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407A -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407A
KR20130020407A KR1020110083031A KR20110083031A KR20130020407A KR 20130020407 A KR20130020407 A KR 20130020407A KR 1020110083031 A KR1020110083031 A KR 1020110083031A KR 20110083031 A KR20110083031 A KR 20110083031A KR 20130020407 A KR20130020407 A KR 2013002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e
vehicle
view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 큐알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큐알온텍 filed Critical (주) 큐알온텍
Priority to KR102011008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407A/ko
Publication of KR2013002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36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0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using a storage device with different write and read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렌즈의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로 렌즈를 구동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주행 도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도출된 녹화 속도로 저장함에 따라 하나의 렌즈로 주행 속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시야각을 최대로 확보하여 도로의 영상을 보다 넓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교통 사고 시 원인 규명 및 도주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LACKBOX USING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속에 대한 제동 거리를 토대로 영상 녹화 영역과 저장 공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블랙 박스는, 자동차 전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 및 자동차 내부의 각종 센서와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상태나 사고 시의 상황을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블랙 박스에는 주행 상태 및 사고 시 상황 영상을 이용한 인식 장치는 이동 물체에서 인식하기 위한 목표물의 영상을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획득한 후,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이용하여 목표물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영상 인식 장치가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하는 물체에서 목표물인 선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이 주행 도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대부분의 방법들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게 되는데,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도로를 영상으로 인식하는 경우 카메라에 구비된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서 영상으로 인식되는 대상물의 원근(遠近)에 따른 선명도와 카메라에 인식되는 영상의 시야각인 영상 화각이 결정된다. 즉, 카메라에 구비된 렌즈에 따라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의 시야각, 즉 화각이 넓어져서 영상을 넓게 인식할 수 장점이 있는 반면 원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긴 경우에는 주행도로를 촬영한 영상에서 원거리는 선명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는 반면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의 화각이 줄어들어 근거리 영상을 전부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렌즈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획득하여 처리하여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소정 시간 주기로 저장함에 있어, 녹화 속도가 1초당 30 프레임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많은 량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을 토대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를 토대로 렌즈를 제어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영상으로부터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도출된 녹화 속도로 저장함에 따라 하나의 렌즈로 주행 속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시야각을 최대로 확보하여 도로의 영상을 보다 넓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교통 사고 시 원인 규명 및 도주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제1 기술적 과제는,
영상 화각을 확보하기 위해 본체에 설치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경유하여 조사된 광량과 물체로부터 수신되는 광량을 수신하여 상기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소정 영역에 기 설정된소정 시간 주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화각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초점 거리로 렌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은,
상기 차속에 따른 제동 거리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는,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이 클수록 상기 영상 화각을 작게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를 원거리 영역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이 작을수록 상기 영상 화각을 크게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를 근거리 영역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녹화 속도로 렌즈를 통해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녹화 속도는,
상기 제동 거리에 대한 비례적 관계식을 기반으로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제어부에서 엔진 시동 후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을 기반으로 영상 화각을 도출하는 단계; 및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여 렌즈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은,
상기 차속에 따른 제동 거리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는,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녹화 속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된 녹화 속도로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화 속도는,
상기 제동 거리에 대한 비례적 관계식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렌즈의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로 렌즈를 구동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주행 돌 정보를 도출된 녹화 속도로 저장함에 따라 하나의 렌즈로 주행 속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시야각을 최대로 확보하여 도로의 영상을 보다 넓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교통 사고 시 원인 규명 및 도주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고,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차속으로부터 도출된 녹화 속도로 저장함에 따라 메모리부의 저장 공간을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렌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렌즈 제어 과정을 보인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렌즈 제어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렌즈의 영상 화각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로 렌즈를 구동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주행 도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장치는, 렌즈(10), 제어부(30), 영상 처리부(50), 및 메모리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10)는, 본체에 설치되어 주행 도로의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화각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10)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10)의 초점 거리와 일치하도록 렌즈(10)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화각은 차속에 대한 제동 거리를 토대로 기 설정된 반비례 관계식으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는 상기 영상 화각에 대해 기 설정된 비례 관계식으로부터 설정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속이 클수록 상기 영상 화각은 작게 도출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는 원거리 영역으로 설정되며 상기 렌즈(10)는 설정된 초점 거리로 제어된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속이 작을수록 상기 영상 화각을 크게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를 근거리 영역으로 제어하도록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속에 대응되는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녹화 속도를 도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녹화 속도는 제동 거리에 대한 비례적 관계식으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시속 100Km로 주행 중인 차량의 경우 1초당 27m를 주행하게 되므로 기존의 1초당 30프레임을 녹화하는 녹화 속도는 고속 모드로 설정된다. 반대로 정지 상태 또는 저속 상태인 경우 녹화 속도는 저속 모드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조작된 렌즈(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50)로 제공되며, 상기 영상 처리부(50)는 상기 렌즈(1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디지털 처리가 가능하도록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대상물과 비경의 경계가 명확해지도록 디지털 필터를 통해 화성 처리하여 도로 주행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도로 주행 정보에 이벤트성이 발생하지 아니한 경우 획득된 도로 주행 정보는 메모리부(70)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우선, 제어부(10)는 엔진 시동 후 차속을 수신하고 수신된 차속 정보를 기반으로 렌즈(10)의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영상 화각을 토대로 렌즈(10)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초점 거리로 렌즈(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토대로 렌즈(10)가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따라 제어된 렌즈(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50)로 공급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50)는 상기 렌즈(1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대상물과 배경의 경계가 명확해지도록 필터링하여 도로 주행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도로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도출된 녹화 속도로메모리부(70)의 소정 영역에 소정 주기로 저장된다.
또한, 관계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주행 도로 정보는 표시부(미도시됨)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고, 원격으로 경찰서, 응급실, 도로 상황실 등 해당 기관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원격 통신을 위한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더 설치됨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30) 및 영상 처리부(50)가 별개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어부(30) 및 영상 처리부(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영상 화각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을 토대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초점 거리로 렌즈를 제어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영상으로부터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함에 따라 하나의 렌즈로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영상 시야각을 최대로 확보하여 도로의 영상을 보다 넓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교통 사고 시 원인 규명 및 도주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을 토대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를 토대로 렌즈를 제어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영상으로부터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도출된 녹화 속도로 메모리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렌즈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 박스의 렌즈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10)는 단계(101)를 통해 엔진 시동 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를 수신하고, 이어 단계(103)를 통해 수신된 차속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한다.
상기 차속이 작으면 작을수록 기 설정된 반비례 관계식을 토대로 영상 화각은 크게 도출되고, 반대고 차속이 크면 클수록 영상 화각은 작게 도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단계(105)를 통해 수신된 영상 화각을 토대로 렌즈(10)의 초점 거리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가 룩업 테이블 값으로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영상 화각 대비 렌즈의 초점 거리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값으로서, 이러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통해 수집 가능한 영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단계(105)를 통해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로 렌즈(10)를 제어한다(단계 107).
이어 상기 렌즈(1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50)로 제공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50)는 단계(109)를 통해 렌즈(1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대상물과 배경의 경계가 명확해지도록 필터링하여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111).
그리고, 상기 단계(111)에서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는 상기 단계(103)에서 설정되녹화 속도로 단계(113)를 통해 메모리부(70)의 소정 영역에 소정 주기로 저장된다.
이 후 상기 제어부(30)는 엔진 시동이 오프되었는 지를 판단하고(단계 115), 시동이 오프된 경우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시동이 오프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단계(101)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렌즈의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로 렌즈를 구동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주행 도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도출된 녹화 속도로 저장함에 따라 하나의 렌즈로 주행 속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시야각을 최대로 확보하여 도로의 영상을 보다 넓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교통 사고 시 원인 규명 및 도주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렌즈의 영상 화각 및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렌즈의 초점 거리로 렌즈를 구동하여 렌즈를 통해 수집된 주행 도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함에 따라 하나의 렌즈로 주행 속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시야각을 최대로 확보하여 도로의 영상을 보다 넓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교통 사고 시 원인 규명 및 도주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고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렌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12)

  1. 영상 화각을 확보하기 위해 본체에 설치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경유하여 조사된 광량과 물체로부터 수신되는 광량을 수신하여 상기 주행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소정 영역에 기 설정된소정 시간 주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화각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며 설정된 초점 거리로 렌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은,
    상기 차속에 따른 제동 거리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는,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이 클수록 상기 영상 화각을 작게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를 원거리 영역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이 작을수록 상기 영상 화각을 크게 도출하고 도출된 영상 화각으로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를 근거리 영역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녹화 속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녹화 속도로 렌즈를 통해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속도는,
    상기 제동 거리에 대한 비례적 관계식을 기반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8. 제어부에서 엔진 시동 후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을 기반으로 영상 화각을 도출하는 단계; 및
    영상 화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여 렌즈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은,
    상기 차속에 따른 제동 거리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는,
    상기 렌즈의 영상 화각에 대해 기 설정된 반비례적 관계식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에 대한 제동 거리를 기반으로 녹화 속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된 녹화 속도로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주행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속도는,
    상기 제동 거리에 대한 비례적 관계식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 박스 제어 방법.
KR1020110083031A 2011-08-19 2011-08-19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20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31A KR20130020407A (ko) 2011-08-19 2011-08-19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31A KR20130020407A (ko) 2011-08-19 2011-08-19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407A true KR20130020407A (ko) 2013-02-27

Family

ID=4789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031A KR20130020407A (ko) 2011-08-19 2011-08-19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4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2B1 (ko) * 2013-12-26 2014-06-27 오충록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WO2017111282A1 (ko) * 2015-12-24 2017-06-29 (주)큐알온텍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48790B1 (ko) * 2021-11-09 2022-09-29 주식회사 우진기전 고장 진단 및 속도 대응 카메라 자동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2B1 (ko) * 2013-12-26 2014-06-27 오충록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WO2017111282A1 (ko) * 2015-12-24 2017-06-29 (주)큐알온텍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48790B1 (ko) * 2021-11-09 2022-09-29 주식회사 우진기전 고장 진단 및 속도 대응 카메라 자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1079B (zh) 成像装置和电子设备
CN108716983B (zh) 光学元件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9685011B2 (en) Vehicle safe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meras
WO2019218303A1 (zh) 智能售货柜、物品识别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RU201611875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араметра на основе изображения, а также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124799B2 (en) Vehicle safe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meras
US20170064184A1 (en) Focusing system and method
US20100245611A1 (en) Camera system and image adjusting method for the same
CN104639927A (zh) 拍摄立体影像的方法以及电子装置
CN107209943A (zh) 用于电影摄影机聚焦应用的距离测量装置
WO2019205777A1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8961195B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图像采集装置、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TWI518305B (zh) 影像擷取方法
KR20130020407A (ko)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8891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KR20160030360A (ko) 이미지 보정 장치, 이미지 보정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03988107A (zh) 成像设备、控制成像设备的方法和程序
KR101306887B1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4506766A (zh) 一种摄像装置及其对焦补偿的方法
KR101544421B1 (ko)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075495A1 (en) Electronic camera
KR20200092197A (ko) 증강 현실 영상 처리 장치, 증강 현실 영상 처리 방법, 전자 기기,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28931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화각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097572A (zh) 行车辅助装置及其方法
KR101561535B1 (ko) 운전자 시야 추적형 블랙 박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