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563A - 검체용기 - Google Patents

검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563A
KR20130021563A KR1020110083896A KR20110083896A KR20130021563A KR 20130021563 A KR20130021563 A KR 20130021563A KR 1020110083896 A KR1020110083896 A KR 1020110083896A KR 20110083896 A KR20110083896 A KR 20110083896A KR 20130021563 A KR20130021563 A KR 20130021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inlet
ring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김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식 filed Critical 김현식
Priority to KR102011008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563A/ko
Publication of KR2013002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취한 검체를 고정 및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기의 뚜껑을 한손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검체의 채취 및 용기에의 투입 작업이 편리한 검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용기(1)는 상단 입구(11)의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의 상기 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입구(11)를 밀폐하는 뚜껑(20); 을 포함하는 검체용기로서,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기 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31)가 내주면에 형성된 상하 관통의 링부(30); 상기 링부(3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스냅힌지(40); 상기 스냅힌지(40)에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여닫아져서 상기 입구(11)를 개폐하는 캡부(50); 및 상기 스냅힌지(40)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링부(30)와 상기 캡부(50)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50)를 상기 링부(30)에 탄성적으로 록킹하는 록킹부(60); 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50)는, 상기 입구(11)를 덮는 원판상의 판부(51); 상기 판부(51)의 내면에 환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부(30)에서 위로 돌출된 상기 용기본체(10)의 신장부(13)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지는 밀봉리브(52); 및 상기 판부(51)의 둘레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링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부(32)를 감싸는 스커트부(53);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체용기{Container for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채취한 검체를 고정 및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기의 뚜껑을 한손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검체의 채취 및 용기에의 투입 작업이 편리한 검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 등에서는, 검사, 분석, 시험 등(이하, '검사'라 한다)을 목적으로 피검자로부터 조직과 같은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가 흔히 있고, 채취된 검체는 검사에 앞서 일단 검체용기에 넣어 고정 및 보관하게 된다.
검체용기는 검사의 종류와 채취된 검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체용기(100)는, 상부 개방의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110)의 입구 둘레에 형성된 나사부(111)와 뚜껑(120)에 형성된 나사부(121)의 나사 결합에 의해 뚜껑을 개폐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나사 체결 방식의 뚜껑(120)을 구비한 종래 검체용기(100)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불편한 점의 하나는, 핀셋 등 도구로 채취한 검체를 검체용기에 투입하는 작업이 불편하다는 것이다.
즉, 검체용기(100)에 검체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포르말린과 같은 보존액이 담긴 검체용기(100)를 한손에 들고 다른 손으로 검체를 집은 핀센을 잡고 검체를 검체용기(100)에 투입하여야 하나, 나사식인 뚜껑(120)이 열려 있지 않은 경우 뚜껑(120)을 개방할 손이 부족하여 뚜껑 개방이 쉽지 아니하므로, 미리 뚜껑(120)을 열어 두어야 하고, 검체를 투입한 후에 뚜껑(120)을 잠글 때에도 핀셋을 내려놓지 않으면 잠금 작업이 쉽지 않은 불편이 있다. 이런 불편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는 한손만을 사용하여 뚜껑(120)을 개폐하려다 포르말린을 흘리게 되는 등 안전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검체용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4863호(2002. 10. 31 등록)의 검체용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20700호(2007. 12. 26. 공개)의 의료용 용기,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36666호(2009. 04. 15. 공개)의 '고체상 시료 채취 및 보관 용기'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채취한 검체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기의 개패를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검체의 채취 및 용기에의 검체 투입 작업이 편리한 검체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검체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용기는, 기본적으로 상단 입구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입구를 밀폐하는 뚜껑;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뚜껑은, 링부, 스냅힌지, 캡부 및 록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상하 관통의 링-형상(환상)의 부분이다.
상기 스냅힌지는, 상기 링부에 대해 상기 캡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일종의 경첩부로서, 상기 링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캡부는, 상기 스냅힌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여닫아져서 상기 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냅힌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링부와 상기 캡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링부에 탄성적으로 록킹한다.
아울러, 상기 캡부는, 상기 입구를 덮는 원판상의 판부; 상기 판부의 내면에 환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부에서 위로 돌출된 상기 용기본체의 신장부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지는 밀봉리브; 및 상기 판부의 둘레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부를 감싸는 스커트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용기에 의하면, 검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이, 나사 결합으로 용기본체를 개폐함과 더불어, 스냅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캡부를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한손에 핀셋과 같은 도구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도 다른 한손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뚜껑을 개폐할 수 있음으로, 검체용기에 검체를 투입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검체용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검체용기의 잠긴 상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검체용기의 열린 상태 사시도,
도4는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검체용기의 단면도,
도5는 종래 검체용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체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용기(1)는, 의료분야 등에서 채취한 조직과 같은 검체를 투입하여 고정 및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널리 일반적인 검체용기와 마찬가지로, 크게 용기본체(10)와 여기에 나사 체결되는 뚜껑(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검체용기(1)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고, 검체의 종류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는 검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상단에 입구(11)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입구(즉, 상단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12: 예,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0)은 나사 결합에 의해 용기본체(10)에 조립되고, 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뚜껑(20)은, 비록 플라스틱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단일 부재이지만, 그 작용에 따라, 링부(30), 스냅힌지(40), 캡부(50) 및 록킹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링부(30)는 상하로 관통되고 상하로 일정 폭을 가진 링-형상의 부분으로서, 그 내주면에는 용기본체(10)의 나사부(12)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31: 예,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부(30)를 용기본체(10)에 나사 체결하면, 뚜껑(20)이 용기본체(10)의 상단(입구)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용기본체(10)의 상단에는 나사부(12)의 위로 약간 돌출된 신장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링부(30)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신장부(13)는 링부(30)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되며, 신장부(13)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링부(30)의 일측에는 스냅힌지(4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다시 스냅힌지(40)에는 캡부(5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스냅힌지는 캡부(50)가 탄성적으로 개폐되도록 작용하는 힌지로서, 일정 범위 이상 개방하면 더욱 개방되는 쪽으로 탄성을 받고, 반대로 일정 범위 이상 폐쇄하면 더욱 폐쇄되는 쪽으로 탄성을 받게 형성한 힌지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냅힌지(40)로서는 널리 알려진 스냅힌지를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10-1989-0000064호(1989. 03. 07. 공고)의 '플라스틱제 스냅경첩',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8861호(2005. 10. 10. 등록)의 '원터치 캡'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504호(2003. 04. 24. 등록)의 '스냅 힌지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뚜껑'을 참조할 수 있다.
링부(30)와 캡부(50)가 스냅힌지(40)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손가락으로 가볍게 캡부(50)는 밀어 올리고 당겨 누름에 따라 캡부(50)가 용기본체(10)의 입구(11)를 닫고 열게 된다.
상기 록킹부(60)는 스냅힌지(40)에 대향하는 위치의 링부(30)와 캡부(50)에 형성되어 폐쇄 상태의 캡부(50)를 링부(30)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링부(30)에는 걸림돌기(61)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캡부(50)에는 걸림돌기(61)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턱(62)을 형성하는 한편 손으로의 걸림턱(62)의 작동을 편하게 하도록 하는 작용판(63)을 걸림턱(62)에 연장 형성한 예이다. 걸림돌기(61)와 걸림턱(62)의 걸림 및 해제는 플라스틱 소재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검체용기(1)는 포르말린과 같은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이므로, 뚜껑(20)에 의한, 구체적으로 캡부(50)에 의한 입구(11)의 폐쇄는 완벽하지는 아니하더라도 가능한 한 누수가 없도록 하여야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캡부(50)는, 판부(51), 밀봉리브(52) 및 스커트부(53)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판부(51)는 상기 입구(11)의 전면을 덮는 원판상의 부분으로서 판부(51)에 의해 입구(11)의 전체가 덮여진다.
상기 밀봉리브(52)는, 판부(51)의 내면에 환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링부(30)의 위로 돌출된 신장부(13)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진다. 즉, 용기본체(10)로부터는 원형의 신장부(13)가 돌출되어 있고, 신장부(13)에 대응하는 위치의 판부(51)의 저면에는 신장부(13)의 안으로 꼭 맞게 끼워 맞춤되는 원형의 밀봉리브(52)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캡부(50)를 닫으면 신장부(13)의 내주면과 밀봉리브(52)의 외주면 사이의 면과 면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신장부(13)의 끝단이 판부(51)에 접촉되는 것을 통해 1차적인 밀폐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스커트부(53)는 판부(51)의 둘레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링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부(32)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수용부(32)는 스커트부(53)의 형상에 맞게 링부(30)의 외면을 내측으로 일정 두께 제거하여 단차지게 형성한 부분으로서, 캡부(50)를 닫으면 스커트부(53)가 수용부(32)의 외주면 둘레에 꼭 맞게 끼워져서 면과 면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스커트부(53)의 외면과 링부(30)의 노출된 외면이 모여서 전체적인 뚜껑(20)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용기(1)는, 양측의 나사부(12, 31)의 결합으로 뚜껑(20)을 용기본체(10)에 결합하여 사용하며, 검체를 검체용기(1)에 투입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한손으로 검체용기(1)를 파지하되, 중지, 약지 및 소지로 용기본체(10)를 감싸 쥐고, 검지로 뚜껑(20)을 받친 상태에서, 엄지로 작용판(63)에 힘을 가하여 캡부(50)는 밀어 올려 입구(11)를 개방을 하고, 다른 손으로 핀셋 등으로 잡은 검체를 용기본체(10) 속에 투입한 다음에, 캡부(50)를 검지로 밀어주고 엄지로 당겨 눌러 입구(11)를 폐쇄하고 록킹부(60)의 작용으로 폐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용기에 의하면 검체를 검체용기에 투입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한손만을 사용하여 그 뚜껑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1: 본 발명의 검체용기 10: 용기본체
11: 입구 12: 나사부
13: 신장부 20: 뚜껑
30: 링부 31: 나사부
40: 스냅힌지 50: 캡부
51: 판부 52: 밀봉리브
53: 스커트부 60: 록킹부
61: 걸림돌기 62: 걸림턱
63: 작용판

Claims (1)

  1. 상단 입구(11)의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의 상기 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입구(11)를 밀폐하는 뚜껑(20); 을 포함하는 검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기 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31)가 내주면에 형성된 상하 관통의 링부(30); 상기 링부(3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스냅힌지(40); 상기 스냅힌지(40)에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여닫아져서 상기 입구(11)를 개폐하는 캡부(50); 및 상기 스냅힌지(40)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링부(30)와 상기 캡부(50)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50)를 상기 링부(30)에 탄성적으로 록킹하는 록킹부(60); 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50)는,
    상기 입구(11)를 덮는 원판상의 판부(51); 상기 판부(51)의 내면에 환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부(30)에서 위로 돌출된 상기 용기본체(10)의 신장부(13)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지는 밀봉리브(52); 및 상기 판부(51)의 둘레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링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부(32)를 감싸는 스커트부(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용기.
KR1020110083896A 2011-08-23 2011-08-23 검체용기 KR20130021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896A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1-08-23 검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896A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1-08-23 검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563A true KR20130021563A (ko) 2013-03-06

Family

ID=4817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896A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1-08-23 검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156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0489283Y1 (ko) 2018-02-21 2019-05-28 (주) 메디포유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KR20200002146A (ko) 2018-06-29 2020-01-08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210106108A (ko) 2020-02-20 2021-08-30 전지현 검체용기
KR20210133095A (ko) 2020-04-28 2021-11-05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20230032909A (ko) 2021-08-30 2023-03-07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키트
KR20230039518A (ko) 2021-09-14 2023-03-21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키트
KR20240011031A (ko) 2022-07-18 2024-01-25 주식회사 어큐진 검체채취키트
KR20240024466A (ko) 2022-08-17 2024-02-26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키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0489283Y1 (ko) 2018-02-21 2019-05-28 (주) 메디포유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KR20200002146A (ko) 2018-06-29 2020-01-08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210106108A (ko) 2020-02-20 2021-08-30 전지현 검체용기
KR20210133095A (ko) 2020-04-28 2021-11-05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20230032909A (ko) 2021-08-30 2023-03-07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키트
KR20230039518A (ko) 2021-09-14 2023-03-21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키트
KR20240011031A (ko) 2022-07-18 2024-01-25 주식회사 어큐진 검체채취키트
KR20240024466A (ko) 2022-08-17 2024-02-26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1563A (ko) 검체용기
JP6033329B2 (ja) 液体試料容器用の安全シールド
WO1998003410A1 (en) Ball and socket closure
KR200409415Y1 (ko) 화장품용기
EP3117903B1 (en) Disposable sealed body fluid retention device
RU2014147989A (ru)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4094429A (en) Stopper for test tube, and the like
KR200488149Y1 (ko) 겔형 패치가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04777Y1 (ko)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KR101000830B1 (ko) 검체용 수송배지용기
KR200389430Y1 (ko)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JP2012192057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EP3358335B1 (en) Urine sampling container
KR200445957Y1 (ko) 일회용 채혈용기
JP7108297B2 (ja) 検体採取キット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KR2023006885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1918475B1 (ko)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14142Y1 (ko) 의료용 폐기물 수납용기
JP2015049202A (ja) 採尿用容器
KR2023006358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KR200259269Y1 (ko) 일회용 혈액채취용기
KR20090075108A (ko) 진공 채혈관
KR200168356Y1 (ko) 혈액채취용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