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83Y1 -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83Y1
KR200489283Y1 KR2020180000783U KR20180000783U KR200489283Y1 KR 200489283 Y1 KR200489283 Y1 KR 200489283Y1 KR 2020180000783 U KR2020180000783 U KR 2020180000783U KR 20180000783 U KR20180000783 U KR 20180000783U KR 200489283 Y1 KR200489283 Y1 KR 200489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d
container
degree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국
Original Assignee
(주) 메디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메디포유 filed Critical (주) 메디포유
Priority to KR2020180000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검사대상물과 더불어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 보전 및 장기간 보관을 위한 액상내용물이 함께 저장되고 상단부 외면에 외나사산을 갖는 상부 개방형 구조의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 측에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결합부를 갖는 캡형(cap type) 구조의 뚜껑을 포함하는 검사대상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면에 대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되는 구조의 곡면을 갖는 곡률부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몸체와의 결합시 외측면이 상기 곡률부의 내측으로 밀착되는 밀착돌기부를 내측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용기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여 캐핑(capping) 시, 상기 밀착돌기부가 상기 곡률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하향 곡면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접촉에 의한 긴밀함을 형성함에 의해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1차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검사대상물과 함께 저장되는 액상내용물이 용기의 외부로 쉽게 유출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3차에 걸친 완벽한 캐핑(capping) 처리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INSPECTION OBJECT CONTAINER WITH EXPOSURE PREVENTION STRUCTURE OF LIQUID CONTENTS}
본 고안은 검사대상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 개선을 통해 병균의 유무를 검사하거나 연구 목적을 갖는 검사대상물의 보전 또는 장기간 보관을 위해 충전되는 액상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쉽게 유출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완벽하게 캐핑(capping)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사대상물 용기는 병의원을 비롯한 의료기관이나 보건소 등지에서 환자의 병소 부위로부터 병균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채취하는 검사대상물(可檢物)을 담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실험실이나 연구실 등지에서 연구 목적을 갖는 검사대상물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용기이다.
이러한 검사대상물 용기에는 검사대상물의 상태 보전 또는 장기간 보관을 위해 포르말린 고정액 등의 액상내용물을 투입하여 충전한 후 뚜껑을 결합하며, 검사대상물 용기에 충전되는 액상내용물은 검사대상물을 고정시켜 조직이 더 이상 분해되지 않고 채취상태로 유지되게 보전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이를 통해 검사대상물의 장기간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중인 검사대상물 용기는 용기몸체(body)에 검사대상물을 투입하고 고정액 등의 액상내용물을 충전한 후 뚜껑(cap)을 결합하였을 때, 액상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액상내용물의 외부 노출로 인해 교차 감염 등 2차 감염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때로는 다른 환자의 검사대상물을 오염시킬 수 있어 검사결과에 대한 중대한 과오를 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부분에 오링을 삽입 배치하거나 실링 처리를 수행하기도 하며, 때론 파라필름 밴드를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현재 법정 전염병 용기에 대해서는 3중의 외부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3 용기를 채택하여 겹겹이 감싸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검사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검사 처리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49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563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병균의 유무를 검사하거나 연구 목적을 갖는 검사대상물의 보전 또는 장기간 보관을 위해 충전되는 액상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쉽게 유출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완벽하게 캐핑(capping)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다수의 용기 구조가 아닌 하나의 용기만으로도 검사대상물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며, 비용 절감 등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는, 검사대상물과 더불어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 보전 및 장기간 보관을 위한 액상내용물이 함께 저장되고 상단부 외면에 외나사산을 갖는 상부 개방형 구조의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 측에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결합부를 갖는 캡형(cap type) 구조의 뚜껑을 포함하는 검사대상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면에 대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되는 구조의 곡면을 갖는 곡률부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몸체와의 결합시 외측면이 상기 곡률부의 내측으로 밀착되는 밀착돌기부를 내측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용기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여 캐핑(capping) 시, 상기 밀착돌기부가 상기 곡률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하향 곡면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접촉에 의한 긴밀함을 형성함에 의해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1차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몸체의 곡률부는 R10~R12의 곡률로 형성하고, 상기 곡률부에 밀착되는 상기 뚜껑의 밀착돌기부 외측면에 대해 45~60°각도의 경사기울기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밀착돌기부의 외면과 나사결합부의 내면 사이에 사이틈새부를 갖되 상기 용기몸체가 갖는 형성두께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간격 형성하며, 상기 뚜껑을 용기몸체 측에 결합 완료시 상기 곡률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사이틈새부와 밀착돌기부가 이어지는 부분에 곡률부의 상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2차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은, 상부면이 하부면에 비해 길이가 길고 기울기 각도가 크며, 상기 뚜껑 측 내나사산은, 상부면에 비해 하부면의 길이가 길고 기울기 각도가 크며,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 상부면과 상기 뚜껑 측 내나사산 하부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 하부면과 상기 뚜껑 측 내나사산 상부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몸체에서의 팽창성과 상기 뚜껑에서의 수축성에 의한 상호 밀착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3차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은, 상부면의 길이를 "1d"라고 할 때 하부면의 길이는 "1/2d~2/3d"를 만족하며, 상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40~45°를 만족하고 하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20~30°를 만족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 끝선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차각도가 90°를 넘지 않도록 형성하며; 상기 뚜껑측 내나사산은, 하부면의 길이를 "1d"라고 할 때 상부면의 길이는 "1/2d~2/3d"를 만족하며, 하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40~45°를 만족하고 상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20~30°를 만족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 끝선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차각도가 90°를 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병균의 유무를 검사하거나 연구 목적을 갖는 검사대상물의 보전 또는 장기간 보관을 위해 충전되는 액상내용물이 용기의 외부로 쉽게 유출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완벽하게 캐핑(capping) 처리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액상내용물의 외부 노출로 인해 교차 감염 등 2차 감염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은 물론 다른 환자의 검사대상물을 오염시킬 수 있어 검사결과에 대한 중대한 과오를 범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나의 용기 상에서 3차에 걸친 노출방지구조를 제공하므로 기존 방식에 있어 사용하는 다수의 용기 구조가 아닌 하나의 용기만으로도 검사대상물과 액상내용물을 커버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등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를 나타낸 절개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에 있어 용기몸체 측과 뚜껑 측 나사산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100)는 환자의 병소부위로부터 채취된 검사대상물과 더불어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 보전 및 장기간 보관을 위한 액상내용물이 함께 저장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몸체(110)와 뚜껑(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몸체(110)와 뚜껑(120)의 캐핑(capping)에 의한 결합시 기밀성을 부여하여 액상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몸체(110)는 상단부 외면에 외나사산(111)을 갖는 상부 개방형 구조로서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120)은 상기 용기몸체(110) 측에 나사산 결합하기 위한 내나사산(122a)이 형성된 나사결합부(122)를 측면에 갖는 캡형(cap type) 구조의 몸체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몸체(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상단면에 대해 외측(외측면)에서 내측(내측면)을 향하여 하향되는 구조의 곡면을 갖는 곡률부(112)를 형성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뚜껑(120)에는 상기 용기몸체(110)와의 나사산 결합시 외측면이 상기 곡률부(112)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위치되는 밀착돌기부(123)를 상면커버부(121)의 내측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곡률부(112)와 밀착돌기부(123)의 구성을 통해서는 상기 용기몸체(110)에 검사대상물과 액상내용물을 투입하여 저장한 후 상기 뚜껑(120)을 캐핑(capping)하여 결합시, 상기 밀착돌기부(123)가 상기 곡률부(112)와 밀착된 상태에서 하향 곡면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호간 밀착 접촉에 의한 긴밀함을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몸체(110)에 저장되어있는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률부(112)는 종래 직선형 단면 구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상기 밀착돌기부(123)를 매칭시켜 형성함에 의해 기밀성을 높여 용기몸체(110)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이 외부로 쉽게 유출되어 노출될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상기 용기몸체(110)의 곡률부(112)는 검사대상물 용기(100)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밀착돌기부(123)와의 긴밀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R10~R12에 해당하는 곡률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 상기 곡률부(112)에 밀착 접촉되는 상기 뚜껑(120) 측 밀착돌기부(123) 외측면에 대해 45~60°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기울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120) 측 밀착돌기부(123)는 측면에 위치된 나사결합부(122)와의 사이에 사이틈새부(124)를 갖게 되는데, 상기 밀착돌기부(123)의 상측 외면과 나사결합부(12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틈새부(124)에 대해 상기 용기몸체(110)가 갖는 형성두께를 "1D"라 할 때 이를 기준하여 "1D"에 해당하는 사이틈새를 갖도록 간격 형성하며, 상기 뚜껑(120)을 용기몸체(110) 측에 결합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곡률부(11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사이틈새부(124)와 밀착돌기부(123)가 이어지는 부분에 대해 곡률부(112)의 상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몸체(110) 측 상면 곡률부(112)와 상기 뚜껑(120) 측 저면 사이틈새부(124)가 결합 완료시 상호간 밀착에 의해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어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2차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110)의 외면 상단부에 형성된 외나사산(111)은 상부면(A)이 하부면(B)에 비해 길이가 길고 기울기 각도가 크게 형성하며, 상기 뚜껑(120)의 나사결합부(122)가 갖는 내나사산(122a)은 상부면(C)에 비해 하부면(D)의 길이가 길고 기울기 각도가 크게 형성하며, 상기 용기몸체(110) 측이 갖는 외나사산(111)의 상부면(A)과 상기 뚜껑(120) 측이 갖는 내나사산(122a)의 하부면(D)이 서로 대응되게 치합(齒合)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용기몸체(110) 측이 갖는 외나사산(111)의 하부면(B)과 상기 뚜껑(120) 측이 갖는 내나사산(122a)의 상부면(C)이 서로 대응되게 치합(齒合)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몸체(110) 측에서는 검사대상물 및 액상내용물의 저장에 따라 기본적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갖게 되고 상기 뚜껑(120) 측에서는 기본적으로 수축하려는 힘을 갖게 되는데, 상기한 나사산 결합구조를 통해서는 상기 용기몸체(110) 측에서의 팽창성과 상기 뚜껑(120) 측에서의 수축성을 이용한 상호 밀착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상호간 기밀성을 갖게 하므로 용기몸체(110)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3차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몸체(110) 측 외나사산(111)은 상부면(A)의 길이를 "1d"라고 할 때 하부면(B)의 길이는 "1/2d~2/3d"를 만족하도록 형성하며, 상부면(A)에 대해 기울기 각도 40~45°를 만족하게 형성하고 하부면(B)에 대해 기울기 각도 20~30°를 만족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외나사산(111)에 있어서는 상부면(A)과 하부면(B)의 각 끝선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차선이 갖는 교차각도가 90°를 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뚜껑(120) 측 내나사산(122a)은 하부면(D)의 길이를 "1d"라고 할 때 상부면(C)의 길이는 "1/2d~2/3d"를 만족하도록 형성하며, 하부면(D)에 대해 기울기 각도 40~45°를 만족하게 형성하고 상부면(C)에 대해 기울기 각도 20~30°를 만족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내나사산(122a)에 있어서는 외나사산(111)과 동일하게 상부면(C)과 하부면(D)의 각 끝선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차선이 갖는 교차각도가 90°를 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100)는 검사대상물과 액상내용물의 용이한 확인을 위해 투명한 용기로 제작하는데, 폴리에틸렌(PE)이나 폴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싸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폴리스티렌(PS)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정과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 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100: 검사대상물 용기 110: 용기몸체
111: 외나사산 112: 곡률부
120: 뚜껑 122: 나사결합부
122a: 내나사산 123: 밀착돌기부
124: 사이틈새부

Claims (5)

  1. 검사대상물과 더불어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 보전 및 장기간 보관을 위한 액상내용물이 함께 저장되고 상단부 외면에 외나사산을 갖는 상부 개방형 구조의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 측에 나사산 결합되는 내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갖는 캡형(cap type) 구조의 뚜껑을 포함하는 검사대상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면에 대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되는 구조의 곡면을 갖는 곡률부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몸체와의 결합시 외측면이 상기 곡률부의 내측으로 밀착되는 밀착돌기부를 내측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여 캐핑(capping) 시, 상기 밀착돌기부가 상기 곡률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하향 곡면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접촉에 의한 긴밀함을 형성함에 의해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며;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은 상부면이 하부면에 비해 길이가 길고 기울기 각도가 크며, 상기 뚜껑 측 내나사산은 상부면에 비해 하부면의 길이가 길고 기울기 각도가 크며,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 상부면과 상기 뚜껑 측 내나사산 하부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 하부면과 상기 뚜껑 측 내나사산 상부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몸체에서의 팽창성과 상기 뚜껑에서의 수축성에 의한 상호 밀착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되,
    상기 용기몸체 측 외나사산은 상부면의 길이를 "1d"라고 할 때 하부면의 길이는 "1/2d~2/3d"를 만족하며, 상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40~45°를 만족하고 하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20~30°를 만족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 끝선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차각도가 90°를 넘지 않도록 형성하며,
    상기 뚜껑측 내나사산은 하부면의 길이를 "1d"라고 할 때 상부면의 길이는 "1/2d~2/3d"를 만족하며, 하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40~45°를 만족하고 상부면의 기울기 각도는 20~30°를 만족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의 각 끝선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차각도가 90°를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곡률부는 R10~R12의 곡률로 형성하고,
    상기 곡률부에 밀착되는 상기 뚜껑의 밀착돌기부 외측면에 대해 45~60°각도의 경사기울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기부의 외면과 나사결합부의 내면 사이에 사이틈새부를 갖되 상기 용기몸체가 갖는 형성두께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간격 형성하며, 상기 뚜껑을 용기몸체 측에 결합 완료시 상기 곡률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사이틈새부와 밀착돌기부가 이어지는 부분에 곡률부의 상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상내용물이 용기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0783U 2018-02-21 2018-02-21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KR200489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83U KR200489283Y1 (ko) 2018-02-21 2018-02-21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83U KR200489283Y1 (ko) 2018-02-21 2018-02-21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83Y1 true KR200489283Y1 (ko) 2019-05-28

Family

ID=6665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83U KR200489283Y1 (ko) 2018-02-21 2018-02-21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83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129A (en) * 1980-05-02 1981-11-03 Morton Stull Childproof, snap-on, twist-off safety cap and container
KR200205308Y1 (ko) * 2000-06-28 2000-12-01 이현영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밀폐구조
KR200336242Y1 (ko) * 2003-09-02 2003-12-18 정 욱 한 회전식 뚜껑을 갖는 용기
KR20090007041U (ko) * 2008-01-08 2009-07-13 박영범 원푸쉬 체결방식의 저장용기 및 뚜껑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3-03-06 김현식 검체용기
KR101624962B1 (ko) 2014-07-25 2016-05-27 (주)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JP2016141412A (ja) *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129A (en) * 1980-05-02 1981-11-03 Morton Stull Childproof, snap-on, twist-off safety cap and container
KR200205308Y1 (ko) * 2000-06-28 2000-12-01 이현영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밀폐구조
KR200336242Y1 (ko) * 2003-09-02 2003-12-18 정 욱 한 회전식 뚜껑을 갖는 용기
KR20090007041U (ko) * 2008-01-08 2009-07-13 박영범 원푸쉬 체결방식의 저장용기 및 뚜껑
KR20130021563A (ko) 2011-08-23 2013-03-06 김현식 검체용기
KR101624962B1 (ko) 2014-07-25 2016-05-27 (주)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JP2016141412A (ja) *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6393C2 (ru) Смешивающе-у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RU2001130052A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судов,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утылок
TW201544408A (zh) 具有頸環及蓋的可再密封式容器
NO791735L (no) Lukkeanordning for beholdere.
KR950001737B1 (ko) 방사선 차폐 용기
ES2089250T3 (es) Dispositivo de vertido para un envase para medios fluidos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US3198368A (en) Container closure
JP7357628B2 (ja) 高圧下においてベントするクロージャおよび包装容器
KR200489283Y1 (ko) 액상내용물 노출방지구조를 갖는 검사대상물 용기
US20080073368A1 (en) Containers with discontinuous seal
JP2608601B2 (ja) 化学製品の運搬並びに貯蔵用容器
US20030127420A1 (en) Dual bottle closure
KR101616292B1 (ko) 뚜껑의 잠금 개폐 기능을 갖는 보관용기
JPWO2015046566A1 (ja) 収納容器に収納されたカラム及びカラム収納容器
KR20180033248A (ko) 소프트 코어 컵
JP7232568B2 (ja) 空気経路と自動開封を伴うシール保証とを統合して具備する注液プラグを備えた液体用容器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JP2007055677A (ja) 包装用容器
JP2014073865A (ja) パウチ容器
RU2356807C2 (ru) Укупорочная крышка с абсорбирующими кислород свойствами
KR102598783B1 (ko) 밀폐 용기
TWI839250B (zh) 複合結構容器蓋體及其容器組合
KR200396035Y1 (ko) 이중캡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