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323A -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323A
KR20130024323A KR1020110087701A KR20110087701A KR20130024323A KR 20130024323 A KR20130024323 A KR 20130024323A KR 1020110087701 A KR1020110087701 A KR 1020110087701A KR 20110087701 A KR20110087701 A KR 20110087701A KR 20130024323 A KR20130024323 A KR 2013002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vb
train
automatic train
network bu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672B1 (ko
Inventor
박주연
이종성
강덕원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6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187Serial transmission rs232c, rs422, rs485 communication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9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t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VB(Multifunction Vehicle Bus)를 이용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된 열차종합관리장치, 제2 MVB 네트워크 버스 및 상기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종합관리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차상신호장치부,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차상신호장치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차상신호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했던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결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한 구조에 따르면 시스템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고,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은 각각의 포트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한정되었지만, MVB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의 가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RAILWAY CAR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결선을 최소화시고, 시스템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철도차량용 차상신호장치는 많은 외부 장치들과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도 1은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차상신호장치와 외부 장치들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상신호장치에 인터페이스되어 할 외부 장치들에는 열차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현시하는 화면표시장치와 지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장치, 차량의 속도를 검지하는 도플러센서와 가속도계,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다. 차상신호장치는 자동열차보호장치(ATP1, ATP2)와 자동열차운전장치(ATO)로 구성된다.
또한 차상신호장치는 이중계 구조로 설계되는데, 1계와 2계 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도 필요하다.
종래에는, 각 장치들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해 차상신호장치는 RS-485 통신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차상신호장치에서 주변의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RS-485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장치 별로 별도의 포트를 사용하여 연결하여야 하며, 각 장치는 이중계 구조에 맞도록 필요한 포트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자동열차보호장치(ATP1, ATP2)는 각각 8개의 RS-485 포트가 필요하고, 자동열차보호장치(ATO)는 9개의 RS-485 포트가 필요하게 된다.
즉, 종래의 차상신호장치는 장치가 갖는 기능들인 속도검지, 위치검지, 무선통신, 사용자 화면현시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장치들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러한 장치들과 데이터의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RS-485 통신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RS-485 통신을 통해 각 장치들과 연결함으로써 통신의 안정성은 확보되었지만, 여러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도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했던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결선을 최소화시고, 시스템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VB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의 가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된 열차종합관리장치, 제2 MVB 네트워크 버스 및 상기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종합관리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차상신호장치부,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차상신호장치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차상신호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상신호장치부는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종합관리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자동열차운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와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장치 및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와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와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RS-485 방식으로 통신하는 열차위치인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와 RS-485 방식으로 통신하는 열차속도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RS-485 방식으로 통신하는 가속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했던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결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한 구조에 따르면 시스템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고,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은 각각의 포트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한정되었지만, MVB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의 가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차상신호장치와 외부 장치들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데이터 링크 계층의 인터페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네트워크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열차종합관리장치(10), 차상신호장치부(20), 화면표시장치(30), 무선 통신부(40), 열차위치인식장치(50), 열차속도검지장치(60) 및 가속도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차종합관리장치(10)는 제1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자동열차운전장치(23)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차종합관리장치(10)는 운전자 지원 및 차량 상태현시 기능 이외에 열차내의 모든 시스템을 일괄적으로 감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각 제어차 예를 들어, 선두차와 후부차에 설치된 편성제어컴퓨터(Train Computer)와 각 차량에 설치된 차량제어컴퓨터(Car Computer)로 구성될 수 있다.
편성제어 컴퓨터는 차상신호 및 각 차량제어컴퓨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해 이를 모니터를 통해 운전사에게 통보하며 컴퓨터의 자체적인 판단으로 각 차량제어컴퓨터에 지령하여 각종 기기를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제어컴퓨터는 편성제어컴퓨터에게 차량의 각종 기기상태(서비스기기, 추진제어장치, 제동장치 등)를 전송하며 반대로 편성제어컴퓨터에서 보내는 제어 지령을 수신해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차종합관리장치(10)의 주요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열차종합관리장치(10)는 후술하는 차상신호장치를 포함하는 신호기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판단하여 추진제어기기에 역행/제동 지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운전사용 모니터와 신호기기에 현시하는 기본적인 역행/제동 지령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열차종합관리장치(10)는 팬터그래프, VVVF, 보조전원장치, 차단기,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동장치 등의 각종 전기기기를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하여 운전자 모니터에 이에 대한 정보를 현시하며, 기기 고장시 자동적으로 해당 기기를 차단 및 백업(연장급전 등)을 실시하며 이를 검수용 메모리장치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열차종합관리장치(10)는 출입문, 실내 형광등, 방송장치, 냉난방기기, 행선표시기, 비상통화장치, 화재감지기 등의 각종 서비스기기를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하며 이 기기들을 운전자가 직접 컨트롤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모니터에 현시하며 기기 고장시 해당 기기를 자동으로 차단 및 백업하며 이를 검수용 메모리장치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상신호장치부(20)는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열차종합관리장치(1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화면표시장치(30) 및 무선 통신부(4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상신호장치부(20)는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 및 자동열차운전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는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화면표시장치(30) 및 무선 통신부(4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는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화면표시장치(30) 및 무선 통신부(4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와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안전성 강화를 위하여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 및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는 열차 보호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 및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는 위험지역에 열차가 접근하면 경보를 울려주고, 그 구역에 진입하는 열차를 자동적으로 비상제동이 걸리게 하여 정지시키는 기능, 열차속도를 제한하는 구역에서 열차를 제한속도 이상으로 운행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되고 감속이 되어 열차가 일정속도로 운행되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열차운전장치(23)는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종합관리장치(1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화면표시장치(30) 및 무선 통신부(4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열차운전장치(23)는 열차속도가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제동되어 일정속도로의 열차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즉, 속도 제한 장소에 따라 적정 속도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 역사 내에서의 정위치 정차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화면표시장치(30)는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차상신호장치부(20)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면표시장치(30)에는 열차 운행과 관련한 각종 정보들이 운전자에게 현시된다.
무선 통신부(40)는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차상신호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지상 설비와 차상신호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40)는 제1 무선통신장치(41) 및 제2 무선통신장치(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장치(41)는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와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 및 자동열차운전장치(23)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제2 무선통신장치(42)는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와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 및 자동열차운전장치(23)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열차위치인식장치(50)는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와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 및 자동열차운전장치(23)와 RS-485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열차위치인식장치(5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열차위치정보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열차위치인식장치(50)를 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와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 및 자동열차운전장치(23)에 유선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열차속도검지장치(60)와 가속도계(70)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러한 열차위치인식장치(50)는 지상에 설치된 위치인식용의 태그(Tag)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이 안테나가 수신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태그 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열차속도검지장치(60)는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 및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와 RS-485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차속도검지장치(60)는 열차의 저면에 설치되어 열차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도플러 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계(70)는 자동열차운전장치(23)와 RS-485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열차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가속도계(70)가 측정한 열차의 가속도는 자동열차운전장치(23)에 의해 열차의 속도를 연산하는 데이터로 활용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차상신호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들 중에서 화면표시장치(30), 무선 통신부(40), 차상신호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MVB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인터페이스와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및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1, 22)와 자동열차운전장치(23)는 각각 1개의 MVB 포트와 2개의 RS-485 포트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설치가 용이해지고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데이터 링크 계층의 인터페이스의 예를 설명한다.
차상신호장치부의 MVB 구성은 기존의 RS-485 통신을 수행하던 보드를 MVB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로 대체하여 구성한다.
차상신호장치부와 연결되는 여러 장치들을 MVB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한다.
하나의 마스터에 다수의 슬레이브 노드를 형성하여 임의적인 전송이 아니라 데이터 형태를 주기적으로 기본주기를 반복하여 통신한다.
마스터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치적으로 슬레이브를 폴링(polling)하고, 이에 따라 발생지 노드로부터 여러 목적지 노드로 브로드캐스팅한다.
MVB는 하나의 마스터에 의해 관리되므로 나머지 노드들은 슬레이브 노드가 되며 임의적인 전송이 불가능하고, 프로세스 데이터(Process Data)나 메시지 데이터(Message Data), 관리 데이터(Supervisory Data) 등과 같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요구에 의한 전송의 비주기적인 서비스로 전송한다.
기본 주기를 반복하며, 그 기본 주기를 나누어 주기적 전송단계에서는 주기적 프로세스 데이터를, 산발적 전송구간에서는 비주기적인 메시지 데이터를 대역폭을 할당하여 전송하게 된다.
주기적 프로세스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주기적 전송 구간은 정해진 시간의 타임슬롯(Time Slot)을 부여받으며, 마스터는 이 시간 동안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슬레이브 기기들을 폴링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 전송이 보장되며 주기적 데이터들은 하나의 발생지 노드로부터 여러 목적지 노드로 브로드캐스팅되므로 목적지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
프로세스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경우에도 재전송하지 않는다. 다만 데이터 별로 카운터를 두어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점검한다.
버스 관리자가 하나만 있는 경우는 시스템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여러 버스 관리자가 마스터 권한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버스 관리자는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와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가 된다. 마스터 권한을 가지고 있는 버스 관리자가 오류이면 다음 버스 관리자에게 마스터 권한을 수 밀리초(ms) 내에 전송해야 한다. 이러한 마스터 권한의 이동은 버스 관리자들 사이에 논리적 링 구조를 가지고 토큰 패싱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가 마스터인 경우, 이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21)에 오류가 발생하면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22)가 마스터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했던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켜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결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한 구조에 따르면 시스템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고,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RS-485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은 각각의 포트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한정되었지만, MVB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의 가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열차종합관리장치
20: 차상신호장치부
21: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
22: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23: 자동열차운전장치
30: 화면표시장치
40: 무선 통신부
41: 제1 무선통신장치
42: 제2 무선통신장치
50: 열차위치인식장치
60: 열차속도검지장치
70: 가속도계

Claims (7)

  1.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MVB(Multifunction Vehicle Bus)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된 열차종합관리장치;
    제2 MVB 네트워크 버스 및 상기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종합관리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차상신호장치부;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차상신호장치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차상신호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신호장치부는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제1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종합관리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부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자동열차운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와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장치; 및
    상기 제2 MVB 네트워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와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MVB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와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RS-485 방식으로 통신하는 열차위치인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열차보호장치 및 상기 제2 자동열차보호장치와 RS-485 방식으로 통신하는 열차속도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열차운전장치와 RS-485 방식으로 통신하는 가속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의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KR1020110087701A 2011-08-31 2011-08-31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29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701A KR101296672B1 (ko) 2011-08-31 2011-08-31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701A KR101296672B1 (ko) 2011-08-31 2011-08-31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23A true KR20130024323A (ko) 2013-03-08
KR101296672B1 KR101296672B1 (ko) 2013-08-14

Family

ID=4817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701A KR101296672B1 (ko) 2011-08-31 2011-08-31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6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53B1 (ko) * 2014-02-27 2015-03-04 (주)소노비젼 고속 이동체 인식 및 초정밀 위치 인식을 위한 rfid 시스템
CN105553806A (zh) * 2016-02-05 2016-05-04 武汉征原电气有限公司 一种支持mvb总线动态重联的mvb主设备
WO2017162472A1 (de) * 2016-03-21 2017-09-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to-einrichtung, schienenfahrzeug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fahren eines schienenfahrzeugs
CN107241250A (zh) * 2017-05-22 2017-10-10 中车大连电力牵引研发中心有限公司 列车车辆和数据传输的处理方法
CN112319551A (zh) * 2020-11-10 2021-02-05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列车车厢内的无线通信方法及系统
CN112744265A (zh) * 2019-10-31 2021-05-04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列车通信网络结构的控制装置及方法和列车通信网络系统
KR20210073665A (ko) * 2019-12-10 2021-06-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멀티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램 주행제어 안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09B1 (ko) * 2008-03-12 2010-01-22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 차량의 mvb통신 분석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53B1 (ko) * 2014-02-27 2015-03-04 (주)소노비젼 고속 이동체 인식 및 초정밀 위치 인식을 위한 rfid 시스템
CN105553806A (zh) * 2016-02-05 2016-05-04 武汉征原电气有限公司 一种支持mvb总线动态重联的mvb主设备
CN105553806B (zh) * 2016-02-05 2019-03-08 武汉征原电气有限公司 一种支持mvb总线动态重联的mvb主设备
WO2017162472A1 (de) * 2016-03-21 2017-09-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to-einrichtung, schienenfahrzeug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fahren eines schienenfahrzeugs
RU2705523C1 (ru) * 2016-03-21 2019-11-07 Сименс Мобилити Гмбх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движ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движ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7241250A (zh) * 2017-05-22 2017-10-10 中车大连电力牵引研发中心有限公司 列车车辆和数据传输的处理方法
CN112744265A (zh) * 2019-10-31 2021-05-04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列车通信网络结构的控制装置及方法和列车通信网络系统
KR20210073665A (ko) * 2019-12-10 2021-06-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멀티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램 주행제어 안전시스템
CN112319551A (zh) * 2020-11-10 2021-02-05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列车车厢内的无线通信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672B1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672B1 (ko)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RU2649251C2 (ru) Система обслуживания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блоков в рельсов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US10689006B2 (en) Monitoring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EP3835905B1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08819984B (zh)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乘客报警输出控制电路
CN109532955B (zh) 一种微轨调度控制方法及系统
JP2003217074A (ja) 車両専用道路における車両運行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5151084A (zh) 用于副轨道检测系统的设备及包含该设备的信号系统
KR101322609B1 (ko) Ats와 atc 통합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58940B1 (ko) 철도용 터널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CN105667548B (zh) 铁路货车列车通信系统
KR20140000433A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1918B1 (ko)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US20190223007A1 (en) Traffic management of proprietary data in a network
CN105501255A (zh) 基于定点双通道冗余车地通信的列车冲标防护系统
CN212921529U (zh) 一种用于轨交信号系统故障的列车定位辅助系统
CN211015814U (zh) 一种火灾报警系统及安装有该报警系统的列车
KR20110066897A (ko) 운수 업체의 자동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869512B1 (ko)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운행 중 차량사고 알림 기능을 구비한 서비스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EP3759952A1 (en) Traffic management of proprietary data in a network
CN104835213A (zh) 一种北斗卫星智能车载终端装置
CA3183836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train
CN102556795A (zh) 一种电梯安全监测系统及方法
CN113409537A (zh) 一种轨道运输安全保障系统
JP2012183853A (ja) 地震時における列車制動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