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879A -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 Google Patents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879A
KR20130018879A KR1020127029845A KR20127029845A KR20130018879A KR 20130018879 A KR20130018879 A KR 20130018879A KR 1020127029845 A KR1020127029845 A KR 1020127029845A KR 20127029845 A KR20127029845 A KR 20127029845A KR 20130018879 A KR20130018879 A KR 2013001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utput
battery module
input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부츠만
홀거 핑크
Original Assignee
에스비 리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 리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 리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1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제안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포함한다. 각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및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은 상기 결합 유닛의 제 1 입력과 제 2 입력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 유닛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제 1 단자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시키고,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단자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가변 수의 (variable number) 배터리 모듈들에 발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나머지 배터리 모듈들에 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출력 전압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Battery with variable output voltage}
본 발명은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미래에는 정지 어플리케이션 (stationary application) 및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배터리 시스템의 도입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각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주어진 전압 및 가용 전력에 대한 요구 사항들을 충족할 수 있기 위해, 많은 수의 배터리 셀 (battery cell)들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가 모든 배터리 셀들을 통과하여 흘러야 하며 하나의 배터리 셀은 제한된 전류만을 전달 (conduct)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추가 배터리 셀들이 최대 전류를 높이기 위해 연결된다. 이것은 하나의 배터리 셀 하우징 내에 다수의 셀 코일을 마련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혹은 외부 배터리 셀을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풍력 장치의 회전자 날개 (rotor blade)와 같은 정지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통상의 전기 구동 시스템의 개략 회로도가 도 1에 도시된다. 배터리 (10)가 직류 전압 중간 회로에 연결되며, 이 회로는 커패시터 (11)를 통해 버퍼링된다. 상기 직류 전압 중간 회로에 펄스 인버터 (12)가 연결되는데, 상기 인버터는 각 2개의 스위칭 가능한 (switchable) 반도체 밸브 및 2개의 다이오드를 통해 3개의 출력에 전기 구동 모터 (13)의 구동을 위해 상호 위상 시프트되는 사인 전압을 공급한다. 커패시터 (11)의 커패시티는 직류 전압 중간 회로의 전압을 상기 스위칭 가능한 반도체 밸브 중의 하나가 상호 접속 (interconnect)되는 시간 동안 안정화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커야만 한다. 전기 자동차와 같은 실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mF 범위의 높은 커패시티가 발생된다. 직류 전압 중간 회로의 높은 전압 때문에 이처럼 높은 커패시티는 고비용과 큰 공간에서만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10)를 상세한 블록 회로도로 도시한다.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직렬로 및 선택적으로는 (optional) 추가로 병렬 연결되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소망되는 높은 출력 전압 및 배터리 커패시티에 도달한다. 배터리 셀의 플러스 극 (plus pole)과 양의 (positive) 배터리 단자 (14)의 사이에 충전 및 분리 장치 (16)가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셀의 마이너스 극과 음의 배터리 단자 (15) 사이에 분리 장치 (17)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및 분리 장치 (16) 및 분리 장치 (17)는 각각 스위치 (18 및 19)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배터리를 0의 포텐셜로 (zero-potential)로 연결하기 위해 배터리 셀을 배터리 단자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지 않으면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의 높은 직류 전압으로 인해, 정비 담당자 또는 그와 유사한 사람들에게 현저한 위험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충전 및 분리 장치 (16)에는 추가의 충전 스위치 (20) 및 이 충전 스위치 (20)에 직렬 연결된 충전 저항 (21)이 추가로 마련된다. 상기 충전 저항 (21)은 만일 상기 배터리가 직류 전압 중간 회로에 연결되면 커패시터 (11)를 위한 충전 전류를 제한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스위치 (18)는 개방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충전 스위치 (20)만 폐쇄된다. 배터리 단자 (14)에서의 전압이 배터리 셀의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치 (19)가 폐쇄되고 경우에 따라 상기 충전 스위치 (20)가 개방된다. 상기 충전 스위치 (20)의 스위치 (18, 19)들은 배터리 (10) 비용을 현저하게 높이는데, 왜냐하면 이것들의 신뢰성에 대한 요구와 이것들로부터 흐를 전류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제안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포함한다. 각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및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은 상기 결합 유닛의 제 1 입력과 제 2 입력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 유닛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제 1 단자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시키고,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단자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가변 수의 (variable number) 배터리 모듈들에 발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나머지 배터리 모듈들에 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출력 전압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상기 결합 유닛의 제 1 및 제 2 출력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외부로 가용하게 만들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셀을 상기 제 1 출력을 e상기 제 2 출력에 결합시킴으로써 바이 패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0V의 전압이 외부로부터 가시화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모듈들의 결합 유닛들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단순히 대응하는 수의 배터리 모듈이 활성화되거나 (결합 유닛의 출력에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가시화) 비활성화됨으로써 (결합 유닛의 출력 전압 0V) 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 라인의 가변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펄스 인버터의 기능이 직접 배터리 안에 통합될 수 있으며 직류 전압 중간회로를 버퍼링 하기 위한 버퍼 커패시터를 불필요하게 만들어 이를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극단적인 경우에 각 배터리 모듈은 오직 하나의 배터리 셀 또는 오직 병렬 연결된 배터리 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 라인의 출력 전압은 가장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5와 4.2 V 사이의 셀 전압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이 사용되는 경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은 상응하게 정확히 조절된다.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더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면 할수록, 전자기 호환성의 문제는 더 작아지는데, 왜냐하면 배터리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방사가 고주파 부분에 의해 감소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다수의 스위치들이 투입됨으로써 결합 유닛의 스위치들에서 높은 전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회로 낭비에 직면하기도 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사인 형태의 (sinusoidal) 출력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은 교류 전압망에서의 동작을 위해 고안된 구성 요소들과의 직접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을 조절 가능하게 (adjustable) 미리 주어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 바람직하게는 3개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각 배터리 모듈 라인들을 위해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은 다른 배터리 모듈 라인들 각각의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과 위상 오프셋 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3개의 배터리 모듈 라인을 갖는 실시예는 추가의 중간 구성 요소 없이 전기 모터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의 구동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및 전기 구동 모터로 축소될 수 있다. 하지만, 전기 모터가 위상 신호를 위해 다수의 입력을 갖는 것도 상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을 갖는 배터리가 적합하다.
상기 결합 유닛은 제 1 출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또는 제 2 입력을 제 1 출력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 은 이 때 배터리 모듈의 단자들 중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들 중의 하나는 다른 배터리 모듈의 단자들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 유닛은 오직 2개의 스위치만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MOSFET 또는 IGBT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결합 유닛은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을 상기 제 1 출력과 연결시키고 상기 제 2 입력을 상기 제 2 출력과 연결시키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을 제 1 출력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입력을 상기 제 2 출력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제 1 출력을 상기 제 2 출력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는 약간 더 복잡한 회로의를 필요로 하지만 (통상 3개의 스위치),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을 그 2개의 극에 결합시켜, 완전 방전 또는 배터리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 그 배터리 셀을 제로 포텐셜로 연결하여 전제 장치의 계속적인 동작시 위험없이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기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된 제 1 관점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데, 여기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구동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에 사용되는 결합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결합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가능한 회로적 구현을 도시하고,
도 5a 및 5b는 상기 결합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2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에 사용되는 결합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은 상기 결합 유닛의 제 2 실시예의 가능한 회로적 구현을 도시하며,
도 8은 상기 결합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추가 실시예를 갖는 구동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출력 전압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에 사용되는 결합 유닛 (3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결합 유닛 (30)은 2개의 입력 (31, 32) 및 하나의 출력 (33)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31, 32) 등 중 하나는 출력 (33)과 연결시키고 다른 하나는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결합 유닛 (30)의 제 1 실시예의 가능한 회로적 구현을 도시하는데, 이 결합 유닛에 제 1 및 제 2 스위치 (35 및 36)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들 각각은 입력 (31 및 32)과 출력 (33) 사이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는 2개의 입력 (31, 32)도 출력 (3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상기 출력 (33)이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는 (high ohmic) 장점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수리나 정비시에 유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치 (35, 36)들은 MOSFET 또는 IGBT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반도체 스위치들은 낮은 가격과 높은 스위칭 속도라는 장점을 가져서, 상기 결합 유닛 (30)이 짧은 시간 안에 제어 신호 내지 제어 신호의 ㅂ변화에 반응할 수 있으며 높은 스위칭 률을 달성할 수 있다. 최대 직류 전압과 최소 직류 전압 간의 듀티 싸이클의 상응하는 선택 (펄프 폭 변조)에 의해 원하는 전압 형태를 생성하는 종래의 펄스 인버터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유닛의 스위치의 스위칭 빈도가 현저하게 낮아서, 전자기 호환성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lektromagnetische Vertraeglichkeit (EMV))이 개선되며 스위치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낮아질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상기 결합 유닛 (30)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40)의 2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배터리 셀 (11)들이 결합 유닛 (30)의 입력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배터리 셀 (11)의 이와 같은 직렬 연결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오직 하나의 배터리 셀 (11) 또는 배터리 셀 (11)의 병렬 연결 또는 직-병렬-혼합 연결도 마련될 수 있다. 도 5a의 예에서, 결합 유닛 (30)의 출구는 제 1 단자 (41)와 결합되고 배터리 셀 (11)의 네거티브 극 (negative pole)은 제 2 단자 (42)와 결합된다. 하지만, 도 5b에서와 같은 거울 모양의 배열도 가능한데, 이 배열에서는 배터리 셀 (11)의 포지티브 극 (positive pole)이 제 1 단자 (41)와 결합되고 결합 유닛 (30)의 출구가 제 2 단자 (42)와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에 사용되는 결합 유닛 (5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결합 유닛 (50)은 2개의 입력 (51, 52) 및 2개의 출력 (53, 54)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유닛은 제 1 입력 (51)을 제 1 출력 (53)과 그래고 제 2 입력 (52)을 제 2 출력 (54)과 결합시키거나 (그리고 제 1 출력 (53)을 제 2 출력 (54) 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혹은 제 1 출력 (53)을 제 2 출력 (54)에 결합시키도록 (그리고 입력 (51, 52)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유닛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2개의 입력들 (51 , 52)을 출력들 (53, 54)으로부터 분리하고 제 1 출력 (53)을 제 2 출력 (54)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제 1 입력 (51)을 제 2 입력 (52)과 결합하는 것을 마련되지 않는다.
도 7은 상기 결합 유닛 (50)의 제 2 실시예의 가능한 회로적 구현을 도시하는데, 여기에는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 (55, 56, 57)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스위치 (55)는 제 1 입력 (51) 및 제 1 출력 (53)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스위치 (56)는 제 2 입력 (52) 및 제 2 출력 (54) 사이에, 그리고 제 3 스위치 (57)는 제 1 출력 (53)과 제 2 출력 (54) 사이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스위치 (55, 56 57)들이 MOSFET 또는 IGBT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반도체 스위치는 낮은 가격, 높은 스위칭 률의 장점을 가져서, 상기 결합 유닛 (50)이 짧은 시간 동안에 제어 신호 내지 제어 신호의 변화에 반응하여 높은 스위칭 률에 도달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결합 유닛 (50)의 제 2 실시예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배터리 셀 (11)이 결합 유닛 (50)의 입력들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 (60)의 이 실시예도 배터리 셀 (11)의 직렬 연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직 하나의 배터리 셀 (11)이 마련되거나 또는 배터리 셀 (11)들의 병렬 연결 또는 직-병렬-혼합 연결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 유닛 (50)의 제 1 출력은 제 1 단자 (61)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 유닛 (50)의 제 2 출력은 제 2 단자 (62)와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 (60)은 도 5a 및 5b의 배터리 모듈 (40)에 비하여 배터리 셀 (11)이 결합 유닛 (50)에 의해 나머지 배터리들과 양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동작 중 위험하지 않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배터리 셀 (11)의 어떤 극에도 배터리의 나머지 배터리 모듈들의 높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n개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1 내지 70-n)을 갖는다. 각 배터리 모듈 라인 (70-1 내지 70-n)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 (40 또는 60)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 배터리 모듈 라인 (70-1 내지 70-n)은 동일한 수의 배터리 모듈들 (40 또는 60)을 가지며, 각 배터리 모듈 (40 또는 60)은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 동일한 수의 배터리 셀 (11)을 포함한다. 각 배터리 모듈 라인 (70-1 내지 70-n)의 하나의 극은 다른 배터리 모듈 라인 (70-1 내지 70-n)의 상응하는 극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것은 도 9에 점선으로 암시되어 있다. 통상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1 내지 70-n)은 1보다 큰 각각의 수의 배터리 모듈들 (40 또는 60)을 포함하며, 하나의 배터리는 각각의 수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1 내지 70-n)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안전 규정이 요구한다면,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1 내지 70-n)의 극에도 추가로 도 2에서와 같은 충전 및 분리 장치와 분리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분리 장치들은 본 발명에 의할때는 필수적이지 않은데, 왜냐하면 배터리 셀 (11)의 배터리 결합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배터리 모듈들 (40 또는 60) 내에 포함된 분리 유닛 (30 또는 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추가 실시예를 갖는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배터리는 3개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1, 70-2, 70-3)을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각각 직접 구동 모터 (13)의 입력에 연결된다. 대부분의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available) 전자 모터들이 3개의 위상 신호로 설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배터리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3개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는 펄스 인버터의 기능이 이미 배터리에 통합되어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배터리의 제어 유닛이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가변 수의 배터리 모듈들 (40 또는 60)을 활성화함으로써 (내지 비활성화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라인의 출력에 활성화된 배터리 모듈들 (40 또는 60)에 비례하는 전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전압은 0V와 und der vollen 출력 전압 des 배터리 모듈 라인들의 전체 출력 전압에 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출력 전압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한다. 배터리 (내지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의 출력 전압 V은 시간 t 동안 인가된다. 도면 부호 80-b으로 예시적 어플리케이션 목적을 위해 소망되는 (이상적인) 사인파가 인가되는데, 이 싸인파는 0 이상의 전압값을 갖는다. 이상적인 싸인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에 의해 이산 전압 커브 (80-a)를 통해 근사하게 (approximately) 생성된다. 이상적인 커브 (80-b)로부터 이산 전압 커브 (80-a)의 편향 (deflection)은 크기 관점에서 배터리 모듈 (40 또는 60)에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11)의 수에 좌우된다. 배터리 모듈 (40 또는 60)에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11)의 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이산 전압 커브 (80-a)가 더 정확하게 이상적인 커브 (80-b)를 따라간다. 통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비교적 작은 편향은 전제 시스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어지는 회로 소자들에 의해서 필터링되어야만 하는 이진 출력 전압만을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펄스 인버터에 비해, 편향이 뚜렷하게 줄어들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장점들 외에 고압 소자 및 플러그 커넥션 (plug connection)수의 감소라는 장점을 제공하며, 배터리의 냉각 시스템을 펄스 인버터와 결합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배터리 셀의 냉각을 위해 투입되는 냉매는 이어서 펄스 인버터 (그러므로 결합 유닛 (40 또는 60)) 소자의 냉각을 위해서도 투입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들은 보통 보다 높은 구동 온도에 도달하기 때문에 배터리 셀에 의해 이미 더워진 냉매에 의해서도 다시 충분히 냉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배터리의 제어 유닛과 펄스 인버터의 제어 유닛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낭비를 더 줄일 수 있다. 결합 유닛은 펄스 인버터 및 배터리를 위한 통합된 안전 컨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과 가용성을 높이고 배터리 수명도 연장시킨다.
통합된 펄스 인버터를 갖는 배터리의 또 다른 장점은 이것이 통합된 결합 유닛을 갖는 개별 배터리 모듈들을 가지고 매우 단순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동일 구성 요소 (same component)의 사용 (빌딩 블록 (building block) 원칙)이 가능하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 (40, 60)을 포함하며,
    각 배터리 모듈 (40, 6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11) 및 결합 유닛 (30, 50)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11)은 상기 결합 유닛 (30, 50)의 제 1 입력 (31, 51)과 제 2 입력 (32, 5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 유닛 (30, 50)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11)을 상기 배터리 모듈 (40, 60)의 제 1 단자(41, 61)와 상기 배터리 모듈 (40, 60)의 제 2 단자(42, 62)사이에 연결시키고,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41, 61)를 상기 단자(42, 62)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의 가변 수의 (variable number) 배터리 모듈들 (40, 60)에 발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의 나머지 배터리 모듈들 (40, 60)에 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의 출력 전압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라인 (70)의 사인 형태의 (sinusoidal) 출력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을 조절 가능하게 (adjustable) 미리 주어진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 바람직하게는 3개의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각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을 위해 하나의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은 다른 배터리 모듈 라인들 (70) 각각의 사인 형태의 출력 전압과 위상 오프셋 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 (30)은 제 1 출력 (33)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31) 또는 제 2 입력 (32)을 제 1 출력 (33)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 (50)은 제 1 출력 (53) 및 제 2 출력 (54)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51)을 상기 제 1 출력 (53)과 연결시키고 상기 제 2 입력 (52)을 상기 제 2 출력 (54)과 연결시키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51)을 제 1 출력 (53)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입력 (52)을 상기 제 2 출력 (54)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제 1 출력 (53)을 상기 제 2 출력 (54)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배터리.
  7.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기 구동 모터 (13)와 상기 구동 모터 (13)에 결합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27029845A 2010-04-16 2011-02-16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KR20130018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7864.5 2010-04-16
DE201010027864 DE102010027864A1 (de) 2010-04-16 2010-04-16 Batterie mit variabler Ausgangsspannung
PCT/EP2011/052283 WO2011128136A1 (de) 2010-04-16 2011-02-16 Batterie mit variabler ausgangsspan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879A true KR20130018879A (ko) 2013-02-25

Family

ID=4424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845A KR20130018879A (ko) 2010-04-16 2011-02-16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54521A1 (ko)
EP (1) EP2559136B1 (ko)
KR (1) KR20130018879A (ko)
CN (1) CN102859829A (ko)
DE (1) DE102010027864A1 (ko)
TW (1) TW201212477A (ko)
WO (1) WO20111281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7979A3 (de) * 2013-03-15 2014-12-24 Robert Bosch GmbH Elektrisch eigensicheres Batteriemodul mit ultraschneller Entladeschal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Batteriemoduls
KR20150099453A (ko) * 2014-02-21 2015-08-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접속형 배터리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1059A1 (de) 2010-09-20 2012-03-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Soll-Ausgangsspannung eines Energieversorgungszweiges eines steuerbaren Energiespeichers
DE102010064311A1 (de) * 2010-12-29 2012-07-05 Robert Bosch Gmbh Steuerbarer Energiespeich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euerbaren Energiespeichers
DE102012202860A1 (de) * 2012-02-24 2013-08-29 Robert Bosch Gmbh Austauschbare Energiespeich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tauschen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DE102012205395A1 (de) 2012-04-03 2013-10-10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Verfahren zum Laden von Batteriemodulen, sowie Verfahren zum Balancieren von Batteriemodulen
DE102012207671A1 (de) 2012-05-09 2013-11-14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einer Mehrzahl von in Batteriesträngen angeordneten Batteriemodul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 Batterie
DE102012208313A1 (de) 2012-05-18 2013-11-21 Robert Bosch Gmbh Batterie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Ausgangsspannung der Batterie
DE102012209646B4 (de) * 2012-06-08 2024-01-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Abnutzungszustandes eines Batteriemoduls, Batteriemanagementsystem, Mehrphasen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DE102012209657A1 (de) * 2012-06-08 2013-12-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Innenwiderstandes von Batteriezellen einer Batterie
DE102012209648B4 (de) * 2012-06-08 2024-02-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Abnutzungszustandes eines Batteriemoduls, Batteriemanagementsystem, Spannungsstufen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DE102012209660A1 (de) * 2012-06-08 2013-12-12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Innenwiderstandes von Batteriezellen oder Batteriemodulen des Batteriesystems
DE102012210596A1 (de) 2012-06-22 2013-12-24 Robert Bosch Gmbh Sicherheitskonzept für Batterien
DE102012210603B4 (de) * 2012-06-22 2023-11-09 Robert Bosch Gmbh Sicherheitskonzept für Batterien
DE102012210908A1 (de) 2012-06-27 2014-01-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Traktionsantriebssystems mit Batteriedirektinverter und zugehörige Steuerungsvorrichtung
DE102012210910A1 (de) 2012-06-27 2014-01-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Traktionsantriebssystems mit Batteriedirektinverter und dazugehörige Steuerungsvorrichtung
DE102012213053B4 (de) 2012-07-25 2022-08-11 Robert Bosch Gmbh Batterie, Batteriezelle mit Sicher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Schutz einer Batteriezelle
DE102012216158A1 (de) * 2012-09-12 2014-03-13 Robert Bosch Gmbh Batteriemanagementsystem, Batteriesystem,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periodischen Wechselspannung
DE102012222746A1 (de) 2012-12-11 2014-06-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atteriemodulausbalancierung und Batteriemanagementsystem
DE102013201489A1 (de) * 2013-01-30 2014-08-14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mehreren Batteriezellen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Batteriespannung einer Batterie über Einschaltwahrscheinlichkeiten der Batteriezellen
DE102013202280A1 (de) * 2013-02-13 2014-08-14 Robert Bosch Gmbh Batterie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Batteriespannung einer Batterie unter Verwendung von Gütefaktoren
DE102013203192B4 (de) 2013-02-27 2016-10-20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Batteriedirektkonverter mit einem derartigen Batteriemodul und Batteriedirektinverter mit zumindest zwei Batteriedirektkonvertern
US8901888B1 (en) 2013-07-16 2014-12-02 Christopher V. Beckman Batteries for optimizing output and charge balance with adjustable, exportable and addressable characteristics
FR3007227B1 (fr) * 2013-06-18 2015-06-05 Renault Sa Procede de gestion d'une charge alimentee par un convertisseur lui-meme alimente par une batterie, et systeme correspondant
DE102014205935A1 (de) 2014-03-31 2015-10-01 Robert Bosch Gmbh Elektrochemische Speicherverbund zum bereitstellen eines mehrphasigen Wechselstroms oder einer mehrphasigen Wechselspannung
DE102014014926A1 (de) * 2014-10-07 2016-04-07 Man Truck & Bus Ag Anordnung aus mindestens zwei elektrischen Traktionsenergiespeichern
CN106230073A (zh) * 2016-09-08 2016-12-14 东莞市迈科锂离子电池工业节能技术研究院 内置gps模块的供电装置
GB2554724A (en) * 2016-10-06 2018-04-11 Ford Global Tech Llc Metal-air battery for a vehicle
EP3401993A1 (en) * 2017-05-08 2018-11-14 volabo GmbH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DE102017207944A1 (de) * 2017-05-11 2018-11-15 Audi Ag Batterie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m Modulstrang, in welchem Moduleinheiten in einer Reihe hintereinander verschaltet sind, sowie Kraftfahrzeug und Betriebsverfahren für die Batterievorrichtung
WO2018231810A1 (en) 2017-06-12 2018-12-20 Tae Technologies, Inc. Multi-level multi-quadrant hysteresis current controllers and methods for control thereof
MX2019015144A (es) 2017-06-16 2020-02-17 Tae Tech Inc Controladores de voltaje de histeresis de multi nivel, para moduladores de voltaje y metodos para controlar el mismo.
US10618428B2 (en) * 2017-07-19 2020-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 voltage controller
DE102017220487A1 (de) 2017-11-16 2019-05-16 Audi Ag Bordnetz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ordnetzes für ein Kraftfahrzeug
KR20200135399A (ko) 2018-03-22 2020-12-02 티에이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전력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GB201812355D0 (en) * 2018-07-30 2018-09-12 Riley Paul Howard Rapid replacement battery (RRb) for EV
JP7121908B2 (ja) * 2018-11-28 2022-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
DE102019102306A1 (de) 2019-01-30 2020-07-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 einem Niedervoltversorgungsstrang mit eigener Spannungsquelle bei einer modularen Batterie
BR112021019068A2 (pt) 2019-03-29 2021-11-30 Tae Tech Inc Sistemas de energia baseados em módulo tendo módulos de fonte de conversor e métodos relacionados aos mesmos
US11897347B2 (en) 2020-04-14 2024-02-13 Tae Technolog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module-based cascaded energy systems
WO2021231759A1 (en) 2020-05-14 2021-11-18 Tae Technolog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ail-based and other electric vehicles with 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
EP4218114A1 (en) 2020-09-28 2023-08-02 TAE Technologies, Inc. Multi-phase module-based energy system framework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MX2023003716A (es) 2020-09-30 2023-06-16 Tae Tech Inc Sistemas, dispositivos y métodos para el equilibrado intrafasico e interfasico en sistemas de energía en cascada basados en módulos.
WO2023283260A1 (en) 2021-07-07 2023-01-12 Tae Technolog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dule-based cascaded energy system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CN115566773A (zh) * 2022-10-27 2023-01-03 西安星源博锐新能源技术有限公司 车辆充电模块串并联切换电路及车辆充电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0851A (en) * 1959-11-03 1963-08-13 Ling Temco Vought Inc High power synthetic waveform generator
US4680690A (en) * 1984-10-19 1987-07-14 Dickerson Arthur F Inverter for use with solar arrays
DE19635606A1 (de) * 1996-09-02 1998-03-05 Werner Prof Dr Ing Kleinkauf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höheren Wechselspannung aus mehreren niedrigeren Gleichspannungen und dafür geeigneter Bausatz
CN1219348C (zh) * 2001-02-06 2005-09-14 杜炬 充电装置
ITVA20010022A1 (it) * 2001-07-11 2003-01-11 Chemieco Srl Invertitore statico di tensione per sistema a batterie
JP4622645B2 (ja) * 2005-04-15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内燃機関装置並びに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7979A3 (de) * 2013-03-15 2014-12-24 Robert Bosch GmbH Elektrisch eigensicheres Batteriemodul mit ultraschneller Entladeschal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Batteriemoduls
KR20150099453A (ko) * 2014-02-21 2015-08-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접속형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4521A1 (en) 2013-06-20
EP2559136A1 (de) 2013-02-20
EP2559136B1 (de) 2017-04-12
WO2011128136A1 (de) 2011-10-20
CN102859829A (zh) 2013-01-02
TW201212477A (en) 2012-03-16
DE102010027864A1 (de)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8879A (ko) 가변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KR101506018B1 (ko) 집적화된 펄스폭 변조 인버터를 포함하고 증가된 신뢰성을 보유하는 커플링 유닛 및 배터리 모듈
US9045054B2 (en) Battery system having an intermediate circuit voltage which can be set in a variable fashion
KR101478322B1 (ko) 집적화된 펄스폭 변조 인버터 및 작동 중 교환 가능한 셀 모듈들을 포함하는 커플링 유닛 및 배터리 모듈
US20140001842A1 (en) Energy Converter for Outputting Electrical Energy
US9106161B2 (en) Method for setting a desired output voltage of a power supply branch of a controllable energy store
JP5551303B2 (ja) セルバランシング機能を有するバッテリ
US20140368132A1 (en) Converter Unit for an Asynchronous Machine
US9306407B2 (en) Battery system and method
US9203336B2 (en) Drive unit for an electric motor
US9276427B2 (en) Method for starting up a battery system having a DC voltage intermediate circuit
US9744875B2 (en) Motor vehicle, batte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US9425723B2 (en) System comprising an electrically excited machine
US20130200694A1 (en) Battery comprising an Integrated Pulse Width Modulation Inverter
US9457745B2 (en) Method for starting up a battery system having a DC voltage intermediate circuit
US20130293169A1 (en) Polyphase Energy Converter for Outputting Electrical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