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005A -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005A
KR20130021005A KR1020110083260A KR20110083260A KR20130021005A KR 20130021005 A KR20130021005 A KR 20130021005A KR 1020110083260 A KR1020110083260 A KR 1020110083260A KR 20110083260 A KR20110083260 A KR 20110083260A KR 20130021005 A KR20130021005 A KR 2013002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ignal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720B1 (ko
Inventor
정성현
Original Assignee
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현 filed Critical 정성현
Priority to KR102011008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25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mplemented as integrated speech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선전화기, 인터폰, 전용단말기, 비상전화기(이하, 가입자 단말기라고 총칭함)의 회선과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서 호를 연결하거나 끊는 회선접속모듈(110);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에 연결된 다수 이종의 가입자 단말기(10)와 운용자 단말기(20) 간의 통화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모듈(120);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상기 스위칭모듈(120)에서 스위칭되어서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송신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2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유무선 변환기(130);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의 호 연결 및 절단, 상기 스위칭모듈(120)의 호 스위칭,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의 신호 변환 및 복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140)로 구성되어서,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에 설치되는 통신단말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통신단말기의 설치, 유지 및 보수, 관리,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A Different Terminal Device Integrated Communication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단말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이종 통신단말기라고 하더라도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에는 가입자 단말기에 일대일로 대응하여서 통신 단말기를 모두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두 개 또는 두서너 개의 운용자 단말기만을 구비하여도 가입자와 운용자 간에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에 설치되는 통신단말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통신단말기의 설치, 유지 및 보수, 관리,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 단말기가 유선전화기이든 인터폰이든 전용선이든 그 종류에 관계없이 운용자 단말기를 무선단말기로 채용할 수가 있어서 인력이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에 항상 대기할 필요가 없어서 인력 운영상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부대, 소방서, 경찰서의 상황실이나 전철, 철도의 역무실 등에는 여러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일반 전화기는 물론이고 직통(전용선) 전화기, 비상 전화기, 특수 단말기, 무전기, 인터폰 등 서로 다른 종류의 많은 단말기를 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에 비치된 통신 단말기들은 외부에서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에 매칭되어서 설치되어야 하는바 즉, 외부에 유선전화기가 설치되면 상황실이나 역무실에도 유선전화기를 설치해야 하고, 외부에 인터폰이 설치되면 상황실이나 역무실에도 인터폰을 설치해야 하며, 외부에 전용 전화기나 비상 전화기가 설치되면 역무실이나 상황실에도 그와 동일한 종류의 전용 전화기나 비상 전화기를 설치해야 했으므로, 그 수가 작게는 십수 대에서 많게는 삼사십 대에 이르므로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각 통신 단말기마다 전기적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설치와 관리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단말기 종류마다 사용 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운용이 매우 불편하며, 인력이 항시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유선전화기와 인터폰 또는 전용단말기와 유선전화기 등과 같이 이종 단말기 간에 호환성이 없어서 가입자 단말기에 일대일로 대응하여서 단말기를 상황실이나 역무실에 설치해야만 했으므로 상기와 같은 설치, 유지, 관리, 운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의 목적은, 가입자 단말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이종 통신단말기라고 하더라도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의 소정의 공간에는 가입자 단말기에 일대일로 대응하여서 통신 단말기를 모두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두 개 또는 두서너 개의 운용자 단말기만을 구비하여도 가입자와 운용자 간에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실이나 역무실, 사령실 등의 소정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통신단말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통신단말기의 설치 비용,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운용이 간단하여서 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입자 단말기가 유선전화기이든 인터폰이든 전용선이든 그 종류에 관계없이 운용자 단말기를 무선단말기로 채용할 수가 있어서 인력이 상황실이나 역무실 또는 사령실 등에 항상 대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력 운영상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유선전화기, 인터폰, 전용단말기, 비상전화기(이하, 가입자 단말기라고 총칭함)의 회선과 메인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서 호를 연결하거나 끊는 회선접속모듈; 메인제어모듈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회선접속모듈에 연결된 다수 이종의 가입자 단말기와 운용자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모듈; 운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상기 스위칭모듈에서 스위칭되어서 운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운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송신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유무선 변환기; 상기 회선접속모듈의 호 연결 및 절단, 상기 스위칭모듈의 호 스위칭, 상기 유무선 변환기의 신호 변환 및 복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회선접속모듈은, 국설 교환기 또는 사설교환기(PABX)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전화선에 연결되고, 전화선과 상기 스위칭모듈 간의 호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전화선 접속부와, 가입자가 전화를 걸었을 때 수신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검출부와,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로 전화를 걸 때 상대방 전화번호를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교환기로 보내는 DTMF 변환부와, 상기 링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제어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로부터 운용자 단말기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화선 접속부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는 전화선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화선 접속모듈;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과 복수의 인터폰선으로 연결되고, 인터폰선과 상기 스위칭모듈 간의 호의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인터폰선 접속부와,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으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신호를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를 통해서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로 출력하고, 운용자 단말기에서 가입자 인터폰으로 호출을 한 경우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를 인터폰선 접속부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처리부와,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의 호 접속을 단속하기 위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로 출력하는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호출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호출신호를 메인제어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로부터 운용자 단말기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가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로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며,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으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모듈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 처리부가 인터폰선 접속부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호출신호 출력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폰선 접속모듈;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와 복수의 전용선으로 연결되고 전용단말기와 상기 스위칭모듈 간의 호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전용선 접속부와,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용선 접속 제어부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검출부와, 전용선 접속 제어부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전용선 접속부의 호 접속을 단속하기 위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상기 전용선 접속부로 출력하는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호출신호 검출부에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메인제어모듈로 출력하고, 운용자 단말기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가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로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며,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모듈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 발생부가 전용선 접속부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호출신호 출력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전용선 접속 제어부와,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전용단말기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를 전용선 접속부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용선 접속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스위칭모듈은,상기 회선접속모듈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운용자 단말기로의 하향 호 연결과,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단말기로의 상향 호 연결을 교환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회선 연결 제어명령에 따라서 스위칭하는 회선 교환부; 상기 메인제어모듈로부터 회선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회선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선 교환부로 회선 연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교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유무선 변환기는, 상기 스위칭모듈과 인터페이싱하는 회선 접속부; 상기 회선 접속부에 연결되고, 운용자의 유선단말기로 링 신호를 보내고, 톤(tone) 제너레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운용자의 유선단말기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단말 접속부; 상기 회선 접속부에 연결되고, 운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상기 스위칭모듈에서 스위칭되어서 무선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단말기로 송신하고, 무선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무선단말 접속부; 상기 유선단말 접속부와 무선단말 접속부의 통신을 제어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제외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변환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운용자 단말기의 ID와 접근허가정보가 등록 저장되어 있고, 등록된 운용자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비지 상태(busy mode)인지 아이들 상태(idle mode)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로부터 링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를 탐색하여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가 있는 경우 탐색된 운용자 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교환 제어부로 보내고,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 또는 전용선 접속 제어부로 운용자 단말기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메인제어모듈에는 운용자 단말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운용자 단말기 중에서 우선적으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설정하기 위한 호 연결 우선 순위가 저장되어 있는 호 연결 우선 순위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입자 단말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이종 통신단말기라고 하더라도 상황실이나 역무실 등의 소정의 공간에는 가입자 단말기에 일대일로 대응하여서 통신 단말기를 모두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두 개 또는 두서너 개의 운용자 단말기만을 구비하여도 가입자와 운용자 간에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실이나 역무실, 사령실 등의 소정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통신단말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통신단말기의 설치 비용,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운용이 간단하여서 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입자 단말기가 유선전화기이든 인터폰이든 전용선이든 그 종류에 관계없이 운용자 단말기를 무선단말기로 채용할 수가 있어서 인력이 상황실이나 역무실 또는 사령실 등에 항상 대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력 운영상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선접속모듈(11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스위칭모듈(12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유무선 변환기(13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100)는 회선접속모듈(110)과 스위칭모듈(120)과 유무선 변환기(130)와 메인제어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은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유선전화기, 인터폰, 전용단말기, 비상전화기[이하, 가입자 단말기(10)라고 총칭함]의 회선과 호를 연결하거나 끊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위칭모듈(120)은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에 연결된 다수 이종의 가입자 단말기(10)와 운용자 단말기(20) 간의 통화 연결을 스위칭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는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상기 스위칭모듈(120)에서 스위칭되어서 무선단말기(21)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단말기(21)로 송신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2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통화로 연결과 절단 및 각종 제어와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하는바, 구체적으로는 회선접속모듈(110)의 호 연결 및 절단, 상기 스위칭모듈(120)의 호 스위칭,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의 신호 변환 및 복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기(10) 중에서 유선전화기는 예컨대 국설교환기에 연결되거나 사설교환기에 연결될 수 있고, 가입자 단말기(10) 중에서 전용 단말기는 비상 전화기나 특수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운용자 단말기(20)에는 무선 단말기(2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선 단말기(21)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무전기, 전용 무선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운용자 단말기(20)로써는 무선 단말기(21)가 바람직하지만 무선 단말기(21)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실시 태양에 따라서 유선 단말기(22)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그 수도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원발명의 목적상 한두 개 내지 두서너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에는 회선접속모듈(110)의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은 전화선 접속모듈(210)과 인터폰선 접속모듈(220)과 전용선 접속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화선 접속모듈(210)은 전화선 접속부(211)와 링 신호 검출부(212)와 DTMF 변환부(213)와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화선 접속부(211)는 국설 교환기(미도시) 또는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전화선에 연결되고, 메인제어모듈(140) 및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의 제어를 기초로 전화선과 상기 스위칭모듈(120) 간의 호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며, 전화선로의 임피던스 매칭, 훅-오프(Hook-OFF) 또는 훅-온(Hook-ON)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링 신호 검출부(212)는 가입자가 전화를 걸었을 때 수신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DTMF 변환부(213)는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20)로 전화를 걸 때 상대방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교환기로 보내는 구성이다.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는 링 신호 검출부(212)에서 검출된 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화선 접속부(211)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폰선 접속모듈(220)은 인터폰선 접속부(221)와 호출신호 처리부(222)와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와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는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과 복수의 인터폰선으로 연결되고, 인터폰선과 상기 스위칭모듈(120) 간의 호의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호출신호 처리부(222)는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으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신호를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를 통해서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로 출력하고, 운용자 단말기(20)에서 가입자 인터폰으로 호출을 한 경우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를 인터폰선 접속부(221)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호출신호처리부(224)는 인터폰의 종류 즉, 2선식, 4선식, 6선식, 10선식에 따라서 고유의 호출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는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의 호 접속을 단속하기 위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는 호출신호 처리부(222)로부터 수신한 호출신호를 메인제어모듈(140)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가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로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며,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으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 처리부(222)가 인터폰선 접속부(221)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호출신호 출력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인터폰선 접속모듈(220)에는 인터폰의 종류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전원공급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용선 접속모듈(230)은 전용선 접속부(231)와 호출신호 검출부(232)와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와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와 호출신호 발생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용선 접속부(231)는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와 복수의 전용선으로 연결되어서, 전용단말기와 상기 스위칭모듈(120) 간의 호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호출신호 검출부(232)는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는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전용선 접속부(231)의 호 접속을 단속하기 위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상기 전용선 접속부(231)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는 호출신호 검출부(232)에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메인제어모듈(140)로 출력하고,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가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로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며,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 발생부(233)가 전용선 접속부(231)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호출신호 출력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호출신호 발생부(233)는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가입자 전용단말기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를 전용선 접속부(231)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에 구비된 3 종의 전화선 접속모듈(210), 인터폰선 접속모듈(220) 및 전용선 접속모듈(230)에는 가입자의 수에 따라서 용량이 정해지는데, 예컨대 전화선 접속모듈(210)에는 20 개의 가입자가 연결될 수 있고(즉 20 개의 가입자 단말기가 전화선 접속모듈(210)에 접속되어 있다는 의미임), 인터폰선 접속모듈(220)에는 30 개의 인터폰이 연결될 수 있고, 전용선 접속모듈(230)에는 10 개의 전용선 가입자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스위칭모듈(120)의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모듈(120)은, 회선 교환부(310)와 교환 제어부(320)와 가입자측 접속부(330)와 운용자측 접속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선 교환부(310)는 회선접속모듈(110)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기(10)로부터 운용자 단말기(20)로의 하향 호 연결과,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가입자 단말기(10)로의 상향 호 연결을 교환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된 회선 연결 제어명령에 따라서 스위칭하는 구성이다.
상기 교환 제어부(320)는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회선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회선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선 교환부(310)로 회선 연결 제어명령을 출력하며, 스위칭모듈(120) 전체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한 가입자측 접속부(330)는 상기 회선접속모듈(110)과 스위칭모듈(120)을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이고, 상기 운용자측 접속부(340)는 유무선 변환기(130)와 스위칭모듈(120)을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이다.
도 4에는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의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는, 회선 접속부(410)와 유선단말 접속부(420)와 무선단말 접속부(430)와 변환기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선 접속부(410)는 스위칭모듈(120)의 운용자측 접속부(340)와 유무선 변환기(130)를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선단말 접속부(420)는 회선 접속부(410)에 연결되고, 운용자의 유선단말기(22)로 링 신호를 보내고, 톤(tone) 제너레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48V의 전원을 공급하여 운용자의 유선단말기(22)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무선단말 접속부(430)는 회선 접속부(410)에 연결되고,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상기 스위칭모듈(120)에서 스위칭되어서 무선단말기(21)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단말기(21)로 송신하고, 무선단말기(2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구성이다.
상기 변환기 제어부(440)는 유선단말 접속부(420)와 무선단말 접속부(430)의 유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21)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제외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변환기 제어부(440)에는 신호처리부(44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신호처리부(442)는 별도의 신호채널을 구비하여 음성신호를 제외한 통화연결을 위한 신호 및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예컨대 무선단말기(21)에서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버튼을 누르는 경우 이 통화버튼 신호를 처리하고, 무선단말기(21)에 구비된 특수 키(미도시)나 기능 키(미도시)를 누르는 경우 이를 신호 처리하여 가입자 단말기(10)로 보내지도록 신호 처리한다.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상술한다.
메인제어모듈(140)은 운용자 단말기(20)의 ID와 접근허가정보가 등록 저장되어 있고, 등록된 운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상태가 비지 상태(busy mode)인지 아이들 상태(idle mode)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으며,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로부터 링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20)를 탐색하여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20)가 있는 경우 탐색된 운용자 단말기(20)의 단말기정보를 교환 제어부(320)로 보내고,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 또는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로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메인제어모듈(140)에는 알로리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에는 운용자 단말기(2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이 복수의 운용자 단말기(20) 중에서 우선적으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설정하기 위한 호 연결 우선 순위가 저장되어 있는 호 연결 우선 순위 저장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 연결 순위는 운용자가 프로그램 라이팅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운용자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외부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기(예컨대 유선전화가, 전용단말기, 인터폰 등)를 통해서 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운영자 단말기(20)로 전화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호출하면, 회선접속모듈(110)은 링 또는 호출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된 신호는 메인제어모듈(140)로 보내진다.
메인제어모듈(140)은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운용자 단말기(20) 중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기를 선택하여 신호음이 송출되도록 제어신호를 아이들 상태의 해당 운용자 단말기로 보낸다.
그리고,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운용자 단말기는 사전에 정의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운용 상황에 맞게 임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운용자가 신호음을 듣고 운용자 단말기(20)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메인제어모듈(140)이 이를 감지하여 회선접속모듈(110)의 해당 제어부(214, 224, 235)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회선접속모듈의 전화선 접속부(211), 인터폰선 접속부(221) 또는 전용선 접속부(231)를 호 접속하도록 스위칭 온시켜서 회선을 연결 준비를 한다.
이후에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은 스위칭모듈(120)의 교환 제어부(320)를 통해 외부 가입자의 가입자 단말기(10)와 운용자 단말기(20)간 회선을 연결한다.
연결된 회선은 유무선 변환기(130)에서 변환되어서 운용자 단말기(21, 22)와 통화가 이루어진다.
통화 중 운영자는 운영자 단말기(20)에 구비된 기능 키(미도시)를 통해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면 메인제어모듈(140)은 통화로를 절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운영자가 운영자 무선단말기(21)로써 외부의 가입자 단말기(10) 또는 다른 운용자 단말기(20)와 통화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화는 운영자 무선단말기(21)에 구비된 기능키(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운용자가 해당 가입자의 가입자 단말기(10)의 번호를 누른 후 통화 버튼을 누르면, 운용자 무선단말기(21)는 메인제어모듈(140)에 관련 정보를 보낸다.
메인제어모듈(140)은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전화 가입자일 경우 회선접속모듈(110)을 통해 훅 오프 상태로 만든 후 통화하려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교환기로 보내고 스위칭모듈(120)을 통해 회선을 연결해 준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10)가 인터폰일 경우 호출음을 송출하고 가입자가 응답하면 회선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은 통화로의 경우 어느 한쪽이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면 이를 감지하여 통화로를 절단한다.
운용자는 통화 중에 운용자 단말기(20)에 구비된 기능 키를 통해 각종 제어 기능 예컨대, 인터폰이 설치된 도어의 문을 열거나, 비상벨을 울리거나, 방화설비기기를 동작시키거나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에 의한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110 : 회선접속모듈 120 : 스위칭모듈
130 : 유무선 변환기 140 : 메인제어모듈
210 : 전화선 접속 모듈 211 : 전화선 접속부
212 : 링 신호 검출부 213 : DTMF 변환부
214 : 전화선 접속 제어부 220 : 인터폰선 접속 모듈
221 : 인터폰선 접속부 222 : 호출신호 처리부
223 :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 224 :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
230 : 전용선 접속 모듈 231 : 전용선 접속부
232 : 호출신호 검출부 233 : 호출신호 발생부
234 :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 235 : 전용선 접속 제어부
310 : 회선 교환부 320 : 교환 제어부
330 : 가입자측 접속부 340 : 운용자측 접속부
410 : 회선 접속부 420 : 유선단말 접속부
430 : 무선단말 접속부 440 : 변환기 제어부
442 : 신호 처리부 10 : 가입자 단말기
20 : 운용자 단말기 21 : 운용자 유선단말기
22 : 운용자 무선단말기

Claims (6)

  1. 유선전화기, 인터폰, 전용단말기, 비상전화기(이하, 가입자 단말기라고 총칭함)의 회선과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서 호를 연결하거나 끊는 회선접속모듈(110);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에 연결된 다수 이종의 가입자 단말기(10)와 운용자 단말기(20) 간의 통화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모듈(120);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상기 스위칭모듈(120)에서 스위칭되어서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송신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2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유무선 변환기(130);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의 호 연결 및 절단, 상기 스위칭모듈(120)의 호 스위칭,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의 신호 변환 및 복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은,
    국설 교환기 또는 사설교환기(PABX)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전화선에 연결되고, 전화선과 상기 스위칭모듈(120) 간의 호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전화선 접속부(211)와, 가입자가 전화를 걸었을 때 수신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검출부(212)와,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20)로 전화를 걸 때 상대방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교환기로 보내는 DTMF 변환부(213)와, 상기 링 신호 검출부(212)에서 검출된 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화선 접속부(211)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는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화선 접속모듈(210);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과 복수의 인터폰선으로 연결되고, 인터폰선과 상기 스위칭모듈(120) 간의 호의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인터폰선 접속부(221)와,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으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신호를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를 통해서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로 출력하고, 운용자 단말기(20)에서 가입자 인터폰으로 호출을 한 경우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를 인터폰선 접속부(221)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처리부(222)와,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의 호 접속을 단속하기 위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폰선 접속부(221)로 출력하는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와, 상기 호출신호 처리부(222)로부터 수신한 호출신호를 메인제어모듈(140)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가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23)로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며,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외부의 가입자 인터폰으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 처리부(222)가 인터폰선 접속부(221)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호출신호 출력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폰선 접속모듈(220);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와 복수의 전용선으로 연결되고 전용단말기와 상기 스위칭모듈(120) 간의 호 접속을 끊거나 연결하는 전용선 접속부(231)와,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검출부(232)와,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전용선 접속부(231)의 호 접속을 단속하기 위한 호 접속 제어신호를 상기 전용선 접속부(231)로 출력하는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와, 상기 호출신호 검출부(232)에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메인제어모듈(140)로 출력하고,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가 호 접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호 접속 제어신호 발생부(234)로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호 연결을 제어하며,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외부의 가입자 전용단말기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 발생부(233)가 전용선 접속부(231)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호출신호 출력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와,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가입자 전용단말기로 호출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의 제어를 기초로 호출신호를 전용선 접속부(231)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발생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용선 접속모듈(2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모듈(120)은,
    상기 회선접속모듈(110)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기(10)로부터 운용자 단말기(20)로의 하향 호 연결과, 운용자 단말기(20)로부터 가입자 단말기(10)로의 상향 호 연결을 교환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된 회선 연결 제어명령에 따라서 스위칭하는 회선 교환부(310);
    상기 메인제어모듈(140)로부터 회선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회선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선 교환부(310)로 회선 연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교환 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변환기(130)는,
    상기 스위칭모듈(120)과 인터페이싱하는 회선 접속부(410);
    상기 회선 접속부(410)에 연결되고, 운용자의 유선단말기(22)로 링 신호를 보내고, 톤(tone) 제너레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운용자의 유선단말기(22)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단말 접속부(420);
    상기 회선 접속부(410)에 연결되고, 운용자의 무선단말기(21)로 상기 스위칭모듈(120)에서 스위칭되어서 무선단말기(21)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단말기(21)로 송신하고, 무선단말기(2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내는 무선단말 접속부(430);
    상기 유선단말 접속부(420)와 무선단말 접속부(430)의 통신을 제어하고, 운용자 무선단말기(21)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제외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변환기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은,
    운용자 단말기(20)의 ID와 접근허가정보가 등록 저장되어 있고, 등록된 운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상태가 비지 상태(busy mode)인지 아이들 상태(idle mode)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로부터 링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20)를 탐색하여 아이들 상태의 운용자 단말기(20)가 있는 경우 탐색된 운용자 단말기(20)의 단말기정보를 교환 제어부(320)로 보내고, 상기 전화선 접속 제어부(214), 인터폰선 접속 제어부(224) 또는 전용선 접속 제어부(235)로 운용자 단말기(20)로의 접속 허가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모듈(140)에는
    운용자 단말기(2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운용자 단말기(20) 중에서 우선적으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설정하기 위한 호 연결 우선 순위가 저장되어 있는 호 연결 우선 순위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KR1020110083260A 2011-08-22 2011-08-22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KR10132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60A KR101325720B1 (ko) 2011-08-22 2011-08-22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60A KR101325720B1 (ko) 2011-08-22 2011-08-22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05A true KR20130021005A (ko) 2013-03-05
KR101325720B1 KR101325720B1 (ko) 2013-11-08

Family

ID=4817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260A KR101325720B1 (ko) 2011-08-22 2011-08-22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205B1 (en) * 1998-06-01 2001-02-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lobal communications interoperability
KR20020079006A (ko) * 2001-04-12 2002-10-19 최은 구내 무선 종합 통신 시스템
JP3882775B2 (ja) * 2002-09-30 2007-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Ip電話装置およびip電話システム
KR100768150B1 (ko) * 2006-05-30 2007-10-17 (주)아이티솔텍 유선 장비를 무선화하는 통합형 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720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176A (en) System for virtual connection to dedicated PSTN lines
US20120220303A1 (en) Stationary wireless terminal and switching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 lines
CN1945994B (zh) 蓝牙手机来电自动转到固话接听的方法
JPS6064564A (ja) フアクシミリ・電話切替方式
US20080212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upling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common channel
CN101964900B (zh) Dect视频监控呼叫方法、终端及系统
US200501071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 utilization of a cell phone
CN101951702A (zh) 一种基于手机终端实现单工通信的方法
KR101325720B1 (ko)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KR102102698B1 (ko) Ip 네트워크와 페이지폰 시스템 연동장치
CN209313952U (zh) 一种楼宇对讲通信系统
CN209402576U (zh) 一种煤矿扩播电话系统
CN212893306U (zh) 一种电梯远程对讲装置和系统
JPH0750708A (ja) コードレ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203243375U (zh) 一种手机固话转换装置
CN203151606U (zh) 一种可以连接移动电话的固定电话通讯系统
KR0165509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의 통신채널 관리방법
RU1588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редствами радиосвязи или аппаратурой оповещения "упор"
KR100229871B1 (ko) 자동 다자 통화 구현방법
US20130178171A1 (en) Mobile terminal
JP3354966B2 (ja) 電話機システム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CN115767442A (zh) 组呼呼叫对接系统及其方法
KR100721253B1 (ko) 유선 전화 연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