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346A -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346A
KR20130024346A KR1020110087744A KR20110087744A KR20130024346A KR 20130024346 A KR20130024346 A KR 20130024346A KR 1020110087744 A KR1020110087744 A KR 1020110087744A KR 20110087744 A KR20110087744 A KR 20110087744A KR 20130024346 A KR20130024346 A KR 20130024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anking
information indicat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878B1 (ko
Inventor
이해진
신중호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2011008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78B1/ko
Priority to JP2012188985A priority patent/JP5559273B2/ja
Priority to US13/599,400 priority patent/US20130232256A1/en
Publication of KR2013002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통신 단말의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사용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OF MOBILE APPLICATION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를 의미하는 앱스토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휴대폰에 탑재되는 일정관리, 주소록, 알람, 계산기, 게임, 동영상, 인터넷접속, 음악재생, 내비게이션, 워드, 액셀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앱스토어는 대형업체가 개발하고 이동통신사가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판매하는 개방형 장터로, 운영사에서 공개한 SDK(소프트웨어 개발키트), Xcode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누구나 자신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세계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팔 수 있다. 개인 개발자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에 등록하면 소비자는 무선통신에 접속하여 자신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폰으로 다운로드하거나 개인용 컴퓨터(PC)로 다운로드 한 후 휴대폰으로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앱스토어에는 방대한 양의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찾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할 수 밖에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0178호(공개일 2011년 03월 02일)에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만을 검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의 검색 편의를 위해 앱스토어에서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테마 별로 분류하여 제공하거나, 다수의 앱스토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해주는 형태의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직관적인 분류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하는 데에 서비스적인 한계는 물론, 사용자의 검색 편의를 제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얻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각종 순위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 제안된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통합 순위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가 배치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순위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전일 기준의 각종 순위 정보뿐 아니라 현재 단말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시간 순위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통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복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코드; 및 사용 정보를 제2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코드를 포함하며, 사용 정보는 상위 시스템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바탕 화면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바탕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페이지의 순으로 앞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바탕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동일 페이지 내에서 앞쪽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바탕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바탕 화면에 설정된 액세스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성이 높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이 접근성이 낮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보 수집 코드는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일정 주기 동안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판매 요금 유무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통신 단말의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사용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집부는 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를 통해,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바탕 화면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공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별로 가중치를 집계하여 아이콘 위치에 따른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공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별로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집부는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일정 주기 동안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판매 요금 유무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공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건수에 따른 순위, 유료로 판매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무료로 판매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건수에 따른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공부는 통신 단말의 사용자 거주지를 기준으로 전체 국가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국가 별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국가 내 지역 별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단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통신 단말에서의 제어 방법은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및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정보를 제2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 정보는 상위 시스템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통신 단말의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사용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특징들을 기반으로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통합 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하고 추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가 배치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실사용자들에 의해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 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소개할 수 있다.
현재 단말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시간 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전일 기준의 순위 정보 이외에도 실시간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에 따른 사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 통계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 통계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 칭함)은 통신 단말에 탑재 가능한 모든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앱을 탑재할 수 있고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접속이 가능한 모든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 예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간의 접촉 포인트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인터넷 상의 앱에 대하여 사용자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인터넷 상의 앱이란,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앱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스토어(101) 상에 등록된 모든 앱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2)을 통해 앱 스토어(101)에 접속한 후 앱 스토어(101)에서 필요한 앱을 사용자 단말(102)에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앱 순위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이 실제 단말(102)에 다운로드 한 앱 데이터를 분석하여 앱 스토어(101) 상의 앱에 대한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앱 순위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앱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02)에서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들(이하, '사용 정보'라 칭함)을 바탕으로 내부적으로 구현된 랭킹 로직에 따라 각종 앱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앱 순위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2)에서 사용자 단말(102)에 설치된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정보 수집 앱'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201). 이때, 정보 수집 앱은 인터넷 상의 앱에 대한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순위 제공 앱과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순위 제공 앱과는 별도의 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102)에 정보 수집 앱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는 과정(202)에서 앱의 사용 정보를 상위 시스템인 앱 순위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203), 정보 수집 앱에서 앱의 사용 정보들을 자동 수집하여 앱 순위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게 된다(204). 이에, 앱 순위 제공 시스템(100)은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앱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실제 사용자들의 앱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앱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205). 이때, 사용자 단말(102)에서 취득한 정보들을 기초로 결정된 앱 순위 정보는 정보 수집 앱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정보 수집 앱의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수집 앱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정보 수집 앱은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코드와, 앱의 사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정보 수집 앱의 정보 수집 코드에 의해 사용자 단말 상의 앱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사용 정보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에서의 앱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2)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3)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 새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되어 설치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4)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5)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판매 요금 유무(유료 또는 무료)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6)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앱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한 앱의 사용 정보 중 (1)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들이 아이콘을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놓고 사용하는 접근성을 파악하여 순위를 집계하는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2)의 사용 정보는 현재 단말 사용자들이 많이 실행하고 있는 앱을 분석하여 실시간 인기 순위를 집계하는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3)의 사용 정보는 최근 일정 주기(예로, 1day)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이 단말에 앱을 설치한 설치 건수를 파악하여 순위를 집계하는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4)의 사용 정보는 최근 일정 주기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이 단말에서 앱을 실행한 실행 건수를 파악하여 순위를 집계하는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5)의 사용 정보는 앱을 유료로 판매하는 것과 무료로 판매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유료 앱과 무료 앱의 설치 건수를 각각 파악하여 순위를 집계하는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6)의 사용 정보는 최근 일정 주기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이 앱을 추천한 추천 건수를 파악하여 순위를 집계하는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앱의 사용 정보 중 (1)의 사용 정보는 바탕 화면에서 앱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 대하여 일종의 좌표 값과 같은 위치 값을 갖게 되며,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위치 값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바탕 화면에 대한 액세스 환경의 일 예로 오른손잡이/왼손잡이 설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바탕 화면의 오른쪽 아래 부분이 앞 부분에 해당하여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정의되는 반면, 왼손잡이의 경우 바탕 화면의 왼쪽 아래 부분이 앞 부분에 해당하여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바탕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페이지 순으로 앞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탕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동일 페이지 내에서는 바탕 화면에 설정된 액세스 환경을 기준으로 앞쪽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에 배치된 아이콘에 비해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바탕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바탕 화면에 설정된 액세스 환경에 따라 접근성이 높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에 대하여 접근성이 낮은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오른손잡이로 액세스 환경을 설정한 경우 바탕 화면(410)의 같은 페이지 내에서라면 아이콘A(401)에 비해 아이콘B(402)에 가중치를 더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바탕 화면(410)이 제1 영역(411)과 제2 영역(412)으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앱의 아이콘을 주로 제2 영역(412)에 배치하게 되므로 제1 영역(411)에 배치된 아이콘B(402)에 비해 제2 영역(412)에 배치된 아이콘C(404)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에서는 바탕 화면이 홈(home) 페이지와 메인 메뉴(main menu) 페이지로 구성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앱의 경우 주로 홈 페이지에 아이콘을 배치하게 되므로 이 또한 홈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에 메인 메뉴 페이지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C(404)와 아이콘D(403)가 동일 영역인 제2 영역(412) 내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아이콘D(403)보다 앞쪽에 배치된 아이콘C(404)에 가중치를 더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1)의 사용 정보는 앱에 대한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분석하여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배치된 앱 순위를 집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앱의 사용 정보 중 (2)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 단말 내의 메모리에 현재 올려져 있는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이다. 이때, 메모리에 현재 올려져 있는 앱은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에 있는 앱을 의미하는 것으로, (2)의 사용 정보에는 메모리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2)의 사용 정보는 현재 단말 사용자들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앱을 분석하여 실시간 인기 순위를 집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20)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310)에서 수집된 앱의 사용 정보를 정보 수집 앱의 정보 전송 코드에 의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앱의 사용 정보 중 (2)의 사용 정보는 실행 중인 앱이 있을 경우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되며, 그 이외의 사용 정보는 일정 주기로 전송되거나 이전 주기의 사용 정보에 변경 내용이 있을 때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버 시스템인 앱 순위 제공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1) 내지 (6)의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앱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앱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상기한 정보 수집 앱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사용한 앱의 사용 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장치 구성은 미도시되어 있으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앱과,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의 정보 수집 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CDMA, WCDMA, LTE, Wi-Fi,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서버 시스템인 앱 순위 제공 시스템과의 통신을 허가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앱 순위를 집계하는 앱 순위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실제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앱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앱 순위를 제공하는 앱 순위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수집부(510)와, 제공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집부(51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집부(51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정보 수집 앱과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 상에 있는 앱의 실제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510)는 (1)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에서의 앱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2)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3)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 새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되어 설치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4)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5)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판매 요금 유무(유료 또는 무료)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6)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앱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510)는 정보 수집 앱을 설치한 사용자 거주지와 관련된 정보를 추가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1) 내지 (6)의 사용 정보 및 거주지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모든 정보에 대해 일괄 동의하거나 각 정보 별로 개별 동의할 수 있으며, 이에 수집부(510)는 사용자가 정보 제공에 동의한 정보를 선별하여 수집할 수 있다.
제공부(520)는 수집부(510)에서 수집된, (1) 내지 (6)의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앱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앱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이때, (1) 내지 (6)의 사용 정보는 각 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1)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에서 앱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며, (2)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공부(520)는 (1) 내지 (6)의 사용 정보에 대하여 가중치를 합산하여 앱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공부(520)는 (1) 내지 (6)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이 배치한 아이콘 위치에 따른 접근성, 사용자들이 현재 실행하고 있는 실시간 실행 건수,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들이 단말에 설치한 설치 건수(유료 앱의 설치 건수와 무료 앱의 설치 건수를 구분할 수 있음),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들이 실제 실행한 실행 건수,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들이 추천한 추천 건수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앱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제공부(520)는 (1) 내지 (6)의 사용 정보를 모두 결합하여 앱 순위를 집계하거나, (1) 내지 (6)의 사용 정보를 개별 혹은 일부를 선택하여 앱 순위를 집계할 수도 있다. 또한, 제공부(520)는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한 대상인 사용자들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전제 국가에서의 앱 순위, 국가 별 앱 순위, 국가 내 지역 별 앱 순위 등을 집계할 수 있다. 상기한 제공부(520)는 (1) 내지 (6)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집계된 앱 순위를 정보 수집 앱 또는 별도의 앱을 통해 제공하거나, 또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실제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앱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앱 순위를 제공하는 앱 순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앱 순위 제공 방법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정보 수집 앱과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 상에 있는 앱의 실제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에서의 앱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 새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되어 설치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판매 요금 유무(유료 또는 무료)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앱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정보 수집 앱을 설치한 사용자 거주지와 관련된 정보를 추가 수집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앱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앱 순위를 집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앱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이 배치한 아이콘 위치에 따른 접근성, 사용자들이 현재 실행하고 있는 실시간 실행 건수,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들이 단말에 설치한 설치 건수(유료 앱의 설치 건수와 무료 앱의 설치 건수를 구분할 수 있음),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들이 실제 실행한 실행 건수,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들이 추천한 추천 건수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앱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또한, 앱 순위 제공 시스템(500)은 앱의 사용 정보를 수집한 대상인 사용자들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전제 국가에서의 앱 순위, 국가 별 앱 순위, 국가 내 지역 별 앱 순위 등을 집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앱을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앱 순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들이 배치한 아이콘 위치에 따른 접근성을 파악하여 앱 순위를 집계하거나, 현재 사용자들이 많이 실행하고 있는 앱을 분석하여 실시간 인기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에서의 앱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 상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코드; 및 사용 정보를 앱 순위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수집 코드는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 새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되어 설치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의 판매 요금 유무(유료 또는 무료)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앱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 수집할 수 있다. 상기한 앱의 사용 정보들은 앱 순위 제공 시스템에서 앱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앱 순위 제공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앱 순위 제공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앱 순위 제공 시스템
510: 수집부
520: 제공부

Claims (35)

  1.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복수의 프로그램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코드; 및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코드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상위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바탕 화면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상기 바탕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상기 페이지의 순으로 앞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상기 바탕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동일 페이지 내에서 앞쪽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상기 바탕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상기 바탕 화면에 설정된 액세스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성이 높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이 상기 접근성이 낮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현재 실행 중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코드는,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일정 주기 동안 실행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판매 요금 유무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9.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사용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를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바탕 화면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별로 상기 가중치를 집계하여 상기 아이콘 위치에 따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별로 상기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현재 실행 중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순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일정 주기 동안 실행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판매 요금 유무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건수에 따른 순위, 유료로 판매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무료로 판매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건수에 따른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 거주지를 기준으로 전체 국가에서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국가 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상기 국가 내 지역 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상위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바탕 화면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상기 바탕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상기 페이지의 순으로 앞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 페이지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상기 바탕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동일 페이지 내에서 앞쪽에 배치된 아이콘이 뒤쪽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부여된 가중치는,
    상기 바탕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상기 바탕 화면에 설정된 액세스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성이 높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이 상기 접근성이 낮은 영역에 배치된 아이콘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현재 실행 중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 요소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코드; 및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코드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6.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신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인터페이스인 바탕 화면에서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상기 사용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바탕 화면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별로 상기 가중치를 집계하여 상기 아이콘 위치에 따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는,
    상기 메모리 상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별로 상기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현재 실행 중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순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일정 주기 동안 실행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판매 요금 유무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건수에 따른 순위, 유료로 판매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무료로 판매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건수에 따른 순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추천 건수에 따른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 거주지를 기준으로 전체 국가에서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국가 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상기 국가 내 지역 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5. 제18항 내지 제24항, 제26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087744A 2011-08-31 2011-08-31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9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7744A KR101491878B1 (ko) 2011-08-31 2011-08-31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2188985A JP5559273B2 (ja) 2011-08-31 2012-08-29 ユーザ端末で取得した情報に基づいて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の順位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13/599,400 US20130232256A1 (en) 2011-08-31 2012-08-3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of mobile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7744A KR101491878B1 (ko) 2011-08-31 2011-08-31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46A true KR20130024346A (ko) 2013-03-08
KR101491878B1 KR101491878B1 (ko) 2015-02-09

Family

ID=4813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7744A KR101491878B1 (ko) 2011-08-31 2011-08-31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32256A1 (ko)
JP (1) JP5559273B2 (ko)
KR (1) KR10149187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965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US9607157B2 (en) 2013-03-27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US9632578B2 (en) 2013-03-27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9639252B2 (en) 2013-03-27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US9715339B2 (en) 2013-03-27 2017-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US9927953B2 (en) 2013-03-2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US9996246B2 (en)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US10229258B2 (en)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US10739958B2 (en) 2013-03-27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KR20210002388A (ko) * 2014-01-17 2021-01-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품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64776B1 (ko) * 2022-05-06 2023-08-08 주식회사 오비고 IVI(In-Vehicle Infotainmen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UI를 설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UI 설정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853A (ko) * 2012-02-08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형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158560B2 (en) * 2012-10-26 2015-10-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application arranger
US20150133076A1 (en) * 2012-11-11 2015-05-14 Michael Brough Mobile device application monitoring software
US9342606B2 (en) * 2012-12-11 2016-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software installation
US9002821B2 (en) 2013-01-16 2015-04-07 Google Inc. Indexing application pages of native applications
US9146972B2 (en) 2013-03-15 2015-09-29 Google Inc. Ranking of presentation modes for particular content
US8996520B2 (en) 2013-03-15 2015-03-31 Google Inc. Ranking of native application content
US9135346B2 (en) 2013-06-07 2015-09-15 Google Inc. Index data for native applications
CN104348855B (zh) * 2013-07-29 2018-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信息的处理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US9311407B2 (en) 2013-09-05 2016-04-12 Google Inc. Native application search results
US9608870B1 (en) 2014-02-28 2017-03-28 Google Inc. Deep link verification for native applications
US9251224B2 (en) 2014-03-04 2016-02-02 Google Inc. Triggering and ranking of native applications
US9652508B1 (en) 2014-03-05 2017-05-16 Google Inc. Device specific adjustment based on resource utilities
US10061796B2 (en) 2014-03-11 2018-08-28 Google Llc Native application content verification
US9645980B1 (en) 2014-03-19 2017-05-09 Google Inc. Verification of native applications for indexing
US9524347B1 (en) 2014-04-01 2016-12-20 Google Inc. Automatically implementing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search query
US9513961B1 (en) 2014-04-02 2016-12-06 Google Inc. Monitoring application loading
US9767159B2 (en) 2014-06-13 2017-09-19 Google Inc. Ranking search results
US10013496B2 (en) 2014-06-24 2018-07-03 Google Llc Indexing actions for resources
CN106687949B (zh) 2014-06-24 2020-11-17 谷歌有限责任公司 本地应用的搜索结果
US10210263B1 (en) 2014-06-24 2019-02-19 Google Llc Native application search results
US9892190B1 (en) 2014-06-25 2018-02-13 Google Inc. Search suggestions based on native application history
RU2668726C2 (ru) 2014-06-25 2018-10-02 Гугл Инк. Глубинные ссылки для нативных приложений
US10922094B2 (en) * 2015-06-05 2021-02-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US9348671B1 (en) 2015-07-23 2016-05-24 Google Inc. Monitoring application loading
US9760767B1 (en) 2016-09-27 2017-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ting applications based on emotional states
JP6922293B2 (ja) * 2017-03-17 2021-08-1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6367998B1 (ja) * 2017-03-22 2018-08-01 株式会社博報堂Dyホールディングス 個人特定システム、個人特定プログラム、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プログラム
JP7146225B2 (ja) * 2017-06-01 2022-10-04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9069424A1 (ja) * 2017-10-05 2019-04-11 株式会社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ゲーム装置
KR102222133B1 (ko) * 2018-01-12 2021-03-0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JP6625259B1 (ja) * 2019-07-11 2019-12-25 株式会社ぐるなび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892A (ja) * 2001-06-29 2003-01-17 Casio Comput Co Ltd 情報端末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
JP4331440B2 (ja) 2002-05-10 2009-09-16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情報管理サーバ、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7493573B2 (en) * 2003-02-07 2009-02-17 Sun Microsystems, Inc. Scrolling vertical column mechanism for cellular telephone
US7433866B2 (en) * 2005-01-11 2008-10-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awarding credits based on provided usage information
JP4698281B2 (ja) 2005-05-09 2011-06-0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推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37421B2 (en) * 2005-10-11 2011-10-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indicators on an electronic device
JP2008234066A (ja) * 2007-03-16 2008-10-02 Fujitsu Ltd ソフトウェア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及び管理制御プログラム
US9159034B2 (en) * 2007-11-02 2015-10-13 Ebay Inc. Geographically localized recommendations in a computing advice facility
WO2011010434A1 (ja) * 2009-07-23 2011-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1710427B1 (ko) * 2009-08-21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
US20110093589A1 (en) * 2009-09-16 2011-04-21 Comscore, Inc. Determining usage of computing devices that store state information on host computer systems
JP2011159077A (ja) 2010-01-29 2011-08-18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装置
US8756617B1 (en) * 2010-05-18 2014-06-17 Google Inc. Schema validation for secure development of browser extensions
US8396759B2 (en) * 2010-06-18 2013-03-12 Google Inc. Context-influenc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8874728B2 (en) * 2010-08-31 2014-10-2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 product and service offerings based on usage profiles
US8595626B2 (en) * 2010-11-01 2013-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recommendation
US20130060623A1 (en) * 2011-03-04 2013-03-07 Tristan Walk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redeeming offers with a location-based service
US9226108B2 (en) * 2011-03-31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ublishing location information
WO2012148293A1 (en) * 2011-04-28 2012-11-01 Google Inc. Using feedback reports to determine performance of an application in a geographic location
US20130054351A1 (en) * 2011-07-29 2013-02-28 Peter Krugman User-curated business recommendation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2681B2 (en) 2013-03-27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9996246B2 (en)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US9632578B2 (en) 2013-03-27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9639252B2 (en) 2013-03-27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US9715339B2 (en) 2013-03-27 2017-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US9927953B2 (en) 2013-03-2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US9607157B2 (en) 2013-03-27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US10824707B2 (en) 2013-03-27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US10739958B2 (en) 2013-03-27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US10229258B2 (en)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US9971911B2 (en) 2013-03-27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KR20140139965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210002388A (ko) * 2014-01-17 2021-01-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품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64776B1 (ko) * 2022-05-06 2023-08-08 주식회사 오비고 IVI(In-Vehicle Infotainmen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UI를 설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UI 설정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9273B2 (ja) 2014-07-23
KR101491878B1 (ko) 2015-02-09
US20130232256A1 (en) 2013-09-05
JP2013054736A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878B1 (ko)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489686B2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US9720569B2 (en) Cloud-based custom metric/timer definitions and real-time analytics of mobile applications
EP2633487B1 (en) Method and system to recommend applications from an application market place to a new device
CN103959745B (zh) 监视应用程序资源消耗的方法和设备
KR10206136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순서 및 구성 조절 기법
JP6216880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電力効率を決定して表示する方法及びその端末機
US20120117558A1 (en) Mobile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
CN109067990A (zh) 一种应用服务执行方法及装置
US20080168367A1 (en) Dashboards, Widgets and Devices
JP201550421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使用に基づいたアプリケーション推薦サーバ、端末、及びその方法
CN105144118A (zh) 应用测试和分析
US20150339628A1 (en) Online softw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JP6447726B2 (ja) カードの追加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Blunck et al. On heterogeneity in mobile sensing applications aiming at representative data collection
CN10764410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092678B (zh) 一种获取应用活跃程度的方法、装置及设备
CN114356166A (zh) 应用图标显示方法及相关设备
Firtman High Performance Mobile Web: Best Practices for Optimizing Mobile Web Apps
CN106371706A (zh) 应用快捷方式位置选择的方法及装置
US8386604B1 (en) Assigning blame to web browser extensions and applications
CN112883303A (zh) 页面跳转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05931B (zh) 页面信息的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804008A (zh) 一种终端的控制方法及其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26334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ch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