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118A -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 Google Patents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118A
KR20130019118A KR1020110081081A KR20110081081A KR20130019118A KR 20130019118 A KR20130019118 A KR 20130019118A KR 1020110081081 A KR1020110081081 A KR 1020110081081A KR 20110081081 A KR20110081081 A KR 20110081081A KR 20130019118 A KR20130019118 A KR 2013001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resin layer
wire
wire saw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11008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9118A/ko
Publication of KR2013001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8Sawing tools of special type, e.g. wire saw strands, saw blades or saw wire equipped with diamonds or other abrasive particles in selected individual positions
    • B23D61/185Saw wires; Saw cables; Twisted saw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석재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비드와 비드사이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수지층을 코팅시킴으로써, 절삭과정에서 전방에 위치한 비드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에 위치한 비드의 전면에는 절삭시 발생하는 절분을 모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어쏘는 다이아몬드팁이 생크의 외주연에 구비된 비드를 와이어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러한 와이어를 사출금형을 통해 비드와 와이어를 보호하고, 절삭 작업시 비드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진층을 원통형으로 충진시켜 와이어쏘를 구성하였으나, 고속으로 석재 등을 절삭하게 되면 강한 강도의 저항에 의해 비드가 와이어에서 떨어져 뒤로 밀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와이어쏘를 구성하는 수지층이 전광후협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전방에 위치한 비드 후면의 수지층은 크고 두껍게 형성시켜 지지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비드 전면의 수지층은 작고 얇게 구성시켜, 절분을 모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wire saw coated with a resin layer having the slop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석재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비드와 비드사이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는 수지층을 코팅시킴으로써, 절삭과정에서 전방에 위치한 비드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에 위치한 비드의 전면에는 절삭시 발생하는 절분을 모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작업 또는 채석장에서 채석되는 석재 등의 절삭 및 고른 절삭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서 와이어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쏘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다이아몬드팁(102)이 생크(103)의 외주연에 구비된 비드(101)를 와이어(100)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러한 와이어(100)를 사출금형을 통해 비드(101)와 와이어(100)를 보호하고, 절삭 작업시 비드(101)가 와이어(100)에서 떨어져 돌거나 또는, 밀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은 충진층(104)을 원통형으로 다이아몬드팁(102)이 노출되도록 충진시켜 와이어쏘를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와이어쏘를 절삭대상물에 걸어 회전장치의 고속 회전으로 절삭대상물을 절삭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와이어쏘는 비드의 보호 및 고정을 위해서 충진층을 코팅하더라도 고속으로 석재 등을 절삭하게 되면 강한 강도의 저항에 의해 비드가 와이어에서 떨어져 뒤로 밀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각 제조사는 고무와 우레탄과 같은 충진층의 물성과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노력으로 완성된 와이어쏘는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와이어쏘를 운용하는 비용도 함께 증가시키는 다른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상기 와이어쏘를 구성하는 충진층의 코팅 방식은 생크와 와이어의 외부를 동일한 두께로 코팅된다. 즉, 비드와 비드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후방이 대칭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생크와 와이어의 형상이 그대로 외부에 나타나게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층의 전,후방 대칭방식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비드가 설치된 길이가 비교적 긴 와이어를 코팅하기 위해서 전방에 위치한 비드 후면에서 후방에 위치한 비드의 생크를 감싸도록 충진시켜 완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충진을 반복하여 비드와 와이어를 충진하는 것으로 그 외부에 나타나는 형상은 전,후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후방이 대칭되는 형상은 와어어쏘의 작업 요구사항에 부적합한 것이다. 즉, 와이어쏘는 한 방향으로만 전진하며 작업을 하기 때문에 각각 비드는 전면과 후면이 구성되고, 상기 비드의 전면은 절삭대상물을 절삭하면서 발생하는 절분을 배출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후면은 비드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두껍게 지지층이 구비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상기 전,후방 대칭 방식은 비드 전면에 공간을 형성하면 비드의 후방 지지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동시에 후방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고, 반대로 후면의 지지층 두께를 높이면 전면에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절삭대상물과 비드가 절분에 의해 밀착되지 않고 들떠지는 현상의 발생으로 절단작업 시간과 작업비용이 늘어나는 폐단이 발생한다.
이는 와이어쏘의 작업방향이 톱질과 같이, 수시로 교차하는 방식이라면 옳다 하겠지만 한번 제조된 와이어쏘는 항상 한 방향으로만 진행을 하기 때문에 비드의 전,후면 각각에 충진되는 충진층의 요구기능이 각각 다름에도 불구하고, 전,후면 대칭방식에 동일한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비드 후면 지지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면서 지지능력의 저하로 인하여 비드가 뒤로 밀려 파손되는 큰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쏘를 구성하는 수지층이 전광후협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전방에 위치한 비드 후면의 수지층은 크고 두껍게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비드 전면의 수지층은 작고 얇게 구성시켜, 와이어쏘의 작업 요구기능에 적합한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절삭대상물을 절삭하는 비드 및 상기 비드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방비드의 후면에 전면이 고정되고, 후방에 위치한 후방비드의 전면에 후면이 고정 코팅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수지층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전방비드는 수지층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비드의 전방에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는 와이어의 외주연을 감싸 고정되는 생크와, 상기 생크의 외주연에 일정높이 돌출 형성한 돌출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비드와 후방비드사이에는 와이어를 감싸는 탄성체를 개재하고, 그 탄성체 외부를 수지층이 보호하도록 코팅시킴으로써, 전방비드와 후방비드가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적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비드는 상부에서 하부가 양측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만곡진 입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와이어 외주연에 전방비드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비드에서 후방으로 이격시켜 후방비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는 원통체 또는 다각체로 형성되고, 수지층도 비드와 동일한 원통체 또는 다각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에는 직선 또는 곡선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드의 후면에 수지층이 두껍게 코팅되어, 비드가 절삭대상물의 강도에 저항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로부터 비드가 떨어져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시켜 와이어쏘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드와 비드사이에 코팅되는 수지층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비드의 전면에 공간부를 확보하여 절삭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절분을 공간부에 수용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절분이 비드 전면의 공간부를 통해 원활히 배출됨으로써, 절삭대상물과 비드가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가해진 에너지의 손실 없이 절삭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 및 그에 따른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작업시 절삭대상물에 고이는 물로 인해 절삭대상물과 비드가 수막현상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비드 전면의 공간부가 고인 물을 쓸어내듯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수막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충진층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이유로 절단중 비드가 마모되면 절삭대상물에 충진층의 긴 면적이 접촉되어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수지층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이유로 비드의 마모시 기존의 충진층보다 비교적 작은 면적이 절삭대상물과 접촉되어 미끄럼 현상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와, 그에 따라 절삭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 비드 후면에 충전되는 얇은 충진층은 지지력이 약해 쉽게 틈새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틈새를 통해 물과 돌가루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어 비드와 와이어를 부식시켜 파손되지만, 본 발명의 수지층은 부식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비드 후면을 지지하도록 두껍게 형성되어 틈새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쏘는 전,후방대칭으로 형성되어 진행방향을 구분할 수 없어서 작업진행 방향을 외부에 화살표시를 하였으나 이러한 화살표시는 작업시 쉽게 마모되어 구분이 어려운데 반하여, 본 발명의 수지층은 전면은 크고 후면은 작은 경사부가 반복 형성되어 화살표시 없이도 진행방향을 쉽게 구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쏘는 사용 전에 미리 일정량의 꼬임을 주어 사용시 회전하면서 진행하도록 되는데, 종래와 같이 충진층이 일정한 두께로 높고 낮은 요철방식으로 코팅되어 탄성이 일정하지 않아 꼬임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수지층의 후방을 비교적 가늘게 형성시켜, 그 가는 후방부분을 중심으로 꼬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쏘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성된 와이어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체로 형성된 비드가 구성된 와이어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이 곡선으로 형성된 수지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슬롯이 형성된 수지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슬롯이 형성된 수지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로 형성된 다른 비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입체형 비드가 대칭으로 와이어쏘에 설치된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비드에 탄성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비드가 일방향으로 와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비드가 순방향으로 설치된 것이고, (b)는 (a)에 대칭인 역방향으로 설치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2와 같이, 크게 와이어(10)와, 와이어(10)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비드(20)와 상기 전방에 위치한 비드(20a)와 후방에 위치한 비드(20b)를 코팅 고정하는 경사부(31)를 갖는 수지층(30)을 포함하여 와이어쏘(1)를 완성한다.
상기 수지층(30)은 전면(30a)은 크고 후면(30b)은 작은 형상으로 코팅되는 것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부(31)와 그 경사부(31)의 외측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수지층(30)의 전면(30a)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비드(2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코팅되고, 후면(30b)은 비드(20)에서 전달되는 하중으로 틈새가 발생해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그것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라운드부(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지층(30)의 측단면에서 외측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직선경사부로 형성되거나, 곡선경사부(3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선경사부(31a)는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직선경사부의 수지보다 더 많은 양을 비드(20)에 코팅시킬 수 있으므로, 비드(20)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원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지층(30)의 외주연에는 첨부된 도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복수로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까지 직선으로 형성되는 직선슬롯(34) 또는 나선으로 형성되는 곡선슬롯(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곡선슬롯(34)(35)은 절삭작업시 발생하는 절분 및 절삭면에 고이는 물 또는 공기 등의 이물질의 이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32)로 절분 등을 모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지층(30)의 강성을 줄여, 와이어쏘(1)의 꼬임작업을 보다 편하고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또한, 나선으로 형성된 곡선슬롯(35)은 와이어쏘(1)의 회전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나선을 형성시켜 동일한 회전력을 갖는 절분이 나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공간부(32)로 이동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수지층(30)의 재질은 와이어(10)에 비드(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력도 갖고, 또한, 비드(20)의 후방으로 밀림을 지지하도록 하는 강성도 갖춘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역화살표시 형상으로 수지층을 비드(20)와 와이어(10)에 코팅함으로써, 와이어쏘(1)의 작업진행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진행방향에 수지층(30)을 역화살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고, 더욱이, 절삭대상물(50)을 절단하는 비드(50)가 진행방향인 전면과 상면만 노출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한눈에 쉽게 진행방향을 알 수 있어서 별도의 진행방향 표시가 불필요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절삭대상물(50)에 형성시키는 절삭공 또는 절삭홈에 걸어 사용하는 것으로, 회전장치의 고속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절삭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비드(20)는 상기 와이어(10)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배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비드(20)는 대략 원통형상과 입체형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상의 비드(2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와이어(10)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는 생크(21)가 설치되고, 상기 생크의(21) 외주연에는 절삭대상물(50)을 절단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다이아몬드 분말이 혼합형성된 돌출팁(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드(20)를 와이어(1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수지층(30)을 코팅하게 되는데, 수지층(30)의 코팅은 배열된 비드(20) 중에서 전방에 위치한 비드(20a)와 후방에 설치되는 비드(20b)를 발췌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지층(30)은 전광하협형상 즉, 전방비드(20a)의 후면을 수지층(30)의 전면(30a)이 비교적 넓게 코팅되고, 후방비드(20b)의 전면에는 비교적 작게 수지층(30)의 후면(30b)이 코팅되며, 이를 서로 연결하는 경사부(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지층(30)의 경사부(31)는 절삭작업시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전방비드(20a)는 절삭대상물(50)의 강성에 의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력이 요구되는데, 수지층(30)의 전면(30a)은 후면(30b)보다 비교적 넓고,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전방비드(20a)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지층(30)은 후면(30b)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부(31)에 의해 공간부(32)가 형성되는데, 이는 후방비드(20b)의 전면에 공간부(32)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절삭작업시, 전면비드(20a) 및 후방비드(20b)가 절삭대상물(50)과 접촉하면서 절단할 때, 발생하는 절분을 공간부(32)에 긁어 모와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층(30)이 점차 얇아지는 후면(30b)에 의해 절삭작업 전에 필요한 꼬임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와이어쏘(1)가 절삭작업시 필요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드(20)는 첨부된 도면도 도 3과 같이, 그 외부형상 즉, 생크(21)의 외주연 및 돌출팁(22)의 전면이 원통체 또는 다각체(20-1)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다각체(20-1)는 외주면에 복수의 면이 구성된 것으로, 절삭작업시 와이어쏘(1)가 회전하면서 절삭대상물(50)을 절단하는 것을 고려하여, 다각체(20-1)로 형성된 복수의 면이 회전하면서 절삭대상물(50)을 깎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절삭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각체(20-1)로 형성된 비드(20)와 동일하게 수지층(30)을 다각체(31-1)로 형성한다. 상기 수지층(30)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비드(20)와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함이고, 또한, 다각면을 갖는 비드(20)는 원형의 외경보다 내측으로 낮게 형성되어 원형의 수지층(30)이 절삭작업시 절삭대상물과 외면이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입체형상으로 형성된 비드(20)는 첨부된 도면 도 10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가 양측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즉, 비드(20)의 중심 양측인 X축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인 Y축이 Z축 후방으로 굽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와이어 외주연에 전방비드(20a)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비드(20a)에서 후방으로 이격시켜 후방비드(20b)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입체형상으로 형성된 비드(20)는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으로 와이어(10) 외주연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후방비드(20a)(20b)는 연속해서 와이어(10)에 반복 설치된다. 상기 전,후방비드(20a)(20b)의 대칭 설치는 전방비드(20a)의 상,하부 만곡이 후방으로 이루어졌다면, 후방비드(20b)의 상,하부 만곡이 전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절삭시 절삭대상물을 다른 방향으로 만곡된 전,후방비드(20a)(20b)에 의해 전방은 쓸어내는 효과와 후방은 긁어내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서, 입체적으로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가 대칭으로 설치되면, 만곡진 부분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데, 그 간격의 차이를 통해 잘삭대상물(50)을 입체적으로 보다 많은 양을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의 이격된 상면거리는 근거리(S)로 형성되고, 양측면거리는 원거리(L)로 형성하며, 하면거리는 근거리(S)로 형성시킴으로써, 마치 전,하방비드(20a)(20b)가 물결 형상으로 이뤄 절삭시 발생하는 슬립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3과 같이, 입체형상의 비드(20)에서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를 대칭이 아닌 동일한 형상으로 와이어(10) 외주연에 연속해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동일 또는 대칭으로 설치되는 전,후방비드(20a)(20b)는 와이어쏘(1)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전면(23)이 되는 것이고, 이러한 전,후방비드(20a)(20b)의 전면(23)과 후면(24) 및 외측둘레면(25)을 통해 절삭대상물(50)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체로 나눠진 전,후방비드(20a)(20b)의 사이에는 경사진 수지층(30)을 코팅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여 와이어쏘(1)의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의 사이 공간에는 와이어(10)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체(4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40)는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12에서와 같이, 전방비드(20a)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수지층(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의 적정한 거리를 유지시켜 절삭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탄성체(40)는 비드(20)가 전방에서 전달되는 힘에 위해 뒤로 밀리는 것을 지지하거나 복귀시키는 탄성을 갖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및 복원력이 뛰어난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사부(31)를 갖는 수지층(30)이 구비된 와이어쏘(1)를 각각 수지층(30)에 구성된 가는 후방부분을 통해 꼬임작업을 한다.
그리고, 작업대상물(50)을 절삭하고자 형성시킨 절단홈에 와이어쏘(1)를 걸고, 이렇게 걸어진 와이어쏘(1)를 회전장치에 걸착한다.
이후, 회전장치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비드(20)가 회전 진행하면서 전면 및 상면이 절삭대상물(50)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절단이 시작되고, 회전장치를 끌어당겨 절삭대상물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삭을 하는 비드(20)에서 전방비드(20a)는 절삭대상물(50)의 강도에 의해 뒤로 밀리는 하중을 받게 되는데, 전방비드(20a)와 외경을 갖게 코팅된 수지층(30)의 전면이 전방비드(20a)가 받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절삭되고, 절삭된 절분은 수지층의 경사면(31)과 직선 또는 곡선슬롯(34)(35)을 타고 후방비드(20b) 전면에 형성된 공간부(32)로 이동하여 모이고, 이렇게 모여진 절분은 비드(20)가 절삭대상물(50)에서 벗어나면 외부로 배출하며, 다시 절삭대상물(50)로 진입하여 절삭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사부(31)를 갖는 수지층(30)은 비드(20)를 지지할 수 있는 목적과, 절삭된 절분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와이어쏘(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와이어: 10 비드: 20
생크: 21 돌출팁: 22
수지층: 30 경사부:31
공간부: 32 라운드부: 33
직선슬롯: 34 곡선슬롯: 35
탄성체: 40

Claims (18)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절삭대상물(50)을 절삭하는 비드(20); 및
    상기 비드(20)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방비드(20a)의 후면에 전면(30a)이 고정되고, 후방에 위치한 후방비드(20b)의 전면에 후면(30b)이 고정 코팅되는 수지층(30);을 포함하되,
    상기 수지층(30)은 전면(30a)에서 후면(30b)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31)를 형성시킴으로써, 전방비드(20a)는 수지층(30)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비드(20b)의 전방에는 공간부(32)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는 와이어(10)의 외주연을 감싸 고정되는 생크(21)와, 상기 생크(21)의 외주연에 일정높이 돌출 형성한 돌출팁(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는 상부에서 하부가 양측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만곡진 입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와이어(10) 외주연에 전방비드(20a)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비드(20a)에서 후방으로 이격시켜 후방비드(20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는 원통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는 외주면에 복수의 면을 갖는 다각체(20-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 사이에는 와이어(10)를 감싸는 탄성체(40)를 개재하고, 그 탄성체(40) 외부를 수지층(30)이 보호하도록 코팅시킴으로써,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가 탄성체(40)의 탄성에 의해 적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후단에는 후방비드(20b)의 전면에 넓게 충전시켜 전방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라운드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전면(30a)은 전방비드(20a)의 후면과 동일한 외경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경사부(31)는 그 단면 외측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차 작아지는 직선경사부 또는 곡선경사부(31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외주연에는 전방에서 후방까지 직선으로 형성된 복수의 직선슬롯(3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외주연에는 원주방항으로 복수로 형성된 곡선슬롯(35)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재질은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으로 와이어(10) 외주연에 연속해서 반복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방향으로 와이어(10) 외주연에 연속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는 와이어쏘(1)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전,후방비드(20a)(20b)의 전면(23)이 되고, 전면(23), 후면(24) 및 외측둘레면(25)을 통해 절삭대상물()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비드(20a)와 후방비드(20b)의 이격된 상면거리는 근거리(S)로 형성되고, 양측면거리는 원거리(L)로 형성하며, 하면거리는 근거리(S)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7.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전면 외부형상을 비드(20)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1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30)의 전면 외부형상을 비드(20)의 형상과 동일한 다각(31-1)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KR1020110081081A 2011-08-16 2011-08-16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KR20130019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081A KR20130019118A (ko) 2011-08-16 2011-08-16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081A KR20130019118A (ko) 2011-08-16 2011-08-16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18A true KR20130019118A (ko) 2013-02-26

Family

ID=4789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081A KR20130019118A (ko) 2011-08-16 2011-08-16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9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8540A (zh) * 2018-10-22 2021-06-01 胡斯华纳有限公司 用于改进的柔性磨削切割工具的链节元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8540A (zh) * 2018-10-22 2021-06-01 胡斯华纳有限公司 用于改进的柔性磨削切割工具的链节元件
EP3870416A4 (en) * 2018-10-22 2022-10-19 Husqvarna Ab CONNECTING ELEMENTS FOR IMPROVED FLEXIBLE ABRASIVE CUTTING TOOLS
US11911926B2 (en) 2018-10-22 2024-02-27 Husqvarna Ab Link elements for improved flexible abrasive cutting too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961B1 (ko)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KR100804048B1 (ko) 다이아몬드 공구
EP2981392B1 (en) Pad for supporting abrasive disc
JP2010284754A (ja) 固定砥粒式ソーワイヤ
US3134122A (en) Self-regulating brushing tool
KR20130019118A (ko) 경사부를 갖는 수지층이 코팅된 와이어쏘
KR20190044063A (ko) 연삭숫돌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26894A (ja) ワイヤソー用ビードおよびワイヤソー
JP2011177879A (ja) カップ型回転砥石
JP6350384B2 (ja) 研削用砥石
US9226569B2 (en) Radial brush
JP6494866B2 (ja) 砥石ディスク
JP5992117B2 (ja) 非対称形クリンプを有するソーワイヤ
JP5700682B2 (ja) ロータリドレッサ
US4835913A (en) Deburring apparatus
US20160346903A1 (en) Cutting Disk
JP6452190B2 (ja) 加工用ブラシ
KR100337655B1 (ko) 세그먼트 타입 절삭팁을 갖는 다이아몬드 공구
WO2022029144A1 (en) Cutting segment for a saw blade
JP3420427B2 (ja) ダイヤモンドワイヤーソーにおけるダイヤモンドビーズ
JP2008178938A (ja) ワイヤソー
KR101554100B1 (ko) 3차원 형상의 비드를 구비한 와이어쏘
CN202241619U (zh) 一种改进结构的小直径金刚石绳锯
JP5831860B1 (ja) ダイヤモンドワイヤーソー
US3233271A (en) Self-regulating composite brush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