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855A - 생체조직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생체조직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855A
KR20230068855A KR1020210155069A KR20210155069A KR20230068855A KR 20230068855 A KR20230068855 A KR 20230068855A KR 1020210155069 A KR1020210155069 A KR 1020210155069A KR 20210155069 A KR20210155069 A KR 20210155069A KR 20230068855 A KR20230068855 A KR 2023006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lid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노
Original Assignee
김홍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노 filed Critical 김홍노
Priority to KR102021015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855A/ko
Publication of KR2023006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A61B2050/0051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closabl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A61B2050/0067Types of closures or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생체조직을 고정액이 담긴 보관용기에 넣을 경우 고정액의 외부 누출로 인한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와 뚜껑부의 결합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외측 몸체와 내측 몸체의 이중관 형태의 커터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부와 결합시 상기 용기본체부의 공간으로 투입되는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용기본체부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부가 상기 수용부 몸체에 삽입되면서 일부 또는 전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부가 상기 고정액 수용부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조직 보관용기{The container to store tissue}
본 발명은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생체조직을 고정액이 담긴 보관용기에 넣을 경우 고정액의 외부 누출로 인한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질병에 대한 임상 진단을 위해서는 이상이 있는 부위의 생체조직 일부를 채취하고 염색하여 분석하는 조직검사(biopsy)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내시경 도는 대장내시경을 이용하여 용종 등의 조직을 채취하는 경우 그 크기는 아주 미세한데 대략적으로 0.5㎜ ~ 2.0㎜의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환부 조직의 채취는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 채취되고, 채취된 생체조직은 고정액이 포함된 보관 용기에 투입되고, 생체조직이 투입된 상태로 검사실로 이송되어 검사자가 생체조직을 대상으로 염색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조직 채취 담당자는 채취된 조직을 용기에 담는 경우, 고정액이 담긴 용기를 개방하여야 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생체조직을 용기 내로 투입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고정액은 가스상태로 외부로 유출될 수밖에 없다. 통상적으로 조직을 채취하는 채취자는 의사나 간호사이고, 수술실에서 조직을 떼낸 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조직을 보관용기에 담아야 하므로, 검사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바이오 세이프티 캐비닛(Bio Safety Cabinet)과 같은 장비를 사용할 수 없고, 수술실 또는 그 근처에서 바로 조직을 보관용기로 투입하여야 하므로, 조직 채취자는 고정액의 냄새를 맡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정(fixation)은 생물 시료 또는 표본에 인위적인 조작을 하여 그 상태를 가능한 보존하여 변화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처리법으로 열고정, 동결건조 등의 물리 고정도 있으나, 대부분 시약을 사용하는 화학고정이다. 특히 고정액으로 단백질의 응고작용과 중합작용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고정액 소재로 사용되는 포르말린은 포름알데히드를 원료로 하고 있고 기체상태로 포름알데히드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포름알데히드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이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될 경우 강력한 단백질 응고작용으로 피부나 점막을 침해하고, 다량으로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혼수상태에 빠지며, 다량복용 시 심장쇠약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을 떼낸 후 고정액이 투입된 보관용기에 투입할 대 고정액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히 포르말린과 생체조직이 담긴 보관용기가 분할될 수 있어서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포르말린과 생체조직이 분할되어 이송되는 경우, 운반도중 생체조직이 괴사하는 경우도 많이 생기고 있다.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744232호(2017.05.31. 등록)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2135659호(2020.07.14. 등록) (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1880052호(2018.07.13. 등록) (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1802호(2020.02.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생체조직을 보관용기에 투입하는 경우에도 고정액 또는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조직 채취자에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에 체결되는 뚜껑부의 결합을 제한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며, 외측 몸체와 내측 몸체의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는 커터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와 체결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용기본체부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부가 상기 수용부 몸체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부가 상기 고정액 수용부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가 하부측에 체결되고, 상부측은 뚜껑부가 체결되는 외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와 연결되는 내측 몸체로 구성되는 이중관 형태의 커터부; 상기 커터부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커터부와 뚜껑부의 체결을 제한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커터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커터부의 외측 몸체에 체결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커터부의 외측 몸체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가 상기 수용부 몸체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가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의 나사산에 하부측이 체결되고 상부측에는 뚜껑부가 체결되며, 내측에는 커터가 안착되는 커터장착부와, 상기 커터장착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커터로 구성되는 커터부; 상기 커터장착부의 상단과 뚜껑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터장착부와 뚜껑부의 체결을 제한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커터장착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과 접촉하는 캡형상의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스페이서 제거 후 상기 커터장착부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가 상기 수용부 몸체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가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스페이서는,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용기본체의 외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된 링형돌기에 안착되어 뚜껑부와 용기본체부의 결합을 제한하며, 상기 스페이서 제거 후, 상기 용기본체부와 상기 뚜껑부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고정액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기본체부에는, 커터부가 용기본체의 공간으로 들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일정높이에 커터부 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커터부 단턱에는, 하나 이상의 커터부 안착돌기가 더 형성되고, 커터부는, 상기 커터부 단턱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외측 몸체; 상기 외측 몸체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상기 수용부 몸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터부 단턱에 안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내측 몸체; 및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커터부 안착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액 수용부의 내측에는,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결합리브가 더 형성되고, 커터부의 내측 몸체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내측 몸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결합리브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커터부의 외측 몸체에는, 고정액 수용부에서 흘러나오는 고정액의 일부를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액 투입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커터장착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본체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커터 안착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커터부 하단에는 다수의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연결부의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중간본체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생체조직을 보관용기에 투입하는 경우에도 고정액 또는 기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적어 조직 채취자에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생체조직이 용기본체부에 투입된 후 용기본체부와 뚜껑부가 체결되면서 고정액이 용기본체부로 투입되기 때문에, 용기본체부와 뚜껑부의 결합시 생체조직의 손상 가능성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고정액을 저장하는 밀폐용 시트가 뚜껑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생체조직과는 완전히 분리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용기의 절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부의 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서 생체조직을 투입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서 뚜껑부와 커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뚜껑부와 커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뚜껑부와 커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실시예의 커터장착부의 절단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실시예의 커터의 절단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용기의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부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서 생체조직을 투입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서 뚜껑부와 커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뚜껑부와 커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뚜껑부와 커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실시예의 커터장착부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실시예의 커터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조직 보관용기(1)는, 용기본체부(10)와, 용기본체부(10)의 내부에 안착되는 커터부(20)와, 용기본체부(10)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30)와, 스페이서(30)의 상부에서 용기본체부(10)에 결합되는 뚜껑부(40)와, 용기본체부(10)와 뚜껑부(40)의 결합 후 밀폐를 위해 뚜껑부(40)에 삽입되는 패킹링(5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생체조직 보관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부(10)는, 외주면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고, 고정액(200)과 생체조직(100)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밀폐된 내부공간(15)이 마련되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1)와, 커터부(20)가 용기본체(11)의 공간으로 들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1)의 내측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커터부 단턱(14)으로 이루어지고, 커터부 단턱(14)에는 커터부(20)의 연결부(23)가 안착된다. 도 4는 용기본체부(10)의 절단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본체부(10)의 용기본체(11) 내측에는 커터부 단턱(14)이 형성되고, 커터부 단턱(14)에는 연결부(23)의 안착홈(233)이 안착되는 커터부 안착돌기(141)이 형성된다. 커터부 단턱(14)은 하나의 단턱으로 형성되거나 두 개의 단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두 개의 단턱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단턱(141)과 상부단턱(141)과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하부단턱(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단턱(142)에 안착돌기(143)가 형성되고, 안착돌기(143)는 커터부 안착홈(141)이 안착되어, 커터부(20)가 용기본체부(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용기본체(11)의 내측에 내부공간(15)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공간(15)의 하부에는 하부판(16)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는 용기본체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링형돌기(13)에 안착되어, 뚜껑부(40)와 용기본체부(10)의 결합을 제한한다. 즉, 스페이서(30)는 일정길이의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용기본체의 나사산(12)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용기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된다. 그에 의해 뚜껑부(40)와 용기본체부(10)의 체결이 제한되고, 뚜껑부(4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액 수용부(42)의 밀폐형 시트(4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는 뚜껑부(40)가 결합된다. 뚜껑부(40)는 용기본체(11)의 나사산(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 결합부(411)와, 나사산 결합부(411)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판부(412)로 이루어져 캡형상을 가지는 뚜껑 본체(41)와, 뚜껑 본체(41)의 평판부(412) 저면에서 하부측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액 수용부(4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고정액 수용부(42)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부 몸체(421)와, 수용부 몸체(421)의 하단에 고정액(200)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422)로 구성된다. 수용부 몸체(421)는 뚜껑 본체(41)의 평판부(412)의 저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 몸체(421)는 뚜껑 본체(41)의 나사산 결합부(411)보다 길게 또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 몸체(421)의 하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부(10)에 결합시 커버부(20)의 연결부(23)까지 도달한다. 밀폐용 시트(422)는 알루미늄 필름이나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용 시트(422)는 커터(23)에 의해 커팅되며, 커팅되면서 내측 커터본체(21)의 외주면과 수용부 몸체(421) 내주면 사이로 끼어들어 가서 고정되고, 그에 따라 고정액 수용부는 완전히 개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액 수용부(42)의 내측에는 결합리브(43)가 형성된다. 결합리브(43)는 뚜껑 본체(41)의 평판부(412) 저면에서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형성된다. 결합리브(43)는, 커터부(20)의 내측 몸체가 외측으로 삽입되면서 억지끼움되면서, 커터부(20)가 뚜껑부(40)와 함께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터부(20)의 내주면이 결합리브(43)에 억지끼움되기 때문에, 생체조직(100)이 용기본체의 내부공간(15)을 벗어날 수 없도록 한다.
도 5는 커터부(20)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20)는 원통형상의 외측 몸체(21)와, 외측 몸체(2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측 몸체(22)와, 외측 몸체(21)와 내측 몸체(2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3)로 이루어진다. 외측 몸체(21)는 커터부(20)가 고정액 수용부(40)의 밀폐용 시트(422)를 절개하는 경우 하부로 배출되는 고정액(200)이 외측 몸체(21)와 내측 몸체(22)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투입된 고정액(200)이 내부공간(15)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고정액 투입홀(211)을 형성하고, 고정액 투입홀(211)을 통해 내부공간(15)으로 바로 투입되지 않은 여분의 고정액(200)이 내부공간(15)으로 투입되도록 있도록 한다. 내측 몸체(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내측 몸체(22)가 결합리브(43)의 외주면측으로 일정높이까지는 바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와 일정두께를 가진 내측 상부몸체(221)과, 내측 상부몸체(221)의 하부에 형성되어 결합리브(43)에 억지끼움되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23)로 이루어지고, 내측 상부몸체(221)와 볼록부(223) 사이에는 단턱(2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몸체(22)는 용기본체부(10)의 내부공간(15)으로 고정액이 투입되도록 개방홀(24)이 형성되고, 외측 몸체(21)와 내측 몸체(22) 사이에는 일정공간(25)이 형성되어, 커터부(20)가 수용부 몸체(421)의 외주면과 내주면 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23)는 외측 몸체(21)와 내측 몸체(2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커터부 단턱(14)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단턱이 형성되는 연결부 몸체(231)과 연결부 몸체(231)에서 연장되는 링형 안착부(232)와, 연결부 몸체(231)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안착홈(233)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몸체(21)는 고정액 수용부(42)의 수용부 몸체(421)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내측 몸체(21)는 밀폐용 시트(422)와 접촉하지 않도록 외측 몸체(21)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외측 몸체(21)가 수용부 몸체(421)의 외주면에 끼워지면, 생체조직(100)을 용기본체(11)에 투입하려고 뚜껑부(40)를 개방하는 경우 커터부(20)가 함께 딸려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 생체조직(100)을 투입하기 위한 용기본체(11)의 입구측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6은 생체조직 보관용기(1)에 생체조직(100)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생체조직을 보관용기(1)에 넣기 전인 상태인, 용기본체부(10)에 커터부(20)가 삽입 안착되고, 스페이서(30)가 용기본체부(10)의 외주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뚜껑부(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밀폐용 시트(422)는 뚜껑부(40)의 수용부 몸체(421)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고, 수용부 몸체(421)와 밀폐용 시트(422)가 이루는 공간에는 고정액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뚜껑부(40)를 분리하여 스페이서(30)를 제거하고 생체조직(100)을 투입하거나 스페이서(30) 제거 전에 생체조직(100)을 투입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b)에서 뚜껑부(40)를 분리하면 커터부(20)의 외측 커터본체(21)가 수용부 몸체(421)에 끼워져 함께 분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용기본체(11)의 입구 직경이 커져서 생체조직(100)의 투입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6(c)는 스페이서(30)를 제거한 후 생체조직(100)을 용기본체(11)의 내부공간(15)으로 투입하고, 뚜껑부(40)를 다시 용기본체부(10)에 최대한으로 결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밀폐용 시트(422)가 커터부(20)의 내측 몸체(22)에 의해 일부 절개되면 용기본체부(10)로 고정액이 투입되기 시작하고, 밀폐용 시트(422)가 뚜껑부(40)와 용기본체부(10)의 지속적인 결합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절개되면서 수용부 몸체(421)의 내주면과 내측 몸체(2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틈에 끼여서 함께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에 따라 밀폐용 시트(422)에 의해 고정액 수용부(42)에 저장되었던 고정액(200)은 밀폐용 시트(422)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용기본체(11)의 내부공간(15)으로 전부 투입된다. 생체조직(100)이 보관용기(1)에 투입 및 결합이 완료되면 검사소를 이송하게 된다. 이 경우 보관용기(1)의 놓는 상태와 상관없이 생체조직(100)은 고정액(2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생체조직(100)의 괴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체조직(100)의 크기가 아주 작은 것이라고 하더라도, 커터부(20)의 내측 몸체(22)가 결합리브(43)에 억지끼움 결합으로 틈이 없기 때문에 생체조직(100)은 용기본체(11)의 내부공간(15)에서만 존재하게 되고, 밀폐형 시트(422)는 내측 몸체(22)의 내주면과 수용부 몸체(421)의 외주면 사이에 끼어 있기 때문에 생체조직(100)과는 접촉할 수가 없게 된다. 그에 따라 생체조직(100)은 어떠한 경우에도 밀폐용 시트(422)에 의한 손상될 가능성이 없게 된다.
도 7은 생체조직(100)을 검사하기 위해 용기본체부(10)에서 뚜껑부(40)를 제거한 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20)는 뚜껑부(40)의 수용부 몸체(421)에 외측 몸체(21)가 억지끼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커터부(20)와 뚜껑부(40)를 함께 폐기할 수 있다. 커터부(20)가 뚜껑부(40)와 결합 후에는 한몸체가 되기 때문에, 커터부(20)만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내측 몸체(22)와 수용부 몸체(421) 사이의 밀폐용 시트(422)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생체조직 보관용기(1')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생체조직 보관용기(1')는, 고정액(200)과 생체조직(100)이 투입되는 용기본체부(10')와, 용기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터부(20')와, 커터부(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부(40')로 이루어지고, 커터부(20')와 뚜껑부(40')의 결합을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30')가 커터부(20')와 뚜껑부(40')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용기본체부(10')는, 외주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15')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11')로 구성된다. 커터부(20')는, 용기본체부(10')가 하부측에 체결되고, 상부측은 뚜껑부(40')가 체결되는 외측 몸체(21')와 외측 몸체(21')와 연결되는 내측 몸체(22')의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외측몸체(21')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뚜껑부(40')가 체결되고, 외측몸체(21')의 하부측 내주면에도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용기본체부(10')가 체결된다.외측몸체(21')와 내측몸체(22')는 연결부(2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23')는 외측몸체921')와 내측몸체(22')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뚜껑부(40')의 수용부 몸체(4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23')의 저면에는 링형돌기가 더 형성되어 용기본체부(10')의 상단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내측몸체(22')는 수용부 몸체(4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밀폐용 시트(422')를 절개하게 되는데, 커터부(20')가 뚜껑부(40')와 계속 결합함에 따라 내측몸체(22')는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내측몸체(22')에 형성된 볼록부(221')가 결합리브(43')에 억지끼움된다. 커터부(20')가 뚜껑부(40')에 억지끼움됨에 따라 커터부(20')와 뚜껑부(40')를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커터부(20')의 상단에는 스페이서(30')가 안착되고, 스페이서(30')가 안착되면 스페이서(30')의 외측으로 뚜껑부(40')가 커터부(20')의 외측몸체(21')에 체결되는데, 뚜껑부(40')의 수용부 몸체(421')가 스페이서(30')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뚜껑부(40')와 커터부(20')의 결합은 제한된다.
도 9는 스페이서(30')를 제거한 후 뚜껑부(40')와 커터부(20')를 계속결합하여 밀폐형 시트(422')가 일부 절개되면서 고정액(200)은 용기본체부(10')의 내부공간(15')으로 투입되고 내부공간(15')에는 생체조직(100)을 고정액(200)이 보호하게 된다. 밀폐용 시트(422')는 내측몸체(22')와 수용부 몸체(4221')의 사이에 끼어져서 생체조직(100)과 분리된다. 즉, 밀폐용 시트(422')는, 커터부의 외측몸체(21')와 뚜껑부(40') 결합시 커터부(20')의 내측몸체(22')가 수용부 몸체(421')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내측몸체(22')가 수용부 몸체(421')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수용부 몸체(421')의 내주면과 내측몸체(22')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생체조직 보관용기(1")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생체조직 보관용기(1")는, 고정액(200)과 생체조직(100)이 투입되는 용기본체부(10")와, 용기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터부(20")와, 커터부(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부(40")로 이루어지고, 커터부(20")와 뚜껑부(40")의 결합을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30")가 커터부(20")와 뚜껑부(40")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부(10")는, 상부측 외주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커터 장착부(21")가 체결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15")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11")로 구성된다. 내부공간(15")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는 하부판(16")이 형성된다. 커터부(20")는, 커터장착부(21")와 커터(22")로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장착부(21")는, 내주면에 나사산(211-1")이 형성되어 용기본체부(10")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하부몸체(211")와, 하부몸체(211")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커터 안착돌기(212-1")가 다수 형성되는 연결부(212")와, 연결부(212")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뚜껑부(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213-1")이 형성되는 상부몸체(213")로 이루어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내측에는 결합리브(43")에 억지끼움되도록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볼록부(221")가 형성된다. 또한, 하단에는 커터장착부(21")의 안착돌기(212-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222")이 형성된다. 안착돌기(212-1")에 커터(22")의 안착홈(222")이 안착됨에 따라 커터장착부(21")와 커터(22")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뚜껑부(40")와 결합시 커터장착부(21")와 커터(22")가 함께 뚜껑부(40")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커터부(20")의 커터장착부(21")의 상단에는 스페이서(30")가 놓인다. 스페이서(30")는 뚜껑부(40")와 커터부(20")의 결합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뚜껑부(40")와 커터부(20") 사이에 개재된다. 스페이서(30")의 상부에는 뚜껑부(40")가 결합되는데, 뚜껑부(40")는, 캡형상의 뚜껑 본체(41")와, 뚜껑 본체(41") 내에 형성되는 고정액 수용부(42")와, 고정액 수용부(42")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리브(43')로 이루어진다. 고정액 수용부(42")는, 커터장착부(21")의 상부측에서 스페이서(30")의 상단과 접촉하는 캡형상의 뚜껑 본체(41")와, 뚜껑 본체(41")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200)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421")와 수용부 몸체(421")의 하단에 고정액(200)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422")로 구성된다.
도 11은 뚜껑부(40")와 커터장착부(21")가 결합되어 커터(22")가 수용부 몸체(421") 내측으로 삽입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커터(22")가 수용부 몸체(421")로 삽입됨에 따라 밀폐용 시트(422")는 일부절개되고, 커터(22") 차츰 상승함에 따라 밀폐용 시트(422")는 커터(22")의 외주면과 수용부 몸체(421")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밀폐용 시트(422")는, 스페이서(30") 제거 후 커터장착부(21")와 뚜껑부(40") 결합시 커터(22")가 수용부 몸체(421")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커터(22")가 수용부 몸체(421")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수용부 몸체(422")의 내주면과 커터(22")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1', 1" : 생체조직 보관용기
10, 10', 10" : 용기본체부
11, 11', 11" : 용기본체
12, 12', 12" : 나사산
13 : 링형돌기
14 : 커터부 단턱
15, 15', 15" : 내부공간
16, 16', 16" : 하부판
20, 20', 20" : 커터부
21 : 외측 몸체
22 : 내측 몸체
23 : 연결부
24 : 개방홀
25 : 일정공간
30, 30', 30" : 스페이서
40, 40', 40" : 뚜껑부
41, 41', 41" : 뚜껑 본체
42, 42', 42" : 고정액 수용부
43, 43', 43" : 결합리브
50 : 패킹링
100 : 생체조직
200 : 고정액

Claims (11)

  1.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에 체결되는 뚜껑부의 결합을 제한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며, 외측 몸체와 내측 몸체의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는 커터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용기본체와 체결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용기본체부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부가 상기 수용부 몸체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부가 상기 고정액 수용부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2.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가 하부측에 체결되고, 상부측은 뚜껑부가 체결되는 외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와 연결되는 내측 몸체로 구성되는 이중관 형태의 커터부;
    상기 커터부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커터부와 뚜껑부의 체결을 제한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커터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커터부의 외측 몸체에 체결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커터부의 외측 몸체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가 상기 수용부 몸체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가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3.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가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의 나사산에 하부측이 체결되고 상부측에는 뚜껑부가 체결되며, 내측에는 커터가 안착되는 커터장착부와, 상기 커터장착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커터로 구성되는 커터부;
    상기 커터장착부의 상단과 뚜껑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터장착부와 뚜껑부의 체결을 제한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커터장착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과 접촉하는 캡형상의 뚜껑 본체와, 상기 커터장착부와 결합되며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고정액이 충전되는 수용부 몸체와 상기 수용부 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액을 밀폐하기 위해 부착되는 밀폐용 시트로 구성되는 고정액 수용부를 구비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시트는, 상기 스페이서 제거 후 상기 커터장착부와 상기 뚜껑부 결합시 상기 커터가 상기 수용부 몸체로 삽입되면서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터가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의 외주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생체조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된 링형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뚜껑부와 상기 용기본체부의 결합을 제한하며,
    상기 스페이서 제거 후, 상기 용기본체부와 상기 뚜껑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고정액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에는, 상기 커터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으로 들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일정높이에 커터부 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 단턱에는, 하나 이상의 커터부 안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는, 상기 커터부 단턱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외측 몸체; 상기 외측 몸체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상기 수용부 몸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터부 단턱에 안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내측 몸체; 및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커터부 안착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액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결합리브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내측 몸체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내측 몸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결합리브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의 외측 몸체에는, 상기 고정액 수용부에서 흘러나오는 고정액의 일부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액 투입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장착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커터 안착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 하단에는 다수의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안착홈은 상기 연결부의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중간본체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액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결합리브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커터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결합리브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0210155069A 2021-11-11 2021-11-11 생체조직 보관용기 KR20230068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69A KR20230068855A (ko) 2021-11-11 2021-11-11 생체조직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69A KR20230068855A (ko) 2021-11-11 2021-11-11 생체조직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55A true KR20230068855A (ko) 2023-05-18

Family

ID=8654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069A KR20230068855A (ko) 2021-11-11 2021-11-11 생체조직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85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2B1 (ko) 2016-11-22 2017-06-20 이은혜 조직 보관 용기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200011802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한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135659B1 (ko) 2017-08-18 2020-07-20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하는 미세 생체조직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2B1 (ko) 2016-11-22 2017-06-20 이은혜 조직 보관 용기
KR102135659B1 (ko) 2017-08-18 2020-07-20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하는 미세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200011802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한 생체조직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JP5199398B2 (ja) 毛管作用採集装置および容器アセンブリ
US6921395B2 (en) Liquid specimen collection system
US5202093A (en)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having semi-cylindrical valve closure springs
US20180272330A1 (en) Container for specimen
EP0129029A1 (en) Low contamination closure for blood collection tubes
KR102223879B1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EP0901823A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KR102135659B1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하는 미세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287450B1 (ko)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US11161117B2 (en) Apparatus for testing a liquid specimen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KR20200011802A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한 생체조직 보관용기
US10328430B2 (en) Disposable sealed body fluid retention device and convenient and sanitary fluid-taking method
KR20130021563A (ko) 검체용기
KR10259777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KR20200022609A (ko) 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
KR2023006885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US5948365A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US5975343A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KR2023006358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KR2024005318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JP7298027B2 (ja) 生体サンプル用の容器およびそれらの保存のための方法
KR100868750B1 (ko)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KR200489217Y1 (ko) 조직검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