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593A -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593A
KR20130022593A KR1020110085284A KR20110085284A KR20130022593A KR 20130022593 A KR20130022593 A KR 20130022593A KR 1020110085284 A KR1020110085284 A KR 1020110085284A KR 20110085284 A KR20110085284 A KR 20110085284A KR 20130022593 A KR20130022593 A KR 20130022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ttery modu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107B1 (ko
Inventor
박시동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07B1/ko
Priority to US13/352,488 priority patent/US9083030B2/en
Priority to EP12162320.1A priority patent/EP2562842B1/en
Publication of KR20130022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들을 내장하는 하우징들을 적층 배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각각 수용하고, 서로 적층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BATTERY MODULE}
본 기재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들을 내장하는 하우징들을 적층 배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또는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모터 구동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지 모듈은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는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전지 모듈들을 평면 방향으로 배열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들 자동차에 비하여, 모터 스쿠터와 같은 이륜차는 제한된 면적을 가지므로 전지 모듈들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열할 필요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들을 내장하는 하우징들을 적층 배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각각 수용하고, 서로 적층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1 전극단자와,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단자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2 전극단자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1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단자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2 전극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에서 일직선 방향으로 관통되어 체결부재로 서로 연결되는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에 일직선 방향으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체결홀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제1 단자 연결홀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단자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제2 단자 연결홀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단자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2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전극단자의 1쌍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단자 연결홀을 1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전극단자의 1쌍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단자 연결홀을 1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적층되는 일측에서, 적층 방향에 직교 방향으로 확장되어 서로 마주하여 서로 지지되는 제1 수평 플랜지와 제2 수평 플랜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플랜지와 상기 제2 수평 플랜지는, 적층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적층되는 일측에서, 적층 방향으로 확장되어 서로 마주하여 제1 수직 플랜지와 제2 수직 플랜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 플랜지와 상기 제2 수직 플랜지는, 적층 방향에 직교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상기 전극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 바의 외곽에서 상기 전극단자의 단부보다 더 높게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전기 절연성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를 덮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제2 하우징을 적층하여 연결하고, 제1,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를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하우징들의 적층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평면 방향으로 제한된 곳에 효과적으로 배치 및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하우징(21), 제2 하우징(22) 및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이차 전지(10)를 각각 수용하는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 및 제1, 제2 하우징(21, 22) 각각에 수용되는 이차 전지(10)의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즉, 제1 연결부재(31)와 제2 연결부재(3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차 전지(10)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고,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이차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10)는 전극 어셈블리(미도시)를 내장하는 케이스(11), 케이스(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 즉, 양극단자(12)와 음극단자(13), 및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어 충전 및 방전시 발생된 내부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직육면체 형상의 각형(prismatic type)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양, 음극단자(12, 13)는 전극 어셈블리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미도시), 외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이차 전지(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10)은 제1, 제2 하우징(21, 22)에서 동일 구조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2 하우징(22)에서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10)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즉 이차 전지들(10)의 넓은 전면과 후면이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고, 좁은 양 측면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10) 중에서, 이웃하는 1쌍의 이차 전지들(10)은 병렬로 연결되고, 병렬로 연결된 1쌍의 이차 전지(10)와 병렬로 연결된 다른 1쌍의 이차 전지(10)는 직렬로 다시 연결된다. 즉, 이웃하는 1쌍의 양극단자(12)와 이웃하는 1쌍의 음극단자(13)가 서로 엇갈리어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1쌍의 양극단자(12)와 이웃하는 1쌍의 음극단자(13)는 버스 바(15)로 서로 연결된다. 이차 전지들은 직렬로 연결되거나, 이웃하는 3개를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3개를 직렬로 연결할 수도 있다(미도시).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2 및 도 3의 제1 하우징(21)을 참조하면, 버스 바(15)는 양, 음극단자(12, 13)가 삽입되는 홀(15a)을 형성하여, 양, 음극단자(12, 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베이스 부재(16)를 양, 음극단자(12, 13)에 체결하고, 버스 바(15)를 베이스 부재(16) 위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너트(17)를 양, 음극단자(12, 13)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버스 바(15)가 고정된다. 즉 버스 바(15)는 하면으로 베이스 부재(16)에 닿고, 상면으로 너트(17)에 닿아서 양, 음극단자(12, 13)의 병렬 및 직렬 연결을 구현한다.
버스 바(15)에서 홀(15a)은 이차 전지(10)를 병렬로 연결하는 개수의 2배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2개의 이차 전지들(10)을 병렬로 연결하고 4개의 이차 전지들(10)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버스 바(15)는 4개의 홀(15a)을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차 전지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버스 바는 2개의 홀을 구비하고, 3개의 이차 전지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6개의 이차 전지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버스 바는 6개의 홀을 구비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22)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양극단자(12)와 1쌍의 음극단자(13)는 버스 바(15)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하우징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음극단자와 1쌍의 양극단자는 버스 바로 연결되지 않는다(미도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21)의 일측 단부에 1쌍의 음극단자(13)가 위치하고, 이에 z축 방향으로 적층하여 대응하는 제2 하우징(22)의 일측 단부에 1쌍의 양극단자(12)가 위치한다. 버스 바(15)가 연결되는 않은 제1 하우징(21)의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음극단자(13)와 제2 하우징(22)의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양극단자(12)는 제1, 제2 연결부재(31, 3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즉, 제1 연결부재(31)는 제1 하우징(21)에 수용되는 이차 전지(10)의 1쌍의 음극단자(13)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32)는 제2 하우징(22)에 수용되는 이차 전지(10)의 1쌍의 양극단자(1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제2 연결부재(31, 32)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의 이차 전지들(10)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10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하우징(21)의 다른 측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음극단자(미도시)와 제2 하우징(22)의 다른 측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양극단자는 전지 모듈(100)에서 최종 전력을 출력하는 단자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하우징(21, 22)을 2층으로 적층하여 직렬로 연결한 전지 모듈(100)을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층수로 적층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을 형성할 수도 있다(미도시).
제1 연결부재(31)는 제1 하우징(21)의 음극단자(13)가 삽입되는 1쌍의 제1 단자 연결홀(31a)을 형성하므로 제1 단자 연결홀(31a)에 음극단자(13)가 삽입되는 구조로 음극단자(13)에 설치된다. 즉 제1 연결부재(31)는 제1 하우징(21)의 1쌍의 음극단자(13)에 체결된 베이스 부재(16) 상에 설치되고, 음극단자(13)에 너트(17)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부재(31)는 제1 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제1 연결홀(31b)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재(32)는 제2 하우징(22)의 양극단자(12)가 삽입되는 1쌍의 제2 단자 연결홀(32a)을 형성하므로 제2 단자 연결홀(32a)에 양극단자(12)가 삽입되는 구조로 양극단자(12)에 설치된다. 즉 제2 연결부재(31)는 제2 하우징(22)의 1쌍의 양극단자(12)에 체결된 베이스 부재(16) 상에 설치되고, 양극단자(12)에 너트(17)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32)는 제2 하우징(22)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제2 연결홀(32b)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재(32)는 제2 하우징(22)의 양극단자(12)에 연결되고, 제2 하우징(22)의 외면을 따라 절곡되어 제1 연결부재(31)에 연결된다. 즉 제1, 제2 연결홀(31b, 32b)은 일직선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33)를 삽입시키므로 제1, 제2 연결부재(31, 32)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하우징(21)은 제1, 제2 연결홀(31b, 32b)에 일직선 방향(z축 방향)으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체결홀(33a)을 가진다. 제1, 제2 연결홀(31b, 32b)을 연결하는 체결부재(33)가 제1, 제2 연결홀(31b, 32b)을 관통하여 체결홀(33a)에 체결됨으로써 제1, 제2 연결부재(31, 32를 서로 닿게 하여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형성하고, 제1, 제2 연결부재(31, 32)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호판(41, 42)은 대략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이차 전지들(10)이 내장되는 제1, 제2 하우징(21, 22)의 개구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제2 하우징(21, 22)에 체결부재(미도시)로 고정된다. 예를 들면, 보호판(41, 42)은 전기적 절연재로 형성되어, 버스 바(15)의 아래에 배치되고, 버스 바(15)의 외곽과 밴트 플레이트(14)의 외곽에서 양, 음극단자(12, 13)의 단부보다 더 높게 돌출하는 돌출부(43, 44)를 가진다. 제1 하우징(21)에 설치되는 보호판(41)은 돌출부(44)로 제2 하우징(22)의 하면을 지지하여, 제1 하우징(21)에 내장되는 이차 전지(10)의 양, 음극단자(12, 13)가 제2 하우징(22)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 구조를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21, 22)은 각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버스 바(15)로 병렬 및 직렬 연결되는 이차 전지들(10)을 수용하고, z축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어 상호 결합된다.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은 서로 적층되는 일측(x축 방향 측)에 제1 수평 플랜지(211)와 제2 수평 플랜지(221)를 각각 구비한다. 제1, 제2 수평 플랜지(211, 221)는 제1, 제2 하우징(21, 22)의 적층 방향(z축 방향)에 직교 방향(x축 방향)으로 확장되어 z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함으로써, 적층 상태에서 제1, 제2 하우징(21, 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제2, 제1 수평 플랜지(221, 211)는 각각에 관통홀(22a)과 체결홀(21a)을 구비하고, 적층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관통홀(22a)을 관통하여 체결홀(21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3)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23)와 체결홀(21a)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상태에서 제1, 제2 하우징(21, 22)의 x, z축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2 하우징(21, 22)은 서로 적층되는 일측(y축 방향 측)에 제1 수직 플랜지(212)와 제2 수직 플랜지(222)를 각각 구비한다. 제1, 제2 수직 플랜지(212, 222)는 제1, 제2 하우징(21, 22)의 적층 방향(z축 방향)으로 확장되어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함으로써, 적층 상태에서 제1, 제2 하우징(21, 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제1, 제2 수직 플랜지(212, 222)는 각각에 관통홀(21b)과 체결홀(22b)을 구비하고, 적층 방향에 직교 방향(y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관통홀(21b)을 관통하여 체결홀(22b)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4)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24)와 체결홀(22b)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상태에서 제1, 제2 하우징(21, 22)의 y, z축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0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전지 모듈(100)은 제1 하우징(21)에서 1쌍의 음극단자(13)에 제1 연결부재(31)를 연결하고, 제2 하우징에서 1쌍의 양극단자(12)에 제2 연결부재(31)을 연결하여, 제1, 제2 연결부재(31, 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실시예의 전지 모듈(200)은 보호 부재(51)를 더 구비한다. 보호 부재(51)은 전기 절연성을 가지고 제2 연결부재(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연결부재(32)를 덮어서 전기적인 쇼트로부터 보호한다. 제2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51)는 제2 연결부재(32)를 덮도록 형성되며, 제1, 제2 연결부재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면, 보호부재(51)는 덮개부(511)와 장착부(512)를 가진다. 덮개부(511)는 적어도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연결부재(32)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제2 연결부재(32)를 덮는다. 장착부(512)는 덮개부(51)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홀(51a)를 형성하여, 체결부재(52)를 관통홀(51a)로 삽입하여 제2 하우징(22)의 체결홀(51b)에 체결함으로써, 제2 연결부(32)를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52)와 체결홀(51b)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이차 전지 11 : 케이스
12 : 양극단자 13 : 음극단자
14 : 벤트 플레이트 15 : 버스 바
15a : 홀 16 : 베이스 부재
17 : 너트 21, 22 : 제1, 제2 하우징
21a, 22b, 33a, 51b : 체결홀 21b, 22a, 51a : 관통홀
31, 32 : 제1, 제2 연결부재 31a, 32a : 제1, 제2 단자 연결홀
31b, 32b : 제1, 제2 연결홀 41, 42 : 보호판
43, 44 : 돌출부 51 : 보호 부재
100, 200 : 전지 모듈 211, 221 : 제1, 제2 수평 플랜지
511 : 덮개부 512 : 장착부

Claims (17)

  1.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각각 수용하고, 서로 적층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와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1 전극단자와,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단자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2 전극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1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단자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제2 전극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에서 일직선 방향으로 관통되어 체결부재로 서로 연결되는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
    을 각각 가지는 전지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에 일직선 방향으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체결홀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전지 모듈.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제1 단자 연결홀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단자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제2 단자 연결홀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단자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2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전극단자의 1쌍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단자 연결홀을 1쌍으로 형성하는
    전지 모듈.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전극단자의 1쌍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단자 연결홀을 1쌍으로 형성하는
    전지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적층되는 일측에서, 적층 방향에 직교 방향으로 확장되어 서로 마주하여 서로 지지되는 제1 수평 플랜지와 제2 수평 플랜지를 각각 구비하는
    전지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플랜지와 상기 제2 수평 플랜지는,
    적층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적층되는 일측에서, 적층 방향으로 확장되어 서로 마주하여 제1 수직 플랜지와 제2 수직 플랜지를 각각 구비하는
    전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플랜지와 상기 제2 수직 플랜지는,
    적층 방향에 직교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전지 모듈.
  14.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상기 전극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 바의 외곽에서 상기 전극단자의 단부보다 더 높게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호판
    을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면을 지지하는
    전지 모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전기 절연성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를 덮는 보호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0110085284A 2011-08-25 2011-08-25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KR10128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284A KR101287107B1 (ko) 2011-08-25 2011-08-25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US13/352,488 US9083030B2 (en) 2011-08-25 2012-01-18 Battery module
EP12162320.1A EP2562842B1 (en) 2011-08-25 2012-03-30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284A KR101287107B1 (ko) 2011-08-25 2011-08-25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593A true KR20130022593A (ko) 2013-03-07
KR101287107B1 KR101287107B1 (ko) 2013-07-17

Family

ID=4589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284A KR101287107B1 (ko) 2011-08-25 2011-08-25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83030B2 (ko)
EP (1) EP2562842B1 (ko)
KR (1) KR1012871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791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80051208A (ko) * 2016-11-08 201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차 전지 팩
JP2021044188A (ja) * 2019-09-12 2021-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70B1 (ko) * 2012-03-23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046847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146093B2 (ja) * 2013-03-29 2017-06-1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9831482B2 (en) 2013-09-06 2017-11-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lid system and method
DE102014113023A1 (de) * 2014-09-10 2016-03-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aktionsbatterie für ein Elektrokraftfahrzeug und entsprechendes Elektrokraftfahrzeug
JP6267093B2 (ja) * 2014-10-15 2018-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電源装置
US10686166B2 (en) * 2016-02-05 2020-06-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 cell integrated casings
JP6414577B2 (ja) * 2016-09-16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
KR101965373B1 (ko) * 2017-01-06 2019-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배터리 모듈
KR102399621B1 (ko) 2017-05-12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DE102017222934A1 (de) * 2017-12-15 2019-06-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und Kraftfahrzeug mit elektrischem Energiespeicher
KR102301196B1 (ko) * 2018-10-04 2021-09-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11777149B2 (en) * 2019-03-01 2023-10-03 Paladin Power, Inc. Stackable battery bussing system
JP6780060B1 (ja) * 2019-06-04 202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CN111916413A (zh) * 2020-08-11 2020-11-10 自贡市亿度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板散热结构
US11545716B2 (en) * 2020-10-26 2023-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upper-tier battery array support assembly and suppor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5222A (en) 1959-12-29 1962-09-05 Oldham & 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secondary cell containers and to electric batteries and cells including such containers
US6306541B1 (en) 1996-06-11 2001-10-23 Dow Corning Corporation Electr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ing polysilanes
KR200158179Y1 (ko) * 1996-12-31 1999-10-15 정몽규 전기자동차용 축전지의 연결구조
JP2001210315A (ja) 2000-01-25 2001-08-03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4119187A (ja) 2002-09-26 2004-04-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ッテリ構成方法
KR100560498B1 (ko) * 2004-05-19 2006-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JP2006253060A (ja) * 2005-03-14 2006-09-21 Nec Lamilion Energy Ltd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KR100684733B1 (ko) 2005-07-07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684763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KR100821859B1 (ko) 2006-02-09 2008-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CN101401227B (zh) 2006-03-20 2010-05-19 中信国安盟固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装锂离子动力电池模块
US7964307B2 (en) 2006-07-24 2011-06-21 Panasonic Corporatio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102006044168A1 (de) 2006-09-15 2008-03-27 Daimler Ag Batterieträger für einen Kraftwagen
KR100892047B1 (ko) 2006-09-18 2009-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100759401B1 (ko) 2006-11-20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180505B2 (ja) * 2007-03-30 2013-04-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0913177B1 (ko) 2007-09-17 2009-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087720A (ja)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電池パック
US7563137B1 (en) 2008-06-30 2009-07-21 Lg Chem, Ltd. Mechanical fastener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JP5155772B2 (ja) * 2008-08-19 2013-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構造
KR20090007337A (ko) * 2008-10-20 2009-01-16 시틱 구오안 맹굴리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소프트 패키지 리튬이온 파워 배터리 모듈
EP2359422A1 (fr) 2008-11-28 2011-08-24 Siemens Sas Systeme d'assemblage de modules d'energie electrique
JP5358251B2 (ja) * 2009-03-31 2013-12-0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装置
KR101787460B1 (ko) 2009-11-09 2017-10-18 에네르델, 인코포레이티드 확장성 배터리 모듈
KR101137365B1 (ko) * 2010-05-20 2012-04-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01748B1 (ko) *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791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80051208A (ko) * 2016-11-08 201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차 전지 팩
US10673052B2 (en) 2016-11-08 2020-06-0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rechargeable battery pack
JP2021044188A (ja) * 2019-09-12 2021-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2842B1 (en) 2019-09-04
KR101287107B1 (ko) 2013-07-17
EP2562842A1 (en) 2013-02-27
US20130052515A1 (en) 2013-02-28
US9083030B2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07B1 (ko)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US10862082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JP6025319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EP27656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9093686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8932749B2 (en) Battery module
JP4515961B2 (ja) 二次電池を利用した電池モジュール
US9876204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EP2482361A1 (en) Battery pack
KR20110128050A (ko) 배터리 팩
KR20130113975A (ko) 이차 전지 팩
US9876203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US20190280353A1 (en) Cell Pack
KR20140085890A (ko) 고전압 배터리팩용 배터리모듈 조립체
KR101443833B1 (ko)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30108691A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JP2023074273A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00159316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CN114424395A (zh) 电池组、电子装置和车辆
EP4266465A1 (en) Battery module
KR20230164598A (ko)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