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348A -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348A
KR20130022348A KR1020110086030A KR20110086030A KR20130022348A KR 20130022348 A KR20130022348 A KR 20130022348A KR 1020110086030 A KR1020110086030 A KR 1020110086030A KR 20110086030 A KR20110086030 A KR 20110086030A KR 20130022348 A KR20130022348 A KR 2013002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duct
boat
fan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273B1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11008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2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B63C2009/265Nets or sheet-like devices, e.g. for lifting persons on board or for facilitating climbing on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동력 방식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트 본체가 어느 방향으로 수면에 떨어진다 하여도 물속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가 개시된다.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뜨는 튜브체와, 튜브체에 결합되어 구난자가 안착하거나 매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트 본체 및 튜브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하 양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양방향 추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트가 수면에 어느 방향으로 투척되어도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난 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무선 조종 또는 무인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Wireless Control Boat for Saving Life}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빠진 조난자나 익수자를 구조하기 위해 물에 띄운 상태에서 구조용 선박이나 육지로 이송되는 인명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발생하는 조난사고나 익사사고 시 신속한 구명을 위하여 구난자에게 구조용 수단이 긴급히 제공되며, 이러한 구조용 수단으로는 튜브, 로프 및 보트 등이 사용된다.
종래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크게 무동력 방식과 동력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무동력 방식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9-0103516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통상적으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튜브체 및 구난자가 안착하거나 매달릴 수 있도록 구성된 보트 본체로 구성되며, 별도의 견인 선박에 의해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동력 방식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체(10)와, 보트 본체(11) 및 추진부(12)로 구성된다. 튜브체(10)는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보트 본체(11)는 튜브체(10)에 결합되어 구난자가 안착하거나 매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추진부(12)는 보트 본체(11)의 후방 또는 하방에 모터 등으로 구동된다. 추진부(12)는 모터 등의 동력원에 의해 팬이 물속에서 회전되어 보트 본체(11)를 일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무동력 방식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동력원이 마련되지 않아 해변 인근이나 강 등의 비교적 구난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사용하기 적합하나, 해상 구조 등 구난 거리가 긴 경우에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이었다. 아울러, 무동력 방식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로 구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견인 선박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으므로 많은 인명을 구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동력 방식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보트 본체가 물에 뜬 상태에서 추진부가 물속에 잠겨 팬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팬이 구난자에게 접촉될 수가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A) 2009-0103516호 2009.10.01
(특허문헌 2) KR(A) 2010-0118250호 2010.11.0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력 방식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트 본체가 어느 방향으로 수면에 떨어진다 하여도 물속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뜨는 튜브체; 상기 튜브체에 결합되어, 구난자가 안착하거나 매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트 본체; 및 상기 튜브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하 양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양방향 추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방향 추진부는, 추진부 본체; 상기 추진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1 추진용 덕트; 상기 추진부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추진용 덕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2 추진용 덕트; 상기 제1 추진용 덕트 및 제2 추진용 덕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기어를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의 내부에 결합되어 각각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추진용 덕트 및 제2 추진용 덕트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추진부는, 추진부 본체; 상기 추진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1 추진용 덕트; 상기 추진부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추진용 덕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2 추진용 덕트; 상기 제1 추진용 덕트 및 제2 추진용 덕트의 내부에서 각각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1 팬 및 제2 팬; 상기 제1 팬 및 제2 팬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한 쌍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회전축에는 유니버셜 조인트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보트 본체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위치를 송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트 본체에 구조된 구난자를 커버하기 위한 차양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수면에 어느 방향으로 투척되어도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난 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무선 조종 또는 무인 제어가 가능하게 구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배터리를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일정 시간 작동이 가능함에 따라 구난 작업 시 접근이 곤란한 지역이나 협소 지역에서도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열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구난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구난자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GPS 모듈을 구비하여 보트의 위치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추진부를 부분 절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추진부를 부분 절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튜브체(20)와, 보트 본체(30) 및 양방향 추진부(40)를 포함한다.
튜브체(20)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뜨도록 구성된다. 튜브체(20)는 내부가 중공인 부력체로서,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수면에 대해 부력이 발생된다. 튜브체(20) 내에 충진되는 기체는 헬륨 등의 중량이 가벼운 기체를 주입하는 방식이거나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투척 시 튜브체(20)의 내부에서 폭발하여 튜브체(20)의 내부를 채우는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튜브체(2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은 유선형으로 굴곡지고 후방은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U"자 형의 상부를 후방, "U"자 형의 하부를 전방으로 명칭한다. 하지만, 튜브체(20)는 이 밖에 다른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보트 본체(30)는 튜브체(20)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난자가 안착하거나 매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트 본체(30)는 튜브체(20)가 형성하는 "U"자 형상 내측에 고정 배치된다. 이 경우, 보트 본체(30)는 튜브체(20)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부위에 결합됨으로써, 튜브체(20)는 보트 본체(3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튜브체(20)의 하부가 수면에 안착되는 경우 및 튜브체(20)의 상부가 수면에 안착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보트 본체(30)에 구난자가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트 본체(30)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보트 본체(30)는 로프를 격자형으로 교차되게 결합하여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구난자가 그물망 구조의 보트 본체(30)를 파지하기 용이하여 구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양방향 추진부(40)는 튜브체(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하 양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추진부(40)는 튜브체(20)의 후방 좌,우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된다. 즉, 양방향 추진부(40)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추진부(40a) 및 제2 추진부(40b)를 구비한다.
제1 추진부(40a)와 제2 추진부(40b)는 튜브체(20)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 추진부(40a)와 제2 추진부(40b)는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추진부(40a)와 제2 추진부(40b)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되는 예를 설명하며, 후술할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추진부(40a)와 제2 추진부(40b)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양방향 추진부(40)는 추진부 본체(41)와, 제1 추진용 덕트(42)와, 제2 추진용 덕트(43)와,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와, 구동부(46)와, 제1 팬(47) 및 제2 팬(48)을 포함한다.
추진부 본체(4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일종의 케이스 기능을 하는 것으로, 튜브체(20)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된다. 즉, 추진부 본체(41)의 전단은 튜브체(20)의 후단에 결합되고, 추진부 본체(41)의 후단에는 후술할 제1 배출구(422) 및 제2 배출구(432)가 형성되어 물을 후방으로 토출함으로써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추진부 본체(41)의 외측은 물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튜브체(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추진용 덕트(42)는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1 추진용 덕트(42)의 상부에는 제1 유입구(421)가 형성되고, 제1 추진용 덕트(42)의 후방에는 제1 배출구(422)가 형성되며,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에는 물의 통로가 형성된다.
결국, 후술할 제1 팬(47)의 회전에 의해 물이 제1 유입구(421)로 유입된 후,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 통로를 지나 제1 배출구(422)로 강제 토출된다. 이 경우, 제1 유입구(421)는 물의 유입 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그릴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튜브체(20) 및 보트 본체(30)는 전방으로 추진력이 생기게 된다.
제2 추진용 덕트(43)는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추진용 덕트(42)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2 추진용 덕트(43)의 하부에는 제2 유입구(431)가 형성되고, 제2 추진용 덕트(43)의 후방에는 제2 배출구(432)가 형성되며,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는 물의 통로가 형성된다.
결국, 후술할 제2 팬(48)의 회전에 의해 물이 제2 유입구(431)로 유입된 후,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 통로를 지나 제2 배출구(432)로 강제 토출된다. 이 경우, 제2 유입구(431)는 물의 유입 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그릴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튜브체(20) 및 보트 본체(30)는 전방으로 추진력이 생기게 된다.
아울러, 제1 추진용 덕트(42)의 제1 배출구(42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제2 배출구(432) 측에는 각각 다수의 리브(439)가 구비된다. 리브(439)는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토출되는 물의 직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유입구(421) 및 제2 유입구(431)로부터 제1 배출구(422) 및 제2 배출구(432)까지를 연통시키기 위해 내부 통로가 경사진 구간을 갖는다.
제1 회전 부재(44)는 제1 추진용 덕트(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회전 부재(45)는 제2 추진용 덕트(4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1 회전 부재(44)와 제2 회전 부재(45)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즉, 제1 회전 부재(44)는 제1 추진용 덕트(42)에 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는 것으로, 제1 추진용 덕트(42)의 소정 구간을 절개하고, 이 절개된 양 단부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이격된 공간에 제1 회전 부재(44)를 개재하여 제1 회전 부재(44)의 양측이 각각 제1 추진용 덕트(42)의 절개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제2 회전 부재(45)도 제1 회전 부재(44)와 동일한 구조로 제2 추진용 덕트(43)에 회전 가능하게 개재된다. 또한,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는 각각 외주면이 후술할 기어(462)와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치형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부(46)는 모터(461) 및 기어(462)를 구비한다. 모터(461)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추진부 본체(41)의 내부 적소에 배치된다. 이 경우, 모터(461)는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장착된다.
기어(462)는 모터(46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의 외주면과 치합되어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부재(45)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즉, 기어(462)는 제1 회전 부재(44)와 제2 회전 부재(45)의 사이에 함께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모터(461)와 회전축(465)으로 연결되어 모터(46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 경우, 모터(461)와 연결되는 회전축(465)에는 유니버셜 조인트(466)가 개재된다. 유니버셜 조인트(466)는 회전축(465)의 회전 시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에 충격에 의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여 회전 구동을 원활히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팬(47)은 제1 회전 부재(44)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제2 팬(48)은 제2 회전 부재(45)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1 팬(47)은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에서 제1 회전 부재(44)와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유입구(421)로 물이 강제 유입되어 제1 배출구(422)를 통해 후방으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제2 팬(48)도 제1 팬(47)과 동일한 방식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양방향 추진부(40)는 모터(461)의 회전력이 회전축(465)을 통해 기어(462)를 회전시키고, 기어(462)와 치합된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가 모두 회전된다.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가 회전됨에 따라,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와 각각 일체로 결합된 제1 팬(47) 및 제2 팬(48)이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이 경우, 제1 추진용 덕트(42)와 제2 추진용 덕트(43)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였으며, 그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한 것이다. 즉,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투척 시 수면에 안착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추진용 덕트(42)와 제2 추진용 덕트(4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튜브체(20)가 물에 뜬 상태에서 제1 유입구(421)는 물 위에 위치하고 제2 유입구(431)는 물 아래에 잠겨 있다. 이 경우, 도면 부호 99는 수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로 모터(461)가 회전되면, 제1 팬(47) 및 제2 팬(48)이 모두 회전되며, 물에 잠긴 제2 유입구(431)를 통해 물이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2 팬(48)에 의해 제2 배출구(432)로 토출됨으로써, 튜브체(20)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 팬(47)은 공회전 된다.
만약, 도 5에 도시된 반대 방향으로 튜브체(20)가 물에 떠 있다면, 제1 유입구(421)는 물 아래에 잠기고 제2 유입구(431)는 물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모터(461)가 회전되면, 제1 팬(47) 및 제2 팬(48)이 모두 회전되며, 물에 잠긴 제1 유입구(421)를 통해 물이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 팬(47)에 의해 제1 배출구(422)로 토출됨으로써, 튜브체(20)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 팬(48)은 공회전 된다.
또한, 제1 유입구(421) 및 제2 유입구(431)가 모두 물 아래에 잠긴 상태인 경우, 모터(461)의 회전에 의해 제1 팬(47) 및 제2 팬(48)이 모두 회전되어 제1 배출구(422) 및 제2 배출구(432)로 물이 토출됨으로써 더욱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베터리(50)와, GPS 모듈(60)과, 열 감지 센서(70) 및 차양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베터리(50)는 튜브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모터(46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구동이 가능하며, 무인 조정이 가능해진다.
GPS 모듈(60)은 튜브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위치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구난 작업 시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고 원하는 장소로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를 무선 조종하여 작업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열 감지 센서(70)는 튜브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난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를 무인으로 구난자에게 접근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결국, 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구난 작업 시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차양막(미도시)은 튜브체(2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보트 본체(30)에 구조된 구난자를 커버함으로써 구난자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한다. 차양막은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투척 시 자동으로 펼처지는 접이식 방식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의 추진부를 부분 절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양방향 추진부의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 요소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추진부(40)는 추진부 본체(41)와, 제1 추진용 덕트(42)와, 제2 추진용 덕트(43)와, 제1 팬(47) 및 제2 팬(48)과, 한 쌍의 모터(461)를 포함한다.
추진부 본체(4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일종의 케이스 기능을 하는 것으로, 튜브체(20)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된다. 즉, 추진부 본체(41)의 전단은 튜브체(20)의 후단에 결합되고, 추진부 본체(41)의 후단에는 후술할 제1 배출구(422) 및 제2 배출구(432)가 형성되어 물을 후방으로 토출함으로써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추진부 본체(41)의 외측은 물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튜브체(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추진용 덕트(42)는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1 추진용 덕트(42)의 상부에는 제1 유입구(421)가 형성되고, 제1 추진용 덕트(42)의 후방에는 제1 배출구(422)가 형성되며,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에는 물의 통로가 형성된다. 결국, 후술할 제1 팬(47)의 회전에 의해 물이 제1 유입구(421)로 유입된 후,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 통로를 지나 제1 배출구(422)로 강제 토출된다. 이 경우, 제1 유입구(421)는 물의 유입 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그릴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튜브체(20) 및 보트 본체(30)는 전방으로 추진력이 생기게 된다.
제2 추진용 덕트(43)는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추진용 덕트(42)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2 추진용 덕트(43)의 하부에는 제2 유입구(431)가 형성되고, 제2 추진용 덕트(43)의 후방에는 제2 배출구(432)가 형성되며,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는 물의 통로가 형성된다. 결국, 후술할 제2 팬(48)의 회전에 의해 물이 제2 유입구(431)로 유입된 후,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 통로를 지나 제2 배출구(432)로 강제 토출된다. 이 경우, 제2 유입구(431)는 물의 유입 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그릴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튜브체(20) 및 보트 본체(30)는 전방으로 추진력이 생기게 된다.
아울러, 제1 추진용 덕트(42)의 제1 배출구(42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제2 배출구(432) 측에는 각각 다수의 리브(439)가 구비된다. 리브(439)는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토출되는 물의 직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유입구(421) 및 제2 유입구(431)로부터 제1 배출구(422) 및 제2 배출구(432)까지를 연통시키기 위해 내부 통로가 경사진 구간을 갖는다.
제1 팬(47)은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제2 팬(48)은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1 팬(47)은 제1 추진용 덕트(42)의 내부에서 후술할 모터(46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제1 유입구(421)로 물이 강제 유입되어 제1 배출구(422)를 통해 후방으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제2 팬(48)은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서 모터(46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제2 유입구(431)로 물이 강제 유입되어 제2 배출구(432)를 통해 후방으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모터(461)는 제1 팬(47) 및 제2 팬(48)을 각각 회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제1 팬(47) 및 제2 팬(48)에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 모터(461)와 연결되는 회전축(465)에는 유니버셜 조인트(466)가 개재된다. 유니버셜 조인트(466)는 회전축(465)의 회전 시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에 충격에 의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여 회전 구동을 원활히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 튜브체 30 : 보트 본체
40 : 양방향 추진부 41 : 추진부 본체
42 : 제1 추진용 덕트 421 : 제1 유입구
422 : 제1 배출구 43 : 제2 추진용 덕트
431 : 제2 유입구 432 : 제2 배출구
44 : 제1 회전 부재 45 : 제2 회전 부재
46 : 구동부 461 : 모터
462 : 기어 465 : 회전축
466 : 유니버셜 조인트 47 : 제1 팬
48 : 제2 팬 50 : 베터리
60 : GPS 모듈 70 : 열 감지 센서

Claims (9)

  1. 부력에 의해 수면에 뜨는 튜브체(20); 상기 튜브체(20)에 결합되어, 구난자가 안착하거나 매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트 본체(30); 및 상기 튜브체(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하 양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양방향 추진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추진부(40)는, 추진부 본체(41); 상기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제1 유입구(421)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배출구(422)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1 추진용 덕트(42); 상기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상기 제1 추진용 덕트(42)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제2 유입구(431)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 배출구(432)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2 추진용 덕트(43); 상기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 모터(461)와, 상기 모터(46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의 외주면과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부재(45)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기어(462)를 구비하는 구동부(46);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44) 및 제2 회전 부재(45)의 내부에 결합되어 각각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제1 팬(47) 및 제2 팬(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추진부(40)는, 추진부 본체(41); 상기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제1 유입구(421)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배출구(422)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1 추진용 덕트(42); 상기 추진부 본체(41)의 내부에 상기 제1 추진용 덕트(42)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제2 유입구(431)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 배출구(432)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의 통로가 형성된 제2 추진용 덕트(43); 상기 제1 추진용 덕트(42) 및 제2 추진용 덕트(43)의 내부에서 각각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1 팬(47) 및 제2 팬(48); 상기 제1 팬(47) 및 제2 팬(48)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한 쌍의 모터(4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461)와 연결되는 회전축(465)에는 유니버셜 조인트(466)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본체(30)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46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위치를 송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 감지 센서(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본체(30)에 구조된 구난자를 커버하기 위한 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KR1020110086030A 2011-08-26 2011-08-26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KR10126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30A KR101269273B1 (ko) 2011-08-26 2011-08-26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30A KR101269273B1 (ko) 2011-08-26 2011-08-26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48A true KR20130022348A (ko) 2013-03-06
KR101269273B1 KR101269273B1 (ko) 2013-05-29

Family

ID=4817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30A KR101269273B1 (ko) 2011-08-26 2011-08-26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7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14B1 (ko) * 2013-06-14 2013-08-29 김종문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KR101476241B1 (ko) * 2013-06-18 2014-12-24 빅코 주식회사 운항 안정성이 확보된 다목적 수상 탐사 및 구조로봇
WO2017085176A1 (fr) * 2015-11-17 2017-05-26 Drone Nautique Gonflable Solution Engin nautique de récupération d'au moins une personne en milieu aquatique, et procédé de récupération correspondant
CN108146595A (zh) * 2018-01-02 2018-06-12 北京章鱼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喷水推进装置
CN109250048A (zh) * 2018-11-02 2019-01-22 珠海云洲智能科技有限公司 动力救生器
CN109501992A (zh) * 2018-12-21 2019-03-22 青岛海狮网络科技有限公司 Rov泵式轴流推进器及其多功能遥控救生圈
KR20190115575A (ko) 2018-04-03 2019-10-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드론
KR20200110718A (ko) * 2019-03-04 2020-09-25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구조를 위한 무인 감시 및 구조시스템
WO2021140364A1 (pt) * 2020-01-10 2021-07-15 Noras Jorge Alberto Ferreira Veículo de resgate em meio aquático e método de resgate
CN115636064A (zh) * 2022-11-02 2023-01-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海上智能救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071B1 (ko) * 2018-07-18 2019-03-26 임재현 팽창형 보조튜브가 구비된 원격조종 보트
WO2020088672A1 (zh) * 2018-11-02 2020-05-07 珠海云洲智能科技有限公司 动力救生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14B1 (ko) * 2013-06-14 2013-08-29 김종문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WO2014200136A1 (ko) * 2013-06-14 2014-12-18 Kim Jong Moon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KR101476241B1 (ko) * 2013-06-18 2014-12-24 빅코 주식회사 운항 안정성이 확보된 다목적 수상 탐사 및 구조로봇
WO2017085176A1 (fr) * 2015-11-17 2017-05-26 Drone Nautique Gonflable Solution Engin nautique de récupération d'au moins une personne en milieu aquatique, et procédé de récupération correspondant
CN108146595A (zh) * 2018-01-02 2018-06-12 北京章鱼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喷水推进装置
KR20190115575A (ko) 2018-04-03 2019-10-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드론
CN109250048A (zh) * 2018-11-02 2019-01-22 珠海云洲智能科技有限公司 动力救生器
CN109501992A (zh) * 2018-12-21 2019-03-22 青岛海狮网络科技有限公司 Rov泵式轴流推进器及其多功能遥控救生圈
KR20200110718A (ko) * 2019-03-04 2020-09-25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구조를 위한 무인 감시 및 구조시스템
WO2021140364A1 (pt) * 2020-01-10 2021-07-15 Noras Jorge Alberto Ferreira Veículo de resgate em meio aquático e método de resgate
CN115636064A (zh) * 2022-11-02 2023-01-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海上智能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273B1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273B1 (ko)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JP5807060B2 (ja) 救命車両
US9725144B2 (en) Self-propelled craft
JP6698562B2 (ja) 水上乗り物の水中推進装置
JP6801865B2 (ja) 双胴式救助船
CN107792318A (zh) 一种水上救援装置
KR102178020B1 (ko) 원격조정용 수상드론 추진 동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 수상 드론
CN108216524B (zh) 一种动力救生圈
JPH0370677B2 (ko)
CA3189882A1 (en) Hydrofoil watercraft
JP2012116387A (ja) 水難救助用無線ヘリコプター及び水難者救助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CN201721610U (zh) 远程操控水上救援艇
JP5825696B2 (ja) 水中観光及び体験用の有人潜水艇
CN109178277B (zh) 用于动力救生器的推进器
JP7403886B1 (ja) 極海での深海潜水用の自己砕氷式救命艇
CN108438171A (zh) 一种太阳能机器人
EP2861489B1 (en) Semi submarine
CN210503114U (zh) 一种可双面吸水的动力救生船
CN108466681A (zh) 一种太阳能机器人装置
CN215361804U (zh) 一种无人救生艇
CN205345290U (zh) 一种水上救生装置
WO2010089436A1 (es) Vehículo autopropulsado por aire y agua
KR102375954B1 (ko) 원격조정용 수상드론 추진 동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 수상 드론
KR102589274B1 (ko) 자체 추진형 스마트 구명부이 및 그를 포함하는 스마트 구명시스템
EP2841335B1 (en) Aquatic rescu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