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478A -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478A
KR20130022478A KR1020110084751A KR20110084751A KR20130022478A KR 20130022478 A KR20130022478 A KR 20130022478A KR 1020110084751 A KR1020110084751 A KR 1020110084751A KR 20110084751 A KR20110084751 A KR 20110084751A KR 20130022478 A KR20130022478 A KR 2013002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terminal housing
rear hold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356B1 (ko
Inventor
윤두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3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25Contact members formed by the conductors of a cabl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동시에 구조가 단순하면서 부품 수가 적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CONNECTOR OF ELETRIC VEHICLE CHARGE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동시에 구조가 단순하면서 부품 수가 적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가격의 상승 또는 환경문제 등의 이유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고, 각종 전장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를 대용량의 배터리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전기 자동차 자체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충전 스테이션과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커넥터는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이 후방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홀더, 상기 리어홀더의 전방에 위치되어 터미널을 방수하는 방수부재, 상기 리어홀더 및 상기 방수부재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결정부(Terminal Position Assurance locking; TPA)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커넥터의 경우, 복수 개의 케이블을 리어홀더, 방수부재 및 위치 결정부에 모두 삽입한 후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탈피하여 터미널의 단부에 압착시키는 순서로 조립된다. 이러한 순서로 조립되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는 하나의 케이블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케이블을 터미널의 단부에서 절단한 후 리어홀더, 방수부재 및 위치 결정부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모든 케이블이 리어홀더, 방수부재 및 위치 결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미널의 단부에 압착 연결되므로 터미널과 케이블의 압착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은 케이블 불량 이외에 커넥터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일부라도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인 구성요소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터미널의 위치를 보장하는 위치 결정부가 리어홀더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부품수가 불필요하게 많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높으며 조립 작업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동시에 부품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는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 내에서 터미널 단자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히 보장하는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 내부를 확실하게 방수하는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리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의 전방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미널을 수용하는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방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내부에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을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 고정부는,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홀더에서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와,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시 상기 랜스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랜스부재의 자유단 단부에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랜스부재를 통과할 때 상기 고리형 걸림턱이 슬라이딩하는 경사면과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걸림면을 구비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시 상기 랜스부재에서부터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의 외경은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 사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 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내경은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랜스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리어홀더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수용부재에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밀봉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후방 수용부재 내에서 전방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후면에 결합된 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는 벨로우즈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의 외경은 상기 후방 수용부재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는 고무로 구성되고, 상기 강성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탄성부와 상기 강성부를 관통하며 강성물질로 구성된 복수 개의 강성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커넥터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본체는, 내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장착될 때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 수용부재를 소정영역 밀폐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형 리브의 내경은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를 둘러싸는 공통 외접원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은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형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내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장착될 때 상기 고리형 걸림턱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본체는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터미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동시에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커넥터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터미널을 케이블에 압착 연결한 후 개별적으로 리어홀더 및 터미널 하우징으로 삽입할 수 있어 케이블과 터미널의 압착 연결 작업이 용이하며,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의 조립체와 터미널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의 조립체와 커넥터 본체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이로 인해, 각 부품의 손상시 또는 각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각 부품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커넥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내에서 터미널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에 터미널의 고리형 걸림턱을 고정함으로써, 터미널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커넥터 내에서 커넥터 내에 수용되는 터미널 하우징 및 리어홀더의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하며, 특히 터미널 하우징 및 리어홀더가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홀더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밀봉부재를 수용함으로써 밀봉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 내부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개략적인 내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의 개략적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본체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하우징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A-A에 따른 리어홀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선 B-B에 따른 리어홀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의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200)의 개략적인 후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본체(100)의 내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이라고 하고, 전기 자동차의 인렛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 방향이라고 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는, 통신 케이블 및/또는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고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구비된 터미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 자동차의 전력을 충전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200), 상기 터미널(200)을 수용하는 터미널 하우징(300),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 내에 수용된 터미널(200)을 지지 및 고정하는 리어홀더(400),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 및 상기 리어홀더(400)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커넥터 본체(1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는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 전방부에 고정되도록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는 상기 커넥터 본체(100) 내부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리어홀더(400)의 후단부에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부를 방수처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밀봉부재(5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500)는 상기 리어홀더(400)의 후단부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200)은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구비된 암형 터미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수형 터미널(200)이고, 상기 터미널(200)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200)은 통신 터미널(200)이고,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200)은 전력 터미널(200)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터미널(200)이 5개인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 및 전방 수용부재(430)의 개수,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 및 전방 가이드부재(311)의 개수는 터미널(200)의 개수에 대응된다.
각각의 터미널(200)은 조립시 리어홀더(400)의 각각의 후방 수용부재(440) 및 각각의 전방 수용부재(430)와, 터미널 하우징(300)의 각각의 후방 가이드부재(323) 및 전방 가이드부재(311) 내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200)은 상기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를 통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 내부에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는 복수 개의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고정부는 리어홀더의 후술할 전방 수용부재(440)의 일부인 복수 개의 랜스부재(433)와, 터미널 하우징의 후술할 복수 개의 후방 가이드부재(323)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 고정부는 터미널(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 걸림턱(220)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홀더에서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433)와,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시 상기 랜스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 가이드부재(323)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고정부에 포함된 랜스부재(433) 및 후방 가이드부재(323)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200)은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암형 터미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210)과, 상기 접속부(210)의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리형 걸림턱(220)과,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블이 압착되어 연결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접속부(210)는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터미널(200)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 조립되어 수용될 때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 및 전방 가이드부재(311) 내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210)의 외경(d1)은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 부재의 내경(d6) 및 전방 가이드부재(311)의 내경과 동일하다. 이로 인해, 터미널(200) 및 터미널(200)의 접속부(210)는 터미널 하우징(300) 내에서 장착위치 및 수용위치가 확실하게 보장된다.
고리형 걸림턱(220)은 상기 접속부(21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210)의 외경보다 큰 외경(d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은 터미널 고정부에 의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은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의 전방면은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에 지지되고,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의 후방면은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전방 수용부재(430)에 구비된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에 지지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 및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와 상기 랜스부재의 자유단 단부가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시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각각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에 형성된다.
연결부(230)는 탈피된 케이블의 단부가 압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230)에 케이블의 단부를 압착하기 전에 상기 연결부(230)의 둘레에 또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 둘레에 후술할 밀봉부재(5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의 연결부에 탈피된 케이블의 단부를 압착 연결한 후 각각의 터미널을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의 조립체 내에 삽입하므로, 터미널과 케이블의 압착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0)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부분 및 상기 우측 부분은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조립가능한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넥터 본체(100)는 전방부 내부에서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고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 수용공간(110)과, 상기 후방 개구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터미널(200)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12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100)의 제1 수용공간(110)은 전방 개구부를 한정하도록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고리형 돌출부(130)와, 상기 제1 고리형 돌출부(13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후방 개구부를 한정하도록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형 리브(15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소정 간격은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제1 고리형 걸림턱(330)에서부터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의 자유단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커넥터 본체(100)의 제1 수용공간(110)에서 상기 제1 고리형 돌출부(13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고리형 돌출부(14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리형 돌출부(130)의 내경(d3)은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전방 원통부(310)의 외경(d8)과 동일하고, 상기 제2 고리형 돌출부(140)의 내경(d4)은 후술할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원통부(320)의 외경(d9)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형 돌출부(130) 및 상기 제2 고리형 돌출부(140)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이 제1 수용공간(110) 내에서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의 터미널 하우징(300)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한다.
고리형 리브(150)는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터미널(200)에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개구부를 한정한다. 이때, 상기 고리형 리브(150)는 커넥터 본체의 내측면에서 터미널 하우징 및 리어홀더의 조립체가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장착될 때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 수용부재를 소정영역 밀폐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개구부(151)의 내경(d5) (또는 상기 고리형 리브(150)의 내경(d5))은 후술할 리어홀더(4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440)를 둘러싸는 공통 외접원의 직경(d10)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의 통과를 위하여, 상기 후방 개구부(151)의 내경(d5) (또는 상기 고리형 리브(150)의 내경(d5))은 후술할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440)에 수용되는 밀봉부재(500)의 (케이블용) 관통공(501)를 둘러싸는 공통 외접원의 직경보다는 커야한다.
고리형 리브(150)가 전술한 바와 같은 내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고리형 리브(150)는 리어홀더(400)가 커넥터 본체(100)의 제1 수용공간(110) 내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 수용된 밀봉부재(500)도 후방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어,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의 리어홀더(400)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부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0)의 내부의 구조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를 커넥터 본체(100)에 조립시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조립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의 터미널 하우징(300) 및 리어홀더(4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어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의 터미널(2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확실하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하우징(300)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하우징(300)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하우징(300)은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전방면을 지지하여 터미널(200)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미널(200)을 수용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터미널 하우징(300)은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기계적으로 체결되며 전방방향으로 뻗어 있는 전방 원통부(310)와, 리어홀더(4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방향으로 뻗어 있는 후방 원통부(320)를 포함한다.
전방 원통부(310)의 외경(d8)은 커넥터 본체(100)에 구비된 제1 고리형 돌출부(130)의 내경(d3) 또는 커넥터 본체(100)의 전방 개구부(131)의 직경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원통부(310)는 내부에 전방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 개의 전방 가이드부재(311)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가이드부재(311)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방 가이드부재(311)의 내경은 터미널(200)의 접속부(210)의 외경(d1)과 동일하다. 즉, 상기 전방 가이드부재(311)는 터미널(200)(또는 터미널(200)의 접속부(210))을 수용하여, 터미널(2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확실히 보장한다.
후방 원통부(320)의 외경(d9)은 커넥터 본체(100)에 구비된 제2 고리형 돌출부(140)의 내경(d4)과 동일하다. 또한, 후방 원통부(320)의 외경(d9)은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후방 덮개부(410)의 내경(d13)과 동일하다. 즉, 후방 원통부(320)의 고정단 단부는 터미널 하우징(300)이 커넥터 본체(100) 내에 수용될 때 커넥터 본체(100)의 제2 고리형 돌출부(140)에 의해 둘러싸여 지고, 상기 후방 원통부(320)의 자유단 단부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가 조립될 때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후방 덮개부(410) 내에 삽입된다.
후방 원통부(320)는 내부에 후방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 개의 후방 가이드부재(323)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전방면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200)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는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랜스부재(433)와 함께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지지하여, 터미널(200)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의 또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의 터미널(200)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한다.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외경(d6)은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위치결정부재(431)외 내경(d12)과 동일하고,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내경(d7)은 터미널(200)의 접속부(210)의 외경(d1)과 동일하다. 달리 말하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후방 가이드부재(323)는 터미널(200)의 접속부(210)를 수용하고, 동시에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는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위치결정부재(431) 내에 삽입된다.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높이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300)과 상기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가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로부터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의 두께(t)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높이이다. 달리 말하면, 터미널(200)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인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와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 사이의 간격은 터미널(20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를 체결한 후,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 터미널(200)을 삽입하면, 상기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이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와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원통부(320)의 외주면에는 두 개의 체결용 돌기(32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용 돌기(321)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레그부(411)가 슬라이딩하도록 후방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21a)과, 후술할 리어홀더(400)의 레그부(411)에 형성된 체결용 리세스(413)에 맞물리는 걸림면(321b)을 포함한다.
이렇게, 터미널 하우징(300)의 체결용 돌기(321)와 리어홀더(400)의 레그부(411) 및 리세스에 의해 터미널 하우징(300)에 대해 리어홀더(400)를 슬라이딩하여 터미널 하우징(300)에 리어홀더(4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겠지만 레그부(411)가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레그부(411)를 벌려 레그부(411)를 체결용 돌기(321)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용 돌기(321)가 두 개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하우징(300)은 전방 원통부(310)의 고정단 단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고리형 걸림턱(330)과, 상기 제1 고리형 걸림턱(33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고리형 걸림턱(3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리형 걸림턱(330)은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된 제1 고리형 돌출부(130)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고리형 걸림턱(340)은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된 제2 고리형 돌출부(14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리형 걸림턱(330)의 전방면은 제1 고리형 돌출부(13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고리형 걸림턱(330)의 전방 방향 이동이 제1 고리형 돌출부(130)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제2 고리형 걸림턱(340)의 후방면은 제2 고리형 돌출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제2 고리형 걸림턱(340)의 후방 방향 이동이 제2 고리형 돌출부(140)에 의해 방지된다. 즉, 터미널 하우징(300)의 제1 고리형 걸림턱(330)과 제2 고리형 걸림턱(340)은 커넥터 본체(100)에 구비된 제1 고리형 돌출부(130)와 제2 고리형 돌출부(140) 사이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원통부(310)의 외경(d8)은 커넥터 본체(100)의 제1 고리형 돌출부(130)의 내경(d3)과 동일하고, 상기 후방 원통부(320)의 외경(d9)은 커넥터 본체(100)의 제2 고리형 돌출부(140)의 내경(d4)과 동일할 수 있다.
참고로, 후방 원통부(320)는 상기 제2 고리형 걸림턱(340)에서부터 후방 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후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선 A-A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선 B-B에 따른 리어홀더(400)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홀더(400)는 터미널 하우징(300)의 체결용 돌기(321)를 통하여 터미널 하우징(3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터미널 하우징(300) 내에서 터미널(2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결정하고 동시에 터미널 하우징(300) 내에서 터미널(2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한다. 또한, 리어홀더(400)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200)의 후방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리어홀더(400)는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단부를 덮고 상기 리어홀더(400)에서 최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후방 덮개부(410), 상기 후방 덮개부(410)의 후면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440), 상기 후방 덮개부(410)의 전면에서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수용부재(440)와 연통되고 상기 터미널(200)의 장착위치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전방 수용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수용부와 상기 후방 수용부재(440)는 연통되어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터미널(200)이 리어홀더(400)를 통과할 수 있다.
후방 덮개부(410)는, 관통구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후방 수용부재(440)와 전방 수용부재(430)를 구획하는 베이스부(414)와, 상기 베이스부(414)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414)의 수직 후방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원통부(320)를 소정 영역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테두리부(412)와, 상기 베이스부(414)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414)의 수직 후방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412)의 높이보다 더 높게 후방방향으로 뻗어있는 레그부(4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후방 덮개부(410)(즉, 테두리부(412) 및 레그부(411))의 내경(d13)은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원통부(320)의 외경(d9)과 동일하다. 달리 말하면,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원통부(320)의 자유단 단부 중 일부는 상기 후방 덮개부(410)의 테두리부(412) 및 레그부(411)에 내접하게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덮개부(410)의 내부에는, 상기 후방 덮개부(410)의 내경(d13)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고리형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밀봉부재는 후방 덮개부(410)의 테두리부(412) 내측에 삽입되어, 터미널 하우징(300)와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원통부(320)의 자유단 단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 인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부를 더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411)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 하우징(300)에 구비된 후방 원통부(320)의 외주면을 소정영역 둘러싸고, 상기 후방 원통부(320)에 구비된 체결용 돌기(321)가 수용되고 고정되는 체결용 리세스(413)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부(411)와 상기 테두리부(412)는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며, 상기 레그부(411)는 원주방향으로 반대쪽 측면에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레그부(411)와 상기 테두리부(412) 사이에는, 상기 레그부(411)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절개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레그부(411)의 양측면에는 절개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그부(411)가 두 개인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레그부(411)는 후방 원통부(320)의 체결용 돌기(321)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외측으로 일시적으로 탄성 팽창한 후 체결용 돌기(321)가 레그부(411)의 체결용 리세스(413)에 완전히 수용되면 다시 탄성 수축하여 체결용 돌기(321)를 상기 체결용 리세스(413)에 고정한다. 반대로,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를 분해할 경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절개부(415)를 통하여 레그부(411)를 외측으로 탄성 팽창시켜 체결용 돌기(321)를 체결용 리세스(413)에서 이탈시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440)는 후방 덮개부(410)의 베이스부(414)의 후면에서부터 후방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복수 개의 전방 수용부재(430)와 연통되어 터미널(20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한다.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가 커넥터 본체(100)에 수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440)의 소정영역은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고리형 리브(150)에 의해 밀폐된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 본체(100)의 고리형 리브(150)는 상기 고리형 리브(150)의 내경(d5)이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440)를 모둘 둘러싸는 공통 외접원의 직경(d10)보다 작도록 커넥터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리형 리브(150)가 각각의 후방 수용부재(440)의 소정영역을 밀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부를 방수하는 밀봉부재(5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커넥터 본체(100)의 고리형 리브(150)가 후방 수용부재(440)의 소정영역을 밀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방 수용부재(440)는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 후방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후방 수용부재(44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가 확실히 보장될 뿐만 아니라,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 수용된 밀봉부재(500)도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터미널 하우징(300)와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부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전방 수용부재(430)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부재와 복수 개의 랜스부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편의를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두 개이고, 상기 랜스부재가 두 개인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할 것이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수용부재는 원호형상 기둥으로 형성되며 대향하게 위치되어 터미널(2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확실히 보장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재(431)와, 상기 위치결정부재(431) 사이에 대향되게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200)이 통과한 후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을 지지하는 두 개의 랜스부재(433)와, 상기 위치결정부재(431)와 상기 랜스부재(433) 사이에 형성된 절개부(439)를 포함함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재(431)와 상기 두 개의 랜스부재(433)는 전체적으로 개략적인 원통 형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랜스부재(433)와 두 개의 위치결정부재(431)에 대하여만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5를 참고하면, 랜스부재(433)는, 터미널(200)의 통과시 일시적으로 탄성 팽창하고 터미널(200)이 상기 랜스부재(433)를 완전히 통과한 후 탄성 수축하며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에 위치되는 탄성변형부(435)와, 상기 후방 덮개부(410)(또는 전방 지지부(420))의 전면에서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변형부(435)를 지지하는 지지대(437)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변형부(435)는, 터미널(200)이 상기 랜스부재(433)를 통과할 때 상기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이 슬라이딩하는 경사면(435a)과, 터미널(200)이 랜스부재(433)를 완전히 통과할 때 상기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후면을 지지하는 걸림면(435b)을 포함한다.
상기 랜스부재(433)에 포함되는 탄성변형부(435)의 걸림면은(즉,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와 마주하게 위치되며, 상기 탄성변형부(435)의 걸림면은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와 함께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터미널(200)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서 터미널(200)의 장착위치 또는 수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랜스부재(433)의 높이는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가 상기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즉, 탄성변형부(435)의 걸림면)로부터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랜스부재(433)의 높이는 상기 랜스부재(433)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위치결정부재(431)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두 개의 랜스부재(433)의 자유단 단부(즉, 걸림면)의 내경(d11)은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외경(d2)보다 작다.
이로 인해,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체결시,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일부분은 랜스부재(433)의 위치결정부재(431)에 삽입되어 터미널(200)을 수용하고,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나머지 일부분은 랜스부재(433)와 함께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431)는 원호형상 기둥으로 형상되고 상기 위치결정부재 내부로는 터미널 하우징의 후방 가이드부재가 삽입된다. 두 개의 위치결정부재(431)가 이루는 내경(d12)은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의 외경(d2)과 동일하고, 두 개의 랜스부재(433)가 이루는 내경(d11)보다 크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재(431)의 높이(h1)는 상기 랜스부재(433)의 높이(h2)보다 크다. 게다가, 상기 위치결정부재(431)의 내경(d12)은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외경(d7)과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5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500)의 측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500)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는 밀봉부재(500)가 구비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500)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고, 탄성부(510)와 상기 탄성부(510)의 하부(또는 후면)에 결합된 강성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510)는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서 전방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510)의 외경은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의 내경보다 크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510)는 상기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어, 후방 수용부재(440)를 통하여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510)는 벨로우즈(bellows) 형상을 구비할 수 있어,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510)는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에 수용된 탄성부(510)를 관통하는 케이블이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여도, 탄성부(510)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후방 수용부재(440)와 탄성부(510)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아, 후방 수용부재(440)를 지속적으로 방수할 수 있다.
상기 강성부(520)는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서 후방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성부(52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성부(520)로 인해,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에 수용된 탄성부(510)를 관통하는 케이블이 과도하게 이동하여 탄성부(510)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밀봉부재(500)의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500)의 탄성부(510)와 강성부(520)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는 복수 개의 강성심(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강성심(53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성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510)와 상기 강성부(520)를 관통하여 위치되며, 상기 강성부에 고정된다. 상기 강성심(530)은 상기 강성부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그리고 상기 탄성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500)가 강성심을 구비함으로써,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에 수용된 탄성부(510)를 관통하는 케이블이 과도하게 이동하여 탄성부(510)를 가압하여도 탄성부가 일정방향으로 과도하게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강성부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탄성부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케이블의 단부를 밀봉부재(500)의 관통구에 통과시킨 후, 각각의 케이블의 단부가 각각의 터미널(200)의 연결부(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압착시킨다. 이렇게,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의 조립체 내에 터미널 및 케이블을 삽입하기 전에 터미널과 케이블을 압착 연결시킴으로써, 터미널과 케이블의 압착 연결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터미널 하우징(300)의 체결용 돌기(321)가 리어홀더(400)의 체결용 리세스(413)에 수용되도록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원통부(320)에 리어홀더(400)를 슬라이딩시켜, 리어홀더(400)를 터미널 하우징(300)에 고정시킨다.
이후, 케이블이 연결된 복수 개의 터미널(200)을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에 통하여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하고, 터미널(200)의 연결부(2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밀봉부재를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 내에 삽입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200)의 접속부(210)는 터미널 하우징(300)의 전방 가이드부재(311) 내에 수용되어 장착위치가 확실히 보장되고, 터미널(200)의 고리형 걸림턱(220)은 리어홀더(400)의 랜스부재(433)의 걸림면과 터미널 하우징(300)의 후방 가이드부재(323)의 자유단 단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동시에 상기 고리형 걸림턱(220)은 리어홀더(400)의 위치결정부재(431)의 내부에 수용되어, 터미널 하우징(300) 또는 커넥터 본체(100) 내에서 상기 터미널(200)의 장착위치가 확실히 보장된다.
이후,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를 커넥터 본체(100)의 제1 수용공간(110) 내에 삽입한 후, 커넥터 본체(100)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을 연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터미널 하우징(300)과 리어홀더(400)의 조립체는, 터미널 하우징(300)의 제1 고리형 걸림턱(330) 및 제2 고리형 걸림턱(340)이 커넥터 본체(100)의 제1 고리형 돌출부(130)와 제2 고리형 돌출부(140)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리어홀더(400)의 후방 수용부재(440)의 소정영역이 커넥터 본체(100)의 고리형 리브(150)에 의해 폐쇄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100)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0)의 분해과정은 상기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동시에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커넥터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터미널을 케이블에 압착 연결한 후 개별적으로 리어홀더 및 터미널 하우징으로 삽입할 수 있어 케이블과 터미널의 압착 연결 작업이 용이하며,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의 조립체와 터미널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의 조립체와 커넥터 본체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이로 인해, 각 부품의 손상시(예를 들어, 터미널의 연결부와 케이블 사이의 압착 상태 불량 등) 또는 각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각 부품 사이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커넥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내에서 터미널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미널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에 터미널의 고리형 걸림턱을 고정함으로써, 터미널의 수용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커넥터 내에서 커넥터 내에 수용되는 터미널 하우징 및 리어홀더의 장착위치를 확실하게 보장하며, 특히 터미널 하우징 및 리어홀더가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홀더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밀봉부재를 수용함으로써 밀봉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 내부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00 : 커넥터 본체 200 : 터미널
300 : 터미널 하우징 400 : 리어홀더
500 : 밀봉부재 C : 케이블

Claims (17)

  1.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리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의 전방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미널을 수용하는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방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내부에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을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는,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홀더에서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와,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시 상기 랜스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랜스부재의 자유단 단부에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랜스부재를 통과할 때 상기 고리형 걸림턱이 슬라이딩하는 경사면과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걸림면을 구비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시 상기 랜스부재에서부터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의 외경은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후방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 사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 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내경은 상기 고리형 걸림턱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랜스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리어홀더에서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수용부재에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밀봉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후방 수용부재 내에서 전방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후면에 결합된 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벨로우즈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의 외경은 상기 후방 수용부재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고무로 구성되고, 상기 강성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탄성부와 상기 강성부를 관통하며 강성물질로 구성된 복수 개의 강성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커넥터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내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장착될 때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 수용부재를 소정영역 밀폐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리브의 내경은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수용부재를 둘러싸는 공통 외접원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은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형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내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장착될 때 상기 고리형 걸림턱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터미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20110084751A 2011-08-24 2011-08-24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179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51A KR101794356B1 (ko) 2011-08-24 2011-08-24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51A KR101794356B1 (ko) 2011-08-24 2011-08-24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478A true KR20130022478A (ko) 2013-03-07
KR101794356B1 KR101794356B1 (ko) 2017-11-06

Family

ID=4817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751A KR101794356B1 (ko) 2011-08-24 2011-08-24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35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261A (ko)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 커넥터
CN108574483A (zh) * 2017-03-13 2018-09-2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汽车充电用开关及汽车充电连接器
CN108879267A (zh) * 2018-06-29 2018-11-23 杭州快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交流充电连接器
CN109950734A (zh) * 2017-12-21 2019-06-28 深圳易瓦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充电插座及其装配工艺
KR20220156260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KR20220156261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KR20230018756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경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KR20230105560A (ko) *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유라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98B1 (ko) * 2019-04-26 2020-03-26 (주)경신전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KR102093597B1 (ko) * 2019-04-26 2020-03-26 (주)경신전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261A (ja) * 2010-01-14 2011-07-28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源プラ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261A (ko)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 커넥터
CN108574483A (zh) * 2017-03-13 2018-09-2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汽车充电用开关及汽车充电连接器
CN108574483B (zh) * 2017-03-13 2024-03-2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汽车充电用开关及汽车充电连接器
CN109950734A (zh) * 2017-12-21 2019-06-28 深圳易瓦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充电插座及其装配工艺
CN108879267A (zh) * 2018-06-29 2018-11-23 杭州快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交流充电连接器
CN108879267B (zh) * 2018-06-29 2023-12-19 东莞市何谐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交流充电连接器
KR20220156260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KR20220156261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US11996646B2 (en) 2021-05-18 2024-05-28 Yura Co., Ltd.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KR20230018756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경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KR20230105560A (ko) *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유라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356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2478A (ko)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CN109428241B (zh) 高压连接器
US10931061B2 (en) Charging plug for electric automobiles and the production thereof
US9876317B2 (en) Replaceable adapter for use with vehicular battery charging system
CN107834266B (zh) 一种适用于新能源汽车的电连接器
CN103329362B (zh) 连接器
US9415695B2 (en) Electric vehicle charger
CN107732545B (zh) 连接器
US20040198100A1 (en)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ion
CN103794922A (zh) 电动车充电器的连接器
US20220085557A1 (en) Charging inlet assembly
CN101431199A (zh) 设备连接器及其装配方法
US20140113479A1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CN104009330A (zh) 旋转锁定连接器
US20210351539A1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9692172B2 (en) Connector
CN102856724A (zh) 可拆卸的电连接器适配器和组件
US20140113474A1 (en) Connector, In Particular An Electrical Connector
US6174201B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5529421A (zh) 一种电池及飞行器
US20230246405A1 (en) Charging inlet assembly having modular terminal assemblies
CN217468977U (zh) 机器人充电连接装置及机器人充电系统
CN109546392B (zh) 电源连接器
US20220332198A1 (en) Charging inlet assembly having an ac charging module
JP2019186022A (ja) 防水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た充電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