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132A -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132A
KR20130019132A KR1020110081102A KR20110081102A KR20130019132A KR 20130019132 A KR20130019132 A KR 20130019132A KR 1020110081102 A KR1020110081102 A KR 1020110081102A KR 20110081102 A KR20110081102 A KR 20110081102A KR 20130019132 A KR20130019132 A KR 2013001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ut
core pin
guide block
mov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823B1 (ko
Inventor
권봉근
Original Assignee
권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봉근 filed Critical 권봉근
Priority to KR102011008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8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29C45/262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provided with unscrewing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81Moulds with rotat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8Using spring tension to drive movable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언더컷 처리 장치는 사출을 통한 제품 성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부를 처리하며, 제1 취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언더컷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제1 취출 방향과 다른 제2 취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언더컷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undercut of injection molding product}
본 발명은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더컷이란 사출금형의 형 닫힘이나 형 열림 방향의 이동만으로는 사출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곤란한 오목한 부분, 구멍, 경사부 등을 의미한다.
언더컷은 금형의 형 이동만으로 제대로 취출되기가 어렵다.
종래에 언더컷 처리 장치가 알려진 바 있으나 작동을 위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이 장치와의 간섭으로 인해 손상될 우려가 있었고, 장치가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 특히 복수의 작동코어끼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복수의 작동코어 각각의 폭 방향으로의 작동거리가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성형될 제품이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을 가지는 경우 언더컷을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없었으며 특히 언더컷 성형 시간이 길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을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언더컷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처리 장치는 사출을 통한 제품 성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부를 처리하며, 제1 취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언더컷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제1 취출 방향과 다른 제2 취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언더컷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언더컷 처리부와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순차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형 개방 전에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언더컷 처리부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작동 블록,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에 체결되는 가이드 블록 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이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따라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박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 체결되어 함께 이동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에 체결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작동 블록의 접촉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면을 덮는 덮개 블록,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며 상기 작동 블록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록킹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은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나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은 상기 피동 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나사 운동하면서 상기 제2 취출 방향을 따라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피동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은, 중공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피동 기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피동 기어에 체결되는 아웃터 샤프트(outer shaft), 그리고 상기 아웃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되며 상기 아웃터 샤프트에 대해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너 샤프트(inner shaf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상기 인너 샤프트가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인너 샤프트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부를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처리 장치의 제2 언더컷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처리 장치는 사출금형을 통한 제품 성형에 사용되는 장치이며, 사출금형을 통해 성형되는 제품이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부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처리 장치는 제1 언더컷 처리부(100), 그리고 제2 언더컷 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제1 언더컷 처리부(100)와 제2 언더컷 처리부(200)는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언더컷부를 각각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1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품(1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취출 방향(D1, D2)을 가진다. 제1 언더컷 처리부(100)는 D1의 취출 방향을 가지는 언더컷부를 성형하며, 제2 언더컷 처리부(200)는 D2의 취출 방향을 가지는 언더컷부를 성형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언더컷 처리부(100)는 제1 취출 방향(D1)으로 작용하는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을 포함하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취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은 대략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품(10)의 제1 언더컷부(11)에 해당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구멍을 가지는 제1 언더컷부(11)의 위치에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이 이루어진 후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취출됨으로써 제1 언더컷부(11)가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언더컷 처리부(200)는 제2 취출 방향(D2)으로 작용하는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을 포함하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이 제2 취출 방향(D2)으로 이동하면서 취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언더컷 처리부(100)와 제2 언더컷 처리부(20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 언더컷 처리부(200)는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 개방 전에 제2 회전 코어 핀(240)이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금형 개방 전에 제2 회전 코어 핀(240)이 미리 작동하게 됨으로써 사출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언더컷 처리부(100) 및 제2 언더컷 처리부(200)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언더컷 처리부(100)는 제1 액추에이터(103)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103)는 유압 실린더, 박형 실린더 등 임의의 액추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103)는 도 1 내지 도 4에서 X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작동 블럭(105)은 제1 액추에이터(103)에 의해 직선 이동된다. 예를 들어, 작동 블럭(105)은 연결 부재(107)에 의해 제1 액추에이터(103)에 연결됨으로써 제1 액추에이터(103)의 작동에 의해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블럭(105)은 도면에서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에서 멀어지도록 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 유닛(110)은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동에 의해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을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에 체결된다. 즉, 가이드 블록 유닛(110)의 이동에 의해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이동되어 취출된다. 가이드 블록 유닛(1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Z축 방향으로 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된다. 사출 성형이 이루어진 이후에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취출됨으로써 해당 언더컷부가 구비된 사출 성형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가이드 블록 유닛(110)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도 1에서 탄성 부재(120)는 가이드 블록 유닛(11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 유닛(110)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 부재(121)가 구비되고, 탄성 부재(120)는 연결 부재(121)에 Z축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 부재(120)는 지지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연결 부재(121)의 끝단을 Z축 방향으로 밀어 올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작동 블록(105)과 가이드 블록 유닛(110)은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블록 유닛(11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동 블록(105)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블록 유닛(110)이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을 제1 취출 방향(D1)을 따라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블록 유닛(110)은 슬라이드 박스(111)와 가이드 블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박스(111)는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위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121)가 슬라이드 박스(111)에 고정됨으로써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이 연결 부재(121)를 통해서 슬라이드 박스(111)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박스(111)는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Z축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블록(113)은 슬라이드 박스(111)에 체결되어 함께 이동하며, 가이드 블록(113)은 그 이동에 의해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을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블록(113)에는 Z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4)을 구비하는 걸림턱(115)이 구비되고,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의 끝단에는 가이드 블록(113)의 걸림턱(115)에 걸리는 헤드(head)(10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블록(113)이 Z축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의 헤드(102)가 걸림턱(115)의 경사면(114)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제1 취출 방향(D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품(10)에서 이탈되게 된다.
한편, 가이드 블록(113)과 작동 블록(105)의 접촉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면에는 가이드 블록(113)과 작동 블록의 접촉하는 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블록(113)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6)을 포함하고, 작동 블록(105)의 하면 역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06)을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113)과 작동 블록(105)이 서로 접촉하는 경사면(116, 106)을 구비함으로써, 작동 블록(105)의 X축 방향의 이동이 있는 경우 가이드 블록(113)을 포함하는 가이드 블록 유닛(110)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작동 블록(105)이 도 4에서 X축 방향(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작동 블록(105)과 가이드 블록(113)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그 벌어진 간격을 메우도록 가이드 블록 유닛(110)이 Z축 방향(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품(10)에서 분리된다.
가이드 블록 유닛(110)은 가이드 레일(131), 덮개 블록(133), 그리고 록킹(locking) 블록(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31)은 슬라이드 박스(111)에 체결되며, 덮개 블록(133)은 가이드 레일(131)의 상면을 덮는다. 이때, 덮개 블록(133)의 상면은 작동 블록(105)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면 접촉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록킹 블록(135)은 가이드 레일(131)에 체결되며 작동 블록(105)에 의해 이동되어 제2 언더컷 처리부(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록킹 블록(135)은 작동 블록(105)이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언더컷 처리부(200)가 작동할 수 없도록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작동 블록(105)이 이동하여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이동하여 취출된 후에는 제2 언더컷 처리부(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록킹 블록(135)은 작동 블록(105)과 함께 이동하도록 작동 블록(105)에 연결되며, 작동 블록(105)의 이동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제2 언더컷 처리부(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록킹 블록(135)은 제2 언더컷 처리부(200)의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이 제2 취출 방향(D2)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도 4의 상태)할 수 있고, 도 4에서 우측 및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 블록(135)은 작동 블록(105)과 대략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 바(237)에 고정되며, 연결 바(137)는 연결 부재(139)에 의해 작동 블록(105)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록킹 블록(135)은 연결 바(237) 및 연결 부재(139)에 의해 작동 블록(105)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도 4에서 X축 우측 방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언더컷 처리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언더컷 처리부(200)는 제품(10)의 제2 언더컷부(12)에 언더컷이 형성되도록 작동한다.
제2 언더컷 처리부(200)의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은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나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은 나사 구조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취출됨으로써 구멍 형태의 함몰부의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은 그 선단부에 나사 코어(203)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나사 코어(20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언더컷 처리부(200)는 제2 액추에이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210)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 동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압 모터일 수 있다.
구동 기어(220)는 제2 액추에이터(21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220)는 제2 액추에이터(21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피동 기어(230)는 구동 기어(220)에 치합되어 회전된다. 즉, 피동 기어(230)는 구동 기어(220)에 치합되어 구동 기어(22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220)와 피동 기어(230)는 서로 회전축이 수직인 상태로 배열되어 치합될 수 있으며, 이때 구동 기어(220)의 회전축은 도 4에서 Z축 방향에 평행하며 피동 기어(230)의 회전축은 도 4에서 X축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은 피동 기어(230)에 의해 회전되어 나사 운동하면서 제2 취출 방향(D2)을 따라 취출될 수 있도록 피동 기어(230)에 연결된다.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은 아웃터 샤프트(outer shaft)(241)와 인너 샤프트(inner shaft)(24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터 샤프트(241)은 중공 형태를 가지며 피동 기어(2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피동 기어(230)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기어(230)는 도 5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며 아웃터 샤프트(241)가 피동 기어(230)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이때 아웃터 샤프트(241)가 피동 기어(2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아웃터 샤프트(241)의 외주면과 피동 기어(230)의 내주면이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아웃터 샤프트(24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아웃터 샤프트(241)의 외주면 양단에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ed roller bearing)(253, 254)이 설치될 수 있다.
인너 샤프트(243)는 아웃터 샤프트(241)에 삽입되어 아웃터 샤프트(24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되며 아웃터 샤프트(243)에 대해 제2 취출 방향(D2)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인너 샤프트(243)는 중공 형태의 아웃터 샤프트(241)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이때 인너 샤프트(243)가 아웃터 샤프트(241)와 함께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2 취출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웃터 샤프트(241)의 내주면과 인너 샤프트(243)의 내주면이 스플라인 결합된다.
위에서 언급한 나사 코어(20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샤프트(243)의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인너 샤프트(243)가 회전에 의해 나사 코어(203)도 함께 회전하며 그 결과 나사 코어(203))의 나사산의 작용에 의해 나사 코어(203)와 인너 샤프트(243)가 나사 운동을 하면서 제2 취출 방향(D2)으로 빠져 나간다.
이때 인너 샤프트(243)의 다른 한 쪽 끝단은 부쉬(232)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부쉬(2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기어(230)의 일측에 배치된 테이퍼 롤러 베어링(253)의 한 쪽을 지지한다. 부쉬(232)는 아웃터 샤프트(241)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인너 샤프트(243) 및 그에 결합된 나사 코어(203)가 회전하면서 제2 취출 방향(D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10)의 제2 언더컷부(12)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언더컷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너 샤프트(24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45)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5)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245)는 인너 샤프트(243)가 제2 취출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만드는 힘을 인너 샤프트(243)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너 샤프트(2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쉬(259)가 설치되며, 부쉬(259)는 인너 샤프트(243)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쉬(259)에는 반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턱이 구비되고 이 턱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와셔(2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와셔(255)의 한쪽은 인너 샤프트(243)에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245)가 부쉬(259)의 턱과 와셔(255)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45)는 인너 샤프트(243)가 제2 취출 방향(D2)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을 인너 샤프트(243)에 제공한다.
한편,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품(10)의 제2 취출부(12) 근처를 공기를 통해 냉각할 수 있는 냉각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 유닛은 냉각 공기를 제2 취출부(12) 근처로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 언더컷 처리부(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1 액추에이터(103)의 작동에 의해 작동 블록(105)이 X측 방향(도면에서 우측을 향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 블록(105)과 가이드 블록 유닛(110)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데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이 간격이 없어지도록 가이드 블록 유닛(110)이 Z축 방향(도면에서 위를 향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101)이 제1 취출 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취출된다. 이때 록킹 블록(135)이 위 방향(Z축 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언더컷 처리부(20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된다.
그리고 나서 제2 액추에이터(210)의 작동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240)의 인너 샤프트(243) 및 이에 결합된 나사 코어(203)가 나사 운동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제2 취출 방향(D2)으로 이동하면서 취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제품
D1: 제1 취출 방향
D2: 제2 취출 방향
100: 제1 언더컷 처리부
101: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
103: 제1 액추에이터
105: 작동 블록
110: 가이드 블록 유닛
111: 슬라이드 박스
113: 가이드 블록
120: 탄성 부재
131: 가이드 레일
133: 덮개 블록
135: 록킹 블록
200: 제2 언더컷 처리부
210: 제2 액추에이터
220: 구동 기어
230: 피동 기어
240: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
241: 아웃터 샤프트
243: 인너 샤프트
245: 탄성 부재

Claims (10)

  1. 사출을 통한 제품 성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취출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언더컷부를 처리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로서,
    제1 취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언더컷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제1 취출 방향과 다른 제2 취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언더컷 처리부를 포함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언더컷 처리부와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순차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형 개방 전에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이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언더컷 처리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언더컷 처리부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작동 블록,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에 체결되는 가이드 블록 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이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따라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언더컷 처리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박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 체결되어 함께 이동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을 상기 제1 취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언더컷 성형 코어 핀에 체결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작동 블록의 접촉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언더컷 처리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면을 덮는 덮개 블록,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며 상기 작동 블록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록킹 블록을 더 포함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은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나사 구조를 가지는 언더컷 처리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은 상기 피동 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나사 운동하면서 상기 제2 취출 방향을 따라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피동 기어에 연결되는 언더컷 처리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2 언더컷 성형 코어 핀은
    중공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피동 기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피동 기어에 체결되는 아웃터 샤프트(outer shaft), 그리고
    상기 아웃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되며 상기 아웃터 샤프트에 대해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너 샤프트(inner shaft)를 포함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2 언더컷 처리부는 상기 인너 샤프트가 상기 제2 취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인너 샤프트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언더컷 처리 장치.
KR1020110081102A 2011-08-16 2011-08-16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KR10127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102A KR101272823B1 (ko) 2011-08-16 2011-08-16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102A KR101272823B1 (ko) 2011-08-16 2011-08-16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32A true KR20130019132A (ko) 2013-02-26
KR101272823B1 KR101272823B1 (ko) 2013-06-10

Family

ID=4789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102A KR101272823B1 (ko) 2011-08-16 2011-08-16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85B1 (ko) * 2013-09-16 2015-01-15 에이테크솔루션(주) 사출성형금형에서 언더컷 처리를 위한 캠슬라이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579A (ko) * 2016-10-18 2018-04-26 이형채 사출성형 금형
CN109049552B (zh) * 2016-11-02 2020-08-14 厦门市超日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连续跳步式注塑模具开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29U (ko) * 1998-09-08 2000-04-06 김영환 이중 언더컷 처리장치
KR20100006308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엘엠에스엔지니어링 나사 언더컷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사출금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85B1 (ko) * 2013-09-16 2015-01-15 에이테크솔루션(주) 사출성형금형에서 언더컷 처리를 위한 캠슬라이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823B1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9127B2 (ja) 成形ネジの脱型装置
KR101796312B1 (ko) 핫 채널 시스템
EP2269796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bimaterial molding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72823B1 (ko) 사출금형 제품의 언더컷 처리 장치
JP2008012873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CN101835394A (zh) 用于阀杆致动的凸轮设备
JP5105612B2 (ja) エジェクタ装置およびエジェクタ装置の接続方法
JP5394335B2 (ja) 射出成形機の中間型盤
ITTO20131073A1 (it) Apparecchiatura di stampaggio ad iniezione di materie plastiche
WO2016181643A1 (ja) 型開閉装置
CN111629879A (zh) 注射成型设备
KR102025244B1 (ko) 성형품 취출기
JP2010240676A (ja) 成形機のエジェクト装置
KR20120096321A (ko) 사출금형장치
JP5885647B2 (ja) 樹脂成形品取出し機
KR20180071149A (ko) 금형 이동 스트로크 제어 매커니즘 및 그 금형 이동 스트로크 제어 매커니즘을 가진 금형
US6872350B2 (en) Rack and pinion ejector guiding system for a molding machine
JP3158923U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EP3628465A1 (en)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CN113165241B (zh) 用于注塑机的合模单元和用于锁定传力元件的方法
KR101172588B1 (ko) 비접촉 회전이 가능한 인덱스 회전부재를 가지는 사출성형기
KR20200101002A (ko) 내측 언더컷 처리를 위한 회전작동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0707672B1 (ko) 형체기구의 성형품 분리장치
JP7195716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2005028634A (ja) 縦型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