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226A -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226A
KR20130020226A KR1020110082725A KR20110082725A KR20130020226A KR 20130020226 A KR20130020226 A KR 20130020226A KR 1020110082725 A KR1020110082725 A KR 1020110082725A KR 20110082725 A KR20110082725 A KR 20110082725A KR 20130020226 A KR20130020226 A KR 20130020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mpk
obesity
frac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식
허태린
도종묵
방한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종묵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226A/ko
Publication of KR2013002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8Oldenlandia or Hedyo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생체 내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AMPK (5' AMP-activated protein kinas)를 활성화 하여 체중 조절에 효과적이므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extract from Hedyotis diffusa}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은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체중 과다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체중 과다는 체질량 지수(BMI,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만 척도)가 25 이상 30 미만을 의미하며,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일 때 해당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에 의하면 비만인구(BMI 값이 30 이상)가 1995년의 2억명에서 2000년에는 3억명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미국을 포함한 주요선진국에서는 인구의 1/3 이상이 임상적으로 비만이고, 1/2 이상이 과체중인것으로 보고 되었다.
특히, 만20세 이상의 성인 뿐 아니라 소아비만의 증가가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의 13.7%의 소아 및 11.5% 청소년이 과체중이며 소수민족들에서는 최대 30-40%의 소아 및 청소년이 과체중임이 보고되었다 (Guidelines on Overweight and Obesity: NIH/NHLBI). 위와 같은 비만과 과체중 인구의 증가율은 매년 25%이상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0년 이후에는 서양뿐 아니라 개발도상국 국가들에서도 국민의 약 50%가 비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보건협회, OMS 자료집).
비만은 Type 2 당뇨병, 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증 및 관절염 등의 주원인이 되며, 이 외에도 관절염, 폐기능 장애, 담석증, 부인질환 및 다양한 암(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및 colon cancer)의 발병에도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졌다.
비만은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사회적, 정신적인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기는 어렵다. 즉,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많을 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비만치료는 결국 섭취하는 에너지보다 소비하는 에너지를 많게 하여 에너지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방법과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체중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만의 약물 치료를 위해 매년 많은 항비만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 사용 가능한 비만 치료 약물은 많지 않으며, 대부분 소화나 식욕을 억제시키는 제제에 국한되어 있다. 소화나 식욕을 조절하는 제제의 경우, 습관성 때문에 향정신성 약물로 분류되며, 소화억제제는 설사, 변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2010년까지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대표적 비만치료 약물은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 (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시부트라민 (sibutramine; Reductil)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리파제 (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오르리스타트 (orlistat; Xenical)가 있었다 (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그러나 시부트라민 (Sibutramine)은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혈관계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있어 2010년 10월 미국 및 국내에서 퇴출되었다. 또한 오르리스타트 (Orlistat)의 경우에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서양인에 비해 지방섭취가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따라서, 아직까지 비만 억제 효과가 좋고 장기 복용의 안전성이 확인된 비만 치료 약물이 아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만한 비만 예방 및 치료제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최근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조절하여, 여러 대사질환에 사용될 수 있는 신약개발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AMPK는 세포 내 ATP 농도의 감지 역할을 하는 인산화 효소로서 세포내의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효소이며, 세포 내 대부분의 biosyntheses (ATP 소비 과정)에 의해 증가되거나, 운동 등으로 인한 급격한 ATP 소비에 의하여 증가된 AMP:ATP 비율에 의해 활성화 되어 ATP 생성 과정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AMPK는 몇몇 하위 단계에 있는 기질을 인산화하여 지방 합성이나 콜레스테롤 합성과 같은 ATP-소비 경로를 차단하며 지방산 산화나 당 분해와 같은 ATP-생성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G. Hardie et al., FEBS Lett., 546, pp113-120, 2003; D. Carling, Trends Biochem. Sci., 29, pp18-24, 2004). 특히 AMPK의 중요한 조절 기작 중의 하나는 단백질 인산화를 통해 Acetyl-CoA carboxylase (ACC)란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ACC는 간과 근육 등 여러 조직에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로써, 이는 acetyl-CoA를 malonyl-CoA로 탄산화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B.E. Kemp, Biochem. Soc. Trans., 31, pp162-168, 2003), malonyl-CoA는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존재하는 CPT1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의 저해제로 작용한다. CPT1의 활성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지방의 β-oxidation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orth Publishers, NY, 3rd Ed., pp599-605, 2000). AMPK의 활성화에 의해 ACC에 인산화가 증진되어 효소 활성이 억제되게 되면 malonyl-CoA의 생성량이 감소하게 되어 AMPK의 활성화가 유도되며 (Vavvas D et al., J. Biol. Chem., 272, pp13255-13261, 1997) 지방산을 태우는 산화작용에 의해 ATP 생성량이 증가되다. 따라서AMPK 활성화에 따른 ACC의 인산화는 지방산 산화 증가에 의한 체지방 감소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방산 합성 초기에 ACC 효소 활성을 AMPK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으면, 우리 체내에서 필요 이상의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체중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AMPK의 중요한 조절 기작 중의 하나로써 HMG-CoA reductase (고지혈증 치료제인 statin의 타겟분자)의 활성 억제 기능이 있는데, 이는 AMPK활성화에 의해서 콜레스테롤의 합성도 간조직에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MPK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로서 인체 에너지 준위를 감지하는 핵심 센서이며 또한 체지방 합성 억제 및 체지방 산화를 촉진하는 효소로서 운동에 의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AMPK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면 운동을 하였을 때와 유사하게 지방 및 간조직에서 체지방 및 혈중지질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국의 Abbott 사를 위시해 AMPK 활성물질 탐색을 통한 신약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Abbott사의 A-769662는 EC50가 800 nM 이며, FAS (fatty acid synthase) 저해능 (IC50)은 약 3.2 μM 로서 다른 연구기관들 보다는 앞서 있다.
한편, 백운풀 (Hedyotis diffusa; 또는 백화사설초)은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한해살이 풀이다. 유사한 외형을 지닌 중국산 산방화이초 (H. corymbosa)를 수십 년 전부터 민간에서 항암제로 사용해왔으며, 그로 인해 국내 토종 백운풀이 멸종위기에 처하였다. 이에 도종묵씨가 전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토종 백운풀의 종자를 수집하고, 수 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2006년 재배법을 확인하게 되었으며, 이 후 백운풀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백운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 내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고 안정성이 우수한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항비만제를 찾기 위한 연구를 계속 하던 중, 백운풀 추출물이 AMPK의 활성화 효능이 있고 체중 조절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에서 분리한 지표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에서 분리한 지표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백운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 화학식1 ]
Figure pat00001
[ 화학식2 ]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백운풀을 물, 탄소수 1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추출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백운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운풀 추출물은 생체 내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AMPK를 활성화 하여 체중 조절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백운풀 에탄올 추출물의 AMPK 및 ACC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2는 추출 용매에 따라 AMKP및 ACC의 활성을 비교한 그림이다.
도 3는 백운풀 추출물 및 분획물의 분리도이다.
도 4은 각 분획물의 AMPK 및 ACC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5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분리도이다.
도 6은 디클로로메탄 분획의 분리도이다.
도7은 디클로로메탄 분획의 각 fraction의 AMPK 및 ACC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30μg/ml).
도8은 디클로로메탄 분획의 각 fraction의 AMPK 및 ACC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60μg/ml).
도 9는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의 분리도이다.
도10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1의 TLC 결과이다.
도 11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1의 13C-NMR 결과이다.
도 12는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1의 Mass Spectrum 결과이다.
도 13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1의 화학구조이다.
도 14는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2의 1H-NMR 결과이다.
도 15는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2의 13C-NMR 결과이다.
도 16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2의 Mass Spectrum 결과이다.
도 17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2의 화학구조이다.
도 18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3의 1H-NMR 결과이다.
도 19는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3의 13C-NMR 결과이다.
도 20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3의 Mass Spectrum 결과이다.
도 21은 디클로로메탄 분획 중 fraction 3에서 분리한 HD3의 화학구조이다.
도 22 및 23은 백운풀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HD1, HD2, HD3의 AMPK 및 ACC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24는 HD1의 농도에 따라 AMPK의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25는 HD1의 처리 시간에 따라 AMPK의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26은 HD1의 AMPK 탈 인산화 억제 활성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27은 HD1가 CaMKK 활성 증가를 일으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그림이다.
도 28은 HD1가 세포질 이동 촉진을 일으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운풀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백운풀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분쇄한다. 백운풀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분쇄된 백운풀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에탄올이다. 추출방법은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에서 5시간 동안 2회 반복 환류추출한다. 다음 상기에서 얻은 백운풀의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백운풀 유기용매 분획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득한 에탄올 농축액을 디클로로메탄 (CH2Cl2), 에틸아세테이트 (EtOAc) 및 수포화 부탄올 (n-BuOH) 로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무수 Na2SO4로 탈수하고 감압농축하는 방식으로 각 분획물을 농축하여, 가용성 분획을 수득한다.
이 후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활성성분을 수득한다. 활성성분에는 ursolic acid, 2-hydroxy-3-methylanthraquinone, digitolutein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이외에 비만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 배를 포함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 배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게는 유효 약물이 1 회에 투여되는 양을 포함하며, 이는 통상 1 일 투여량의 전부, 1/2, 2/3 또는 1/4 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1내지 300 mg/kg이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운풀 추출물의 제조 및 활성 검증
건조된 백운풀을 95% 에탄올을 이용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2회 반복 환류추출한 후 필터하였다. 이를 감압농축하여 백운풀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백운풀 추출물의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L6 myotube cell을 10% FBS α-MEM의 배지 상에서 37℃, 5% CO2 조건으로 12시간 이상 배양한 후, 세포가 petri dish에 정착된 것이 확인되면 2% FBS α-MEM으로 배지를 교체하여 배양하였다. 48시간 마다 배지를 교환해 주면서 세포를 10일 동안 배양한 뒤에 starvation을 유도하기 위하여 FBS를 포함하지 않은 α-MEM 배지를 처리해 주었다. 5시간 후, 백운풀 추출물을 30 또는 60 μg/mL의 농도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cell lysis buffer로 단백질 추출을 실시하였다.
Western blotting은 p-AMPK와 p-ACC의 특이적 항체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2mM metformin을 처리하였다. 실험 결과 백운풀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p-AMPK protein level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 μg/mL 보다 60 μg/mL의 농도로 처리해 준 구간에서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운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AMPK의 하위 target 단백질인 ACC의 인산화도 효과적으로 증가되었다 (도1).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백운풀 추출물이 지방산 산화의 생화학적 기작을 조절하여 항비만 치료 및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추출용매에 따른 활성 검증
최적의 추출 용매를 찾기 위하여 건조된 백운풀 시료를 50%, 75% 및 95% 에탄올로 각각 80℃에서 5시간 동안 2회 반복 환류추출하여 필터 후 감압농축 하여 3종의 백운풀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3종의 백운풀 에탄올 추출물을 60 μg/mL의 농도로 L6 myotube cell에 처리한 후,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 p-AMPK 및 p-ACC의 protein level을 관찰하여 에탄올 농도에 따른 AMPK 및 ACC의 활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최적 추출 용매조건을 확립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2 mM metformin을 처리하였으며, 실험은 2회 반복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백운풀을 95% 에탄올로 추출한 구간에서 가장 강한 AMPK 및 ACC의 인산화 활성이 관찰되었다 (도2). 95%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는 양성대조군인 metformin을 처리한 구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2회 실험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백운풀 내의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 화합물은 95%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후속실험에서 9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3: 백운풀 분획물의 제조 및 활성 검증
건조된 백운풀 10.8 kg을 최적 추출용매 조건으로 결정된 95% 에탄올로 80℃에서 2회 반복 환류추출 하였다. 에탄올 추출액을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1326.3 g의 백운풀 에탄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디클로로메탄 (CH2Cl2), 에틸아세테이트 (EtOAc) 및 수포화 부탄올 (n-BuOH)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CH2Cl2 층은 포화 NaCl 용액으로 back washing한 후, 무수 Na2SO4로 탈수하고 감압농축하여 CH2Cl2 가용성 분획 343.1 g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EtOAc층과 n-BuOH 층에 대해서도 탈수 및 감압농출을 실시하여 EtOAc 및 n-BuOH 가용성 분획을 각각 84.96 g과 208.6 g을 얻었다 (도 3).
L6 myotube cells에 백운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CH2Cl2, EtOAc, n-BuOH 및 H2O 가용성 분획을 60 μ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후, p-AMPK 및 p-ACC의 protein level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처리한 4종의 분획 중 CH2Cl2 및 EtOAc 가용성 분획에서 뚜렷한 AMPK 인산화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CH2Cl2 가용성 분획은 양성대조군인 2 mM metformin과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tOAc 가용성 분획의 경우, ACC의 인산화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 따라서 CH2Cl2 및 EtOAc 가용성 분획에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가적인 분리과정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4: EtOAc 분획물에서 지표성분의 분리
EtOAc 가용성 분획 (84.96 g)을 대상으로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Ø 11x53 cm)를 실시한 결과, 총 6개의 fraction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 중 Fr. 1로부터 5.35 g의 HD1을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Fr. 5 (17.26 g)에 대해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Ø 8x42 cm)를 재실시하여 HD2 (2.4 g)를 얻었다 (도 5).
실시예 5: CH 2 Cl 2 분획물에서 지표성분의 분리
CH2Cl2 가용성 분획 (9.26 g)에 포함된 지표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개의 fraction을 얻을 수 있었으며(도 6), 이들에 대한 항비만 활성을 검증하였다.
백운풀 CH2Cl2 가용성 분획에 대한 1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얻은 5개의 fraction을 30 및 60 μg/mL의 농도로 L6 myotube cell에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Fr. 3에서 높은 AMPK 및 ACC 인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 따라서 Fr. 3에 포함된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Fr. 3 (1.21 g)을 대상으로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Φ 3×45 cm)를 실시한 결과, Fr. 3-2로부터 HD3 (4.3 mg)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어서 Fr. 3-4 (1.04 g)에 대해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HD2 (60 mg) 및 HD1 (220 mg)의 총 3종의 단일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었다 (도 9).
실시예 6: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 동정
실시예 6-1: HD1 구조 동정
HD1는 TLC를 이용한 분석에서 UV를 흡수하지는 않았지만, 10% 황산을 이용한 정색반응에서는 붉은색으로 발색된 것으로 보아 triterpenoid, 또는 steroid계 화합물로 예상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백운풀로부터 분리된 바 있는 대표적인 triterpenoid계 화합물인 ursolic acid와 Rf치를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Rf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
13C-NMR 분석결과, δ178.67에서 carbonyl carbon이 관측되었으며, δ138.54과 δ124.93은 olefinic carbon에 의한 peak로 판단되었다. 또한 δ77.17에서 hydroxyl group에 의한 carbon이 검출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도 11).
1H 및 13C-NMR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으며, NMR 및 Mass spectrum 분석 결과 (도 12)를 문헌치와 비교해 최종적으로 HD1은 ursolic acid로 구조동정 하였다 (도 13).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HD1은 97.177%의 순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3C-NMR (100 MHz, DMSO-d 6) δ: 178.67 (C-28), 138.54 (C-13), 124.93 (C-12), 77.17 (C-3), 55.11 (C-5), 52.71 (C-18), 47.34 (C-17), 47.17 (C-9), 41.99 (C-14), 38.85 (C-19), 38.77 (C-8, C-20), 38.74 (C-10), 38.55 (C-1), 36.87 (C-4), 36.66 (C-22), 33.04 (C-7), 30.76 (C-21), 28.61 (C-23), 27.88 (C-15), 27.32 (C-2), 24.14 (C-16), 23.62 (C-27), 23.19 (C-11), 21.45 (C-30), 18.36 (C-6), 17.39 (C-26), 17.26 (C-29), 16.45 (C-25), 15.58 (C-24)
실시예 6-2: HD2 구조 동정
HD2는 10% 황산을 이용한 정성반응에서 노란색으로 발색되어 식물색소 성분인, anthraquinone류의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1H-NMR 분석 결과, δ2.29에서 methyl group에 의한 integral 3에 해당되는 peak가 관측되었으며 δ 11.08에서는 integral 1의 hydroxyl group에 의한 peak가 나타났다 (도 14).
13C-NMR 스펙트럼에서 δ182.95와 δ181.77에서 peak가 관찰됨에 따라 ketone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한 δ16.57에서 나타난 peak에 의해 1개의 methyl group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15).
1H 및 13C-NMR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으며, NMR 및 Mass spectrum 분석 결과 (도 16)를 문헌치와의 비교를 통해 최종적으로 HD2는 2-hydroxy-3-methylanthraquinone로 구조동정 되었다 (도 17).
13C-NMR (100 MHz, DMSO-d 6) δ: 182.95 (C-10), 181.77 (C-9), 161.74 (C-3), 134.79 (C-7), 134.34 (C-6), 133.55 (C-8a), 133.53 (C-10a), 133.43 (C-4a), 132.34 (C-2), 126.92 (C-5), 126.89 (C-8), 125.36 (C-9a), 111.58 (C-4), 16.57 (CH3)
1H-NMR (400 MHz, DMSO-d 6) δ: 11.08 (1H, s, OH), 8.14 - 8.18 (2H, m, 5,8-Hs), 7.97 (1H, s, 4-H), 7.86 - 7.92 (2H, m, 6,7-Hs), 7.55 (1H, s, 1-H), 2.29 (3H, s, CH3)
실시예 6-3: HD3 구조 동정
HD3는 10% 황산 (H2SO4)을 이용한 정성반응에서 HD2와 같이 노란색으로 발색되었으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상에서의 Rf치 또한 유사하였으므로 anthraquinone류 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1H-NMR 기기분석 결과, δ4.03에서 methoxyl group에 의한 integral 3의 특징적인 peak가 관측되었으며, δ2.41에서 methyl group에 의한 peak가 나타났다. 또한 δ6.75에서 integral 1의 hydroxyl group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8).
앞서 분리된 HD2의 13C-NMR 스펙트럼에서 나타난 anthraquinone의 특징적인 패턴과 동일하게 δ182.55와 δ182.44에서 anthraquinone의 ketone구조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HD2와 같이 δ16.34에서 나타난 peak로 methyl group이 화합물 구조 내에 존재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HD2와는 달리 δ62.16에서 나타난 peak로 보아 HD3에는 methoxy group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것으로 예측하였다 (도 19).
HD3의 NMR data는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으며, NMR 및 Mass spectrum 분석 결과 (도 20)를 문헌치와 비교하여 2-hydroxy-1-methoxy-3-methylanthraquinone (digitolutein)로 최종 구조동정 하였다 (도 21).
13C-NMR (100 MHz, CDCl3) δ: 182.55 (C-9), 182.44 (C-10), 153.76 (C-3), 146.02 (C-4), 134.49 (C-10a), 133.77 (C-6), 133.67 (C-7), 132.98 (C-8a), 131.33 (C-2), 126.98 (C-5), 126.78 (C-8), 126.68 (C-1), 126.50 (C-9a), 123.52 (C-4a), 62.16 (OCH3), 16.34 (CH3)
1H-NMR (400 MHz, CDCl3) δ: 8.24 - 8.26 (2H, m, 5-H and 8-H), 7.99 (1H, s, 4-H), 7.75 - 7.77 (2H, m, 6-H and 7-H), 6.75 (1H, s, OH), 4.03 (3H, s, OCH3), 2.41 (3H, s, CH3)
실시예 7: 분리한 화합물의 활성 검증
실시예 7-1: HD1 , HD2 , HD3 , Fr .3의 활성 검증
분리한 화합물 HD1, HD2 및 HD3에 대한 AMPK 및 ACC 인산화 효과를 30과 60 μg/mL의 수준에서 검증해 본 결과, 3종의 화합물을 처리한 각각의 구간에서 모두 강력한 AMPK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와 함께 AMPK의 하위 메커니즘에 해당되는 ACC의 인산화도 효과적으로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2 및 도 23)
또한 CH2Cl2 가용성 분획 및 CH2Cl2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얻은 Fr. 3의 활성을 단일 화합물의 활성과 비교해 보았을 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단일 화합물로 가까워질수록 AMPK와 ACC의 인산화가 증가되는 양상이 목격됨에 따라 분획 및 fraction에서 나타났던 활성은 분리된 화합물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도 22 및 도 23).
실시예 7-2: HD -1 ( ursolic acid )의 활성 재검증
비교적 활성이 높고, 양이 많은 ursolic acid에 대하여 농도별 AMPK 활성화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근육세포인 L6 cell에서 ursolic acid의 농도 의존적 AMPK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즉 L6 근육세포에 ursolic acid를 1, 2, 5, 10, 20 μM의 농도로 2 시간 처리하였을 때, AMPKα subunit의 인산화 정도는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 되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AMPKα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도 24).
또한, 근육세포인 L6 cell에서 ursolic acid의 처리시간 의존적 AMPK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즉 L6 근육세포에 ursolic acid를 10 μM/mL의 농도로 시간별로 처리하였을 때, AMPKα subunit의 인산화 정도는 2분에서 20분까지는 처리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 되었으나 60분 및 120분에서는 오히려 활성 정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L6 근육세포에 처리된 ursolic acid의 안정성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된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AMPKα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도 25).
실시예 7-3: HD -1 ( ursolic acid )의 작용기작 분석
Ursolic acid가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1) 인산화된 AMPK에 대하여 탈인산화를 일으키는 AMPK phosphatase의 활성저해. 2) AMPK의 인산화를 수행하는 2 종류의 AMPK upstream kinase [LKB1 및 Calcium/Calmodulin protein kinase kinase (CaMKK)] 중 CaMKK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3) LKB1 upstream kinase의 세포질 분포를 증가시켜 세포질에 존재하는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아래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먼저 Ursolic acid가 AMPK의 인산화를 촉진하는 것이 AMPK 탈인산화효소인 AMPK phospha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HEK293 cell에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인위적으로 AMPK를 활성화시킨 cell lysate를 얻었다. 이 cell lysate를 인산화가 증가된 AMPK 및 AMPK phosphatase의 crude enzyme의 source로 사용하여 10 μM 및 40 μM의 농도로 10분 처리된 ursolic acid가 AMPK의 탈인산화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이 결과 ursolic acid는 40 μM의 농도에서 AMPK의 탈인산화를 약하게 억제하였으나, AMPK phosphatase의 저해제로 알려진 A-769662에 비해서는 그 작용효과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도 26).
다음으로Ursolic acid가 CaMKK의 활성의 증가를 일으켜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 종류의 AMPK upstream kinase 들 중 LKB1이 결여된 세포인 HeLa cell에 ursolic acid를 처리하여 AMPK의 활성 증가가 일어나는지 확인하였으나 LKB1과 CaMKK가 모두 존재하는 L6 세포에서와는 달리 HeLa cell에서는 ursolic acid에 의한 AMPK인산화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CaMKK의 활성 억제제인 STO-609를 ursolic acid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 오히려 DMSO만 처리한 경우보다 AMPK의 인산화가 더욱 감소되었다 (도 27). 이는 ursolic acid가 CaMKK보다는 LKB1을 통해 AMPK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또한AMPK는 세포질에 존재하지만, AMPK upstream kinase인 LKB1은 일반적으로 핵에 존재하므로 LKB1의 세포질 분포를 증가시키게 되면 AMPK의 인산화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ursolic acid가 이런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LKB1이 결여된 HeLa cell에 제조합 pEGFP:LKB1 plasmid DNA를 transfection하여 ursolic acid가 핵내에 존재하는 LKB1의 세포질로 이동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여 보았다. 이 결과 ursolic acid가 처리된 세포에서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LKB1은 주로 핵에 머무르고 있음을 확인하여, ursolic acid에 의한 AMPK 인산화 증가는 LKB1의 세포질 이동증가에 의한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도 28).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20 mg (또는 지표물질 1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 mg (또는 지표물질 5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 mg (또는 지표물질 5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 mg (또는 지표물질 5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20 mg (또는 지표물질 1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식품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mg (또는 지표물질 25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음료의 제조
백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mg (또는 지표물질 25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하기 화학식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at00004

    [화학식2]
    Figure pat00005

    [화학식 3]
    Figure pat00006

  4. 하기 화학식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화학식1 ]
    Figure pat00007

    [화학식2]
    Figure pat00008

    [화학식 3]
    Figure pat00009
  5. (a) 백운풀을 물, 탄소수 1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의 추출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백운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의 디클로로메탄 분획층을 제외한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백운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알코올은 90 내지 95%의 에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10082725A 2011-08-19 2011-08-19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0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25A KR20130020226A (ko) 2011-08-19 2011-08-19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25A KR20130020226A (ko) 2011-08-19 2011-08-19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26A true KR20130020226A (ko) 2013-02-27

Family

ID=4789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725A KR20130020226A (ko) 2011-08-19 2011-08-19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2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308874B2 (e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reatment with tanshinone derivatives which increase metabolic activity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8125A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2279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0806A (ko)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47377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62463B1 (ko) 수련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3583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30020226A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40119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27437B1 (ko)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5130045A1 (ko) 개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11072B1 (ko) Fyn 키나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48601A (ko) 세드렐라 휘실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08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32126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하이드록시데리신 또는 크산토안젤롤을 함유하는 악액질 또는 노인성근육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7028B1 (ko) 호모이소플라바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85597B1 (ko)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24582A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1115A (ko) 메이신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6169187A (ja) 脂質蓄積抑制効果を有する新規羅漢果抽出物組成物
KR20150035458A (ko) 디벤조일메탄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188775B1 (ko) 장생도라지 유래의 조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2944A (ko)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분해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