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645A -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음료, 그 조성물 및 그것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음료, 그 조성물 및 그것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645A
KR20130018645A KR1020127019802A KR20127019802A KR20130018645A KR 20130018645 A KR20130018645 A KR 20130018645A KR 1020127019802 A KR1020127019802 A KR 1020127019802A KR 20127019802 A KR20127019802 A KR 20127019802A KR 20130018645 A KR20130018645 A KR 2013001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 protein
protein
calcium
citrus fruit
orange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라 메디나
마틴 슈바이처
Original Assignee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1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불안정한 콩 단백질 분리물 증강된 감귤류 과일 용액이 칼슘염, 유기산 또는 두 종의 조합을 사용함에 의해 깨끗한 또는 거의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빠른 발달 없이 감귤류 과일 성분들의 분리에 대항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범주 내에서의 변경 또는 변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콩 단백질을 포함하는 감귤류 과일 음료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CITRUS FRUIT BEVERAGES COMPRISING SOY PROTEIN}
본 발명은 단백질 증강 감귤류 과일 음료의 안정화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9년 10월 21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603,087(미국 특허공개번호 2010-0098818, WO 2010/045727)(S701)호에 있어서, 낮은 pH 값들에서 투명하고 열 안정성이 있는 용액을 생산할 수 있는 그리고, 따라서, 특히 소프트 드링크 및 스포츠 드링크는 물론 다른 수용성 시스템들에 있어서, 단백질의 침전없이 단백질 증강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의 생산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조된 이 콩 단백질 분리물은 다른 콩 단백질 분리물들에서 발견되지 않은 변수들의 독특한 조합을 갖는다. 이 제품은 약 4.4 이하의 산 pH 값들에서 완전히 용해되고 그 용액들은 이 pH 범위 내에서, 뜨거운 충전 응용들과 같은, 열 가공을 허용하는 열 안정성이 있다. 이 단백질을 용액 또는 현탁액 내에 유지하는데 안정제나 다른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콩 단백질 용액은 콩 향이나 다른 냄새를 갖지 않는다. 이 제품은 피틴산(phytic acid)이 낮고 콩 단백질 분리물의 생산에 있어서 효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콩 단백질 분리물은 또한 약 pH 7에서도 용해성이 아주 높다.
이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은 건조중량기준(d.b.)으로 적어도 약 90 wt%(N x 6.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의 단백질 함량을 갖고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a) 단백질원으로부터 콩 단백질의 용해를 일으키고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을 형성하도록, 수용성 칼슘염 용액, 특히 염화칼슘 용액으로 콩 단백질원을 추출하는 단계,
(b) 잔여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c)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을 선택적으로 희석하는 단계,
(d) 산성화된 깨끗한 콩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기 위하여,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의 pH를 약 1.5 내지 약 4.4,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의 pH로 조정하는 단계,
(e) 반-영양 트립신 억제인자 및 미생물 로드의 활동성을 줄이기 위하여 산성화된 용액을 선택적으로 열처리하는 단계,
(f) 선택적 막 기술을 이용하여 이온 강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용성의 깨끗한 콩 단백질 용액을 선택적으로 농축하는 단계,
(g)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을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하는 단계,
(h) 미생물 로드를 감소하기 위하여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을 선택적으로 저온살균하는 단계, 및
(i)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을 선택적으로 건조하는 단계.
다양한 상업적 오렌지주스 제품들의 단백질 증강을 위하여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의 사용을 시도함에 있어서, 주스 샘플 내의 깨끗한 또는 거의 깨끗한(약간의 연무) 상부 액체층의 빠른 발달에 따라 오렌지주스의 조성물들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이 칼슘염 단독, 유기산 단독 또는 두 종의 조합을 사용함에 의해 주스 샘플 내의 깨끗한 또는 거의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빠른 발달 없이 단백질 증강된 감귤류 과일 주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어도 좋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약 4.4 이하의 산 pH 값에서 물에 완전히 용해가능하고 수용성 용액에 있어서 열 안정성이 있는 적어도 약 60 wt%(N x 6.25)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콩 단백질 제품, 및
적어도 하나의 칼슘염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의 조성물들의 분리 없이 그리고 주스 또는 음료 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빠른 발달없이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에 용해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아래의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에 의해 증강된, 오렌지주스 및 다른 감귤류 과일 주스들 또는 이러한 주스들을 함유하는 다른 혼합된 음료들의 안정화에 칼슘염 및 유기산의 사용을 위하여 많은 가능한 제제들이 있다. 더 높은 칼슘 레벨은 유기산이 채용되지 않거나 거의 채용되지 않을 때 안정화 달성에 요구되는 한편, 더 낮은 칼슘 값은 더 높은 유기산 값이 채택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그 안에 용해된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단백질 증강된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가 제공된다.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조성물을 갖는다:
콩 단백질 제품으로부터 약 0.1 내지 약 10%w/w의 콩 단백질, 및
약 0 내지 약 1.7%w/w의 적어도 하나의 칼슘염 과
약 0 내지 약 1%w/w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적절한 칼슘염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화칼슘, 젖산칼슘 및 글루콘산 젖산칼슘을 포함한다. 적절한 유기산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과산 및 구연산이다. 칼슘염들 및/또는 유기산들의 조합은 다음을 포함하는 대략 1.9%w/w의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로 증강될 때 실질적으로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분리 및 발달에 대하여 오렌지주스를 안정화하는데 만족스러움이 발견되었다:
- 1.04%w/w의 젖산칼슘 단독
- 0.95%w/w 사과산과 함께 0.08%w/w 젖산칼슘
- 0.95%w/w 구연산과 함께 0.08%w/w 젖산칼슘
- 0.94%w/w 사과산과 함께 0.75%w/w 젖산칼슘
- 0.47%w/w 사과산과 함께 0.76%w/w 젖산칼슘
- 0.38%w/w 염화칼슘 단독
- 0.04 및 0.19%w/w 염화칼슘 및 0.95%w/w 사과산
- 0.48%w/w 사과산과 함께 0.19%w/w 염화칼슘
- 0.95 및 1.23%w/w 글루콘산 젖산칼슘 단독
- 0.09 및 0.47%w/w 글루콘산 젖산칼슘 및 0.95%w/w 사과산
- 0.48%w/w 글루콘산 젖산칼슘 및 0.48%w/w 사과산
- 0.95%w/w 사과산 단독.
명백하게 칼슘염들 및/또는 유기산들의 다른 조합들도 등가한 식으로 기능을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콩 단백질 분리물들의 사용에 인용하고 있지만, 더 낮은 순도의 콩 단백질 제품들도 콩 단백질 분리물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순도가 더 낮은 제품들은 적어도 약 60 wt%(N x 6.25)d.b.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칼슘염들 및/또는 유기산들의 조합에 의해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로 증강될 때 실질적으로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분리 및 발달에 대하여 오렌지주스를 안정화하고, 따라서 단백질 증강 감귤류 과일 음료를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개시된 조성물에 이용된 콩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의 초기단계는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콩 단백질을 용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콩 단백질원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콩 가루, 콩 조각, 콩 작은 알갱이 및 콩 가루 등을 포함하는 콩의 가공으로부터 유래된 콩 또는 어떠한 콩 제품 또는 부산물일 수 있다. 이 콩 단백질원은 전체 지방이 있는 형태로, 부분적으로 지방이 제거된 형태로 또는 완전히 지방이 제거된 형태로 사용되어도 좋다. 이 콩 단백질원이 주목할 만한 량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오일-제거 단계가 처리과정 중 요구된다. 이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회수된 콩 단백질은 콩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백질이어도 좋고 또는 단백질성 물질이 유전적 처리에 의해 변형된 그러나 소수성 및 극지 성질의 자연 단백질 특성을 소유하는 단백질이어도 좋다.
콩 단백질원 물질로부터의 단백질 용해는, 비록 다른 칼슘염 용액들이 사용되어져도 좋지만, 가장 편리하게는 염화칼슘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부가하여, 마그네슘염과 같은 다른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이 또한 사용되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콩 단백질의 추출은 염화나트륨과 같은 다른 염 용액과 조합된 칼슘염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져도 좋다. 부가적으로,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콩 단백질의 추출은 물 또는 염화나트륨 용액과 같은 다른 염 용액을 사용하여 염화칼슘을 추출단계에서 생산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함에 의해 수행되어져도 좋다. 칼슘염의 첨가에 의해 형성된 침전물은 뒤이은 처리의 전에 제거된다.
칼슘염 용액의 농도가 증가하면,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단백질의 용해 정도는 초기에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뒤이은 염 농도의 증가는 용해된 총 단백질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최대 단백질 용해를 일으키는 칼슘염 용액의 농도는 관련된 염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통상적으로는, 약 1.0 M 이하의 농도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0 M 내지 약 0.15 M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뱃치(batch) 공정에 있어서, 단백질의 염 용해는, 용해시간을 감소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교반을 수반하여, 약 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약 60분 동안 수행된다. 실질적으로 실행 가능한 한 많은 단백질을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높은 수확률을 제공한다.
계속되는 공정에 있어서,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콩 단백질의 추출은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콩 단백질의 계속적인 추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일정한 어떤 방식으로 수행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콩 단백질원은 칼슘염 용액과 계속하여 혼합되고 이 혼합물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도관을 통해 그리고 여기에 개시될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소망하는 추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충분한 체류시간을 위한 유동률로 전송된다. 이러한 계속적인 공정에서, 염 용해단계는 실질적으로 실행 가능한 한 많은 단백질을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용해를 효과 있게 하는데 약 10분까지의 시간 내에 빠르게 수행된다. 계속되는 공정에서의 용해는 약 1℃ 내지 약 100℃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6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5℃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추출은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11의 pH,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7의 pH에서 수행된다. 이 추출 시스템(콩 단백질원 및 칼슘염 용액)의 pH는 통상적으로 염산 또는 인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식품등급 산, 또는 통상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식품등급 알칼리의 사용에 의해 추출단계를 위해 약 5 내지 약 11의 범위 이내에서 어떤 소망하는 값으로 조정되어져도 좋다.
용해 단계 동안 칼슘염 용액에 있어서의 콩 단백질원의 농도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전형적인 농도 값은 약 5 내지 약 15% w/v 이다.
수용성 염 용액과 함께 단백질 추출단계는 콩 단백질원에 존재할 수 있는 지방을 용해하는 부가적 효과도 가지며, 이것은 따라서 수상에 존재하는 지방이 된다.
추출단계로부터 획득된 단백질 용액은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50 g/L,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g/L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다.
수용성 칼슘염 용액은 산화방지제를 포함해도 좋다. 이 산화방지제는 황산 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산화방지제이어도 좋다. 채용되는 산화방지제의 량은 용액의 약 0.01로부터 약 1 wt% 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05 wt% 일 수 있다. 이 산화방지제는 단백질 용액에 있어서 어떤 석탄산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추출단계로부터 획득된 수상은, 잔여 콩 단백질원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 경사기, 뒤이어 디스크 원심분리 및/또는 여과를 채용함에 의하는 것과 같이,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잔여 콩 단백질원으로부터 분리되어도 좋다. 분리된 잔여 콩 단백질원은 처분을 위해 건조되어도 좋다. 그렇지 않으면, 분리된 잔여 콩 단백질원은 잔여 단백질 회수를 위하여 처리되어져도 좋다. 분리된 잔여 콩 단백질원은 새로운 칼슘염으로 재-추출되어져도 좋고 이 단백질 용액은 이하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추가 가공을 위하여 초기 단백질 용액과 함께 조합되어 정제하에 생산되어져도 좋다. 한편, 분리된 잔여 콩 단백질원은 종래의 등전 침전 공정 또는 어떤 다른 편리한 공정에 의해 잔여 단백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처리되어도 좋다.
만약 콩 단백질 자원이,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 5,844,086 및 6,005,0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의미 있는 량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면, 거기에 개시된 지방제거단계가 분리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에 수행되어도 좋다. 그렇지 않으면, 분리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의 지방제거는 어떤 다른 편리한 공정에 의해 달성되어도 좋다.
이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색상 및/또는 냄새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말화된 활성 탄소 또는 낟알로 된 활성 탄소와 같은 흡착제로 처리되어도 좋다. 이러한 흡착제처리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의 주변온도에서 어떤 편리한 조건 하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분말화된 활성 탄소를 위하여는 약 0.02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w/v의 량이 채용된다. 흡착한 재료는 여과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콩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도 좋다.
획득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의 전도성을 일반적으로 약 90 mS 이하의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8 mS의 값으로 감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약 0.5 내지 약 10 용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 용량으로 수용성 희석제로 희석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희석은, 비록 약 3 mS까지의 전도성을 갖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과 같은 희석 염 용액이 사용되어져도 좋지만, 통상적으로 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콩 단백질 용액이 혼합되는 희석액은 약 2°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의 온도를 갖는다.
희석된 콩 단백질 용액은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을 얻기 위하여 어떤 적절한 식품등급 산의 첨가에 의해 pH 값을 약 1.5 내지 약 4.4,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의 pH 값으로 조정된다. 이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일반적으로 약 95 mS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23 mS의 전도성을 갖는다.
이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추출단계 동안 콩 단백질원 물질로부터의 추출의 결과로서의 용액에 존재하는 트립신 억제인자들과 같은 열-불안정 반-영양인자들을 불활성화시키도록 열처리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단계는 또한 미생물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가적 이득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용액은 약 7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약 10초 내지 약 6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120℃의 온도로 약 10초 내지 약 5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 내지 약 95℃의 온도에서 약 30초 내지 약 5분 동안 가열된다. 이 열처리 되고 산성화된 콩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약 2℃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로 이하에서 기술될 추가처리를 위하여 냉각되어도 좋다.
선택적으로 희석되고 산성화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열 처리된 단백질 용액은 어떤 잔여 미립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에 의해서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제되어져도 좋다.
획득된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콩 단백질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직접 건조되어져도 좋다. 감소된 불순물 함량을 갖고 감소된 염 함량을 갖는 콩 단백질 분리물과 같은 콩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건조 전에 처리되어져도 좋다.
이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이온 강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농축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농축은 일반적으로 약 50 g/L 내지 약 300 g/L,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 g/L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도록 수행된다.
농축단계는, 약 3000 내지 약 1,0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100,000 달톤과 같은 적절한 분자 질량 차단과 함께, 그리고 서로 다른 막 재질 및 구조를 갖는, 동공-섬유 막 또는 나선-권선 막과 같은, 막들을 사용하여, 한외거르기 또는 디아필트레이션과 같은 어떤 편리한 선택적 막 기술을 채용함에 의해서와 같이, 뱃치 또는 계속적인 조작으로 한결같은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수행되어 지고, 그리고 계속적인 조작을 위하여, 수용성 단백질 용액이 막들을 통해 통과하는 것과 같이 소망하는 농도를 허용하도록 치수되어진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한외거르기 및 유사한 선택적 막 기술은 낮은 분자량 종류는 막의 통과를 허용하는 반면 높은 분자량 종류는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다. 낮은 분자량 종류는 식품등급 염의 이온 종류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색소, 저 분자량 단백질들 및 트립신 억제인자와 같은 반-영양 인자들과 같은 원 물질로부터 추출된 낮은 분자량종류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스스로 저 분자량 단백질들이다. 막의 분자량 차단은 통상적으로, 다른 막 물질 및 구조와 관련하여 오염물질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용액 내에 단백질의 의미 있는 비율의 유지를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은 물 또는 희석 식염수 용액을 사용하여 디아필트레이션(diafiltration) 단계에 놓이게 된다. 디아필트레이션 용액은 천연 pH 또는 디아필트레이션되어 지는 단백질 용액과 동일한 pH 또는 그 사이에 있는 어떤 pH 값에 있어도 좋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약 2 내지 약 40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에 있어서, 불순물의 량이 침투물과 함께 막 침투를 통해 통과함에 의해 수용성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된다. 이것은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정제하고 또한 그것의 점성을 감소시킨다. 이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은 불순물 량이 의미가 없을 때까지 또는 알아볼 수 있는 색상이 침투에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또는 농축물이, 건조되었을 때, 적어도 약 90 wt%(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정제될 때까지 수행되어도 좋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농축단계를 위한 것과 동일한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그러나, 원한다면,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약 3,000 내지 약 1,0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0 달톤의 범위내의 분자량 차단을 가지는 막과 같은, 그리고 재질 및 구조가 서로 다른 막을 갖는, 다른 분자량 차단을 갖는 별도의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한편, 디아필트레이션단계는 농축 전의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에 또는 부분적으로 농축된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에 적용되어져도 좋다. 또한 디아필트레이션은 농축과정 동안 다수 포인트들에서 적용되어져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이 농축 전에 또는 부분적으로 농축된 용액에 적용될 때, 획득되는 디아필트레이션된 용액은 그 다음 추가적으로 농축되어질 수 있다. 단백질 용액이 농축되어 지는 것으로서 다수회의 디아필트레이션에 의해 달성되는 점성감소는 더 높은 최종적이고 완전히 농축된 단백질 농도가 달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건조되어 질 물질의 량을 감소시킨다.
농축단계 및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뒤이어 회수된 콩 단백질 제품이 적어도 약 60 wt% 단백질 (N x 6.25)d.b.과 같이 약 90 wt% 단백질 (N x 6.25)d.b. 이하로 포함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깨끗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을 부분적으로 농축하고 및/또는 부분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 함에 의해, 단지 불순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낮은 레벨의 순도를 갖는 콩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된다. 이 콩 단백질 제품은 산성조건 하에서 깨끗한 단백질 용액으로 아직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화방지제가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적어도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의 부분 동안 존재해도 좋다. 이 산화방지제는 황산 나트륨, 아스코르브 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산화방지제이어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채용된 산화방지제의 량은 채용된 물질에 의존하고 약 0.01 내지 1 wt%, 바람직하게는 약 0.05 wt%로 다양화될 수 있다. 이 산화방지제는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에 나타나는 어떤 석탄산의 산화를 방지한다.
농축단계 및 선택적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어떠한 편리한 온도,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 하에서, 소망하는 정도의 농축 및 디아필트레이션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 동안 수행된다. 어떤 정도에까지 사용된 온도 및 다른 조건들은 막 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사용된 막 장비, 용액의 소망하는 단백질 농도 및 침투에 대한 불순물 제거의 효과에 의존한다.
콩에는 두 주 트립신 억제인자가 있는데, 즉 약 21,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열-불안정 분자인 Kunitz 억제인자, 및 약 8,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더욱 열-안정적 분자인 Bomman-Birk 억제인자이다. 최종의 콩 단백질 제품에 있어서 트립신 억제인자 활동성의 레벨은 다양한 공정 변광성의 교모한 처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깨끗하고 산성화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의 열처리는 열-불안정 트립신 억제인자들을 불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농축된 또는 완전히 농축된 산성화된 콩 단백질 용액은 또한 열-불안정 트립신 억제인자들을 불활성화하기 위하여 열처리 되어져도 좋다. 이 열처리가 부분적으로 농축된 산성화된 콩 단백질 용액에 적용될 때, 획득되는 열 처리된 용액은 추가적으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부가하여, 농축 및/또는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다른 불순물과 함께 침투물에 있는 트립신 억제인자들의 제거를 위하여 호의적인 방법으로 조작되어도 좋다. 트립신 억제인자들의 제거는, 약 30,000 내지 약 1,000,000 달톤(Da)과 같은, 보다 큰 구멍 크기의 막을 사용함에 의해, 약 30 내지 약 60℃와 같은 상승된 온도에서 막을 조작함에 의해, 그리고 약 20 내지 40 용량과 같은 보다 큰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매체를 채용함에 의해 촉진된다.
약 1.5 내지 약 3의 더 낮은 pH에서 희석된 단백질 용액의 산성화 및 막 처리는 약 3 내지 약 4.4의 더 높은 pH에서 용액을 처리하는 것에 비해 트립신 억제인자 활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백질 용액이 pH 범위의 낮은 끝단에서 농축되고 디아필트레이션될 때, 건조 전에 농축물의 pH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되고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의 pH는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어떤 편리한 식품등급 알칼리의 첨가에 의해 소망하는 값, 예를 들어 pH 3으로 올려져도 좋다.
또한, 트립신 억제인자 활동성의 감소는 억제인자들의 시스틴 결합을 방해하거나 바꾸는 감소제에 콩물질을 노출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적합한 감소제로는 황산나트륨, 시스테인(cysteine)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을 포함한다.
이러한 감소제의 첨가는 전체공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감소제는 추출단계에서 콩 단백질원 물질과 함께 첨가되어도 좋고, 잔여 콩 단백질원 물질의 제거에 뒤따른 깨끗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에 첨가되어도 좋으며, 디아필트레이션 전 또는 후의 농축된 단백질 용액에 첨가되어도 좋고, 또는 건조된 콩 단백질 제품과 함께 건조 혼합되어도 좋다. 이 감소제의 첨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단계 및 막 처리 단계들과 함께 조합되어도 좋다.
만약 농축된 단백질 용액 내에 활동적 트립신 억제인자를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이것은, 감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처리단계의 강도를 감소 또는 제거함에 의해, 농축 및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들을, pH 3 내지 약 4.4와 같은, pH 범위의 더 높은 끝단에서 조작함에 의해, 더 작은 구멍크기의 농축 및 디아필트레이션 막을 사용함에 의해, 더 낮은 온도에서 막을 조작함에 의해, 그리고 더 작은 량의 디아필트레이션 매체를 채용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만약 필요하다면, 미국 특허 제 5,844,086 및 6,005,0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탈지 조작을 더 수행해도 좋다. 그렇지 않으면,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의 지방제거는 어떤 다른 편리한 공정에 의해 달성되어도 좋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깨끗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은, 색상 및/또는 냄새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말화된 활성 탄소 또는 낟알로 된 활성화 탄소와 같은 흡착제로 처리되어도 좋다. 이러한 흡착제 처리는 어떠한 편리한 조건 하에서, 일반적으로 농축된 단백질 용액의 주변온도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분말화 된 활성화 탄소를 위하여는, 약 0.02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w/v의 량이 채용된다. 흡착제는 여과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콩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도 좋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깨끗한 수용성 콩 단백질 용액은 스프레이 건조 또는 냉동건조와 같은 어떤 편리한 기술에 의해 건조되어져도 좋다. 건조 전에 콩 단백질 용액에 대하여 저온살균단계가 수행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저온살균은 어떤 소망의 저온살균 조건 하에서 수행되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콩 단백질 용액은 약 5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65℃의 온도에서 약 30초 내지 약 60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10분 내지 약 15분 동안 가열된다. 저온살균되고 농축된 콩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건조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0℃의 온도로 냉각되어도 좋다.
건조된 콩 단백질 제품은 약 60 wt%(N x 6.25)d.b.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건조 콩 단백질 제품은 약 90 wt% 단백질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N x 6.25)d.b.의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갖는 분리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업적 오렌지주스 제품들의 단백질 증강을 위하여 이 콩 단백질 분리물의 사용을 시도함에 있어서, 오렌지주스 내의 실질적으로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발달 및 조성물들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칼슘염들, 유기산들 또는 두 종의 조합이 과일주스, 특히 오렌지주스 내의 깨끗한 또는 거의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빠른 발달 없이 단백질 증강된 감귤류 과일 주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어지는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가능하도록 사용되어져도 좋다. 더 높은 칼슘 레벨은 유기산이 채용되지 않거나 거의 채용되지 않을 때 안정화 달성에 요구되는 한편, 더 낮은 칼슘 값은 더 높은 유기산 값이 채용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새로운, 산 용해성 콩 단백질 분리물의 제조를 설명한다.
'a' kg의 지방이 제거되고 최소한으로 열처리 된 가루가 주변온도에서 'b' L의 0.15M CaCl2 용액에 첨가되었고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60분 동안 휘저어 졌다. 잔여 콩 가루 제거되어졌고 획득된 단백질 용액은 'd'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c'L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 및 여과에 의해 정화되었다.
이 여과된 단백질 용액은 'e'용량의 역삼투 정제된 물에 첨가되었고 샘플의 pH는 희석된 HCl로 'f'로 낮추어 졌다.
이 희석되고 산성화된 단백질 추출용액은 'j'달톤의 분자량차단을 갖는 'i'막 상에서 농축에 의해 용량이 'g'L로부터 'h'L로 감소되어졌다. 이 농축되고 산성화된 단백질 용액은 'k'L의 역삼투 정제된 물로 디아필트레이션 되어졌다. 획득된 산성화되고 디아필트레이션 되었으며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l'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으며 초기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m'wt%의 생산률을 나타냈다. 'n'kg의 산성화되고 디아필트레이션 되었으며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시간당 'p' 충진 부피의 유동률로 'o'L 충진 부피의 과립활성탄을 통해 통과되었고 'q'%(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것이 발견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건조되었다. 이 제품은 'r'S701C로 명명되었다.
세 시제품들을 위한 변수들 'a' 내지 'r'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세 시제품들로부터 S701C는 S701C 혼합 I로 명명된 제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46.6wt% S005-K18-08A S701C: 40.7 wt% S005-K24-08A S701C: 12.7wt% S005-L08-08A S701C의 비율로 건조 혼합되어졌다.
S701C 혼합 I를 위한 S701C를 제조하기 위한 시제품의 변수들
r S005-K18-08A S005-K24-08A S005-L08-08A
a 60 60 20
b 600 600 200
c 410 360 170
d 2.63 2.53 2.03
e 1 1 1
f 3.07 3.07 3.06
g 820 720 340
h 70 81 49
i PES PES PES
j 10,000 10,000 10,000
k 350 405 250
l 13.34 13.52 N/A
m 89.6 91.1 N/A
n 36.21 30.68 17.82
o 5 3 1.5
p 2.5 2.5 2.5
q 103.76 104.03 104.84
N/A = 가능하지 않음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새로운, 산 용해성 콩 단백질 분리물의 다른 뱃치의 제조를 설명한다.
98.34 kg의 지방이 제거되고 최소한으로 열 처리된 콩 가루가 주변온도에서 1000 L의 0.15 M CaCl2 용액에 첨가되었고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30분 동안 교반되어졌다. 잔여 콩 가루가 제거되었고 획득된 단백질 용액은 2.38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670 L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도록 원심분리 및 여과에 의해 정제되었다.
여과된 단백질 용액은 1 용량의 역삼투 정제된 물에 첨가되었고 이 샘플의 pH는 희석된 HCl로 3.14로 낮추어 졌다.
이 희석되고 산성화된 단백질 추출용액은 100,000달톤의 분자량차단을 갖는 폴리에테르 슬폰(PES)막 상에서 농축에 의해 용량이 1,350L로부터 100'L로 감소 되어졌다. 이 농축되고 산성화된 단백질 용액은 1,000L의 역삼투 정제된 물로 디아필트레이션 되어졌다. 획득된 산성화되고 디아필트레이션되었으며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8.95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으며 초기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74.6wt%의 생산률을 나타냈다. 산성화되고 디아필트레이션 되었으며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101.31%(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것이 발견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건조되었다. 이 제품은 S008-C02-09A S701로 명명되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상업적 오렌지주스 제품에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의 첨가에 대한 효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뱃치 S005-K24-08A로부터 충분한 콩 단백질 분리물 분말(S701C)이 2% w/v의 단백질 용액 농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업적 오렌지주스 제품들에 첨가되었고 자성막대로 용해되어졌다. 이 단백질 용액 증강 제품은 24시간 동안 4℃에서 저장되었고 1시간 및 24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시험 된 상업적 오렌지주스 제품들은 Tropicana Essentials 저 산성 오렌지주스, Tropicana Essentials 칼슘 오렌지주스, Tropicana Essentials 오메가-3 오렌지주스, Tropicana Premium 펄프(pulp) 없는 오렌지주스 및 Tropicana Premium 펄프 있는 오렌지주스였다.
4℃에서 한 시간 저장 후, Tropicana Essentials 칼슘 오렌지주스 제품을 제외하고 모든 오렌지주스 샘플들에서 어떤 고체의 침전이 관찰되었고, 이것은 어떤 분리 없는 동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4℃에서 24 시간 저장 후, 모든 샘플들은 깨끗한 또는 거의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발달과 함께 분리되었다(이하에서는 '깨끗함과 함께 분리'로 기재).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사과산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사과산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2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넣어졌다.
사과산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3 0.63
wt 사과산(g) 0.15 0.30
% 단백질(w/w) 1.91 1.90
% 사과산(w/w) 0.48 0.95
유리병들은 첨가된 조성물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중간-속도로 작동된 소용돌이 혼합기와 함께 혼합되었다.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은 사과산 없이 그리고 콩 단백질 없이 유리병 속으로 부어 졌다. 샘플들은 4℃의 저장고에 보관되었고 24 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4℃에 24시간 저장 후, 0.48% w/w 사과산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가졌다. 저장시간의 동일한 시간 후, 0.95%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과산 단독으로 0.95% w/w 레벨에서 채용되었을 때 대략 1.9%w/w의 새로운 콩 단백질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를 안정화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젖산칼슘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젖산칼슘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3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넣어졌다.
젖산칼슘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3 4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2 0.62 0.62 0.62
wt 젖산칼슘(g) 0.024 0.12 0.24 0.33
% 단백질(w/w) 1.91 1.91 1.90 1.89
% 젖산칼슘(w/w) 0.08 0.38 0.76 1.04
유리병들은 첨가된 조성물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중간-속도로 작동된 소용돌이 혼합기와 함께 혼합되었다.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은 젖산칼슘 없이 그리고 콩 단백질 없이 유리병 속으로 부어 졌다. 샘플들은 4℃의 저장고에 보관되었고 24 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및 젖산칼슘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젖산칼슘(w/w) 관찰
0.08 깨끗함과 함께 분리
0.38 깨끗함과 함께 분리
0.76 깨끗함과 함께 분리
1.04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4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1.9% w/w 단백질 및 0.08%, 0.38% 및 0.76% w/w의 젖산칼슘을 함유하는 오렌지주스 샘플들은 안정하지 않았고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1.04% w/w 젖산칼슘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가졌다.
실시예 6: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젖산칼슘 및 사과산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젖산칼슘, 사과산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5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넣어졌다.
젖산칼슘 및 사과산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3 4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2 0.62 0.62 0.62
wt 젖산칼슘(g) 0.024 0.024 0.24 0.24
wt 사과산(g) 0.03 0.30 0.03 0.30
% 단백질(w/w) 1.91 1.89 1.90 1.88
% 젖산칼슘(w/w) 0.08 0.08 0.76 0.75
% 사과산(w/w) 0.10 0.95 0.10 0.94
유리병들은 첨가된 조성물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중간-속도로 작동된 소용돌이 혼합기와 함께 혼합되었다.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은 콩 단백질, 젖산칼슘 또는 사과산 없이 유리병 속으로 부어 졌다. 샘플들은 4℃로 보관되었고 24 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표 6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젖산칼슘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젖산칼슘(w/w) %사과산(w/w) 관찰
0.08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08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0.76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75 0.94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나타낸 한편, 더 높은 레벨의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갖지 않았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냈다.
실시예 7: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염화칼슘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5의 공정이 젖산칼슘을 대체하는 염화칼슘으로 반복되었다. 사용된 배합은 이하의 표 7에 보여지는 바와 같다.
염화칼슘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3 4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2 0.62 0.62 0.62
wt 염화칼슘(g) 0.012 0.03 0.06 0.12
% 단백질(w/w) 1.91 1.91 1.91 1.91
% 염화칼슘(w/w) 0.04 0.10 0.19 0.38
획득된 결과는 표 8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및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염화칼슘(w/w) 관찰
0.04 깨끗함과 함께 분리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19 깨끗함과 함께 분리
0.38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8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04%, 0.10% 및 0.19% w/w의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안정하지 않았고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0.38% w/w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가졌다.
실시예 8: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염화칼슘 및 사과산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6의 공정이 젖산칼슘을 염화칼슘으로 대체하여 반복되었다. 사용된 배합은 표 9에 보여주고 있다.
염화칼슘 및 사과산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3 4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2 0.62 0.62 0.62
wt 염화칼슘(g) 0.012 0.012 0.06 0.06
wt 사과산(g) 0.03 0.30 0.03 0.30
% 단백질(w/w) 1.91 1.89 1.91 1.89
% 염화칼슘(w/w) 0.04 0.04 0.19 0.19
% 사과산(w/w) 0.10 0.95 0.10 0.95
획득된 결과는 표 10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염화칼슘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염화칼슘(w/w) %사과산(w/w) 관찰
0.04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04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0.19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19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10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나타낸 한편, 0.95% w/w의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냈다.
실시예 9:
이 실시예는 그 안에 글루콘산 젖산칼슘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5의 공정이 젖산칼슘을 대체하는 글루콘산 젖산칼슘(CLG)으로 반복되었다. 사용된 배합은 이하의 표 11에 보여지는 바와 같다.
글루콘산 젖산칼슘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3 4
wt 오렌지주스(g) 35.75 35.75 35.75 35.75
wt 단백질 분말(g) 0.73 0.73 0.73 0.73
wt 글루콘산 젖산칼슘(g) 0.035 0.175 0.350 0.455
% 단백질(w/w) 1.93 1.92 1.91 1.91
% 글루콘산 젖산칼슘(w/w) 0.10 0.48 0.95 1.23
획득된 결과는 표 12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및 글루콘산 젖산칼슘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글루콘산 젖산칼슘(w/w) 관찰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48 깨끗함과 함께 분리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1.23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12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0%, 및 0.48% w/w의 글루콘산 젖산칼슘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안정하지 않았고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0.95% 및 1.23% w/w 글루콘산 젖산칼슘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가졌다.
실시예 10:
이 실시예는 그 안에 글루콘산 젖산칼슘 및 사과산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6의 공정이 젖산칼슘을 글루콘산 젖산칼슘으로 대체하여 반복되었다. 사용된 배합은 표 13에 보여주고 있다.
글루콘산 젖산칼슘 및 사과산과 함께 시제품들의 배합
샘플 수 1 2 3 4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2 0.62 0.62 0.62
wt 글루콘산 젖산칼슘(g) 0.03 0.03 0.15 0.15
wt 사과산(g) 0.03 0.30 0.03 0.30
% 단백질(w/w) 1.91 1.89 1.90 1.89
% 글루콘산 젖산칼슘(w/w) 0.10 0.09 0.48 0.47
% 사과산(w/w) 0.10 0.95 0.10 0.95
획득된 결과는 표 14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CLG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글루콘산 젖산칼슘(w/w) %사과산(w/w) 관찰
0.10 0.1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09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0.48 0.10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 보다 더 침전된 고체 그러나 깨끗함과 함께 분리는 없었음
0.47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1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95%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0.10%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보다 더 안정적이었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0.48% w/w의 CLG 및 0.1%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보다 더 침전된 고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러나 불투명한 상부 층을 가졌으며, 한편 0.1% CLG w/w 및 0.1% w/w 사과산을 함유하는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1: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젖산칼슘, 염화칼슘 또는 글루콘산 젖산칼슘과 함께 사과산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칼슘염, 사과산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15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계량되어졌다.
실시예 1로부터의 콩 단백질 분리물과 함께한 시제들을 위한 배합
샘플 수 1 2 3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2 0.62 0.62
wt 젖산칼슘(g) 0.24 0.00 0.00
wt 염화칼슘(g) 0.00 0.06 0.00
wt 글루콘산 젖산칼슘(g) 0.00 0.00 0.15
wt 사과산(g) 0.15 0.15 0.15
% 단백질(w/w) 1.89 1.90 1.89
% 젖산칼슘(w/w) 0.76 0.00 0.00
% 염화칼슘(w/w) 0.00 0.19 0.00
% 글루콘산 젖산칼슘(w/w) 0.00 0.00 0.48
% 사과산(w/w) 0.47 0.48 0.48
샘플들은 또한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칼슘염, 사과산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16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계량되어졌다.
실시예 2로부터의 콩 단백질 분리물과 함께한 시제들을 위한 배합
샘플 수 1 2 3
wt 오렌지주스(g) 30.65 30.65 30.65
wt 단백질 분말(g) 0.63 0.63 0.63
wt 젖산칼슘(g) 0.024 0.00 0.00
wt 염화칼슘(g) 0.00 0.012 0.00
wt 글루콘산 젖산칼슘(g) 0.00 0.00 0.03
wt 사과산(g) 0.15 0.15 0.15
% 단백질(w/w) 1.91 1.91 1.91
% 젖산칼슘(w/w) 0.08 0.00 0.00
% 염화칼슘(w/w) 0.00 0.04 0.00
% 글루콘산 젖산칼슘(w/w) 0.00 0.00 0.10
% 사과산(w/w) 0.48 0.48 0.48
샘플들은 첨가된 조성물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중간속도로 작동된 소용돌이 혼합기로 혼합되어졌다. 샘플들은 4℃의 저장고에 위치되었고 24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시제 샘플은 콩 단백질, 사과산 또는 칼슘염 존재 없이 준비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표 17 내지 19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젖산칼슘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 젖산칼슘(w/w) % 사과산(w/w) 관찰
0.08 0.48 깨끗함과 함께 분리
0.76 0.47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콩 단백질, 염화칼슘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 염화칼슘(w/w) % 사과산(w/w) 관찰
0.04 0.48 깨끗함과 함께 분리
0.19 0.48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콩 단백질, 글루콘산 젖산칼슘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 글루콘산 젖산칼슘(w/w) % 사과산(w/w) 관찰
0.10 0.48 깨끗함과 함께 분리
0.48 0.48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17 내지 19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더 낮은 레벨의 칼슘과 함께한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나타낸 한편 더 높은 칼슘 레벨의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갖지 않았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이 실시예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 및 다양한 량의 칼슘염 및 사과산을 함유하는 오렌지주스 제품의 열 안정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칼슘염, 사과산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20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계량되어졌다.
열처리 시제를 위한 배합
샘플 수 1 2 3 4 5 6 7
wt 오렌지주스(g) 204.30 204.30 204.30 204.30 204.30 204.30 204.30
wt 단백질 분말(g) 4.19 4.19 4.19 4.19 4.19 4.19 4.19
wt 젖산칼슘(g) 0.00 0.16 0.00 0.00 2.20 0.00 0.00
wt 염화칼슘(g) 0.00 0.00 0.08 0.00 0.00 0.80 0.00
wt CLG(g) 0.00 0.00 0.00 0.20 0.00 0.00 2.00
wt 사과산(g) 0.00 2.00 2.00 2.00 0.00 0.00 0.00
% 단백질(w/w) 1.92 1.90 1.90 1.90 1.90 1.91 1.90
% 젖산칼슘(w/w) 0.00 0.08 0.00 0.00 1.04 0.00 0.00
% 염화칼슘(w/w) 0.00 0.00 0.04 0.00 0.00 0.38 0.00
% CLG(w/w) 0.00 0.00 0.00 0.09 0.00 0.00 0.95
% 사과산(w/w) 0.00 0.95 0.95 0.95 0.00 0.00 0.00
혼합물들은 자성막대로 한 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획득된 샘플들은 85℃에서 30초 동안 열-처리되었고 그 다음 아이스-배스에서 냉각되었다. 샘플들은 식품등급 플라스틱 병으로 옮겨졌고 4℃에 저장되었으며 24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다음의 표 21에 기재되어 있다:
사과산과 함께 또는 사과산 없이 콩 단백질 및 칼슘염을 함유하는 열처리 된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부가된 칼슘 농도(% w/w) %사과산(w/w) 관찰
0.00 0.0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08% 젖산칼슘 0.95 깨끗함과 함께 분리 없음
1.04% 젖산칼슘 0.00 깨끗함과 함께 분리 없음
0.04% 염화칼슘 0.95 깨끗함과 함께 분리 없음
0.38% 염화칼슘 0.00 깨끗함과 함께 분리 없음
0.09% CLG 0.95 깨끗함과 함께 분리 없음
0.95% CLG 0.00 깨끗함과 함께 분리 없음
표 21에 제공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과산 또는 칼슘염이 없는 콩 단백질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보여주었다. 나머지 샘플들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갖지 않았다.
이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안정성은 사과산 및 칼슘염과 함께 안정화되었음을 결론할 수 있고 또 85℃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역 영향이 없었다고 결론할 수 있다.
실시예 13:
이 실시예는 그 안에 젖산칼슘 및 구연산을 사용하는 새로운 콩 단백질 분리물을 갖는 오렌지주스 제품을 안정화하기 위한 시도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콩 단백질 분말, 젖산칼슘, 구연산 및 Sun-Rype 오렌지주스(무균성으로 가공된)가 표 22에 보여 진 배합에 따라 유리병들 속에 계량되어졌다.
젖산칼슘 및 구연산과 함께한 시제들의 배합
샘플 수 1 2
wt 오렌지주스(g) 20.43 20.43
wt 단백질 분말(g) 0.41 0.41
wt 젖산칼슘(g) 0.016 0.016
wt 구연산(g) 0.00 0.2
% 단백질(w/w) 1.90 1.88
% 젖산칼슘(w/w) 0.08 0.08
% 구연산(w/w) 0.00 0.95
유리병들은 첨가된 조성물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중간-속도로 작동된 소용돌이 혼합기와 함께 혼합되었다.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은 콩 단백질, 젖산칼슘 또는 구연산 없이 유리병 속으로 부어 졌다. 샘플들은 4℃로 보관되었고 24시간 후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표 23에 기재되어 있다:
콩 단백질, 젖산칼슘 및 구연산을 함유하는 Sun-Rype 오렌지주스의 관찰
%젖산칼슘(w/w) %구연산(w/w) 관찰
0.08 0.00 깨끗함과 함께 분리
0.08 0.95 시제 오렌지주스 샘플과 동일한 모습
표 23에 제공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콩 단백질 및 0.08% w/w 젖산칼슘 단독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나타낸 한편, 동일한 레벨의 젖산칼슘과 0.95% w/w 구연산을 함유하는 샘플은 깨끗함과 함께 분리를 나타내지 않았고 시제 샘플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냈다.

Claims (10)

  1. 약 4.4 이하의 산 pH 값에서 물에 완전히 용해가능하고 수용성 용액에 있어서 열 안정성이 있는 적어도 약 60 wt%(N x 6.25)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콩 단백질 제품, 및
    적어도 하나의 칼슘염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의 조성물들의 분리 없이 그리고 주스 또는 음료 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깨끗한 상부 액체층의 빠른 발달 없이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에 용해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슘염은 염화칼슘, 젖산칼슘 및 글루콘산 젖산칼슘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은 사과산 또는 구연산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 과일 주스는 오렌지주스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 단백질 제품은 적어도 약 90 wt% (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콩 단백질 제품은 적어도 약 100 wt% (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조성물.
  7. 그 안에 제 1항의 조성물이 용해된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
  8. 제 7항에 있어서, 단백질-증강된 오렌지주스인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
  9. 조성물이
    약 0.1 내지 약 10%w/w의 콩 단백질 제품으로부터의 콩 단백질, 및
    약 0 내지 약 1.7%w/w의 적어도 하나의 칼슘염, 및
    약 0 내지 약 1%w/w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 5항의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슘염은 염화칼슘, 젖산칼슘 및 글루콘산 젖산칼슘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은 사과산 및 구연산의 어느 하나인 감귤류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감귤류 과일 주스 또는 음료.
KR1020127019802A 2010-01-04 2011-01-04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음료, 그 조성물 및 그것의 안정화 방법 KR20130018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22310P 2010-01-04 2010-01-04
US61/282,223 2010-01-04
PCT/CA2011/000006 WO2011079398A1 (en) 2010-01-04 2011-01-04 Stabilization of citrus fruit beverages comprising soy prot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645A true KR20130018645A (ko) 2013-02-25

Family

ID=4422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802A KR20130018645A (ko) 2010-01-04 2011-01-04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음료, 그 조성물 및 그것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20130040038A1 (ko)
EP (1) EP2521461A4 (ko)
JP (2) JP2013516184A (ko)
KR (1) KR20130018645A (ko)
CN (1) CN102802447B (ko)
AU (1) AU2011203419A1 (ko)
BR (1) BR112012016530A2 (ko)
CA (1) CA2786191A1 (ko)
NZ (1) NZ601611A (ko)
RU (1) RU2562226C2 (ko)
WO (1) WO20110793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777A1 (ko) * 2016-09-30 2018-04-05 (주)아모레퍼시픽 풋귤수로 처리한 발아콩 유래의 두즙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근력 및 근육량 향상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4293B2 (en) * 2010-09-23 2013-03-26 Graceland Fruit, Inc.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bioactive phenolics
JP2015092834A (ja) * 2013-11-08 2015-05-1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炭酸感を付与した経口組成物及び炭酸感付与剤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147A (en) * 1971-04-05 1973-05-29 Coca Cola Co Process for preparing protein products
US3966971A (en) * 1975-01-02 1976-06-29 Grain Processing Corporation Separation of protein from vegetable sources
CH648729A5 (fr) * 1981-03-31 1985-04-15 Nestle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oisson acide enrichie en proteines.
US4479975A (en) * 1983-01-13 1984-10-30 General Foods Corporation Fruit flavored beverages
US5286511A (en) * 1992-10-23 1994-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Clouding agent for beverages and method of making
RU2168907C1 (ru) * 2000-07-19 2001-06-20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евого концентрата
US6630195B1 (en) * 2000-11-21 2003-10-07 Cargill,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ing oilseed protein products
DE60239669D1 (de) * 2001-02-28 2011-05-19 Fuji Oil Co Ltd Sojabohnenprot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dessen säure enthaltende proteinnahrungsmittel
US6811804B2 (en) * 2001-06-07 2004-11-02 Abbott Laboratories Juice and soy protein beverage and uses thereof
US20030059514A1 (en) * 2001-09-10 2003-03-27 Villagran Francisco Valentino Compositions comprising soy protein and processes of their preparation
WO2003034836A1 (en) * 2001-10-23 2003-05-01 Burcon Nutrascience (Mb) Corp. Canola protein isolate functionality ii
FI20030610A0 (fi) * 2003-04-22 2003-04-22 Raisio Benecol Oy Syötävä tuote
CN1893840B (zh) * 2003-12-19 2011-10-05 不二制油株式会社 酸性蛋白质食品或饮料及其原料
US20050136169A1 (en) * 2003-12-19 2005-06-23 Solae, Llc. Stabilizing agent-free acid protein beverag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TWI360395B (en) * 2004-03-08 2012-03-21 Fuji Oil Co Ltd Acid prothin food with mineral
US7357955B2 (en) * 2004-04-15 2008-04-15 Solae, Llc Acid beverage composition utilizing an aqueous protein component
WO2007098092A2 (en) * 2006-02-21 2007-08-30 Nutrijoy, Inc. Food and beverage products with improved taste impressions
MX2009011099A (es) * 2007-04-27 2009-11-02 Unilever Nv Metodos para complementar una composicion liquida acuosa con calcio.
US20110159165A1 (en) * 2007-10-10 2011-06-30 Nairsons Flavourhouse Cc Method of Producing Acid Stable Protein Products and Products so Produced
KR101758794B1 (ko) * 2008-10-21 2017-07-31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콩으로부터 용해성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품(“s701”)
US20100203205A1 (en) * 2009-02-11 2010-08-12 Segall Kevin I Production of Soy Protein Product Using Calcium Chloride Extraction ("S702")
MX2011008570A (es) * 2009-02-11 2012-01-20 Burcon Nutrascience Mb Corp Preparacion de un producto de proteina de soya utilizando extraccion con agua ("s803").
US8389040B2 (en) * 2009-06-30 2013-03-05 Burcon Nutrascience (Mb) Corp. Production of acid soluble soy protein isolates (“S700”)
US20120171348A1 (en) * 2009-06-30 2012-07-05 Segall Kevin I Production of acid soluble soy protein isolates ("s800")
JP5719841B2 (ja) * 2009-06-30 2015-05-20 バーコン ニュートラサイエンス (エムビー) コーポレイションBurcon Nutrascience (Mb) Corp. 酸可溶性大豆タンパク質単離物(「s700」)の製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777A1 (ko) * 2016-09-30 2018-04-05 (주)아모레퍼시픽 풋귤수로 처리한 발아콩 유래의 두즙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근력 및 근육량 향상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33460A (ru) 2014-02-20
US20120196026A1 (en) 2012-08-02
WO2011079398A1 (en) 2011-07-07
CN102802447A (zh) 2012-11-28
RU2562226C2 (ru) 2015-09-10
CA2786191A1 (en) 2011-07-07
EP2521461A1 (en) 2012-11-14
JP2013516184A (ja) 2013-05-13
JP2015192680A (ja) 2015-11-05
EP2521461A4 (en) 2015-01-14
BR112012016530A2 (pt) 2015-09-01
US20110165309A1 (en) 2011-07-07
CN102802447B (zh) 2015-06-24
US20130295251A1 (en) 2013-11-07
AU2011203419A1 (en) 2012-08-23
US20130040038A1 (en) 2013-02-14
NZ601611A (en)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794B1 (ko) 콩으로부터 용해성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품(“s701”)
KR102104299B1 (ko) 콩 단백질 미셀 덩어리("S200Ca")로부터 용해 콩 단백질 제품의 생산
JP6408508B2 (ja) 大豆からのタンパク質溶液の改良された生成
KR20110119784A (ko) 물 추출을 이용하는 콩 단백질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7367A (ko) 염화칼슘 추출을 사용한 콩 단백질 분리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s703”)
KR20120047236A (ko) 산 용해가능한 콩 단백질 분리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s800”)
KR20120097405A (ko) pH조정된 콩 단백질 제품, 그 제조방법 및 콩 단백질 제품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TW201400497A (zh) 來自豆類可溶性蛋白產品之改良製法
KR20120039646A (ko) 산 용해가능한 콩 단백질 분리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s700”)
TW201408217A (zh) Ph經調整之豆類植物蛋白質產品
KR20140030248A (ko) 용해가능한 콩단백질 제품(“s704”)의 제조방법
RU2577963C2 (ru) Вяжущий вкус в соевых белковых растворах
KR20140024910A (ko) 염화칼슘 추출을 사용한 콩 단백질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30018645A (ko) 단백질-증강된 감귤류 과일 음료, 그 조성물 및 그것의 안정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