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375A -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375A
KR20130020375A KR1020110082981A KR20110082981A KR20130020375A KR 20130020375 A KR20130020375 A KR 20130020375A KR 1020110082981 A KR1020110082981 A KR 1020110082981A KR 20110082981 A KR20110082981 A KR 20110082981A KR 20130020375 A KR20130020375 A KR 2013002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information
cloth
fabric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미경
이득희
조한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375A/ko
Publication of KR2013002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포에 관한 정보와 매뉴얼 상의 세탁행정 방법을 비교하여 선택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단순히 포에 부착된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세탁장치에서 제공하는 세탁코스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 포의 손상을 줄이고 변형을 최소화하며,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Laundry machine and clothes treat method}
본 발명은 세탁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장치 내로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포물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포물이 잠기도록 세탁수를 공급하고 상기 세탁수에 적당량의 세제를 용해시켜 상기 포물에 묻은 오염물이 상기 세제와의 화학 작용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고, 포물이 담겨진 세탁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탁수와 포물이 기계적인 마찰 또는 진동을 일으켜 세탁물의 오염물이 용이하게 제거된다.
이와 같은 세탁장치는 크게 통상의 전자동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드럼 세탁기는 최근 이용도가 높은 세탁장치로서, 포물이 놓여지는 드럼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포물이 낙하됨에 따라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가 탁월하고, 세탁 시 포물의 손상 및 엉킴이 적은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포의 특성에 맞게 더욱 세분화된 세탁행정을 제공하는 세탁장치가 출시되고 있어, 포의 손상을 줄이고 변형을 최소화하며,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세탁행정이 제공되더라도 사용자는 포에 대응되는 세탁행정을 찾기 어려워 이를 활용하지 못한다.
또한, 포에 부착되어 있는 정보는 일반적으로 포의 소재 뿐만아니라 각종 세탁 방법 등 복수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를 보고 적절한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 없다. 즉, 포의 특성을 잘 알지 못해 포에 적합한 세탁행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포에 부착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인식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표식은 바코드, RFID태그, QR코드 및 세탁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부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세탁장치의 구동상태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는, 상기 포의 재질에 대한 정보, 세탁 행정 진행 온도에 대한 정보, 사용 가능 세제에 대한 정보나 표백제의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세탁물의 주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건조/탈수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가 처리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의 종류는 2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 종류의 포가 동시에 세탁이 가능지 여부에 대해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가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포의 종류를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처리방법은, 상기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시 주의하여야할 점, 세탁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포의 건조 방법, 상기 포의 보관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코스는, 상기 입력된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외부 서버로부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방법은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에 부착되어 있는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표식에서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표식은 바코드, RFID태그 및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세탁장치의 통신부와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의 재질에 대한 정보, 세탁 행정 진행 온도에 대한 정보, 사용 가능 세제에 대한 정보나 표백제의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세탁물의 주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건조/탈수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포처리방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시 주의하여야할 정보, 세탁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포의 건조 방법에 관한 정보, 상기 포의 보관 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경우, 상기 포처리방법를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불가능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2이상 종류의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2 이상 종류의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경우, 상기 포처리방법를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불가능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불가능한 경우,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포의 종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를 구동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세탁장치의 구동이 선택되면, 상기 출력된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은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포에 관한 정보와 매뉴얼 상의 세탁행정 방법을 비교하여 선택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단순히 포에 부착된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세탁장치에서 제공하는 세탁코스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 포의 손상을 줄이고 변형을 최소화하며,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와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어, 새로운 장치를 살필요 없이 새로운 포처리방법에 대해 정보를 받고 새로운 세탁코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의 입력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의 입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의 입력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탁장치에 투입된 포물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입력받아 적절한 세제량을 산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0),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하는 표시부(20), 상기 입력부(10)에 입력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를 작동시키는 구동부(50),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0) 및 외부 서버로부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40)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60)가 도시되어 있다.
입력부(10)는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다. 포에 관한 정보는 세탁행정에 영향을 주는 포의 특성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포의 재질에 대한 정보, 세탁 행정 진행 온도에 대한 정보, 사용 가능 세제에 대한 정보나 표백제의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세탁물의 주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건조/탈수방법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포에 관한 정보는 포에 부착된 태그에 포의 소재 성분표시, 포의 세탁 방법에 대한 정보 등을 간단한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여 제공된다. 최근에는 정보화의 발전으로 인해 의류에 대한 물류 관리나 정보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상기 의류의 어느 한 부위에 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RFID 태그 및 QR코드와 같은 표식(2)을 부착하여 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의 입력부(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입력부(10)는 세탁기호,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와 같이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2)을 인식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인식장치(11)가 있다. 인식장치(11)는 표식(2)에 따라 카메라모듈, 바코드 스캐너나 QR코드 스캐너 또는 RFID 스캐너 등이 될 수 있다.
세탁장치(5)의 전면이나 상면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에 상기 인식장치(11)가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포(1)에 부착되어 있는 표식(2)을 인식장치(11) 접촉 또는 인접시켜 상기 표식(2)을 인식시키며, 인식장치(11)는 상기 표식(2)에 포함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세탁장치(5)에 입력한다.
또는 태그에 기호나 간단한 문자로 표시된 포에 관한 정보를 카메라 모듈과 같은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기호나 문자 등이 의미하는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5)의 입력부(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1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택부(13)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14)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14)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포에 관한 정보를 아이콘(14)으로 표시하고, 포의 특성을 카테고리별 구분하여 각 아이콘(14)을 선택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포에 관한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나눠 놓은 것으로 각 카테고리에서 각각 아이콘(14)을 선택하면, 후술할 제어부(30)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그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카테고리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포에 관한 정보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이콘(14)을 선택하는 방식은 세탁장치에 구비된 별도의 버튼을 눌러서 선택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14)을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손가락 등으로 드래그 하여 선택창(15)에 상기 아이콘(14)을 끌어다 놓는 방식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아이콘(14)을 드래그 하여 상기 선택창(15)에 끌어다 놓아 선택하는 방식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장치(5)의 입력부(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0)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용 단말기(16)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6)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7)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6)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휴대용 단말기(16)는 상기 통신부(17)와 동기화되어 상기 세탁장치(5) 본체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동기화란 통신에 있어서, 송수신을 위해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주파수 등을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동기화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16)는 상기 세탁장치(5)의 통신부(17)와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6)에 구비된 입력부(10)의 형태는 상술한 두 가지 실시예 모두 가능하다. 즉, 휴대용 단말기(16)에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RFID와 같이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2)을 인식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인식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기(16)에 선택부(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14)을 선택함으로써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16)를 이용하면, 상기 인식장치나 상기 선택부(1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세탁장치(5)도, 상기 인식장치나 상기 선택부(13)를 구비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6)와 동기화함으로써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6)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의 입력 수단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17)로부터 상기 세탁장치(5)의 구동상태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세탁장치(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세탁장치(5)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알림수단은 램프, 알람음 또는 휴대용 단말기(16)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방식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부(20)는 후술할 제어부(30)에서 산출한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한다. 출력 방식은 스크린을 통해 텍스트나, 도형등을 표시할 수 있고, 개별 코스에 대한 버튼이 구비된 경우 도출된 코스에 램프가 점등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는 음성으로 추천하는 세탁코스 또는 상기 포처리방법에 대해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상기 입력부(10)에 입력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한다. 2 이상 종류의 포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제공한다.
상기 포처리방법은 상기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시 주의하여야할 점, 세탁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포의 건조 방법, 상기 포의 보관 방법 등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포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포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가능하여 보다 오래 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상기 입력된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에 관한 정보가 달라지면, 상기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포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적절한 세탁코스를 제공한다.
포의 종류에 따라, 실크나 모피와 같이 세탁장치에서 처리할 수 없는 포는 사용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30)가 처리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는, 입력부(10)에서 입력 될 때 바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의 종류는 2 이상인 경우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할 수 있다. 즉, 2 이상 종류의 포를 동시에 세탁할 수 있는 세탁 코스가 산출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 경우 무리하게 세탁행정을 수행하면 일부 포는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상기 2 이상 종류의 포가 동시에 세탁이 가능지 여부에 대해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30)가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는, 모든 입력 과정이 끝난 후에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경고할 수 있고, 이전에 투입된 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할 때 그 이후에 투입된 포가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한 경우 입력부(10)에서 입력 될 때 바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20)는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포의 종류를 추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분리하여 세탁해야 하는 포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세탁장치가 세탁행정을 하도록 세탁장치의 회전, 급수, 배수, 탈수 건조 등의 작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모터, 밸브, 기어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산출한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를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20)에서는 제어부(30)에서 산출한 세탁코스를 출력하면서 함께 사용자가 상기 세탁코스에 따라 세탁장치를 구동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부(40)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저장부(40)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부(60)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40)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60)를 통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어, 새로운 장치를 살필요 없이 새로운 포처리방법에 대해 정보를 받고 새로운 세탁코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방법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세탁방법은 크게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술한 입력부(10)가 수행하는 것으로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2)을 입력받거나,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14)에서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6)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포에 부착되어 있는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2)을 인식한다(S110). 상기 암호화한 표식(2)은 바코드, RFID태그 및 QR코드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코드를 카메라나 스캐너와 같은 인식장치를 통해 입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암호화된 표식(2)에서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S120). 도형이나, 전자정보로 암호화된 것을 상기 제어부(30)가 인식할 수 있는 포에 관한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추출할 수 있는 포에 관한 정보는 상기 포의 재질에 대한 정보, 세탁 행정 진행 온도에 대한 정보, 사용 가능 세제에 대한 정보나 표백제의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세탁물의 주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건조/탈수방법 등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과 입력단계에 차이가 있다. 먼저,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14)을 제시한다(S140). 도 3과 같이, 포에 관한 정보가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아이콘(14)으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콘(14)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한다(S150).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도 3 및 도 4의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단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16)로부터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170)(도 5 참조). 상기 휴대용 단말기(16)는 세탁장치의 통신부(17)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16)가 상기 세탁장치의 통신부(17)와 동기화 한다(S180).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16)와 상기 통신부(17)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세탁장치의 고유 시리얼 넘버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6)에 입력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6)와 상기 세탁장치의 통신부(17)가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동기화의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다음으로, 통신부(17)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S190). 이로써, 세탁장치와 떨어진 휴대용 단말기(16)로 부터 입력 받은 포에 관한 정보가 상기 세탁장치에 입력된다.
두 번째로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S210~S270)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기 이전에,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포가 세탁장치에서 세탁시, 손상이 심하거나 변형되는 소재인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함이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경우에 제어부(30)는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한다.
만약,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220). 경고 방법은 경고 알람이 울리거나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포의 종류가 2 이상인 경우 동시에 세탁하는 경우 일부 포가 손상이 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 처리가 불가능하다. 즉, 동시에 상기 세탁장치에서 포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S260),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220).
이러한 경고는, 모든 입력 과정이 끝난 후에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경고할 수 있고, 아니면, 이전에 투입된 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할 때 그 이후에 투입된 포가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한 경우 입력부(10)에서 입력 될 때 바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20)는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포의 종류를 추가로 출력(S270)하여 사용자에게 분리하여 세탁해야 하는 포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가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세탁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한다(S310).
상기 포처리방법은 상기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시 주의하여야할 점, 세탁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포의 건조 방법, 상기 포의 보관 방법 등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포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오래 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상기 입력된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에 관한 정보가 달라지면, 상기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포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적절한 세탁코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세탁코스를 제공한 경우 표시부(20) 등에 사용자에게 세탁코세아 따라 수행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표시하여 상기 세탁코스에 따라 수행여부를 입력받는다(S320). 사용자가 세탁코스에 따라 세탁행정을 수행한다고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 산출된 세탁코스에 따라 모터, 밸브 등이 작동하면서 세탁코스에 따른 세탁행정이 수행된다(S330).
상술한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은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포에 관한 정보와 매뉴얼 상의 세탁행정 방법을 비교하여 선택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단순히 포에 부착된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세탁장치에서 제공하는 세탁코스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 포의 손상을 줄이고 변형을 최소화하며,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와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어, 새로운 장치를 살 필요 없이 새로운 포처리방법에 대해 정보를 받고 새로운 세탁코스를 이용할 수 있다.
1: 포 2: 표식
5: 세탁장치 11: 인식부
13: 선택부 14: 아이콘
15: 선택창 16: 휴대용 단말기
10: 입력부 20: 표시부
30: 제어부 40: 저장부
50: 구동부 60: 네트워크 접속부

Claims (27)

  1.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포에 부착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인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표식은 바코드, RFID태그, QR코드 및 세탁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부터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세탁장치의 구동상태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는,
    상기 포의 재질에 대한 정보, 세탁 행정 진행 온도에 대한 정보, 사용 가능 세제에 대한 정보나 표백제의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세탁물의 주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건조/탈수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가 처리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의 종류는 2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 종류의 포가 동시에 세탁이 가능지 여부에 대해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가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포의 종류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처리방법은,
    상기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시 주의하여야할 점, 세탁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포의 건조 방법, 상기 포의 보관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코스는,
    상기 입력된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외부 서버로부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상기 세탁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에 부착되어 있는 포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한 표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표식에서 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표식은 바코드, RFID태그 및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세탁장치의 통신부와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포의 재질에 대한 정보, 세탁 행정 진행 온도에 대한 정보, 사용 가능 세제에 대한 정보나 표백제의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세탁물의 주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건조/탈수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포처리방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포의 특성에 따른 세탁시 주의하여야할 정보, 세탁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포의 건조 방법에 관한 정보, 상기 포의 보관 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포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세제량, 모터의 RPM, 세탁수량, 세탁 시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 온도, 헹굼수량, 탈수속도,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세탁장치에 투입되는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경우, 상기 포처리방법를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세탁장치에서 처리 불가능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2이상 종류의 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포처리방법 또는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2 이상 종류의 포가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경우, 상기 포처리방법를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불가능한 경우,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처리 불가능한 경우, 동시에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포의 종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탁코스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를 구동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장치의 구동이 선택되면, 상기 출력된 세탁코스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방법.
KR1020110082981A 2011-08-19 2011-08-19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KR20130020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81A KR20130020375A (ko) 2011-08-19 2011-08-19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81A KR20130020375A (ko) 2011-08-19 2011-08-19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75A true KR20130020375A (ko) 2013-02-27

Family

ID=4789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81A KR20130020375A (ko) 2011-08-19 2011-08-19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37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148B1 (en) 2014-09-25 2016-03-0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agging items for use in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KR20170090162A (ko)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제어방법
KR20180061749A (ko) * 2016-11-30 2018-06-08 조철현 시각장애인을 의류 정보 제공 및 관리 방법
US10217042B2 (en) 2016-11-23 2019-02-26 Motorola Mobility Llc RFID tags in wearables
US10287723B2 (en) 2013-10-16 2019-05-14 Saronikos Trading And Services, Unipessoal Ld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in particular speech respons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WO2020138523A1 (ko) * 2018-12-26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의 세탁 코스 결정 방법
CN112430971A (zh) * 2019-08-08 2021-03-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控制方法
US10975509B2 (en) 2016-11-23 2021-04-13 Motorola Mobility Llc RFID-tagged textile article cleaning
WO2024034829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1946183B2 (en) 2016-12-21 2024-04-02 Henkel Ag & Co. Kgaa Method for determining treatment parameters via an information carrier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7723B2 (en) 2013-10-16 2019-05-14 Saronikos Trading And Services, Unipessoal Ld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in particular speech respons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WO2016048433A1 (en) * 2014-09-25 2016-03-3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agging items for use in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US10019662B2 (en) 2014-09-25 2018-07-1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agging items for use in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US9280148B1 (en) 2014-09-25 2016-03-0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agging items for use in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KR20170090162A (ko)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제어방법
US11512419B2 (en) 2016-01-28 2022-11-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430703B2 (en) 2016-11-23 2019-10-01 Motorola Mobility Llc RFID tags in wearables
US10282653B1 (en) 2016-11-23 2019-05-07 Motorola Mobility Llc RFID tags in wearables
US10217042B2 (en) 2016-11-23 2019-02-26 Motorola Mobility Llc RFID tags in wearables
US10975509B2 (en) 2016-11-23 2021-04-13 Motorola Mobility Llc RFID-tagged textile article cleaning
KR20180061749A (ko) * 2016-11-30 2018-06-08 조철현 시각장애인을 의류 정보 제공 및 관리 방법
US11946183B2 (en) 2016-12-21 2024-04-02 Henkel Ag & Co. Kgaa Method for determining treatment parameters via an information carrier
WO2020138523A1 (ko) * 2018-12-26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의 세탁 코스 결정 방법
CN111379119A (zh) * 2018-12-26 2020-07-07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装置及其洗涤程序确定方法
CN111379119B (zh) * 2018-12-26 2022-07-05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装置及其洗涤程序确定方法
US11578444B2 (en) 2018-12-26 2023-02-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laundry course thereof
CN112430971A (zh) * 2019-08-08 2021-03-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控制方法
WO2024034829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375A (ko) 세탁장치 및 세탁방법
CN104364434B (zh) 洗衣机系统
CN101775730B (zh) 在洗衣机中使用虚拟形象来控制信息显示的方法
KR10177405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068973B (zh) 在洗衣机中使用虚拟形象来控制信息显示的方法
CN101298733B (zh) 洗衣装置及其控制方法
JP5979560B2 (ja) 洗濯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洗濯機
US7421863B2 (en) Washer
KR102318652B1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984473A (zh) 用户界面装置及控制方法
JP2002273089A (ja) 電気洗濯機システム
CN108070977A (zh) 一种物联网洗衣机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9029673A1 (zh) 一种洗衣机衣物识别系统及该系统的衣物识别方法
JP6011918B2 (ja) 洗濯機システム
JP6715444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JP2013132500A (ja) 洗濯機システム
JP2014004065A (ja) 洗濯機システム
JP2013255613A (ja) 電気機器システム
JP6236641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JP2014018609A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JP2014018610A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JP5948607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WO2015113618A1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limited function control interface
JP6019392B2 (ja) 洗濯機システム
KR100517599B1 (ko) 세탁기의 헹굼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