 합치되도록 용기몸체(10)의 입구를 통하여 위에서 밑으로 용기몸체(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내피(20)는 윗부분은 개방되고 밑부분은 막힌 형태를 취하여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용기몸체(10)는 용기의 골격을 이룰 것이므로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피(20)는 용기몸체(10)의 내면에 합치가 잘 되도록 말랑말랑하고 유연한 재질, 예컨대 합성고분자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컵 전체가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형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부 구석진 곳을 깨끗이 세척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피(20)가 말랑말랑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내피(20)만을 꺼내어 뒤집거나 형태를 뒤틀어서 면과 면이 만나는 구석진 곳을 손쉽게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내피(2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내식성이 있고, 내열성이 있으면서 뜨거운 온도에서도 유해성분을 내뿜지 않으며, 상기와 같이 말랑말랑하면서 유연한 재질의 것이 선택되어야 할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이 바로 그것이다.
내피(20)의 윗단에는 용기몸체(10)의 입구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바깥쪽으로 향한 후에 용기몸체(10)의 입구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밑방향으로 절곡되는 걸침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 등을 마실 때에 용기몸체(10)의 입구 테두리가 입이 직접 닿는 부분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무독성이며 위생성이 있는 내피(20)로 감싸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내피(20)가 유연하기 때문에 용기몸체(10)의 내면에 합치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몸체(10)의 저면이 개방되는 경우 내피(20)가 용기몸체(10)의 밑으로 빠져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용기몸체(10)의 저면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용기몸체(10)의 측면만으로도 이미 용기의 골격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굳이 용기몸체(10)의 저면까지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용기몸체(10)의 저면을 개방시키면 추후에 내피(20)를 용기몸체(10)에서 떼어내는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몸체(10)의 저면이 개방될 경우 비록 걸침부(23)가 있기는 하지만 내피(20)가 음식물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개방부를 통하여 밑으로 빠져버릴 수 있다. 또한 내피(20)의 밑부분이 용기몸체(10)에서 떨어져 덜렁거리거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몸체(10)의 측면 밑단부에 내피(20)의 저면을 받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곡부(11)는 폐곡선 예컨대 환형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몸체(10)의 저면이 개방되면 내피(20)의 저면은 당연히 바닥에 닿게 될 것이므로 내피(20)의 저면 밑에 바닥에 닿는 받침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대(22)도 절곡부(11)에 합치되도록 링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22)의 높이는 절곡부(11)의 두께보다 적어도 큰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대(22)의 측면에는 절곡부(11)가 합치되어 끼어들어가도록 끼움홈(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20)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절곡부(11)와 끼움홈(21)은 용이하게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고분자, 또는 금속 재질의 용기몸체(10)는 지면과의 마찰력이 작으므로 지면에서 쉽게 미끄러진다. 특히 뜨거운 음식물이 담기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기몸체(10)의 저면을 개방하여 내피(20)의 받침대(22)가 지면에 닿도록 하면, 내피(20)가 어느 정도 말랑말랑 하면서 유연한 재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과의 마찰력이 존재하여 용기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 용기가 테이블에서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또는 그 과정에서 음식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내피(20)는 위와 같이 윗부분과 밑부분이 용기몸체(10)에 고정된 상태로 끼워지기 때문에 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형상이 위아래로 찌그러들거나 옆으로 허물어지지 않고 유지된다.
용기몸체(10)의 측벽에는 용기몸체(10)를 관통하는 문양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문양홀(15)은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으며, 문양홀(15)을 통하여 내피(20)가 보이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색깔의 용기몸체(10)와 내피(20)를 소지하고 있다가 이들을 서로 바꾸어 끼움으로써 다양한 색깔 조합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문양이나 색깔 등과 같은 디자인에 따른 지루함을 없앨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로서, 걸침부(23)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용기몸체(20)의 측벽보다 더 바깥쪽을 향하는 경우이고, 도 4b는 용기몸체(20)의 측벽에 맞도록 바깥쪽을 향하는 경우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걸침부(23)는 밑으로 절곡됨이 없이 단순히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참조부호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로서, 받침대(22)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받침대(22)가 내피(20)의 옆으로 삐져나오고 용기몸체(10)의 측면이 내피(20)의 옆으로 삐져나온 받침대(22)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용기몸체(10)에 절곡부(11)가 형성되고 내피(20)에 받침대(22)가 형성될 때에 받침대(22)가 절곡부(11)의 끝에 합치되면서 위치하고 또한 그 높이가 절곡부(1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비단 컵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릇이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판 등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용기몸체(20)의 저면이 개방되지 않은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릇이나 식판 등의 저면이 개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몸체(10)와 내피(20)에 의해 물리적인 이종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벽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열차단 효율이 뛰어나며, 따라서 용기몸체(20)를 경량화 시킬 수 있게 되어 특히 유아나 어린이용으로 유용하다.
그리고 내피(20)만을 따로 떼어내어 뒤집거나 뒤틀므로써 면과 면이 만나는 구석진 곳을 손쉽게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몸체(10)와 내피(20)의 색깔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문양 및 색채 조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에도 사용자가 싫증을 덜 내게 되며 항상 새로운 용기를 사용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리고 내식성, 내열성, 무독성의 내피(2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상에 있어서도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몸체(10)가 아닌 내피(20)의 받침대(22)가 지면에 닿으므로 용기에 뜨거운 음식이 담기는 경우 등 기타 다양한 상황에서 용기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10: 용기몸체
11: 절곡부
15: 문양홀
20: 내피
21: 끼움홈
22: 받침대
23: 걸침부

Claims (10)

  1. 용기의 골격을 이루며 입구인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몸체; 및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에 합치되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입구를 통하여 위에서 밑으로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윗부분은 개방되고 밑부분은 막혀서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몸체의 저면은 개방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 밑단부에는 상기 내피의 저면을 받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의 저면 밑에는 바닥에 닿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가 합치되어 끼어들어가도록 상기 받침대의 측부위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내피의 저면에 받침대가 상기 내피의 옆으로 삐져나오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이 상기 내피의 옆으로 삐져나온 받침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윗단에 상기 용기몸체의 입구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부가 바깥쪽으로 향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밑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측벽에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문양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KR1020130052554A 2013-05-09 2013-05-09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KR10144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54A KR101446594B1 (ko) 2013-05-09 2013-05-09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54A KR101446594B1 (ko) 2013-05-09 2013-05-09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594B1 true KR101446594B1 (ko) 2014-10-06

Family

ID=5199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554A KR101446594B1 (ko) 2013-05-09 2013-05-09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92Y1 (ko) * 2005-06-25 2005-09-23 신명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20120005946U (ko) * 2011-02-15 2012-08-23 김광현 유아용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92Y1 (ko) * 2005-06-25 2005-09-23 신명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20120005946U (ko) * 2011-02-15 2012-08-23 김광현 유아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777B2 (en) Assisted eating aid
US10377559B1 (en) Holder for a squeeze pouch
JP3197956U (ja) 飲食用容器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CN204071527U (zh) 杯子
JP2008007177A (ja) 蓋体
KR200450595Y1 (ko) 다기능 회전식 용기
KR101446594B1 (ko) 음식물 수납 이중용기
US1301596A (en) Advertising device for finger-bowls.
JP2002321755A (ja) 幼児用飲料容器
JP6291075B2 (ja) 離乳クリップ
KR102131561B1 (ko) 티백용 컵 뚜껑
KR200485732Y1 (ko) 치간칫솔 내장 수저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20160097580A (ko)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US20130256255A1 (en) Stackable spill resistant container
CN106395113B (zh) 饮料容器
CN202723343U (zh) 一种新型果盘
CN203860922U (zh) 一种组合套碗
CN203987333U (zh) 便携纸杯
CN217390382U (zh) 一种儿童注水碗
JP3214651U (ja) 飲料容器用のフタ
KR101439930B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KR101902125B1 (ko) 밀폐형 용기
JP3094030U (ja) 食べ物皿の補助具
KR100589330B1 (ko)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