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909A - 검체 보관용 키트 - Google Patents

검체 보관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909A
KR20230032909A KR1020220102421A KR20220102421A KR20230032909A KR 20230032909 A KR20230032909 A KR 20230032909A KR 1020220102421 A KR1020220102421 A KR 1020220102421A KR 20220102421 A KR20220102421 A KR 20220102421A KR 20230032909 A KR20230032909 A KR 2023003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ver member
sample
specimen
re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욱
정중환
김봉윤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PCT/KR2022/0122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33412A1/ko
Publication of KR2023003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약이 수용되어 보관되는 시약보관용기와; 검체를 수용하는 검체보관용기와; 시약보관용기와 검체보관용기가 나사 결합되는 덮개부재와; 덮개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덮개부재에 시약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시약보관용기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차단막과;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덮개부재에 나사 결합 시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차단막을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검체 투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시약의 누설 및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시약과 검체가 서로 혼합되게 하여 사용성이 좋으며, 기밀성을 향상시켜 검체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오염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체 보관용 키트 {Kit for preserving of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염성 질환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거나 검사하기 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검체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VID 19(Corona Virus Disease 19)의 확산으로 이에 대한 감염여부의 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감염여부 검사는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하고 이를 검사하여 호흡기 질환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를 위해 채취된 검체는 별도의 검체 보관용 키트에 보관 및 운반된다.
일반적으로 검체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검체 보관용 키트는, 검체를 채취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포르말린과 같은 보존액과 같은 시약이 저장되어 검체의 조직이 분해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검체를 채취된 상태로 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체 보관 키트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563호는 보존액이 저장된 용기본체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검체 보관용 키트는 이용자가 검체를 용기에 넣기 위해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시약이 일부 누설되거나 증발하여 환경오염은 물론 이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563호
본 발명은, 검체의 채취 후 용기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시약이 누설되거나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된 상태에서 시약과 검체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환경 및 이용자의 건강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밀성을 향상 시켜 검체의 보존성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보관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시약이 수용되어 보관되며 일측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시약보관용기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채취된 검체를 수용하며 일측 외주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된 검체보관용기와; 일측 제1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타측 제2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를 구획하고,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과;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나사 결합 시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차단막을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시약이 수용되어 보관되며 일측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시약보관용기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채취된 검체를 수용하며 일측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검체보관용기와; 일측 제1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타측 제2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과;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나사 결합 시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차단막을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돌기는,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절개돌기에 의하여 절개되는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비닐을 포함하여 상기 절개돌기에 의하여 찢어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돌기는, 절개완료 후에도 상기 차단막 일부가 상기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있도록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단부 일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돌기는, 측면형상이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돌기는, 노출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검체보관용기로 상기 검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관 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고, 타측은 확장되어 검체가 유입되는 깔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와 상기 덮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상기 덮개부재에 대하여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1돌출가압부와,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2돌출가압부를 포함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1결합구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가압부가 끼워지는 제1안착홈과, 상기 제2결합구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출가압부가 끼워지는 제2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제2나사부의 내측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3돌출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제1나사부의 내측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4돌출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는, 시약이 밀봉된 상태에서 검체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검체 투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시약의 누설 및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밀봉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검체보관용기를 나사 결합을 위해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시약과 검체가 서로 혼합되게 하여 사용성이 좋으며, 기밀성을 향상시켜 검체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오염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가 조립되기 전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가 조립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검체 보관용 키트에서 "V"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가 조립되기 전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가 조립된 상태의 덮개부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에서 검체보관용기에 결합되는 깔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에서 절개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에서 기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는, 시약과 검체를 각각 보관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약과 검체가 선택적으로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검체 보관용 키트는,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와, 덮개부재(300)와, 차단막(400)과, 절개돌기(500)와, 기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시약보관용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시약이 투입되며, 타측은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차폐되어 내부공간(101)으로 시약이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시약보관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시약보관용기(100)는, 덮개부재(3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 외주면에 제1나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시약보관용기(100)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덮개부재(300)와의 기밀한 접촉이 가능한 탄력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검체보관용기(200)는, 원통관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검체가 투입되며, 타측은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차폐되어 내부공간(201)으로 검체가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체보관용기(200)는, 바닥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검체보관용기(200)는, 덮개부재(3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 외주면에 제2나사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300)는, 양측으로 시약보관용기(100)와 덮개부재(300)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시약보관용기(100)와 덮개부재(30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덮개부재(300)는, 일측 내주면으로 시약보관용기(100)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구(310)와, 타측 내주면으로 검체보관용기(200)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구(3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재(300)는,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검체와 시약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구(310)와 제2결합구(320)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400)은, 덮개부재(30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제1결합구(310)와 제2결합구(320)를 각각 구획하여, 덮개부재(300)에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가 결합될 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차단막(400)은 덮개부재(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되어 덮개부재(300)의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차단막(400)은, 절개돌기(500)에 의하여 절개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절개돌기(500)의 돌출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차단막(400)은, 절개 시 깨져서 파편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돌기(500)에 의하여 찢어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의 예로 차단막(400)은, 비닐과 같은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단막(400)은, 절개돌기(500)에 의하여 절개될 시 보다 수월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절개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410)은, 절개되는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여 절개돌기(500)가 차단막(400)을 용이하게 뚫게 하도록 함은 물론 회전 시 보다 용이하게 절개되게 하기 위함이다.
절개홈(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돌기(500)가 최초 접촉하는 면이 차단막(400)의 일면이라고 할 때, 차단막(4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절개돌기(500)가 차단막(400)에 보다 먼저 접촉되게 하고 절개돌기(500) 높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절개돌기(500)는, 검체보관용기(20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덮개부재(300)에 검체보관용기(200)가 나사 결합 시 내측으로 진입하여 회전하면서 차단막(400)을 절개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절개돌기(500)는, 검체보관용기(200)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검체보관용기(20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검체보관용기(200)가 덮개부재(300)에 나사결합될 시 차단막(400)을 효과적으로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절개돌기(500)는, 측면형상이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돌기(500)는, 노출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차단막(400)을 보다 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차단막(400)은 절개돌기(500)에 의해 절개완료 된 후 덮개부재(3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그 일부가 덮개부재(300)에 결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참조).
이는, 절개에 의하여 차단막(400)이 덮개부재(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차단막(400)이 파편이 되어 시약과 검체의 혼합액에 섞이게 되면서 추출 및 보존 시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단막(400)의 절개에 의하여 검체와 시약은 혼합되게 하되, 차단막(400)의 일부는 덮개부재(300)에 그대로 결합되어 파편이 되지 않도록 절개완료 후에도 차단막(400)이 덮개부재(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절개돌기(500)는, 절개완료 후에도 차단막(400) 일부가 덮개부재(300)에 결합되어 있도록 검체보관용기(200)의 일측 단부 외주면 일부영역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절개돌기(500)는, 최초 차단막(400)을 관통한 시점에서 검체보관용기(200)의 회전완료시까지 360도 회전이 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개돌기(500)가 차단막(400)을 뚫은 후 360도 회전하게 되면 차단막(400)이 덮개부재(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절개돌기(500)의 높이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진입 깊이를 좌우하는 제2나사부(210)의 피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밀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는, 피검사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보관 및 운반하는 것으로서 검체 및 시약의 유출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여 검사의 실효성을 얻기 위하여 기밀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덮개부재(300)와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존용기에 기밀부를 형성하여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세부적으로, 기밀부는,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와 덮개부재(300)에 구비되어, 덮개부재(300)에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가 결합될 시 덮개부재(300)에 대하여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가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기밀부는, 제1돌출가압부(120)와, 제2돌출가압부(220)와, 제3돌출가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돌출가압부(120)는, 시약보관용기(1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덮개부재(300)에 시약보관용기(100)가 체결되면 제1결합구(310)의 내주면을 가압 밀착하여 덮개부재(300)와 시약보관용기(100)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돌출가압부(120)는, 시약보관용기(100)의 일단으로부터 제1나사부(11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덮개부재(300)와 시약보관용기(100)가 서로 체결되면 덮개부재(300)의 일측 단부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재(300)는, 제1결합구(310)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돌출가압부(120)가 끼워지는 제1안착홈(330)이 형성되어 체결력 및 접촉표면적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돌출가압부(120)와 제1안착홈(330)은, 선접촉으로 인한 접촉 시 들뜸이 발생될 수 있는 뾰족한 모서리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단면형상이 넓은 면적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가압부(220)는, 검체보관용기(2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덮개부재(300)에 검체보관용기(200)가 체결되면 제2결합구(320)의 내주면을 가압 밀착하여 덮개부재(300)와 검체보관용기(200)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제2돌출가압부(220)는, 검체보관용기(200)의 일단으로부터 제2나사부(21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덮개부재(300)와 검체보관용기(200)가 서로 체결되면 덮개부재(300)의 타측 단부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재(300)는, 제2결합구(320)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2돌출가압부(220)가 끼워지는 제2안착홈(3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돌출가압부(120) 및 제1안착홈(330)과 마찬가지로 들뜸을 방지하여 기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단면형상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발명에서 기밀부는, 상기한 제1돌출가압부(120)와 제2돌출가압부(220)에 의하여 덮개부재(300)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밀착되게 함은 물론 덮개부재(300)의 내측에 대해서도 밀착되게 하여, 제1돌출가압부(120)와 제2돌출가압부(220)에 의한 덮개부재(300) 외측 단부의 기밀뿐만 아니라 검체보관용기(200)와 시약보관용기(100)의 단부인 덮개부재(300)의 내측에서도 밀착되게 하여 덮개부재(300)의 외측과 내측에서 이중으로 기밀이 이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밀부는, 제3돌출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돌출가압부(230)는, 제2나사부(210)의 내측 검체보관용기(200)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덮개부재(300)에 검체보관용기(200)가 체결될 시 덮개부재(300)의 일측 내측 내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나아가, 기밀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나사부(110)의 내측 시약보관용기(100)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덮개부재(300)의 일측 내측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4돌출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키트는 기밀부를 통해 덮개부재(300)의 단부 외측과 내측을 이중으로 가압 밀착되게 하여 보관 및 운반 시 검체와 시약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검체 채취용 키트는, 시약보관용기(100)에 시약을 넣은 후 시약보관용기(100)에 차단막(400)이 구비된 덮개부재(300)를 결합시켜 시약을 밀봉시키고, 이용자는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한 후 검체보관용기(200)에 넣은 후 덮개부재(300)를 결합시켜 검체를 밀봉한다. 이때, 차단막(400)은 이용자가 검체보관용기(200)를 덮개부재(300)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절개돌기(500)에 의해 일부가 찢어지게 되고 검체와 시약이 혼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는, 차단막(400)에 대한 구성 외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와, 절개돌기(500)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차이나는 구성인 덮개부재(300a)와, 차단막(400)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는, 도 2와는 달리 차단막(400)이 덮개부재(300a)가 아닌 시약보관용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덮개부재(300a)는, 일측 제1결합구(310)의 내주면으로 상기 시약보관용기(100)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타측 제2결합구(320)의 내주면으로 상기 검체보관용기(200)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며, 제1결합구(310)와 제2결합구(320)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차단막(400)은, 시약보관용기(100)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시약보관용기(100)의 내부공간(101)을 밀폐시키며, 덮개부재(300a)에 시약보관용기(100)와 검체보관용기(200)가 결합될 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키트는, 차단막(400)에 의하여 시약이 밀봉된 상태로 시약보관용기(100)가 덮개부재(300a)에 결합되며, 검체보관용기(200)에 채취된 검체를 보관 후 덮개부재(300a)에 나사결합하면 절개돌기(500)가 차단막(400)을 절개하면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키트는, 검체보관용기(200)로 검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깔때기(600)는, 관 형상으로 일측은 검체보관용기(200)의 개방된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확장되어 검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10은 절개돌기(500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절개돌기(500a)는, 측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절개돌기(50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등변사다리꼴이 아닌 두 밑각의 크기가 다른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개돌기(500a)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대향되는 후방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차단막(400)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대하여 대면하는 전방 타측은 직각으로 형성되어 차단막(400)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회전 시 차단막(400)의 절개가 보다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개돌기(50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단부가 보다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키트에서 기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기밀부는 상기 시약보관용기(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가압부(130)와, 상기 덮개부재(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가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130)는, 상기 시약보관용기(100)에서 상기 덮개부재(300)가 결합될 시 상기 덮개부재(300)의 단부가 닿는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압부(130)는 전술한 제2돌출가압부(22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340)는, 상기 덮개부재(300)의 단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300)와 상기 시약보관용기(100)가 체결되면 상기 시약보관용기(100)의 외주면과 상기 제1가압부(130)의 걸림면(100a)을 가압 밀착하여 상기 덮개부재(300)와 시약보관용기(100)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는, 상기 제1가압부(130)와 제2가압부(340)에 의하여 검체보존용기(100)의 일측 단부와 상기 덮개부재(300)의 단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가압 밀착되어, 상기 덮개부재(300)와 검체보존용기(100)간에 발생될 수 있는 공극을 없애주어 밀폐력 및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키트는, 상기 제1가압부(130)와 제2가압부(340)를 통한 기밀성이 확보된 후 차단막(400)이 절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구성을 살펴봄에 앞서 우선 상기 기밀부는, 상기 덮개부재(300)와 시약보관용기(1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부(130)와 제2가압부(340)가 서로 가압 밀착되고, 제2가압부(340)의 하부 측면이 상기 제1가압부(130)의 상부 측면의 걸림면(100a)에 걸림 접촉되며, 상기 덮개부재(300)의 하부 단부접촉면(300b)과 제1가압부(130)의 접촉면(100b)이 서로 밀착된다.
그렇다면, 기밀성이 확보된 다음 차단막(400)이 절개되기 위해서는, 상기 기밀부는, 상기 제1가압부(130)의 접촉면(100b)과 결합부(220)의 단부접촉면(300b)이 서로 접촉된 후 절개돌기(500)에 의하여 차단막(400)이 절개되도록 상기 절개돌기(500)와 단부접촉면(300b)의 수직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400)이 완전히 절개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차단막(400)이 절단되는 시점부터 나사피치를 고려하여 상기 걸림면(100a)의 위치설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접촉면(100b)과 단부접촉면(30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가압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 접촉면의 면적을 늘려 기밀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시약보관용기
100a : 걸림면
100b : 접촉면
101, 201 : 내부공간
110 : 제1나사부
120 : 제1돌출가압부
130 : 제1가압부
200 : 검체보관용기
210 : 제2나사부
220 : 제2돌출가압부
230 : 제3돌출가압부
300,300a : 덮개부재
300b : 단부접촉면
310 : 제1결합구
320 : 제2결합구
330 : 제1안착홈, 제2안착홈
340 : 제2가압부
400 : 차단막
410 : 절개홈
500,500a : 절개돌기
600 : 깔때기

Claims (7)

  1.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시약이 수용되어 보관되며 일측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시약보관용기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채취된 검체를 수용하며 일측 외주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된 검체보관용기와;
    일측 제1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타측 제2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를 구획하고,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과;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나사 결합 시 내측으로 진입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차단막을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2.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시약이 수용되어 보관되며 일측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시약보관용기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채취된 검체를 수용하며 일측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검체보관용기와;
    일측 제1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타측 제2결합구의 내주면으로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시약보관용기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시약과 검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과;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나사 결합 시 내측으로 진입하여 회전면서 상기 차단막을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돌기는,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일측 단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절개돌기에 의하여 절개되는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비닐을 포함하여 상기 절개돌기에 의하여 찢어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보관용기로 상기 검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관 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검체보관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확장되어 검체가 유입되는 깔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와 상기 덮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결합될 시 상기 덮개부재에 대하여 상기 시약보관용기와 상기 검체보관용기가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키트.
KR1020220102421A 2021-08-30 2022-08-17 검체 보관용 키트 KR20230032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2235 WO2023033412A1 (ko) 2021-08-30 2022-08-17 검체 보관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4466 2021-08-30
KR1020210114466 2021-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909A true KR20230032909A (ko) 2023-03-07

Family

ID=8551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421A KR20230032909A (ko) 2021-08-30 2022-08-17 검체 보관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9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3-03-06 김현식 검체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3-03-06 김현식 검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US20060129172A1 (en) Blood sampling devices
US3713779A (en) Disposable comparison detector kit
WO2018186361A1 (ja) 接続器具、及び、器具接続具
JP6191378B2 (ja) 医療用容器および移注具
US20020150504A1 (en) Solid Phase Microextraction field kit
JP6444560B1 (ja) 血液採取器具
ES2164212T3 (es) Conjunto de proteccion para punta de aguja.
KR20230075387A (ko) 검체 용기
WO2009073155A2 (en) Fluid sample collecting and analyzing apparatus
US5674456A (en) Medical specimen shipping container
KR20230032909A (ko) 검체 보관용 키트
KR102458602B1 (ko)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KR20230039518A (ko) 검체 보관용 키트
US200401516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ug testing
Leahy et al. Notes on methemoglobin determination
KR102087734B1 (ko) 검체 보관 용기
KR20240024466A (ko) 검체 보관용 키트
JPH11235329A (ja) 真空検体採取管および真空検体採取方法
US9839913B2 (en) Medical specimen container
JP2011133235A (ja) 検査対象液保存器具
WO2023033412A1 (ko) 검체 보관용 키트
WO2023043069A1 (ko) 검체 보관용 키트
KR102458507B1 (ko)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
KR102684545B1 (ko) 검체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