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752Y1 -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 Google Patents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52Y1
KR200441752Y1 KR2020070007937U KR20070007937U KR200441752Y1 KR 200441752 Y1 KR200441752 Y1 KR 200441752Y1 KR 2020070007937 U KR2020070007937 U KR 2020070007937U KR 20070007937 U KR20070007937 U KR 20070007937U KR 200441752 Y1 KR200441752 Y1 KR 20044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tter
living
natural
otter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진
Original Assignee
한국자연환경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연환경연구소(주) filed Critical 한국자연환경연구소(주)
Priority to KR2020070007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에 관한 것이다.
댐의 건설, 수변지역의 개발과 같은 자연 습지 훼손이 이어지면서 수변지역에 서식하는 수달과 같은 동물이 점차 멸종되어 가고있다.
수달의 자연적 성장과 번식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법은 자연 상태로 회귀시켜 주는 것이 최적이지만 사람에 유익한 개발과 자연계의 각종 동식물에 유익한 자연보존이 서로 충돌하면서 인간의 개발에 밀린 각종 동식물의 멸종이 재촉되고 있다.
본 고안은 수달이 번식과 포육을 함께 가능하게 한 서식구조물을 제공하여 수달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달의 생태학정 특징과 생활 습관, 먹이 습관, 생육활동,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수달이 생활하기에 가장 최적인 보금자리를 제공하여 인위적 개발이 진행된 곳에서도 수달이 번성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수달이 주로 생활과 번식이 이루어지는 생활포육실, 인근 수변가까지 입구가 연장된 수달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생활통로, 생활통로에 천적이나 기타 위험상황이 발생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통로, 상기한 생활포육실과 생활통로 그리고 보조통로를 자연형태로 복구하여 이질감을 없애도록 토층과 자연석재층를 순차로 쌓아준 외곽보호층으로 이루어진 보금자리를 개발하였다.
수달, 보금자리

Description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Artificial shelter for otter}
도 1 은 본 고안의 서식 구조물의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서식 구조물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정단면도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저면 4:접착층 9:캡부 1:생활포육실 10:생활통로 20:보조통로
본 고안은 자연 상태에서 야생 수달이 용이하게 접근하여 생활과 번식이 가능한 보금자리에 관한 것이다.
수달은 약 3000만년전 먹이를 찾아 물가로 내려왔으며 약 2500만년 전에 현재 수달종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Paralutra jaegeri가 출현하였으며, 각자의 주어진 수생활경에 적응하여 진화되어 왔다. 수달은 족제비, 오소리, 담비 등과 같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해 수달아과로 분류되는 동물이며 초기 학자들에 의해 19종 63아종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Van Zyll de Jong(1987)에 의해 새로운 수달종을 Lontra속에서 Lutra종으로 분리시켰다.
최근까지 수달종의 분류체계는 Corbet와 Hill(1980)에 따른 Lutra, Pteronura, Aonyx, Enhydra의 4속 13종이었으나 Klaus-Peter Koepfli 박사가 IUCN의 제7차 수달국제심포지움(1998, 체코)에서 세계 수달의 Cytochrome-b를 이용한 새로운 계통발생학적 연구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수달 분류체계가 다시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국 IUCN 수달그룹에서는 Wozencraft(1993)의 분류체계와 Koepfli 박사의 연구결과에 근거를 두고 새로운 수달학명을 수립하였다.
당시에는 Aonyx 속과 Amblonyx 속의 분할 문제에 대해 다소의 이견이 제기되었으나, IUCN Otter Action Plan-2000 보고서에는 새로운 학명을 사용하기로 하는데 합의하게 되었다.
또한 2001년 초에 개최된 제8차 IUCN 국제수달심포지움(2001, 칠레, Valdivia)에서도 많은 수달 학자들이 Koepfli 박사의 연구결과에 따른 새로운 분류체계를 적극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수달의 학명체계가 학계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 사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중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수달은 Eurasian otter (Lutra lutra) 1종으로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IUCN Red List 보호등급 Ⅰ의 Vulnerable종으로 고시(IUCN/SSC, 2000)되어 있다.
수달은 수환경의 먹이사슬에서 최고 정점에 위치하며, 수환경의 조절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IUCN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달은 해당 지역 수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수환경의 지표종(Indicator)이다"라고 보고(IUCN/SSC, 1990)하고 있으며, 수생생태계의 질서, 즉 먹이사슬을 균형있게 조절해주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 그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수달은 서식이 가능한 각종 하천, 습지 등이 도시화와 함께 도로개설, 각종 인공시설물의 설치로 파괴되어 간다. 그 결과 수달은 그 서식처에서 살지못하며 점차 소멸되어가는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부의 경우 콘크리트 구성된 호안블록을 걷어내고 자연형 하천을 설치하여 주고 있다. 부분적이지만 이러한 자연형 하천 복귀가 이루지고는 있으나 이러한 자연형 하천도 결국은 인간이 구성한 인공구조물로 수달이 보금자리를 꾸미고 번식가능한 공간의 제공에는 거의 미치지 못하고 인간이 즐기는 공간의 일부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수달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만 있어서는 곤란하고 그들이 섭취할 적절한 먹이 공급원이 주변에 있어야 하고, 그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활동가능한 공간도 함께 제공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인공적 구조물은 이러한 수달의 생태적 특성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환경을 조성하고 있어 멸종을 가속화하고 있다.
본 고안은 수달이 자연상태에서 이질감이 없이 친근하게 접근하여 생활 가능한 수달 서식용 인공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수달이 가장 최적의 상태로 번식과 생활이 가능하도록 기본 구조를 취하도록 하고 수달이 접하는 곳은 자연석재를 이용한 자연상태로 구성한 수달 서식용 인공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수달이 인공으로 생활 가능한 수달 인공 보금자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달이 자연계에서 조성한 보금자리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내부에 자연석재가 적층되고 석재층의 하부에는 자연친화적인 토양을 주재로 한 접착층을 구성한 보금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수달이 먹이를 섭취하는 습관에 맞추어 주요 생활통로와 비상시 혹은 다른 이유로 탈출이 가능한 보조통로를 함께 설치한 수달의 보금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생활포육실과 생활 및 보조통로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져 하천변과 같은 습지대의 난개발로 수달이 보금자리를 지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없거나 혹은 집을 지을 만한 판형 석재 혹은 토굴형성가능한 재료가 없는 현장에서 손쉽게 설치가능한 수달의 보금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대표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수달의 인공 보금자리의 평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인공 보금자리의 정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저면(3)에 판상의 석재층을 접착층(4)을 매개로 적층하여 지면과 분리한 원통형의 보디부와 보디부의 상면을 덮어주는 뚜껑 형태의 캡부로 구성된 생활포육실(1),
인근 수변가까지 입구가 연장되어지며, 저면일부가 접착층(11)에 의하여 석 재층(12)이 적층된 수달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생활통로(10),
생활통로에 천적이나 기타 위험상황이 발생시 탈출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생활통로보다 높은 위치로 통하도록 출구를 배치하고 저면일부에 상기한 생활통로와동일한 형태로 석재층이 적층된 보조통로(20),
상기한 생활포육실과 생활통로 그리고 보조통로를 자연형태로 복구하여 이질감을 없애도록 토층(31)과 자연석재층(32)를 순차로 쌓아준 외곽보호층(30)으로 구성되는 수달 인공서식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수달이 서식하는 생활포육실(1)은 원형구조로 구성되어져 수달이 생활하면서 불규칙하게 돌출된 암석노출물에 의한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수달은 발톱이 약하기 때문에 땅을 파서 보금자리를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수달은 암석틈이나 바위틈과 같은 곳에서 생활하게 되며, 자연적인 환경이 다양하게 구성된 곳은 이러한 자연적인 수달 서식가능한 공간이 있지만 개발이 되고 습지의 파괴, 인공구조물의 설치(예를 들면 호안블록이나 기타 여러 가지 구조물에 의한 하천정비사업)로 자연적인 구조물이 거의 사라지면서 수달이 살수 있는 적절한 공간이 사라지게 되었다.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수달의 특성에 맞추어 생활공간을 제공하되 수달의 생활습관과 번식에 가장 최적의 형태를 조성하기 위하여 생활포육실을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생활포육실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1000에서 5000㎜의 지름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몸길이 63∼75 cm, 꼬리길이 41∼55 cm, 몸무게 5.8∼10 kg을 갖는 수달의 형태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즉 수달이 생활포육실 내부에서 생활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하듯이 몸을 둥그렇게 말고 수면을 취하는 것을 가정할 때 약 20내지 30㎝의 길이를 갖게 되며, 이러한 형태로 다수의 수달이 서로 뭉쳐서 살기에 적당한 크기이다. 만일 이보다 크게 되면 수달이 접근하지 않고 다른 곳에 자신들의 생활에 적합한 공간을 형성하려 하기 때문이다. 수달의 번식기는 1∼2월이며 임신기간은 63∼70일이고 한배에 2∼4마리를 낳는다. 암컷은 새끼를 낳은 후 50일이 지나야 비로소 물속으로 들어가서 물고기를 잡는다. 새끼들은 6개월간 어미수달과 같이 지낸다. 수달이 가족형태의 무리를 이루게 되면 적어도 생활포육실에 5내지 10마리가 거주하게 되므로 이들의 활동화 생활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생활포육실(1)의 상부에 덮개형태로 구성된 캡부(9)는 접착층(9a)과 석재층(9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부에서 생활하는 수달이 하부나 측면과 마찬가지로 자연상태의 토굴이나 석굴내에서 생활하는 것과 동일한 분위기를 갖도록 유도하여 준다.
생활포육실은 가장 손쉬운 형태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구조물을 양생처리한 것이다. 생활포육실의 일측에는 두 개의 출구설치를 위한 개구부(2)를 형성하여 주며, 상하는 개방된 상태이다.
생활포육실의 재질로 콘크리트 구조물 외에도 합성수지 압출에 의한 연속압출성형품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 성형한 것도 가능하다. 그외에도 자연석을 맞붙임처리한 것, 목재를 이용한 것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수달이 생활습성상 암석, 바위 등에 거주하는 것과 동일하도록 콘크리트, 목재, 합성수지를 구조물로 구성하고 내면에는 자연 석재층을 적층한다.
자연 석재층과 저면 혹은 측면 등은 중간에 접착층을 매개로 접착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수달이 본 고안의 보금자리에 접하는 경우 콘크리트, 목재, 합성수지와 같은 인공 재질에 의한 이질감으로 접근을 회피할 염려가 없도록 한다. 동시에 이들 재질에 의하여 발생가능한 여러 가지 문제들, 예를 들면 콘크리트에 의한 라돈 방사독, 합성수지에 의한 환경홀몬 등의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접착층을 이들 독성물질의 중화 제거 기능을 갖는 물질로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자연계에 가장 흔하게 분포하는 황토를 주 원료로 하는 아교나 자연산 라텍스 고무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 접착제 혹은 황토몰탈, 세멘트, 고로슬래그에 버미큐라이트 골재를 혼합한 무기질접착 혼합물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 생활포육실과 출구의 저면에는 판상의 석재를 부착하였다. 수달은 바위나 암석의 틈에서 생활하는 특성에 가장 적합하고 자연스럽게 적응가능하도록 자연 석재를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판상의 석재는 수달이 네 다리는 짧고 발가락은 발톱까지 물갈퀴로 되어 있어 헤엄치기에 편리하며 걸어다닐 때에는 발가락 전부가 땅에 닿는 구조를 갖고 있어 바닥이 매끄럽거나 너무 부드러운 경우 이들의 이동과 생활을 위한 보행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저면에 부착하는 석재는 타원형에서 부터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직경 500에서 700㎜ 정도의 석재를 이용한다. 수달이 수면시 혹은 쉴 경우 몸을 동그랗게 말아 주는 데 말아준 상태의 수달 몸 크기가 500에서 700사이의 석재판일 때 수달에게 가장 편안하다.
본 고안에서 출구는 기본적으로 생활통로(10)와 보조통로(20)를 기본으로 설치하게 된다. 기본적인 출구인 생활통로는 수달이 가장 좋아하는 환경인 물이 있는 곳에 쉽게 근접하기 위한 출구로 이용되어 가장 기본적인 먹이사냥과 생활이 이루어지는 물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수달은 야행성이며 낮에는 보금자리에서 쉬며 갑자기 위험 상태에 이르렀을 때에는 물속으로 잠복한다. 출구의 설치는 기본적으로 2군데를 기본으로 하지만 수달의 서식특성상 대규모화하거나 혹은 설치환경에 따라 3군데 이상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설치의 숫자와 형태는 서식지의 수변환경, 초지의 구성, 먹이 사냥의 형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임의로 설치하게 된다.
생활통로는 기본적으로 하천의 일반수위(LL) 그리고 가능한 최고수위(HL)의 사이에 출구(10a)가 개방토록 구성한다(도2).
본 고안에서 생활통로외에 보조통로가 생활통로와는 다른 방향, 특히 생활통로가 물가를 향한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설치한다. 특히 보조통로는 수달의 탈출을 위한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주변 숲지대와 연결되며, 우기범람에 의한 침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수달은 외부감각이 발달되어 밤이나 낮이나 잘 보이며 작은 소리도 잘 들을 수 있고 후각으로 물고기의 존재, 천적의 습격을 감지한다. 즉, 생활통로로 부터 수중에 서식하는 각종 포식자들이 접근하는 경우 보조통로를 이용하여 즉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생활통로와 달리 하천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폭우시에 탈출로로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 모든 생활을 수중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머물도록 기본적인 생활통로를 구성하여 수달이 먹이를 쉽게 취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생활통로와 보조통로의 저면에 적재 고정되는 판석들은 출구의 내측벽전체를 수달의 접근과 이질성을 없애기 위하여 자연석재로 채우도록 한다. 전체를 자연석재로 적층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최소한 출구의 전체 원의 크기를 기준으로 할 경우 하측 1/2 내지 1/3을 접착층을 매개로 적층한다.
본 고안에서 외곽보호층(30)은 상기한 생활포육실, 생활통로, 보조통로를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 않도록 자연석, 잡초, 돌무더기 등에 의하여 포장한 구조물이다. 외곽보호층은 자연계에서 포식자에 의한 침해를 막을 뿐 아니라 인공구조물이라는 선입감을 없애도록 하여 수달이 안전한 생활을 유도한다.
외곽보호층은 도 3에 도시하듯이 설치된 하천의 형태에 따라 하천변에 존재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하여 다른 하천에 있는 구조물과 차이가 없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는 수달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 파괴로부터 인공적으로 보금자리를 구성하도록 하여, 수달이 쉽게 접근하여 번식과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게 한다. 특히 자연에서 생활하는 수달의 생태적 특성에 가장 근접하도록 하여 수달의 멸종을 방지하고 다른 천적의 침해, 혹은 홍수기에 의한 보금자리 파손 등이 없도록 하였다.

Claims (4)

  1. 저면(3)과 측면(3a)에 판상의 석재층을 접착층(4)을 매개로 적층하여 지면과 분리한 원통형의 보디부와 보디부의 상면을 덮어주는 뚜껑 형태의 캡부(9)로 구성된 생활포육실(1),
    인근 수변가까지 입구가 연장되어지며, 저면일부가 접착층(11)에 의하여 석재층(12)이 적층된 수달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생활통로(10),
    생활통로에 천적이나 기타 위험상황이 발생시 탈출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생활통로보다 높은 위치로 통하도록 출구를 배치하고 상기한 생활통로와 동일한 형태로 접착한 석재층(22)이 적층된 보조통로(20),
    상기한 생활포육실과 생활통로 그리고 보조통로를 자연형태로 복구하여 이질감을 없애도록 토층(31)과 자연석재층(32)을 순차로 쌓아준 외곽보호층(30)으로 구성되는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생활포육실은 원통형으로 지름 1000에서 5000㎜이며, 저면과 측면에 석재층을 부착고정하는 접착층이 아교나 자연산 라텍스 고무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 접착제 혹은 황토 몰탈, 세멘트, 고로슬래그에 버미큐라이트 골재를 혼합한 무기질접착제 혼합물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생활통로(10)와 보조통로(20)의 하측 저면부의 1/2 내지 1/3을 자연석으로 적재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생활 출구는 하천의 일반수위(LL) 그리고 가능한 최고수위(HL)의 사이에 출구(10a)가 개방토록 구성하며,
    보조통로는 생활통로와는 수달의 탈출이 가능하도록 주변 숲을 향하여 출구가 개방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KR2020070007937U 2007-05-15 2007-05-15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KR200441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937U KR200441752Y1 (ko) 2007-05-15 2007-05-15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937U KR200441752Y1 (ko) 2007-05-15 2007-05-15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752Y1 true KR200441752Y1 (ko) 2008-09-05

Family

ID=4164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937U KR200441752Y1 (ko) 2007-05-15 2007-05-15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4752A (zh) * 2019-07-23 2019-09-10 公保 一种生态环保防鼠动物洞穴
KR20210026406A (ko) * 2019-08-30 2021-03-10 (주)화정엔지니어링 수변 동물을 위한 인공 생활 은신처
KR102253943B1 (ko) * 2021-03-23 2021-05-21 주식회사 엔에이피 수달행동 관찰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달 인공 생태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4752A (zh) * 2019-07-23 2019-09-10 公保 一种生态环保防鼠动物洞穴
CN110214752B (zh) * 2019-07-23 2024-05-14 公保 一种生态环保防鼠动物洞穴
KR20210026406A (ko) * 2019-08-30 2021-03-10 (주)화정엔지니어링 수변 동물을 위한 인공 생활 은신처
KR102319979B1 (ko) * 2019-08-30 2021-11-01 (주)화정엔지니어링 수변 동물을 위한 인공 생활 은신처
KR102253943B1 (ko) * 2021-03-23 2021-05-21 주식회사 엔에이피 수달행동 관찰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달 인공 생태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ington et al. Ecology, recreation and tourism
Jernelöv The long-term fate of invasive species
Datta Artificial-Nest Rainwater-Harvesting with Fishery and Floating-or-Rooftop-Gardening Act as 21st Century COVID-19 Epidemic-Model: Improved Biodiversity Agriculture Socio-Economic Civil-Engineering Environmental-Sciences Technology-Communication
KR200441752Y1 (ko) 수달 서식을 위한 인공 보금자리
Lund Commensal rodents.
KR100541281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US6619235B2 (en) Wildlife homes
VanderWerf et al. Restoration: Social attraction and translocation
KR102319979B1 (ko) 수변 동물을 위한 인공 생활 은신처
KR20130024059A (ko) 수달 서식을 위한 하천내 보금자리
Sodikoff The multispecies infrastructure of zoonosis
JP2006288381A (ja) 蛸の産卵用漁礁
Akani et al. Factors militating against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he Niger Delta, Nigeria: the way out
Bedolla-Guzmán et al. A wood-concrete nest box to study burrow-nesting petrels
Bruni et al. Effectiveness of artificial amphibian breeding sites against non-native species in a public protected area in Tuscany, Italy
KR20170006474A (ko) 토종물고기 보호용 인공어초
Panyaarj et al. Breeding ecology of buff-breasted babbler (Pellorneum tickelli) at Doi Chiang Dao Wildlife Research Station, Chiang Mai province, Thailand
Sharma et al. Species
De Villiers et al. Prince Edward Islands Conservation Handbook
Gupta Unearthed
Fijn et al. Sandwich Tern feeds juvenile on wintering grounds in southern Namibia
Bušina Reinforcement of declining little owl (Athene noctua) population: A peculiar case of post-release habitat selection and underground roosting
Lerwill Wild Cities
JP2011092171A (ja) サンゴや海藻等を空気滞留構造物の空気滞留帯5により底生生物の食害から防ぐ方法
KR101506706B1 (ko) 거북선형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