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059A -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 Google Patents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059A
KR20130024059A KR1020110087266A KR20110087266A KR20130024059A KR 20130024059 A KR20130024059 A KR 20130024059A KR 1020110087266 A KR1020110087266 A KR 1020110087266A KR 20110087266 A KR20110087266 A KR 20110087266A KR 20130024059 A KR20130024059 A KR 2013002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land
otters
nes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8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059A/ko
Publication of KR2013002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달 서식용 보금자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상태에서 야생의 수달이 쉽게 접근하여 생활과 번식 그리고 육지 동물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한 수달 서식용 보금자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는, 벽돌이나 목재로 쌓아 4면의 벽으로 형성되는 벽체와; 하층에는 잡석으로 다짐하여 이루어진 잡석다짐층과 상기 잡석다짐층의 상면으로 모래와 자갈을 섞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바닥과; 상기 벽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목재에 의해 형성되는 지붕과; 상기 벽체의 내부로부터 하천방향으로 소정의 내리막 경사를 갖으며 하천과 보금자리를 연결하고, 수달의 출입통로가 되며 PE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천통로와; 상기 벽체의 내부로부터 육상방향으로 소정의 오르막 경사를 갖으며 육상과 보금자리를 연결하고, 수달의 출입통로가 되며 외부 공기의 인입을 위한 환기구가 되고, PE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육상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ARTIFICIAL OTTER HOLT}
본 발명은 멸종 위기종인 야생 수달의 보호 및 번식을 위한 보금자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상태에서 야행성의 수달이 안전하고 쉽게 접근하여 번식과 육지 동물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한 은신처와 휴식처 기능을 갖춘 수달 서식용 보금자리에 관한 것이다.
수달은 족제비, 오소리, 담비 등과 같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해 수달아과로 분류되는 동물이며, 그 중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수달은 Eurasian otter (Lutra lutra) 1종으로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IUCN Red List 보호등급 Ⅰ의 Vulnerable종으로 고시(IUCN/SSC, 2000)되어 있다.
수달은 수환경의 먹이사슬에서 최고 정점에 위치하며, 수생태 건강성의 지표 동물로서 수환경의 조절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수달은 서식이 가능한 각종 하천, 습지 등이 도시화와 함께 도로개설, 각종 인공시설물의 설치로 파괴되어 가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른 결과로 수달의 수는 급격하게 감소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부의 경우 콘크리트 구성된 호안블록을 걷어내고 자연형 하천을 설치하여 주고 있으며, 부분적이지만 이러한 자연형 하천 복귀가 이루지고는 있으나 이러한 자연형 하천도 결국은 인간이 구성한 인공구조물로 수달이 보금자리를 꾸미고 번식가능한 공간의 제공에는 거의 미치지 못하고 인간이 즐기는 공간의 일부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수달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풍부한 수량의 물이 존재한 곳이어야 하나 단순히 물만 있어서는 곤란하고 그들이 섭취할 충분한 먹이가 주변에 있어야 하고, 그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활동가능한 공간도 함께 제공되어야 하지만 하천의 여러 인공적 구조물은 이러한 수달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서식처의 적합도 지수(HSI)를 낮추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어 멸종을 가속화하고 있다.
수달은 육상의 육식동물(삵이나 개)로부터 열성적이며, 짧은 다리로 인해 육지에서 이동속도가 불리하고, 지방층이 적어 털로 방수 및 보온을 유지하고, 먹이 섭취량이 일일 체중의 15% 이상이라는 점과, 약한 발톱으로 인해 굴을 직접 만들지 못하고 바위굴이나 나무둥지를 보금자리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물에서는 물갈퀴를 이용하여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나 반대로 육지에서는 상대적으로 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인공적인 보금자리 구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수달의 생태적 특성을 기준으로 인공적인 은신 및 번식이 가능한 보금자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달이 자연 상태에서 생활 및 번식 그리고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인공적인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수달의 생태적 특성인 육지동물에 취약, 짧은 다리, 방수 및 보온용 털, 다량 섭취, 약한 발톱 및 물갈퀴를 고려하고, 안전한 출산 및 양육환경을 위한 생태적 요소에 적합한 구조와 기능을 갖추도록 고안된 인공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는, 벽돌이나 목재로 쌓아 4면의 벽으로 형성되는 벽체와; 하층에는 잡석으로 다짐하여 이루어진 잡석다짐층과 상기 잡석다짐층의 상면으로 모래와 자갈을 섞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바닥과; 상기 벽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목재에 의해 형성되는 지붕과; 상기 벽체의 내부로부터 하천방향으로 소정의 내리막 경사를 갖으며 하천과 보금자리를 연결하고, 수달의 출입통로가 되며 PE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천통로와; 상기 벽체의 내부로부터 육상방향으로 소정의 오르막 경사와 굴곡점을 갖으며 육상과 보금자리를 연결하고, 수달의 출입통로가 되며 외부 공기의 인입을 위한 환기구가 되고, PE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육상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하천방향의 출입구 앞에는 모래족적판이 더 형성되며, 그 출입구 주변에는 자연석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내경은 서로 다르며, 상기 육상통로의 내경은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벽체에는 보조 하천통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 하천통로는 하천과 직접 연결되어 보금자리와 하천의 직접 연결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하천방향 출입구로부터 하천의 수위를 관리하기 위한 수위관리선까지는 수달의 보금자리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식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식재부로부터 상기 육상통로의 육상측 출입구를 지난 소정의 지역까지는 상기 보금자리의 은폐 및 자연환경 조성을 위한 차폐식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수달이 자연 상태에서 생활 및 번식 그리고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수달의 생태적 특성인 육지동물에 취약, 짧은 다리, 방수 및 보온용 털, 다량 섭취, 약한 발톱 및 물갈퀴를 고려한 인공 보금자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육상통로와 하천통로를 마련하여 육상과 보금자리와 하천을 하나로 연결시켜 수달의 육상과 하천간의 원활한 출입이 가능한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하천정비에 따른 하천구조의 단순화가 가속되어 하천변 보금자리 구조의 소실에 따라 점차 수달 보금자리의 위치가 인근 야산 등으로 멀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에 따라 이동거리가 길어져 사망위험의 증가로 멸종의 가속화가 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종국적으로는 각종 하천, 습지 등의 도시화와 함께 도로개설, 각종 인공시설물의 설치, 하천 사업으로 인해 파괴되는 수달의 보금자리를 대체하여 수달의 생활 및 번식을 보호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자연을 일구어 나가는 데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의 배치와 그 주변의 차폐 및 유도 식재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1)는 벽체(11), 바닥(12), 지붕(13),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 육상통로(16) 및 보육공간막(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벽체(11)는 지반이 견고한 경우에는 벽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회 성토지역은 목재(Hard wood) 혹은 통나무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벽체(11)는 목재나 벽돌 또는 통나무 등으로 쌓기 방식으로 시행이 가능할 것이다.
벽체(11)는 이중의 구조로 형성되며, 이중의 구조 사이에는 부직포나 보온성 재질의 시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금자리(1) 내부의 보온 유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바닥(12)은 잡석다짐층(12a)과 모래 및 자갈층(12b)으로 이루어지며, 하층에 잡석다짐층(12a)을 형성하고 그 위에 모래 및 자갈층(1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래 및 자갈층(12b)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배수층의 기능을 갖는다.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는 수달이 하천과 보금자리(1)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PE 주름관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하천과 육지의 상황에 따라 2 내지 10m의 길이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의 하천방향에 형성된 출입구에는 수달의 왕래 흔적을 살펴보고 관찰하기 위한 모래족적판(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출입구는 하천의 관리수위선과의 높이차를 50 내지 300cm 정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출입구가 하천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 외에 보조적으로 보조 하천통로(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보조 하천통로는 하천의 물 속과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출입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의 경사는 수달이 오르 내리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10 내지 20도의 경사도를 갖을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의 보금자리(1) 내부에 형성된 출입구는 보금자리(1) 내부로 충분히 들어와 보금자리(1)와 그 출입구의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입된 부분의 길이는 20cm 이상이 되도록 하며 바닥면과 틈이 생기지 않도록 자갈을 깔아 통로와 바닥면 틈 사이를 고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보금자리(1) 내부로 인입된 출입구에는 보금자리(1)로부터 하천통로(14, 15)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이탈방지소켓(19)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의 내경은 수달이 출입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제1 하천통로(14)의 내경과 제2 하천통로(15)의 내경을 달리하여 수달의 몸통 크기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통로를 달리할 수 있으며, 그 내경은 240 내지 270mm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육상통로(16)는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와 마찬가지로 PE 주름관을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보금자리(1)의 내부와 연결되는 출입구도 20cm 이상 안쪽으로 들어오도록 하고 바닥면과의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갈을 깔아 고정하도록 하며, 보금자리(1) 내부로 인입된 출입구에는 보금자리(1)로부터 육상통로(16)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이탈방지소켓(19)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금자리(1)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는 하천을 향해 내리막경사로 형성되며, 육상통로(16)는 그 반대로 오르막경사로 형성된다.
육상통로(16)의 내경은 제1 및 제2 하천통로(14, 15)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경은 수달이 겨우 출입할 수 있는 정도(약 200mm)의 크기를 갖는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자연 환경에서 하천에서는 수달의 크기만한 천적이 없으나 육상의 경우는 수달을 공격할 수 있는 육상동물(개나 삵 등)이 존재하며 수달을 공격하는 육상동물의 출입을 막기 위해 출입구의 내경을 200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육상통로(16)는 육상과 보금자리(1)를 연결하는 통로로도 사용되지만, 중요한 것은 환기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육상통로(16)가 환기구 역할을 함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해 보금자리(1) 내부를 항상 건조하게 유지하게 함으로써 수달의 생활 및 보육을 자연환경과 같은 조건에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금자리(1) 내부에는 보육공간막(17)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보육공간막(17)은 수달의 번식과 함께 새끼들의 보육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보금자리(1) 상부로는 지붕(13)이 형성되며 지붕(13)은 목재를 사용하여 보금자리(1)가 외부로 들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보금자리(1)의 구성을 차폐 및 유도식재부와 함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를 통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의 배치와 그 주변의 차폐 및 유도 식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금자리(1)는 하천방향으로 유도식재부(21)가 형성되고, 육상방향으로 차폐식재부(22)가 형성된다.
유도식재부(21)는 인공 구조물인 보금자리(1)를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수달이 보금자리(1)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차폐식재부(22)는 보금자리(1)가 외부로 들어나지 않도록 은폐시켜 수달의 생활 및 보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하천의 관리수위선(23)으로부터 약 500 내지 3000mm 높이에 하천통로(14, 15)의 하천방향 출입구가 위치하도록 보금자리(1)를 배치하도록 하며, 하천통로(14, 15)의 하천방향 출입구의 전면에는 대략 1500 내지 2000mm 정도의 평지를 형성시키도록 입구 절취부(33)가 마련된다.
하천방향 출입구 주위에는 자연석(25)을 쌓아 통로 주변을 자연환경에 최대한 부합되도록 구성하며, 그 앞에는 수달이 보금자리(1)를 이용하고 있는 실태를 관찰하기 위해 모래족적판(26)을 형성시킨다.
하천통로(14, 15)의 하천방향 출입구로부터 하천의 관리수위선(23) 까지는 수달을 보금자리(1)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식재부(21)가 형성되며, 유도식재부(21)로는 갯버들(27)이 식재될 수 있다.
보금자리(1)는 지하로 완전히 묻히도록 하거나 마운딩(흙 둔덕, 34)을 하고 그 상부에 관목들을 식재하여 차폐식재부(22)를 형성토록 한다.
차폐식재부(22)로는 고랭이(29), 키버들(28, 32), 왕버들(30) 또는 물억새(31)등 관목, 장경초종, 단경초종으로 다층의 은폐기능을 가진 습생식물 군락들로 식재되어 외부로부터 보금자리(1)가 완전히 차폐되도록 하고 보금자리(1)를 자연환경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보금자리(1)는 수달이 자연 상태에서 생활 및 번식 그리고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수달의 생태적 특성인 육지동물에 취약한 면을 고려하여 육상통로(16)의 입구를 수달보다 큰 동물이 침입할 수 없도록 하고, 짧은 다리 및 물갈퀴에 의해 육지에서 이동이 쉽지 않음을 고려 육상통로(16)에 의한 은식처를 마련하며, 영역표시 및 섭식 장소에 따라 입구측에 자연석등을 주변에 배치하고, 은폐, 엄폐, 생활 및 보육이 자연 상태에 최대한 근접하게 된다.
또한, 육상통로와 하천통로를 마련하여 육상과 보금자리와 하천을 하나로 연결시켜 수달의 육상과 하천간의 원활한 출입이 가능한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보금자리 11 : 벽체
12 : 바닥 12a : 잡석다짐층
12b : 모래 및 자갈층 13 : 지붕
14, 15 : 하천통로 16 : 육상통로
17 : 보육공간막 18, 26 : 모래족적판
19 : 이탈방지소켓 21 : 유도식재부
22 : 차폐식재부 23 : 관리수위선
24 : 마운딩(흙 둔덕) 25 : 자연석
27 : 갯버들 28, 32 : 키버들
29 : 고랭이 30 : 왕버들
31 : 물억새 33 : 입구절취부

Claims (5)

  1. 벽돌이나 목재를 이중으로 쌓아 4면의 벽으로 형성되는 벽체와;
    하층에는 잡석으로 다짐하여 이루어진 잡석다짐층과 상기 잡석다짐층의 상면으로 모래와 자갈을 섞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바닥과;
    상기 벽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목재에 의해 형성되는 지붕과;
    상기 벽체의 내부로부터 하천방향으로 소정의 내리막 경사를 갖으며 하천과 보금자리를 연결하고, 수달의 출입통로가 되며 PE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천통로와;
    상기 벽체의 내부로부터 육상방향으로 소정의 오르막 경사를 갖으며 육상과 보금자리를 연결하고, 수달의 출입통로가 되며 외부 공기의 인입을 위한 환기구가 되고, PE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육상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하천방향의 출입구 앞에는 모래족적판이 더 형성되며, 그 출입구 주변에는 자연석들이 배치되는,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내경은 서로 다르며, 상기 육상통로의 내경은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 및 육상통로의 상기 보금자리 내부로 인입된 출입구에는 상기 보금자리로부터 이탈되어 빠져나가지 않도록 이탈방지소켓이 더 형성되는,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천통로의 하천방향 출입구로부터 하천의 수위를 관리하기 위한 수위관리선까지는 수달의 보금자리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식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식재부로부터 상기 육상통로의 육상측 출입구를 지난 소정의 지역까지는 상기 보금자리의 은폐 및 자연환경 조성을 위한 차폐식재부가 형성되는, 수달 서식을 위한 보금자리.




KR1020110087266A 2011-08-30 2011-08-30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KR20130024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266A KR20130024059A (ko) 2011-08-30 2011-08-30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266A KR20130024059A (ko) 2011-08-30 2011-08-30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59A true KR20130024059A (ko) 2013-03-08

Family

ID=4817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266A KR20130024059A (ko) 2011-08-30 2011-08-30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0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4752A (zh) * 2019-07-23 2019-09-10 公保 一种生态环保防鼠动物洞穴
KR102242556B1 (ko) 2021-01-26 2021-04-20 주식회사 엔에이피 수달 서식 및 행동권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53943B1 (ko) * 2021-03-23 2021-05-21 주식회사 엔에이피 수달행동 관찰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달 인공 생태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4752A (zh) * 2019-07-23 2019-09-10 公保 一种生态环保防鼠动物洞穴
CN110214752B (zh) * 2019-07-23 2024-05-14 公保 一种生态环保防鼠动物洞穴
KR102242556B1 (ko) 2021-01-26 2021-04-20 주식회사 엔에이피 수달 서식 및 행동권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53943B1 (ko) * 2021-03-23 2021-05-21 주식회사 엔에이피 수달행동 관찰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달 인공 생태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ckley et al. Habitat selection and marine birds
Covaciu-Marcov et al. The herpetofauna of the Jiului Gorge National Park, Romania.
BAŞKALE et al. Sea turtle nest conservation techniques on southwestern beaches in Turkey
KR20130024059A (ko)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US6619235B2 (en) Wildlife homes
Curry-Lindahl The beaver, Castor fiber Linnaeus, 1758 in Sweden extermination and reappearance
KR200441752Y1 (ko)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CN205711977U (zh) 一种输水明渠野生动物跨行通道结构
KR102319979B1 (ko) 수변 동물을 위한 인공 생활 은신처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Henning et al. Conservation guidance for Blanding’s Turtle (Emydoidea blandingii)
Timmerman et al. Maternity colony of gray bats in a non-cave site
JP2001152428A (ja)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Miller et al. OBSERVATIONS ON EGG-LAYING BEHAVIOR AND INTERACTIONS AMONG ATTENDING FEMALE RED SALAMANDERS (PSEUDOTRITON
CN107178067A (zh) 一种输水明渠野生动物跨行通道系统
KR200439271Y1 (ko) 수달의 서식을 위한 인공 구조물
Dembek New vision of the role of land reclamation systems in nature protection and water management
Baxter The location and status of egret colonies in coastal New South Wales
KR101330164B1 (ko)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Burger et al. Nesting behavior of a gladiator frog Hyla boans in Peru
O'Brien Habitat fragmentation due to transport infrastructure: Practical considerations
Bertolino et al. The strange case of beaver return in Italy: origins and management
Pavlaèík et al. Use of human buildings by Eurasian badgers in the Moravskoslezske Beskydy Mountains, Czech Republic
WELLS et al. s BONAIRE
Peyton WETLAND RESTORATION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