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97B1 -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97B1
KR101885597B1 KR1020170127069A KR20170127069A KR101885597B1 KR 101885597 B1 KR101885597 B1 KR 101885597B1 KR 1020170127069 A KR1020170127069 A KR 1020170127069A KR 20170127069 A KR20170127069 A KR 20170127069A KR 101885597 B1 KR101885597 B1 KR 10188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resent
obesity
compound represent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600A (ko
Inventor
김태완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군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췌장 리파아제 저해 효과가 우수하며,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novel compound isolated from Ainsliaea acerifoli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쌓인 경우를 말하며, 국민건강 통계에 따르면,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11년 31.4%로, 증가 추이를 보인다. 특히 비만은 다양한 성인병의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만환자는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간경변증 질환의 경우 2배, 뇌혈관질환의 경우 1.6배 및 관상동맥 질환의 경우 1.8배 정도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비만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 중 약물요법으로 사용되는 비만치료제는 식욕의 조절, 지방의 소화·흡수 방해, 에너지 소비의 증가 또는 지질대사의 조절 등을 타겟으로 개발되었으나, 다양한 부작용이 존재한다.
제니칼(로슈)은 췌장 및 소화계에서 분리되는 리파아제 억제를 유도하여 지방흡수를 억제하지만, 2~3%의 낮은 체중감량 효과를 보이며, 잦은 설사, 지방변 등의 부작용을 동반한다.
또한, 리덕틸(애보트)은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 억제를 통해 식욕을 억제시킴으로써, 5~10%의 체중감량효과가 있으나 뇌졸증과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의 부작용이 있어, 2010년 유럽 의약품 안전청(EMA)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이 처방과 사용중지 및 자발적 회수 권고조치를 내려 시장에서 퇴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2010년 10월경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의해 판매가 중단되었다.
이외에도 항비만 약제로 개발된 제품 중에서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판매가 금지된 것들이 상당수에 이른다. 예로 아미노필린은 탁월한 체지방 분해효과에도 불구하고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소화기계에 걸쳐 폭넓은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고, 펜프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토피라메이 또는 에피드린 등도 비만치료에 부적합한 약물로 판정되어 판매가 금지되었다. 이와 같이 합성의약품의 부작용과 만성질환의 극복에 서양의학이 한계를 보임에 따라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물 식·의약품에 대한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긴 갈색 털이 드문드문 있다. 식용으로는 어린 순을 먹으며, 류마티스 관절염과 식중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여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405429호는 단풍취를 포함하는 야생초 화장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6-0027401호는 마가목 또는 단풍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풍취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이 췌장 리파아제 활성 저해 효과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쿠마로일기(coumaroyl)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카페오일기(caffeoyl)를 나타내고;
R3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췌장 리파아제 저해 효과가 우수하며,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의 지방세포 분화 저해효과 및 지방 축적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p value가 0.01 미만이면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풍취는 전체 지상부 및 지하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풍취의 지상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풍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통상의 추출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단풍취 추출물은 단풍취 전체 또는 일부(잎, 뿌리 또는 열매)를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용매 분획,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prep-HPLC 등을 이용하여 활성 물질이 농축된 특정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풍취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쿠마로일기(coumaroyl)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카페오일기(caffeoyl)를 나타내고;
R3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화합물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독성이 없거나 적은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된 염들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상대적으로 산성일 경우 염기(base)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염기와 적당한 비활성(inert)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들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마그네슘 또는 유기 아미노로 이루어진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상대적으로 염기성일 경우 산(acid)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산과 적당한 비활성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들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프로피온산, 이소부틸산, 옥살산, 사과산, 말론산, 안식향산, 호박산, 수버릭(suberic), 푸마르산, 만데릭산, 프탈릭산, 벤젠설폰산, p-토릴설폰산, 구연산, 주석산, 메탄설폰산, 염산, 브롬산, 질산, 탄산, 일수소탄산(monohydrogencarbonic), 인산, 일수소인산, 이수소인산, 황산, 일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 또는 아인산(phosphorous acid)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지네이트(arginate) 같은 아미노산의 염 및 글루쿠로닉(glucuronic) 또는 갈락투노릭(galactunoric) 산들과 같은 유기산의 유사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화합물에 따라 수화물 형태를 포함하여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화합물에 따라 광학 중심인 비대칭 탄소원자 또는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어 라세미체, 에난치오머, 디아스테레오머, 기하 이성질체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풍취는 전체 지상부 및 지하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풍취의 지상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풍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통상의 추출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단풍취 추출물은 단풍취 전체 또는 일부(잎, 뿌리 또는 열매)를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용매 분획,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prep-HPLC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활성물질이 농축된 특정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풍취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쿠마로일기(coumaroyl)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카페오일기(caffeoyl)를 나타내고;
R3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음료, 환, 정제(tablet), 캡슐제(capsule) 및 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의 성분에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일례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킨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단일 화합물의 분리
1-1.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유기 용매 분획물의 제조
신선한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5.0 kg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 실온에서 70% 에탄올로 3회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70% 에탄올 추출물 (203.3g)을 얻었다. 70% 에탄올 추출물을 4L의 10% 메탄올에 현탁시켜 n-헥산을 4L씩 2회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을 얻었다. 이어서 물 분획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4L씩 2회 용매분획하였고, 나머지를 물 분획물로 하였다. 이에 따란 n-헥산 분획물 73.8g,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6.0g, 부탄올 분획물 28.0g 및 물 분획물 186.0g을 얻었다.
1-2. 유기 용매 분획물로부터 활성 성분의 분리
상기 1-1에서 제조된 단풍취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상기 단풍취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HW-40 역상컬럼 크로마토그래피(Toyopearl HW-40 column, coarse grade, 2.8 cm×51 cm)를 이용하여 전개용매 H2O, 20%, 40%, 60% 및 100% 메탄올(v/v)로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 총 5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획을 농축 건조하였다.
상기 5개의 분획 중 3번째 분획을 40% 메탄올(v/v) 용리액에 대해서 20% 메탄올(v/v) 용매로 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YMC GEL ODS AQ 120-50S column, 1.1 cm×40 cm, YMC Co., Kyoto, Japan) 를 수행한 후 HPLC(20% 아세토니트릴, YMC-Pack ODS A-302 column, 4.6 mm×150 mm, YMC Co., Kyoto, Japan) 로 정제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각각 분리하였다.
1-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조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α]D 값, UV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HR-FAB-MS 스펙트럼, 1H-NMR 및 13C-NMR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기재한 바와 같으며, 이에 따라 동정하여 화합물 1은 과이어놀리드계 세스퀴테르펜(guaianolide-type sesquiterpene)인 아인슬리아사이드(Ainsliaside) C로 동정하였다.
[α]D: +23.0° (c. 0.1, MeOH);
UV max(MeOH) nm : 207.0, 246.0, 301.0;
IR (nujol) cm-1 : 3400, 1746, 1705, 1512, 1435, 1255, 1151;
HR-FAB-MS: 577.2093 [M+Na]+ (C30H34O10Na);
NMR (DMSO-d6): 하기 표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NMR 자료 (1H NMR: 600M㎐, 13C NMR: 150M㎐)
δH (J in Hz) δC, mult.
1 2.99(dd, 16.8, 8.4) 46.2
2.33 (m) 38.6
1.96 (m)
3 4.63 (m) 81.3
4 - 150.8
5 2.78 (dd, 9.6, 9.6) 51.8
6 4.26 (dd, 9.6, 9.3) 85.2
7 2.89 (m) 46.4
2.26 (m) 31.6
1.45 (m)
2.18 (m) 34.4
2.50 (m)
10 - 150.0
11 - 142.1
12 - 172.3
13a 6.09 (d, 3.0) 120.4
13b 5.56 (d, 3.0)
14a 5.01 (s) 114.7
14b 4.91 (s)
15a 5.43 (br s) 113.6
15b 5.35 (br s)
1' 4.45 (d, 7.2) 103.1
2' 3.87 (m) 78.2
3' 3.37 (t, 8.4) 75.3
4' 3.28 (m) 71.8
5' 3.26 (m) 77.9
6'a 3.86 (dd,12.0, 2.4) 62.8
6'b 3.68 (dd,12.0, 5.4)
1" - 130.9
2" 7.56 (d, 7.8) 129.0
3" 7.37 (d, 7.8) 130.0
4" - 150.1
5" 7.37 (d, 7.8) 130.0
6" 7.56 (d, 7.8) 129.0
7" 7.58 (d, 15.6) 144.6
8" 6.48 (d, 15.6) 121.7
9" - 172.3
1-4.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조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α]D 값, UV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HR-FAB-MS 스펙트럼, 1H-NMR 및 13C-NMR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기재한 바와 같으며, 이에 따라 동정하여 화합물 2는 methyl 3,5-di-O-caffeoyl-epi-quinate로 동정하였다.
[α]D: -120.0° (c. 0.2, MeOH);
UV max(MeOH) nm : 296, 330;
IR (nujol) cm-1 : 3410, 1685, 1605, 1520, 1160, 976, 810;
HR-FAB-MS: 531.1506 [M+H]+ (C26H27O12);
1 H NMR (CD3OD, 600 MHz): δ 7.61, 7.54 (each 1H, d, J = 15.6 Hz, H-7', H-7"), 7.07 (1H, d, J = 2.0 Hz, H-2'), 7.06 (1H, d, J = 2.0 Hz, H-2"), 6.97 (1H, dd, J = 8.4, 2.0 Hz, H-6'), 6.96 (1H, dd, J = 8.4, 2.0 Hz, H-6"), 6.78 (1H, d, J = 8.4 Hz, H-5'), 6.77 (1H, d, J = 8.4 Hz, H-5"), 6.34, 6.21 (each 1H, d, J = 15.6 Hz, H-8',H-8"), 5.43 (1H, m, H-3), 5.39 (1H, m, H-5), 3.96 (1H, dd, J = 9.0, 3.0 Hz, H-4), 3.69 (3H, s, OCH3-7), 2.31 (1H, dd, J = 14.4, 3.6 Hz, H-6ax), 2.23 (1H, dd, J = 13.6, 3.0 Hz, H-2eq), 2.11 (1H, dd, J = 13.6, 9.0 Hz, H-2ax), 2.06 (1H, m, H-6eq);
13C NMR (CD3OD, 150 MHz): δ 180.1 (C-7), 168.0 (C-9',C-9"), 148.1 (C-4"), 147.9 (C-4'), 145.5 (C-3"), 145.4 (C-3'), 145.3 (C-7', C-7"), 126.7 (C-1"), 126.5 (C- 1'), 121.5 (C-6', C-6"), 111.5 (C-5', C-5"), 114.7 (C-8"), 114.2 (C-8'), 113.8 (C-2' , C-2"), 74.9 (C-1), 73.1 (C-5), 71.8 (C-4), 71.1 (C-3), 52.9 (C-7 MeO), 39.5 (C-2), 36.3 (C-6).
실시예 2. 췌장 리파아제 저해 효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 측정 실험은 돼지 췌장 리파아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완충용액[10mM MOPS (morpholinepropanesulphonic acid) 및 1 mM EDTA, pH 6.8]에 혼합된 6㎕(10 units)의 돼지 췌장 리파아제(porcine pancreatic lipase, Sigma, St. Louis, MO, USA)와 169㎕의 Tris 완충용액(100mM TrisHC1 and 5 mM CaCl2, pH 7.0)를 혼합하여 준비한다. 여기에 다양한 농도로 준비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양성 대조약물로 Orlistat (Roche, Basel, Switzerland)을 사용하여 20㎕를 혼합하여 37℃에서 15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이후 5㎕의 기질 용액[10mM p-NPB(p-nitrophenylbutyrate) in dimethylformamide]를 첨가한 다음 15분간 더 인큐베이션한다. 췌장 리파아제 활성은 p-NPB가 췌장 리파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어 나오는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을 ELISA기기(BIO-TEK, Synergy HT, USA)를 이용하여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췌장 리파아제 활성 억제 정도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의하여 억제된 흡광도의 비율을 퍼센트 값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고,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IC50)를 계산하였다.
췌장 리파아제의 저해활성 측정결과
시료 IC50 (μM)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6.5±1.5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127.1±1.5
orlistat 0.6±0.2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모두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항비만 효과 및 체지방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3 T3 - 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한 항비만 효과
3-1.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준비
3T3-L1 지방전구세포는 미국세포주은행(ATCC)으로부터 구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T3-L1은 지방세포의 대사과정을 연구하는 데에 널리 이용되는 세포주로서, 상기 세포의 분화가 활발할수록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이 활발하여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항비만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되는 물질을 상기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분화가 적을수록 항비만 효과가 큰 물질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2.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을 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포함한 DMEM 배지를 넣고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4개의 세포 수로 분주한 후, 웰이 전구지방세포로 100% 채워지는 시점이 된 이후에,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전구지방세포는 MDI(0.5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1μM 덱사메타손, 1μM 인슐린)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시간 후, 2 μM 인슐린이 함유된 10%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5μM, 50μM, 100μM 농도로 각 배양에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3-3. 오일 레드 O (Oil red O) 염색 및 분석
지방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일 레드 O 염색을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유도한 지방세포의 분화 정도를 오일 레드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염색 정도는 500nm 흡광도에서 세포의 분화된 지방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결과적으로 지방의 양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항비만 효과 및 체지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카페오일기(caffeoyl)를 나타내고;
    R3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7095831323-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카페오일기(caffeoyl)를 나타내고;
    R3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KR1020170127069A 2017-09-29 2017-09-29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8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69A KR101885597B1 (ko) 2017-09-29 2017-09-29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69A KR101885597B1 (ko) 2017-09-29 2017-09-29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136A Division KR101900244B1 (ko) 2016-08-03 2016-08-03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600A KR20180015600A (ko) 2018-02-13
KR101885597B1 true KR101885597B1 (ko) 2018-08-06

Family

ID=6123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69A KR101885597B1 (ko) 2017-09-29 2017-09-29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97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09. Vol. 32, No.10, pp.1361-1367.*
Food Chemistry. 2011. Vol.125, pp.55-62.*
Journal of Applied Pharmaceutical Sciences. 2013. Vol.3, No.8, pp.16-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600A (ko)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244B1 (ko)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47222B1 (ko)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32797B1 (ko)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3-5를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9448A (ko) 생물전환을 통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용 곤드레 발효물 제조방법
KR20210098225A (ko) 감귤 발효 콤부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심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2349A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6601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물질이 포함된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2260B1 (ko) 마늘 추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2808B1 (ko) 플라즈마 처리된 플로리진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85597B1 (ko) 단풍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129707A (ko)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77537B1 (ko) 효소처리 및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77572B1 (ko) 양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1681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 함량이 증강된 후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06126B1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9093B1 (ko) 마테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2126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하이드록시데리신 또는 크산토안젤롤을 함유하는 악액질 또는 노인성근육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1035A (ko) 컬러감자 외피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966983B1 (ko) 솔잎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101965699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